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차적 축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차적 축복은 기독교 신학에서 죄로부터의 자유와 성화를 강조하는 개념을 포괄하며, 감리교, 퀘이커교, 케직 신학, 오순절주의 등 다양한 교파에서 다르게 이해되고 있다. 감리교는 존 웨슬리의 가르침에 따라 거듭남 이후 전적 성화를 두 번째 은혜의 역사로 보며, 퀘이커교는 내면의 빛에 의존하여 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강조한다. 케직 신학은 헌신과 믿음을 통해 죄로부터의 보호를 강조하며, 오순절주의는 세 가지 은혜의 역사(거듭남, 전적 성화, 방언)를 제시하는 성결 오순절주의와 전적 성화를 거부하는 완성된 사역 오순절주의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순절운동 - 순복음
    순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구원자, 성화자, 치유자, 곧 돌아올 왕의 네 가지 측면으로 강조하는 기독교 신학 용어에서 비롯되어 완전 복음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오순절운동 - 오순절주의
    오순절주의는 1906년 아주사 거리 부흥에서 시작된 기독교 운동으로, 성령세례와 방언을 강조하며 사중복음을 계승하고 영적 은사의 발현을 믿지만, 간증 과장, 기복신앙, 번영신학 논란 등의 비판도 받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기독교 계열이다.
  • 감리교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감리교 - 구세군
    구세군은 윌리엄 부스와 캐서린 부부가 1865년 런던에서 설립한 기독교 운동이자 사회복지 단체로, 빈곤층 지원과 복음 전파를 목표로 군대식 조직과 제복을 사용하며, 다양한 사회복지 사업을 펼치지만 LGBT 권리 및 아동 성학대 관련 논란도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이차적 축복
개요
이름이차적 축복
다른 이름완전 성화
성령 세례
사랑 안에서의 완전
기독교 교파감리교
오순절교회
성결교회
신학적 관점
주요 내용그리스도인의 삶에서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사건 또는 단계로, 죄로부터 완전히 정결하게 되고 하느님을 향한 사랑으로 채워지는 경험
강조점죄를 이기는 능력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 섬길 수 있는 능력을 얻는 것
필요 조건회개
믿음
헌신
성경적 근거신약성경의 여러 구절, 특히 사도행전, 바울 서신, 요한 서신 등
교파별 관점
감리교존 웨슬리는 이차적 축복을 "기독교 완전"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점진적인 과정이 아닌 즉각적인 경험이라고 가르쳤다.
오순절교회성령 세례를 이차적 축복으로 간주하며, 방언, 예언, 치유 등의 은사가 나타난다고 믿는다.
성결교회완전 성화를 강조하며, 이는 죄의 권세로부터 완전히 해방되는 경험이라고 가르친다.
논쟁 및 비판
주요 논쟁이차적 축복이 성경적인 근거가 있는지 여부
이차적 축복이 점진적인 과정인지 즉각적인 경험인지 여부
이차적 축복의 증거로 어떤 은사가 나타나는지 여부
비판교만이나 자기 의로움을 조장할 수 있다는 비판
특정한 경험을 강조하여 다른 신앙적인 측면을 간과할 수 있다는 비판
이차적 축복을 받지 못한 사람들을 차별할 수 있다는 비판
같이 보기
관련 주제성화
성령 세례
기독교 완전
존 웨슬리
오순절주의
성결운동

2. 감리교 (성결 운동 포함)

존 웨슬리는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기독교적 경험에는 새로운 탄생과 전적 성화의 두 가지 단계가 있다고 가르쳤다.[2][3] 웨슬리는 전적 성화가 "비록 느리고 점진적인 단계를 거쳐 접근할 수 있지만, 즉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4][5][6][7]

웨슬리 사후, 주류 감리교는 "성화 또는 거룩함을 기독교적 삶의 목표"로 강조하며, "이 생에서 점진적으로 그리고 즉시 받을 수 있으며,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이 열심히 구해야 한다"고 했다.[14][15]

홀리네스 운동은 1860년대 웨슬리의 전적 성화 교리를 재강조하며 등장했다.[18]

2. 1. 거듭남

존 웨슬리는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기독교적 경험에는 두 가지 뚜렷한 단계가 있다고 가르쳤다.[2] 첫 번째 은혜의 역사인 새로운 탄생에서 신자는 용서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었다.[3]

