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퍼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퍼햄은 1873년에 태어나 1929년에 사망한 미국의 오순절 운동의 초기 지도자이다. 그는 베델 성경 대학을 설립하고, 성령 세례를 방언의 증거로 강조하며 오순절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퍼햄은 성결 운동의 영향을 받아 신성한 치유와 믿음을 강조했으며, 1901년 토페카 성경 학교에서 방언 현상을 경험한 후 오순절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윌리엄 J. 세이무어에게 영향을 주어 아주사 거리 부흥을 촉진했으나, 인종차별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말년에는 성적 비행 혐의와 교리적 논란으로 인해 영향력이 감소했으나, 그의 사상은 오순절 교단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순절운동 - 순복음
순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구원자, 성화자, 치유자, 곧 돌아올 왕의 네 가지 측면으로 강조하는 기독교 신학 용어에서 비롯되어 완전 복음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오순절운동 - 이차적 축복
이차적 축복은 기독교 신학에서 죄로부터의 자유와 성화를 강조하며, 감리교, 퀘이커교, 케직 신학, 오순절주의 등 다양한 교파에서 다르게 해석된다. - 성결 운동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성결 운동 -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찰스 퍼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찰스 폭스 퍼햄 |
원어 이름 | Charles Fox Parham |
구분 | 목회자, 전도사 |
생애 | |
출생일 | 1873년 6월 4일 |
출생지 | 미국 아이오와주 머스카틴 |
사망일 | 1929년 1월 29일 |
사망지 | 미국 캔자스주 백스터 스프링스 |
가족 | |
배우자 | 사라 티슬웨이트 (1896년–1929년, 그의 사망까지) |
신학 | |
소속 | 오순절교회 |
주요 교리 | 성령세례 신유 성서무오설 예수 재림 |
2. 생애
찰스 퍼햄은 1873년 6월 4일 아이오와주 머스커틴에서 태어나, 1878년 가족과 함께 캔자스주 체니로 이주했다.[1] 1890년 감리교회 계열 학교인 사우스웨스턴 대학교에 입학했으나, 1893년 중퇴하고 감리교회에서 임시 목사로 활동했다.[4] 하지만 1895년 감리교회의 위계질서에 반대하며 교회를 떠나, 성결 운동 사상을 설교하는 순회 전도 사역을 시작했다.[2],[5]
1898년, 캔자스 주 토페카에 본부를 두고 베델 치유의 집을 설립, ''사도 신앙'' 잡지를 발행하며 선교와 사무실을 운영했다.[7] 1900년에는 베델 성경 대학을 설립하여 성령을 교사로 삼고 성경을 가르쳤다.[7],[10] 1901년 1월 1일, 이 학교에서 애그니스 오즈먼이 방언을 하는 사건이 일어났다.[2],[9]
2. 1. 어린 시절과 가족
퍼햄은 1873년 6월 4일 아이오와주 머스커틴에서 윌리엄 퍼햄과 앤 퍼햄 사이의 다섯 아들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1] 1878년, 가족과 함께 덮개 마차를 타고 캔자스주 체니로 이주했다.[1] 1885년, 어머니가 사망했고,[1] 그 다음 해에 아버지는 감리교 순회 설교자의 딸인 해리엇 밀러와 재혼했다.[1] 해리엇은 독실한 기독교인이었고, 퍼햄 가족은 그들의 집을 "종교 활동"을 위해 열었다.[1]찰스는 퀘이커 교도인 사라 시슬웨이트와 결혼했다. 그들의 약혼은 1896년 여름이었고,[2] 1896년 12월 31일 프렌즈 의식으로 결혼했다.[3]
2. 2. 초기 사역 (1890-1900)
퍼햄은 15세에 처음으로 종교 봉사를 시작했다.[4] 1890년, 감리교회 계열 학교인 사우스웨스턴 대학교(캔자스주 위필드)에 입학했으나, 교육이 효과적인 사역을 방해할 것이라고 믿어 1893년에 중퇴했다. 이후 감리교회에서 임시 목사로 일했으나(정식 서품은 받지 않았다),[4] 1895년 감리교회의 위계질서에 반대하며 교회를 떠났다. 그는 감리교 목사들이 "직접적인 영감으로 설교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았다"고 불평했다.[2] 그는 교파를 거부하고, 성결 운동의 사상을 설교하는 자신의 순회 전도 사역을 시작했으며, 이는 캔자스 주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5]2. 3. 토페카 시절 (1898-1901)
