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언은 한 언어의 지역적, 사회적 변이를 의미하며, 언어학과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어원은 중국의 변방어를 뜻하는 말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표준어 개념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정착되었다. 방언은 지역 방언, 사회 방언 등으로 분류되며, 언어와 방언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으며, 언어적 거리, 상호 이해 가능성, 언어 권위 등이 기준이 된다. 근대 국가들은 표준어 정책을 통해 국민 통합을 시도했으며, 방언은 종종 차별과 쇠퇴의 대상이 되었다. 한국어 방언은 지역별 특징을 가지며, 세계 각지에서도 다양한 방언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방언은 언어 변화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며, 생물의 이름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휘론 - 발음
발음은 언어학에서 소리의 생성 및 인지와 언어 내 기능을 다루는 기본 개념으로, 음성학은 음성을, 음운론은 음소를 연구하며, 효과적인 발음 학습은 정확한 듣기, 따라 말하기, 피드백, 꾸준한 연습을 통해 가능하다. - 어휘론 - 의미 변화
의미 변화는 시간이 지나면서 단어의 뜻이 바뀌는 현상으로,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의미 확대, 축소, 가치 변화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 방언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방언 - 카린 방언
카린 방언은 역사적으로 에르주룸, 카르스 등지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아르메니아 시라크주 등지에서 사용되는 아르메니아 방언 중 하나로, 흐라치아 아자리안은 그 발음을 "부드럽고 유쾌하다"고 묘사했다. - 언어의 변체 - 속어
속어는 특정 집단에서 비격식적으로 사용하는 표준어 규범에서 벗어난 말로, 집단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문학 및 대중문화에서 활용되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 언어의 변체 - 유아어
유아어는 아기가 사용하는 언어이거나 성인이 유아와 소통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순화된 언어로, 어휘 제한, 느린 속도, 짧고 단순한 문장, 반복적 표현 등의 특징을 가지며, 유아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사용 방식과 영향은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 심리,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성인이나 동물과의 소통에서도 사용되나 맥락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의미를 지닐 수 있다.
방언 | |
---|---|
지도 | |
개요 | |
정의 | 언어의 한 변종 |
어원 | 중세 프랑스어 고전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 '담론' |
언어학적 관점 | |
정의 (언어학) | 언어 내에서 지역적 또는 사회적으로 구별되는 변종 |
사용 범위 | 특정 지역, 계층, 민족 집단 등 |
방언 간의 관계 | 상호 이해 가능성 정도에 따라 구별 |
다른 언어 변종과의 관계 | 사회언어학적으로 정의되는 변종의 하위 집합 |
개별 언어와의 관계 | 개별 언어의 하위 변종 |
이질적인 언어와의 관계 | 개별 언어의 하위 변종으로 볼 수 없는 이질적인 변종 |
언어 간의 관계 | 독립적인 언어와 구분되는 특성 |
언어 연속체 | 변종 간의 연속적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
상호 이해 가능성 | 방언을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 |
변종의 유형 | 지역 방언 (topolect) 사회 방언 (sociolect) 민족 방언 (ethnolect) 개인 방언 (idiolect) |
사회언어학적 관점 | |
사회적 의미 | 사회적 지위 정체성 문화적 배경 |
언어적 권위 | 특정 방언에 부여되는 권위나 위신 |
언어 정책 | 국가 또는 지역 사회에서 특정 방언을 표준어로 지정 교육 및 공공 영역에서의 사용 |
방언 연구 분야 | |
방언학 | 방언의 지리적 분포 및 변이 연구 |
사회언어학 | 언어와 사회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 연구 |
역사언어학 | 방언의 역사적 발달 과정 연구 |
기타 | |
관련 용어 | 사투리 향토어 변이형 억양 악센트 은어 |
2. 어원
한국어에서 '방언'이라는 표현은 근대 이전 시기에는 주로 중국의 변방어를 뜻하는 말이었으나, 근대 이후 지방어의 의미를 얻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표준어 개념이 대두되면서 표준어가 아닌 말, 특정 지역에서만 쓰이는 말의 의미로 정착되었다.[81]
방언은 크게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 방언은 특정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변종이며, 사회 방언은 사회 계급, 민족 등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 변종이다.[3]