2. 2. 전적 성화

오순절주의윌리엄 J. 시모어 등이 참가한 거룩 운동으로부터 파생되었다. 이들은 오순절을 교회에 회복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존 웨슬리는 전적 성화가 원죄 (인간의 육적인 본성)를 근절한다고 보았다.[8] 그러나 죄로 타락하고 배교할 자유 의지는 존재하며,[9] 감리교 신학에서는 전적 성화 이후의 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가르친다.[10]

기독교적 완전을 갖는 것은 하나님만이 소유하신 절대적 완전과는 구별된다. 또한, 미성숙, 무지, 신체적 장애, 잊어버림, 분별력 부족, 빈약한 의사 소통 기술과 같은 무능함은 전적으로 성화된 사람과 모순되지 않는다.[25]

2. 2. 1. 성령 세례

존 윌리엄 플레처는 전적 성화를 받는 것을 성령 세례라고 칭했다.[11] 플레처는 또한 성령의 내주를 통한 전적 성화의 경험이 신자가 하나님을 섬길 수 있는 힘을 준다고 강조했다.[13]

2. 2. 2. 헌신과 성장

존 웨슬리는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기독교적 경험에 두 가지 뚜렷한 단계가 있다고 가르쳤다.[2] 첫째는 새로운 탄생으로, 신자는 용서를 받고 기독교인이 된다.[3] 둘째는 전적 성화로, 신자는 정결하게 되어 거룩하게 된다.[3] 웨슬리는 전적 성화가 "비록 느리고 점진적인 단계를 거쳐 접근할 수 있지만, 즉시 이루어진다"고 가르쳤다.[4][5][6][7]

존 윌리엄 플레처는 전적 성화를 받는 것을 성령 세례라고 칭했다.[11] 1897년 홀리네스 텍스트에 따르면, 의롭다 함을 받고 중생한 사람들의 마음에도 "하나님의 법에 복종하지 않고, 실로 복종할 수 없는" "육신의 생각", "우리 옛 사람" 등이 남아있다. 그리스도인은 "옛 사람"의 부패로부터 벗어나길 원하며,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한다. 이후 예수님께 성화시키는 믿음을 행사하여 성령과 불로 세례를 받으면, 내재된 죄가 파괴되고 순결, 즉 완전한 거룩의 상태가 된다.[12]

웨슬리 사후, 주류 감리교는 "성화 또는 거룩함을 기독교적 삶의 목표로 강조했다".[14] 이는 "이 생에서 점진적으로 그리고 즉시 받을 수 있으며, 하나님의 모든 자녀들이 열심히 구해야 한다."[15] 신자는 완전히 성화되기 전, 하나님께 자신을 헌신하며,[16] 이는 "하나님이 당신에게 주시기를 원한다면 모든 일에 당신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라"는 격언으로 요약된다.[17]

홀리네스 운동은 1860년대 웨슬리의 전적 성화 교리를 재강조하며 등장했다.[18] 많은 홀리네스 설교자들은 전적 성화를 즉각적인 경험으로 강조했다. 웨슬리-아르미니우스 신학에서 두 번째 은혜의 역사는 죄를 범하려는 경향으로부터의 정결이며, 이는 전적 성화를 통해 기독교적 완전으로 이어진다.[19]

자유 감리교회 등 홀리네스 운동 내 많은 사람들은 완전히 성화되기 전, 포기를 통해 육적 본성을 죽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적 성화로 가는 죽음의 길'로 알려졌다.[20][21]

존 웨슬리는 전적으로 성화된 사람들은 사랑 안에서 완전해져 경건의 행위와 자비의 행위에 참여한다고 가르쳤다. 이는 신자의 은혜 안에서 성장의 특징이다.[23][24] 은혜 안에서의 성장은 새로운 탄생(첫 번째 은혜의 역사)과 전적 성화(두 번째 은혜의 역사) 이후 모두 발생한다.[12]

3. 퀘이커교 (성결 운동 포함)

조지 폭스는 퀘이커교(친우회)의 창시자로, 기독교 신자가 죄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는 기독교 완전을 가르쳤다.[26][28] 초기 퀘이커들은 거듭남 이후, 성령의 능력으로 내면의 빛에 계속 의존하고 "믿음의 중심으로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집중"하면 실제적인 죄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 가르쳤다.[27] 조지 폭스는 "믿음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과 죄로부터의 해방"을 강조했고, 기독교인에게 "이 세상에서 완전주의와 죄로부터의 자유는 가능했다"라고 보았다.[27][28]