1898년, 퍼햄은 본부를 캔자스 주 토페카로 옮겨 선교와 사무실을 운영했다.[7] 또한 토페카에서 베델 치유의 집을 설립하고 ''사도 신앙'' 잡지를 발행했다.[7] 퍼햄은 "믿음"을 기반으로 운영했는데, 예배 중에 헌금을 받지 않고 하나님께 사역을 제공해 주시도록 기도하는 것을 선호했다.[7]1900년, 퍼햄은 "후기의 운동에 의해 회복된 최신의 진리를 더 완전하게 알기로 결심하고" 토페카에서의 일을 안식년으로 하고 "다양한 운동들을 방문했다".[8] 그는 다른 사역들을 방문하면서 다른 가르침과 모델을 보고 살펴보았지만, 그의 시간 대부분은 메인주의 프랭크 샌포드의 사역지인 실로에서, 그리고 샌포드의 온타리오 종교 운동에서 보냈다.[2] 퍼햄의 후기 저술을 보면 그는 관찰한 아이디어의 일부, 즉 성경적 진리에 대한 자신의 견해(후에 성경 학교에서 가르쳤음)를 통합한 것으로 보이며,[9] 샌포드의 사역으로부터 자신의 성경 학교 모델과 다른 접근법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2]
안식년에서 돌아온 후, 퍼햄은 1900년 10월에 토페카에 베델 성경 대학을 설립했다.[7] 그 학교는 샌포드의 "성령과 우리 성경 학교"를 모델로 했으며, 퍼햄은 등록금을 받지 않고 믿음을 기반으로 계속 운영했다. 그는 "모든 것을 버리고, 가진 것을 팔아 나누어 주고, 공부와 기도를 위해 학교에 들어갈 의향이 있는 모든 목회자와 기독교인"을 초대했고, 약 40명(부양 가족 포함)이 이에 응했다.[7] 유일한 교과서는 성경이었고, 교사는 성령이었다(퍼햄은 대변인).[10]
성경 학교를 시작하기 전에 퍼햄은 샌포드의 사역에서 적어도 한 사람이 방언을 하는 것을 들었고, 그 사건을 자신의 신문에 재게재했다. 그는 또한 당시 다른 사람들이 인정하는 것보다 더 완전한 침례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2] 1900년 말, 퍼햄은 베델 성경 학교의 학생들에게 하나님과의 더 깊은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자신의 이해를 전했다.[3] 1900년 12월 31일, 베델에서 새해 전야 철야 예배를 가졌고, 1901년 1월 1일 저녁 예배에서 애그니스 오즈먼은 성령의 충만함을 받기 위해 기도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2] 기도를 받은 직후, 그녀는 "방언"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말하기 시작했고, 알려진 언어로 말하는 것으로 여겨졌다.[9]
3. 오순절 운동과 사역 (1901-1929)
찰스 퍼햄은 오순절 운동의 초기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901년부터 1929년까지 활동했다. 그는 캔자스 주 토피카에서 성경 학교를 운영하며 방언을 성령 세례의 증거로 강조했다.
1901년 4월, 퍼햄의 사역은 일시적으로 해체되었으나,[11] 1903년 미주리주 엘도라도 스프링스에서 치유 사역을 통해 다시 부흥했다.[12] 이후 캔자스, 텍사스, 오클라호마 등지에서 "사도 신앙"을 전파하며 활동했다.[13]
1906년, 텍사스 주 휴스턴에서 성경 학교를 운영하며 윌리엄 J. 세이무어에게 영향을 주었고, 세이무어는 아주사 거리 부흥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그러나 퍼햄과 세이무어는 인종 문제와 예배 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결별했다.[20]
1907년, 퍼햄은 동성애 혐의로 체포되어 논란이 되었다.[25] 이 사건과 더불어 금전적 부정, 교리적 일탈 혐의까지 더해지면서 그의 영향력은 크게 감소했다.[30]
퍼햄은 말년에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1929년 1월 29일 캔자스주 벅스터 스프링스에서 사망했다.[33]
3. 1. 기독교 신앙 운동 (Christian Faith Movement)
