맨위로가기

차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골은 조류의 어깨 사이를 지지하는 뼈로, '작은 포크'를 뜻하는 라틴어 'furcula'에서 유래되었다. 조류에서는 날개 근육의 움직임을 돕고 호흡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일부 공룡에서도 발견되어 조류의 기원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서양에서는 차골을 이용하여 점을 치거나 소원을 비는 풍습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류해부학 - 소낭유
    소낭유는 비둘기, 홍학, 황제펭귄 등의 조류가 새끼에게 먹이기 위해 생산하는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물질이다.
  • 조류해부학 - 날개깃
    날개깃은 새 날개 뒤쪽에 있는 깃털로, 위치에 따라 첫째날개깃, 둘째날개깃, 셋째날개깃으로 나뉘어 추진력, 양력, 기류 정돈 등의 비행 역할을 수행하며, 알룰라는 저속 비행을 돕고 덮깃은 날개깃을 보호하며, 종에 따라 소리를 내거나 과시용으로 쓰이기도 하고, 날지 못하는 새는 퇴화된 형태를 띠기도 한다.
차골

2. 명칭

"furcula"라는 명칭은 "작은 포크", "포크 모양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 furcǔla|푸르쿨라la에서 유래했다. "차골(叉骨)"은 서성보가 furcula를 번역한 것이다.[11] 영어 "wishbone"은 이 뼈를 사용해 소원을 비는 풍습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에 나타난 명칭이다.[22] "창사골(暢思骨)"은 wishbone (= wishing-bone)을 번역한 것이다.[11]

3. 조류

차골은 조류의 양쪽 어깨 사이를 지지하며, 각 어깨뼈에 연결되는 버팀대 역할을 한다. 부리뼈, 어깨뼈와 함께 삼중골관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형성하며, 여기에는 위부리근을 상완골에 연결하는 강력한 힘줄이 있다.[1] 이 시스템은 회복 스트로크 동안 날개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가슴이 아래로 젓는 동안 날개 근육에 의해 압축되면 차골의 상단이 벌어져 휴식 폭의 50%까지 확장되었다가 수축한다.[1] X-선 촬영으로 비행 중인 찌르레기를 관찰한 결과, 차골은 가슴을 강화하는 것 외에도 비행 중에 가슴 거들에서 스프링처럼 작용하여 비행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날개가 아래로 당겨질 때 확장되고 위로 올라갈 때 다시 튕겨 나온다. 이 작용에서 차골은 가슴 근육의 수축으로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하여 어깨를 옆으로 확장시킨 다음, 차골이 정상 위치로 돌아갈 때 상향 스트로크 중에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것은 다시 어깨를 신체의 정중선으로 끌어당긴다.[2]

찌르레기는 크기에 비해 적당히 크고 강한 차골을 가지고 있지만, 덤불새, 일부 투칸, 신세계수염새, 일부 올빼미, 일부 앵무, 투라코, 메시트 등은 차골이 없거나 흔적만 남아있다. 그러나 이 새들은 여전히 비행이 가능하다. 두루미와 같이 강력한 비행을 하는 조류는 크고 속이 비어 있으며 매우 뻣뻣한 차골을 가지고 있다.[3]

조류에서 차골은 호흡계의 공기주머니를 통해 공기를 펌핑하여 호흡을 돕는 역할도 한다.[1]

4. 다른 동물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오비랍토르과,[4] 티라노사우루스과,[5] 트로오돈과, 코엘로피시스과,[6] 알로사우루스상과 등 일부 수각류 공룡에서도 차골이 발견되었다.[4]

디플로도쿠스과 공룡에서 쇄골간이 발견된 것을 바탕으로, Tschopp과 Mateus (2013)[7]는 차골이 융합된 쇄골이 아닌 변형된 쇄골간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5. 조류의 기원과 관련된 진화 연구사