이러한 퀘이커교의 전통적 가르침은 친우회 보수파 (오하이오 친우회 연례 모임, 친우회 중앙 연례 모임 등)와 성결 퀘이커에 의해 계속 강조되고 있다.[29][30]

3. 1. 완전 교리

조지 폭스는 퀘이커교(친우회)의 창시자로, 완전을 가르쳤다. 이는 기독교 신자가 죄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26][28] 그는 "경멸받아 퀘이커라고 불리는 하나님의 택함받은 백성의 몇 가지 원칙, 모든 기독교인들이 읽고 스스로의 상태를 고려하도록"이라는 저술에서 "XVI. 완전에 관하여" 절에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26]

그는 불완전은 악마가 인간에게 가져온 것이며,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한 그의 작품이라고 했다. 왜냐하면 인간은 타락하기 전에는 완전했기 때문이며, 하나님의 모든 작품은 완전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악마와 그의 작품을 파괴하는 그리스도는 인간을 다시 완전하게 만들고, 그를 불완전하게 만든 자를 파괴하는데, 이것은 율법이 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했다. 그의 피로 그는 모든 죄로부터 깨끗하게 하며, 한 번의 제사로 그는 거룩하게 된 자들을 영원히 완전하게 하셨다고 했다. 그리고 그리스도에게서 오는 빛, 즉 그 제물을 보고 그 피를 받을 수 있는 빛을 믿지 않는 자들은 이것에 관해 불신앙에 빠져 있다고 했다.

빛 안에 있던 사도들, 즉 그리스도 예수는 악마와 그의 작품을 파괴하는 자인데, 육적인 자들 사이에서는 할 수 없었지만 완전한 자들 사이에서 지혜를 말했고, 그들의 일은 성도들을 온전하게 하는 것이었고, 그 목적을 위해 그들은 그들의 사역을 받았는데, 이는 그들이 모두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지식에 이르기까지, 즉 악마와 그의 작품을 파괴하는 자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선지자들, 첫 언약, 유형, 형상, 그림자를 끝내는 자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들이 모두 그들의 마음을 정결하게 하고,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이기게 하는 믿음의 연합에 이르기까지, 그 안에서 그들은 하나님께 접근했고, 그 믿음으로 그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했으며, 그로 인해 그들은 의롭게 되었고, 그래서 그들은 완전한 사람, 그리스도의 충만함의 분량에 이르렀다고 했다. 그리하여 사도는,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계시니, 우리가 모든 사람을 권면하며, 우리가 각 사람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 함이라고 했다고 한다.

폭스를 따르는 초기 퀘이커들은 거듭남 이후, 성령의 능력으로, 사람이 내면의 빛에 계속 의존하고 "믿음의 중심으로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집중"하면 실제적인 죄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 가르쳤다.[27] 조지 폭스는 기독교 완전에 대한 그의 가르침에서 "믿음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과 죄로부터의 해방"을 강조했다.[27] 그는 기독교인에게 "이 세상에서 완전주의와 죄로부터의 자유는 가능했다"라고 하였다.[28]

이러한 전통적인 퀘이커교의 가르침은 친우회 보수파에 의해 계속 강조되고 있다.[29][30]

3. 2. 죄로부터의 자유

조지 폭스는 퀘이커교(친우회)의 창시자로, 완전을 가르쳤다. 이는 기독교 신자가 죄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26][28] 그는 "경멸받아 퀘이커라고 불리는 하나님의 택함받은 백성의 몇 가지 원칙, 모든 기독교인들이 읽고 스스로의 상태를 고려하도록"이라는 저술의 "XVI. 완전에 관하여" 절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26]

:불완전을 인간에게 가져온 자는 악마이며,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한 그의 작품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타락하기 전에는 완전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모든 작품은 완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악마와 그의 작품을 파괴하는 그리스도는 인간을 다시 완전하게 만들고, 그를 불완전하게 만든 자를 파괴하는데, 이것은 율법이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피로 그는 모든 죄로부터 깨끗하게 하며, 한 번의 제사로 그는 거룩하게 된 자들을 영원히 완전하게 하셨다. 그리고 그리스도에게서 오는 빛, 즉 그 제물을 보고 그 피를 받을 수 있는 빛을 믿지 않는 자들은 이것에 관해 불신앙에 빠져 있다.영어