1901년 4월, 퍼햄의 사역은 해체되었으나,[11] 1903년 미주리주 엘도라도 스프링스에서 치유 사역을 통해 다시 부흥하기 시작했다.[12] 캔자스주 갈레나의 메리 아서 부인의 치유를 계기로, 1903-1904년 겨울 갈레나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어 수많은 추종자를 얻었다.[12] 미주리주 조플린의 ''뉴스 헤럴드''는 1,000명이 치유되고 800명이 개종했다고 보도했다.[12]갈레나 집회에서 퍼햄은 "사도 신앙"을 선포하며, 젊은 동료들과 함께 캔자스, 텍사스, 오클라호마 등지로 사역을 확장했다.[13] 1904년에는 캔자스주 킬빌에 오순절 집회용으로 최초의 프레임 교회가 건설되었다.[13]
1906년, 퍼햄은 휴스턴에서 성경 학교를 운영하며 윌리엄 J. 세이무어 등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14] 그는 루시 패로우를 로스앤젤레스로 파송했고,[17][18] 세이무어도 합류하여 아주사 거리 부흥을 일으켰다.[19] 이는 오순절 운동의 발상지로 여겨진다. 그러나 세이무어는 퍼햄의 인종 분리 정책과 예배 방식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결별했다.[20]
퍼햄은 인종 분리에 대한 신념과 영국 이스라엘주의 지지로 인종차별주의자로 여겨지기도 했다.[7] 그러나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멕시코계 미국인을 포용하려 노력했으며,[21] 흑인 교회에서 설교하고 루시 패로우를 야영 집회에 초대하기도 했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퍼햄은 쿠 클럭스 클랜에 동조하며 그들을 위해 설교하기도 했다.[23][24]
3. 2. 아주사 거리 부흥과의 관계
1906년, 퍼햄은 텍사스 주 휴스턴에서 성경 학교를 운영했는데, 이때 윌리엄 J. 세이무어가 퍼햄의 가르침에 큰 영향을 받았다.[14] 퍼햄과 세이무어는 휴스턴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설교했고, 퍼햄은 세이무어를 텍사스 전역의 흑인 공동체에 설교하도록 보낼 계획이었다.[15] 또한, 퍼햄은 루시 패로우를 로스앤젤레스로 파송했고,[17] 몇 달 후 세이무어를 로스앤젤레스로 보내 패로우의 사역에 합류하도록 지원했다.[18] 세이무어는 퍼햄에게 목사 안수를 요청하여 받았으며,[19] 그의 사역은 결국 아주사 거리 부흥으로 발전했다.그러나 세이무어는 아주사 거리에서 일어난 감정적인 예배와 인종 통합 예배에 대한 퍼햄의 비판으로 인해 그와 결별했다.[20] 퍼햄은 인종 분리를 지지하고 쿠 클럭스 클랜에 동조하기도 했지만,[23][24]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멕시코계 미국인을 오순절 운동에 포함시키기도 했다.[21] 그는 흑인 교회에서 설교했고, 루시 패로우를 야영 집회에 초대하기도 했다.[22]
3. 3. 스캔들과 영향력 감소
1907년, 퍼햄은 22세 남성 J.J. 조르단과 함께 "부자연스러운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체포되었다.[25] 퍼햄은 동성애자임을 부인했지만, 언론에서 이 사건을 다루었다.[25] 결국, 지방 검사는 이 사건을 기각하기로 결정했다. 퍼햄과 그의 지지자들은 이 혐의가 거짓이며, 윌버 볼리바가 그를 함정에 빠뜨리려는 시도였다고 주장했다.[26] 그러나 퍼햄의 반대자들은 이 사건을 이용하여 퍼햄과 그의 종교 운동의 신뢰도를 떨어뜨렸다. 퍼햄이 설교를 하고 있는 마을에 그에 대한 소돔 혐의 자백으로 추정되는 포스터가 배포되었는데, 이는 그에 대한 사건이 종결된 지 몇 년 후였다.[26][27][28][29]이 사건 외에도 금전적 부정과 교리적 일탈 혐의도 있었다.[30] 이 사건의 여파로 시온의 그의 대규모 지지 기반은 마치 살렘과 같은 광적인 열광에 빠져, 결국 3명의 구성원을 잔혹한 추방 의식으로 살해했다. 존 G. 레이크와 프레드 보스워스를 포함한 이 그룹의 구성원들은 일리노이에서 도망쳐 미국 전역으로 흩어졌다.[31] 운동의 초점이 퍼햄에서 시모어로 옮겨가면서 퍼햄은 분개했다. 그가 시작한 운동의 새로운 지도자들을 비난하는 그의 행동은 혐의와 함께 그를 많은 부분에서 멀어지게 했다. 그는 신뢰도를 쌓으려는 새로운 운동에 "골칫거리"가 되었다.[30]
3. 4. 말년과 죽음