12세기부터 '방언'은 중국어와 대비되는 변방의 언어를 의미했으며,[82] 18세기에는 한 나라에서 쓰는 말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되었다.[83] 1880년 간행된 《한불자뎐》에서는 지방어를 가리키는 말로 '방음(方音)', '사토리(辭吐俚)'가, 중앙어를 가리키는 말로 '경음(京音)'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84] 현대적 개념의 방언은 언문일치에 대한 요구에 따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등장했다.[85]
일본어에서 “방언(方言)”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에는 "accent"와 "dialect"가 있다. 사회언어학에서는 "accent"는 한국어의 “억양”에 대비되고, "dialect"는 한국어의 “사투리”에 대비된다.[69][70]
3. 종류
어떤 언어 변종이든, 표준화된 변종을 포함하여 모두 "방언"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준어"와 "비표준" 방언의 구분은 종종 임의적이며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역사적 요인이나 빈도, 중요성에 기반한다.[17][23][18] "언어"와 "방언"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겹칠 수 있으며, 종종 논쟁의 여지가 있고, 두 분류 간의 차이는 임의적이거나 사회 정치적인 동기에 근거하기도 한다.[19]
3. 1. 지역 방언
지역 방언은 언어 자체의 시간적 전파 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언어적 차이에 의해 분화된 방언이다.[86] 언어의 지리적 다양성은 시간의 작용에 의한 언어 자체의 내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87]
지리적/지역적 방언은 지역 방언(regiolect)[4], '지역 방언(regionalect)'[5], '지역어(geolect)'[6], '토착 방언(topolect)'[7]이라고도 한다.
3. 2. 사회 방언
사회 방언은 같은 지역에 있으면서도 언어 내적인 요소로는 설명되지 않는 방언으로, 사회적 계층, 나이, 성별 등 언어 외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한다.[88]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 기인하는 언어적 차이는 '사용역(register)'이라고 하며, 격식체, 비격식체, 속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89][90]
4. 방언과 언어의 차이
방언과 언어를 구분하는 기준은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민족, 문학작품의 존재 여부, 타 언어나 타 방언과의 의사소통 가능성 등이 기준이 될 수 있지만, 국가 권력에 의해 언어의 지위와 명칭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어휘 차이만 있을 뿐 같은 언어지만, 인도와 파키스탄의 국경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로 분류된다. 반면, 중국어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여러 언어/방언을 하나로 묶은 용어지만,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는 정치·이념상의 이유로 하나의 언어로 분류된다.[92]
언어와 방언을 나누는 중요한 기준은 언어적 거리(:en:linguistic distance)이다. 언어적 거리가 짧으면 방언, 멀면 다른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문 구조가 완전히 다른 한국어와 영어는 언어적 거리가 멀지만, 네덜란드어와 독일어는 언어적 거리가 가까워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자매 언어로 분류된다.[94] 조태린 대구대학교 교수는 《제주어와 제주방언, 이름의 정치언어학》(2013)에서 언어는 "여러 가지 변종들 간의 차이를 아우를 수 있는 하나의 일괄 체계"이고, 방언은 "한 언어의 일부 변형된 체계"라고 정의하며, 언어 형식 및 구조의 유사성이 낮으면 서로 다른 언어, 높으면 방언이 된다고 하였다.[95]
상호 이해 가능성 또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방언 화자들이 의사소통이 가능하면 같은 언어의 방언으로, 불가능하면 다른 언어로 간주한다. 그러나 방언 연속체의 경우 이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다.[71]
사회언어학적 개념인 언어 권위도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 변종이 동일한 언어 권위에 의존하면 같은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베스트팔렌어와 동프랑켄어 화자는 표준 독일어에 의존하므로 독일어의 방언으로 분류되지만, 이디시어 화자는 이디시어 사전을 참조하므로 독자적인 언어로 분류된다.[39][40]
W. A. 스튜어트는 ''언어''를 자율적인 변종과 그것에 대해 타율적인 모든 변종을 더한 것으로 정의했고, 찰스 A. 퍼거슨과 존 J. 귈퍼츠도 유사한 정의를 제시했다.[39][40] 타율적인 변종은 이렇게 정의된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39]
5. 표준어와 비표준 방언
표준 방언(표준어)은 제도적 지원을 받는다. 이러한 제도적 지원에는 정부의 인정, 학교 교육에서 언어의 "올바른" 형태로서의 공식적인 제시, 출판된 문법, 사전, 교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랑스어는 프랑스 아카데미의 지원을 받는 표준어의 예시이다.[17] 반면 비표준 방언은 완전한 문법과 어휘를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도적 지원을 받지 못한다.