19세기 토머스 헉슬리는 시조새 화석 발견 이후 조류와 공룡의 유연 관계를 주장했다. 20세기 초, 게르하르트 하일만은 공룡이 쇄골을 가지지 않아 조류의 조상이 될 수 없다는 '드로의 법칙'을 제시하며, 조류와 공룡의 유사성은 수렴 진화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1970년대 존 오스트롬의 연구와 수각류 공룡에게서 차골(쇄골)이 발견되면서 조류의 공룡 기원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4][5][6]

6. 민간 전승 (서양)

미신은 적어도 후기 중세 시대부터 거위의 차골을 이용한 점술에 얽매여 있었다. 요하네스 하트리브는 1455년에 거위의 차골을 이용한 날씨 점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성 마르틴 날de 또는 밤에 거위를 먹고 나면 가장 나이가 많고 현명한 사람이 가슴뼈를 보관하고 아침까지 말린 후 앞, 뒤, 가운데를 모두 살펴본다. 이를 통해 겨울이 혹독할지, 온화할지, 건조할지, 습할지를 점치며, 그 예측의 정확성에 대해 자신의 재산과 동산을 걸 정도로 확신한다."[8] 또한 군 장교에 대해 "이 용감한 남자, 이 기독교 선장은 자신의 더블렛에서 이 이단적인 미신의 대상, 거위 뼈를 꺼내 성촉절 이후 매우 혹독한 추위가 닥칠 것이며, 틀림없이 그렇게 될 것이라고 나에게 보여주었다."라고 언급했다.[8] 그 대장은 또한 "프로이센의 튜턴 기사단은 그들의 모든 전투에서 이 거위 뼈로 점을 쳤으며, 거위 뼈가 예언하기 때문에 여름에 한 번, 겨울에 한 번 두 번 작전을 수행한다"라고도 말했다.[8]

두 사람이 뼈를 잡아당겨 더 큰 조각을 얻는 사람이 소원을 비는 관습은 17세기 초에 생겨났다. 어떤 가족 전통에서는 더 작은 조각을 얻은 사람이 소원을 빌었다. 당시 이 뼈의 이름은 ''메리소트''였다. 이 관습과 관련하여 ''차골''이라는 이름은 1860년부터 기록되었다.[9]

참조

[1] 서적 Ornitholog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and Company
[2] 서적 Manual of Ornithology: Avian Structure and Function Yale University Press 1998-10
[3] 서적 The Inner Bird: Anatomy and Evolution, by Gary W. Kaiser https://books.google[...]
[4] 서적 Encyclopedia of Dinosaur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97-10
[5] 서적 The Carnivorous Dinosaurs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07
[6] 논문 A Furcula in the Coelophysid Theropod ''Syntarsis'' 2002-09
[7] 논문 Clavicles, interclavicles, gastralia, and sternal ribs in sauropod dinosaurs: new reports from Diplodocidae and their morphological, functional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8] 뉴스 Wishbone myth has long history http://www.knoxnews.[...] Edward A. Armstrong, The Folklore of Birds 2012-09-27
[9] 웹사이트 etymonline.com https://www.etymonli[...]
[10] 서적 脊椎動物のからだ その比較解剖学
[11] 서적 脊椎動物のからだ その比較解剖学
[12] 서적 Ornithology W. H. Freeman and Company
[13] 서적 Manual of Ornithology: Avian Structure and Function Yale University Press 1998-10
[14] 서적 The Inner Bird: Anatomy and Evolution, by Gary W. Kaiser https://books.google[...]
[15] 서적 Encyclopedia of Dinosaurs Academic Press 1997-10
[16] 서적 The Carnivorous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07
[17] 논문 A Furcula in the Coelophysid Theropod ''Syntarsis'' 2002-09
[18] 서적 動物大百科別巻 恐竜 平凡社
[19] 서적 鳥の骨探 エヌ・ティー・エス
[20] 논문 Clavicles, interclavicles, gastralia, and sternal ribs in sauropod dinosaurs: new reports from Diplodocidae and their morphological, functional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21] 뉴스 Wishbone myth has long history http://www.knoxnews.[...] Edward A. Armstrong, The Folklore of Birds 2012-09-27
[22] 웹사이트 etymonline.com https://www.etymon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