어린 시절 류마티스열로 심장이 손상된 퍼햄은 1927년경부터 심장 문제의 초기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다.[32] 1928년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 여행에서 돌아온 가을과 여름 이후 건강이 더욱 악화되었다.1929년 1월 초, 퍼햄은 텍사스주 템플에서 성지 사진을 발표하기 위해 친구들과 긴 자동차 여행을 떠났다. 1월 5일, 슬라이드를 보여주던 중 쓰러졌고, 그의 아내가 도착했을 때 그의 심장이 좋지 않고 음식을 먹을 수 없는 상태임을 알게 되었다. 설교 여행을 계속하고 싶어했던 그의 바람과는 달리, 가족들은 그를 캔자스주 벅스터 스프링스로 데려왔고, 그는 1929년 1월 29일 오후에 사망했다.[33] 그의 아내가 쓴 전기 "찰스 F. 퍼햄의 생애"는 그의 사망 날짜를 1929년 1월 29일로 확정하고, 사망 전후의 여러 사건에 대한 날짜를 제공하여 이를 뒷받침한다.[32]
4. 신념
퍼햄은 성결 운동의 영향을 받아 개인적인 성경 해석과 성령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중시하는 신념을 가졌다. 그는 기성 종교 권위를 거부했으며, "믿음에 의한 구원, 믿음에 의한 치유, 안수와 기도, 믿음에 의한 성화, 그리스도의 재림(전천년설), 성령과 불의 세례"를 강조했다.[34]
4. 1. 주요 신념
퍼햄은 개인적인 묵상과 성령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자신의 교리적 아이디어를 발전시켰으며, 기성 종교 권위를 거부했다. 그는 믿음에 의한 구원, 믿음에 의한 치유, 안수와 기도, 믿음에 의한 성화, 그리스도의 재림(전천년설), 성령과 불의 세례를 강조했다.[34]퍼햄의 가장 중요한 신학적 기여는 성령 세례에 대한 믿음이었다. 그는 방언을 성령 세례의 "성경적 증거"로 처음 규정했다.[38] 1900년까지 그는 방언이 종말론적으로 중요하며, "어린 양의 혼인 만찬"을 위해 "신부를 봉인"하는 것이라고 가르쳤다.[39] 여기서 신부는 환난을 피할 교회에서 나온 144,000명을 의미했다.
이후 퍼햄은 방언과 전도를 강조하며, 성령 세례의 목적을 "봉사를 위한 능력 부여"로 정의했다.[40] 그는 세례받은 자들이 하는 방언이 실제 인간의 언어이며, 선교사들이 외국어를 배울 필요 없이 복음 전파를 도울 것이라고 믿었다.[41] 그러나 외국어 구사 시도가 실패하면서 많은 추종자들이 실망하여 운동을 떠났다.[42]
퍼햄은 전멸설을 믿어 악인이 지옥에서 영원히 고통받는 것이 아니라 멸망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1902년에 "정통주의는 이 모든 사람을 영원히 불타는 지옥에 던져 넣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하나님은 사랑과 정의의 하나님이시며, 그 불길은 완전히 타락한 자들에게만 미칠 것이다"라고 말했다.[43] 또한 그는 앵글로색슨족이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라는 영국 이스라엘주의를 믿었다.[44]
하나님주의 오순절 교인들은 성령 세례를 받은 그리스도인들이 휴거될 것이라는 퍼햄의 믿음에는 동의했지만, 영국 이스라엘주의와 악인의 전멸에 대한 가르침은 강하게 거부했다.[20]
4. 2. 한국 오순절 교회에 미친 영향
퍼햄은 방언을 성령 세례의 '성경적 증거'로 처음 규정했으며, 이는 종말론적 중요성을 가지며 "봉사를 위한 능력 부여"라고 믿었다.[38][39][40] 그는 성령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하는 방언이 실제 인간의 언어이며, 선교사들이 외국어를 배울 필요 없이 복음 전파를 도울 것이라고 생각했다.[41] 그러나 외국어 구사 시도가 실패하면서 많은 이들이 실망하고 운동을 떠났다.[42]퍼햄의 신학은 한국 오순절 교회, 특히 순복음교회와 같은 교단의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성령 세례와 방언에 대한 가르침은 한국 오순절 교회에서 중요하게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퍼햄의 전멸설과 영국 이스라엘주의에 대한 가르침은 한국 교회에서 격렬하게 거부되었다.[20] 그는 앵글로색슨 민족이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라고 믿었으며,[44] 창조 신화에 대해 이단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데,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는 데 이틀이 걸렸고, 여섯째 날에 비백인을, 여덟째 날에 백인을 창조했다는 것이다.[45] 이러한 인종차별적 견해는 한국 교회에서 비판적으로 수용되거나 거부되었다.