:그리고 빛 안에 있던 사도들, 즉 그리스도 예수(악마와 그의 작품을 파괴하는 자)는 육적인 자들 사이에서는 할 수 없었지만 완전한 자들 사이에서 지혜를 말했는데, 그들의 일은 성도들을 온전하게 하는 것이었고, 그 목적을 위해 그들은 그들의 사역을 받았는데, 이는 그들이 모두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지식에 이르기까지, 즉 악마와 그의 작품을 파괴하는 자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선지자들, 첫 언약, 유형, 형상, 그림자를 끝내는 자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들이 모두 그들의 마음을 정결하게 하고,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이기게 하는 믿음의 연합에 이르기까지, 그 안에서 그들은 하나님께 접근했고, 그 믿음으로 그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했으며, 그로 인해 그들은 의롭게 되었고, 그래서 그들은 완전한 사람, 그리스도의 충만함의 분량에 이르기까지 이르렀고, 그리하여 사도는 말하기를,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계시니, 우리가 모든 사람을 권면하며, 우리가 각 사람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 함이라.영어

조지 폭스를 따르는 초기 퀘이커들은 거듭남 이후, 성령의 능력으로, 사람이 내면의 빛에 계속 의존하고 "믿음의 중심으로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집중"하면 실제적인 죄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 가르쳤다.[27] 조지 폭스는 기독교 완전에 대한 그의 가르침에서 "믿음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과 죄로부터의 해방"을 강조했다.[27] 그는 기독교인에게 "이 세상에서 완전주의와 죄로부터의 자유는 가능했다"고 보았다.[28]

이러한 전통적인 퀘이커교의 가르침은 친우회 보수파, 예를 들어 오하이오 친우회 연례 모임과 친우회 중앙 연례 모임과 같은 성결 퀘이커에 의해 계속 강조되고 있다.[29][30]

4. 케직 신학

케직 신학은 "헌신과 믿음"을 통해 두 번째 은혜의 역사가 일어난다고 가르친다. 이를 통해 하나님은 개인을 죄로부터 지키신다.[31] 기독교 선교 연맹과 같은 케직 교단은 완전한 성화를 원죄로부터 깨끗하게 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웨슬리안-홀리니스 운동과 다르다. 반면 웨슬리-알미니안 신학을 옹호하는 홀리니스 교단은 이러한 믿음을 확증한다.[32][33]

4. 1. 성화의 이해

케직 신학은 "헌신과 믿음"을 통해 두 번째 은혜의 역사가 일어난다고 가르친다. 이를 통해 하나님은 개인을 죄로부터 지키신다.[31] 기독교 선교 연맹과 같은 케직 교단은 완전한 성화를 원죄로부터 깨끗하게 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웨슬리안-홀리니스 운동과 다르다. 반면 웨슬리-알미니안 신학을 옹호하는 홀리니스 교단은 이러한 믿음을 확증한다.[32][33]

5. 오순절주의

오순절주의는 거룩 운동에서 파생되었다. 1910년에 등장한 오순절주의의 한 분파인 완성된 사역 오순절주의자들은 두 번째 은혜의 역사가 전적인 성화를 의미하는 것을 거부한다.[38]

5. 1. 세 가지 은혜의 역사

윌리엄 J. 시모어 등은 거룩 운동에 참가한 사역자로 오순절을 교회에 회복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성결 오순절주의(오순절주의의 원래 분파)는 웨슬리-알미니안 신학적 배경에서 탄생했다.[18] 윌리엄 J. 시모어와 찰스 폭스 파함은 즉각적으로 성취되는 세 가지 명확한 은혜의 역사를 가르쳤는데, (1) 거듭남, (2) 전적인 성화, (3) 방언이다.[34] 초기 오순절주의 사상(성결 오순절주의로 알려짐)에서, 방언은 거듭남(첫 번째 은혜의 역사)과 전적인 성화(두 번째 은혜의 역사)에 이은 세 번째 은혜의 역사로 여겨졌다.[35][36] 사도 신앙 교회와 같은 성결 오순절 교단들은 이를 계속 가르치고 있다.[37]

5. 2. 완성된 사역 오순절주의

성결 오순절주의(오순절주의의 원래 분파)는 웨슬리-알미니안 신학적 배경에서 탄생했다.[18] 성결 오순절주의의 설계자인 윌리엄 J. 시모어와 찰스 폭스 파함은 즉각적으로 성취되는 세 가지 명확한 은혜의 역사를 가르쳤다. (1) 거듭남, (2) 전적인 성화, (3) 방언.[34] 초기 오순절주의 사상(성결 오순절주의로 알려짐)에서, 방언은 거듭남(첫 번째 은혜의 역사)과 전적인 성화(두 번째 은혜의 역사)에 이은 세 번째 은혜의 역사로 여겨졌다.[35][36] 사도 신앙 교회와 같은 성결 오순절 교단들은 이를 계속 가르치고 있다.[37]