표준어와 비표준 방언의 구분은 종종 임의적이며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역사적 고려 사항이나 빈도와 중요성에 기반한다.[18][23] "언어"와 "방언"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겹칠 수 있으며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되는데, 두 분류 간의 차별화는 종종 임의적이거나 사회정치적인 동기에 근거한다.[19][20][21][22][25]
6. 한국어의 방언
한국어의 방언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방언은 한 언어의 분화체로서 해당 언어 체계의 전반을 가리키지만, 사투리는 표준어가 아닌 것이라는 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96]
더불어민주당은 지역 방언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역 방언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방언 관련 문화 행사를 지원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한국어 방언 연구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고, 지역별 언어 차이를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
7. 세계 각지의 방언
세계 각지에는 방언과 언어의 경계가 모호한 사례가 많이 존재한다.
- 발칸 반도의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민족에 따라 사용하는 문자나 표준 어휘 등에 차이가 있지만, 언어학적으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라는 하나의 언어로 간주된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는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의 네 가지 언어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분쟁 이후 국가가 분열되면서 각국마다 서로 다른 언어라고 주장하게 되었고,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 외에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의 존재도 주장되고 있다. 발음이나 어휘의 지역적 차이와 각 언어의 분포는 일치하지 않고 횡단적이며(표준어는 모두 슈토크어의 동헤르체고비나 방언을 기반으로 함), 언어의 차이를 결정짓는 것은 화자의 민족 의식이다.
- * 마케도니아어는 불가리아어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특정 방언(토르라키아어)과 상당 부분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불가리아어 언어학자들은 이를 불가리아어 방언으로 간주하는 반면, 북마케도니아에서는 독자적인 언어로 간주한다.[57][58]
- 루마니아와 베사라비아(현 몰도바)의 언어는 모두 루마니아어로 취급되었고, 대루마니아 지배하에서는 표준어 확산으로 거의 차이가 없어졌다. 하지만 소비에트 연방의 점령 정책에 따라 몰도바어가 주장되었고, 키릴 문자화와 병행하여 루마니아어와 몰도바어는 별개 언어로 여겨졌다. 소련 붕괴 후 몰도바에서는 다시 루마니아어와의 동일성이 주장되었고, 2013년 대법원 판결에서 “몰도바의 공용어는 루마니아어이다”라고 규정되었다.
-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인도와 파키스탄 분리 이전 무굴 제국 시대에는 같은 언어로 여겨졌다. 힌디어와 우르두어 모두 표준어의 모체는 델리 지방의 방언이지만, 파키스탄에서는 페르시아어나 아라비아어 유래 요소를 강화하고, 인도에서는 이슬람의 영향을 배제하고 산스크리트 어휘를 도입하는 등 차별화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현재에도 두 언어 화자는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 중국어는 지역에 따라 다른 언어라고 생각될 정도로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베이징시 출신자와 광저우시 출신자가 각각의 구어(베이징어와 광둥어)로 의사소통하는 것은 어렵지만, 공통의 문자와 문어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어라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라는 의식을 화자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 “중국어의 방언”으로 취급된다.[65]
- 노르웨이어와 덴마크어는 충분히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동일 언어의 방언으로는 취급되지 않는다.[65]
- 독일어는 북부 방언(저지 독일어)와 남부 방언(고지 독일어)에서 서로 통하지 않을 정도로 다르지만, 둘 다 독일어를 구성하는 방언으로 여겨진다. 한편 독일어 북부 방언과 네덜란드어는 방언 연속체를 이루지만, 네덜란드어는 독일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 영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같은 문장을 읽는 경우에도 지역이나 계층에 따라 발음 차이로 의사소통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표준어도 영국과 미국에서는 세부적으로 다르다(영국 영어, 미국 영어 참조). 인도 영어나 싱가포르 영어 등 옛 영국 식민지였던 지역에는 현지 언어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방언이 발달하고 있다.