5. 유산
퍼햄은 방언을 성령 세례의 증거로 보는 초기 교리를 만들었다.[30] 이는 오순절주의를 다른 성결 기독교 단체들과 구별 짓는 특징이 되었다. 그의 사도 신앙 운동은 미국 하나님의 성회 총회 결성에 기여했으며,[46] 오늘날 전 세계 하나님의 성회는 가장 큰 오순절 교단이다. 1916년 하나님의 성회 총회에서 세례 방식에 대한 결정으로 인해 일부 목사들이 교단을 떠나 세계 오순절 연합 등을 창설했다.[46]
5. 1. 비판적 평가 (한국의 관점)
찰스 퍼햄(Charles Parham)의 인종차별적 언행은 현대 한국 사회, 특히 진보적 기독교계에서 용납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의 성적 비행 혐의 또한 그의 도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그의 가르침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1] 더불어민주당과 관련된 교단들을 포함한 한국의 진보적 오순절 교회들은 퍼햄의 신학적 공헌을 인정하면서도, 그의 과오를 명확히 인식하고 비판하는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고자 노력한다.[1]참조
[1]
문서
Blumhofer 1993
[2]
서적
Fields White Unto Harvest: Charles F. Parham and the Missionary Origins of Pentecostalism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3]
서적
The Life of Charles F. Parham
Apostolic Faith Bible College
[4]
문서
Blumhofer 1993
[5]
문서
Blumhofer 1993
[6]
문서
Blumhofer 1993
[7]
문서
Blumhofer 1993
[8]
문서
Sarah Parham
[9]
서적
The Topeka Outpouring of 1901
Christian Life Books
[10]
문서
Blumhofer 1993
[11]
문서
Espinosa 2014
[12]
문서
Blumhofer 1993
[13]
문서
Blumhofer 1993
[14]
문서
Blumhofer 1993
[15]
간행물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Baylor University Press
[16]
논문
'The Devil Who Heals': Fraud and Falsification in the Evangelical Career of John G Lake, Missionary to South Africa 1908–1913
African Historical Review
[17]
문서
The Winds of God
Word Aflame Press
[18]
문서
Azusa Street and Beyond
Bridge Publishing Inc.
[19]
문서
Blumhofer 1993
[20]
웹사이트
Tongues, The Bible Evidence: The Revival Legacy of Charles F. Parham
http://enrichmentjou[...]
2017-09-19
[21]
문서
The Winds of God
Word Aflame Press
[22]
웹사이트
Across the Lines: Charles Parham's Contribution to the Inter-Racial Character of Early Pentecostalism
http://www.pneumafou[...]
2011-07-27
[23]
서적
The Black Roots and White Racism of Early Pentecostalism in the USA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8-10-10
[24]
웹사이트
Pentecostals Renounce Racism
https://www.christia[...]
2022-10-27
[25]
서적
The Holiness–Pentecostal Tradition: Charismatic Movements in the Twentieth Century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6]
웹사이트
Charles Fox Parham
http://www.revival-l[...]
2015-12-13
[27]
서적
Christianity Without the Cross: A History of Salvation in Oneness Pentecostalism
[28]
서적
English spirituality: from 1700 to the present day
John Know Press
[2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30]
서적
Restoring the Faith: The Assemblies of God, Pentecostalism, and American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1]
문서
Morton, "Devil Who Heals"
[32]
문서
Sarah Parham
[33]
웹사이트
Healing and Pentecost
http://www.healingan[...]
Healing and Revival Press
2016-01-03
[34]
문서
Blumhofer 1993
[35]
서적
A Cry from the Desert
[36]
서적
The charismatic movement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37]
간행물
Epistle to the Reader
[38]
서적
Spirit and Power: Foundations of Pentecostal Experience
Zondervan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서적
GLOSSOLALIA : the gift of tongues.
LULU COM
2016
[43]
문서
[44]
문서
[45]
서적
William J. Seymour and the Origins of Global Pentecostalism
Duke University Press
2014
[46]
논문
Visions of Glory: The Place of the Azusa Street Revival in Pentecostal History
1996
[47]
문서
ペンテコステ神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