1910년에 등장한 오순절주의의 한 분파인 완성된 사역 오순절주의자들은 두 번째 은혜의 역사가 전적인 성화를 의미하는 것을 거부한다.[38]

참조

[1] 서적 Wesley on the Christian Life: The Heart Renewed in Love Crossway 2013-08-31
[2] 서적 The Holiness-Pentecostal tradition: Charismatic movements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1-03-05
[3] 서적 Major United Methodist Beliefs Abingdon Press
[4] 웹사이트 Christian Perfection https://place.asbury[...] Asbury Theological Seminary 2024-07-02
[5]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five views of sanctification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1-03-05
[6] 서적 Following the Cloud: A Vision of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the Church https://books.google[...] Harold Curtis 2011-03-05
[7] 서적 The life of Wesley: and the rise and progress of Methodism https://books.google[...] Evert Duyckinck and George Long; Clayton & Kingsland, printers 2011-03-05
[8] 서적 God, Adam, and You: How Original Sin, the Flesh, and Holiness Integrate in the Christian Lif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11-17
[9] 웹사이트 Questions About Entire Sanctification https://www.gbs.edu/[...] 2008-06-01
[10] 서적 Guidebook of the Emmanuel Association of Churches Emmanuel Association 2002
[11] 웹사이트 Guidelines: The UMC and the Charismatic Movement http://www.umc.org/w[...]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2
[12] 서적 The Discipline of The Holiness Church Herald Press 1897
[13] 서적 Pentecostal Modernism: Lovecraft, Los Angeles, and World-Systems Culture Bloomsbury Publishing 2017-02-09
[14] 서적 The Futur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Abingdon Press 2010-05-01
[15] 서적 Major United Methodist beliefs https://archive.org/[...] Abingdon Press
[16] 서적 Guidebook of the Emmanuel Association of Churches Emmanuel Association 2002
[17] 웹사이트 Consecration: The Human Side of Sanctification https://www.gbs.edu/[...] God's Bible School and College 2017-06-29
[18] 서적 A Pentecostal hermeneutic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pirit, scripture and community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6-12-10
[19] 웹사이트 Core Values https://www.biblemet[...] Bible Methodist Connection of Churches 2018-05-29
[20] 웹사이트 E. Shelhamer (Free Methodist) https://ihconvention[...] Interchurch Holiness Convention 2021-05-24
[21] 서적 Concern for Holiness in the Mennonite Tradition The Asbury Seminarian
[2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oliness Movement Scarecrow Press 2009-08-03
[23] 서적 Orthodox and Wesleyan ecclesiolog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4] 웹사이트 Christian Perfection: Works of Piety and Mercy http://gbgm-umc.org/[...]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1-07-05
[25] 간행물 What Holiness is Not 2024
[26] 웹사이트 Some Principles of the Quakers http://www.qhpress.o[...] Robert Wilson 1661
[27]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2001
[28] 서적 The York Retreat in the Light of the Quaker Way: Moral Treatment Theory: Humane Therapy Or Mind Control? William Sessions 1992
[29] 웹사이트 An Evangelical Christian asks questions about sinlessness and perfection https://www.conserva[...] Stillwater Monthly Meeting of Ohio Yearly Meeting of Friends 2022-05-10
[30]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centralye[...] Central Yearly Meeting of Friends 2013
[31] 웹사이트 Models of Sanctification https://www.thegospe[...] The Gospel Coalition 2020-09-30
[32] 웹사이트 The Radical Holiness Movement and The Christian and Missionary Alliance: Twins, perhaps, but not Identical https://www.bavdw.co[...] Bernie A. Van De Walle 2020-09-30
[33] 서적 Understanding Watchman Nee: Spirituality, Knowledge, and Format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2-04-01
[34] 서적 The Century of the Holy Spirit: 100 Years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Renewal, 1901–2001 Thomas Nelson 2012-01-30
[35] 서적 The West Tennessee Historical Society Papers - Issue 56 West Tennessee Historical Society.
[3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Publishing
[37] 웹사이트 Sanctification (In Depth) https://www.apostoli[...] Apostolic Faith Church 2024-06-12
[38] 서적 An Introduction to Pentecostalism: Global Charismatic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