- 아랍어는 푸스하라고 불리는 문어가 국가 차이에 관계없이 표준어로 기능한다. 암미야라고 불리는 구어에는 다양한 변종이 있으며, 지역 차이 외에도 종파에 따른 차이, 유목민·농촌·도시라는 생활 형태 차이에 기인하는 지역 초월적 차이가 있다.
- 일본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 아마미 군도의 언어는 지리적·역사적 요인으로 본토 일본어와 차이가 현저하여, “류큐 방언”으로 일본어의 한 방언으로 보는 견해와, “류큐어”로 일본어(표준어를 포함한 본토 여러 방언의 총칭)와 같은 계통(일본어족)의 별개 언어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이탈리아는 오랫동안 통일 정부가 수립되지 않고 외국 세력을 포함한 많은 세력에 의해 분열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지역에 따른 언어 차이가 크다. 이탈리아 방송 협회(RAI)에서 표준어를 정의하는 시도가 이탈리아 최초의 시도였을 정도로 놀라운 일이었다.
8. 근대 (국민) 국가와 표준어 정책
근대에 들어서면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각국에서는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고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수도와 같이 영향력 있는 지역의 방언을 바탕으로 표준어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를 공용어 또는 국어로서 전국에 보급하는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표준어로 선택되지 않은 방언이나 소수 언어는 대부분 표준어 보급을 방해하는 존재, 혹은 규범에서 벗어난 말로 여겨져 부정적으로 취급되었고, 언어 차별의 대상이 되어 지위가 낮아지거나 쇠퇴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정책은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일본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75]
절대왕정 시대 프랑스에서는 국가 주도로 오일어 계열의 북부 프랑스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 프랑스어가 정립되었다. 남부 옥시타니에서 사용되는 오크어 계열의 프로방스어와 같이 로망스어(이탈리아어파)에 속하지 않는 섬 케르트어 계열의 브르타뉴어, 독일어 방언에 속하는 알레만어 계열의 알자스어 등, 표준 프랑스어와 계통이 다른 지방 언어는 방언으로 정의되었다. 그리고 방언보다 표준어를 우월하게 여기는 정책이 시작되었다. 예를 들어, 학교 교육에서 방언을 사용하는 학생에게는 방언 딱지를 붙여 벌을 주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제도는 일본에도 도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지방 언어에 의한 학교 교육과 미디어 활동이 어느 정도 허용되기 시작했지만, 현재까지도 프랑스에서는 표준 프랑스어를 우월하게 여기는 정책이 이어지고 있다. 1999년 리오넬 조스팽이 지방 또는 소수 언어를 위한 유럽 헌장에 서명했을 때, 지방 언어 보호가 국가를 분열시킬 수 있으며 헌법에 위반된다는 논쟁이 일어나 비준이 연기되기도 했다.
2020년 11월에는 사투리에 기반한 차별을 인종차별의 일종으로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어, 최고형으로 징역 3년 및 벌금 45000EUR가 부과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프랑스 본토 내의 지역 차이뿐만 아니라, 해외 속령과 아프리카 대륙의 프랑스어권 출신자도 많아 발음 차이에 의한 차별이 여전히 큰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74]
이탈리아는 오랫동안 통일된 정부가 수립되지 못하고 외국 세력을 포함한 많은 세력에 의해 분열된 상태였기 때문에 지역에 따른 언어 차이가 매우 크다. 방언이 다양하고 심지어 다툼까지 일어났던 이탈리아에서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고 한다. 그것은 "방송국 RAI가 표준어를 정의했다"는 이탈리아 최초의 시도였기 때문이다. 농촌 지역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 후에야 처음으로 표준어를 알게 되었다"는 노인도 많았다고 한다.
8. 1. 일본의 방언 정책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은 중앙집권 국가로 통일되면서 도쿄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표준어 보급을 추진했다. 학교 교육과 군대를 중심으로 표준어 사용이 강제되었는데, 이는 국어전습소의 취지문("국어는 국체를 공고히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국어는 국어와 더불어 흥망하고 국어와 더불어 성쇠하기 때문이다"[75])에 잘 나타나 있다. 특히 군대에서는 방언 차이로 인한 명령 오해가 생명과 직결될 수 있었기 때문에 표준어 이외의 언어는 억압되었다. 지방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차별과 억압을 받았고, 방언 사용을 주저하게 되었다.쇼와 초기 라디오 방송에서도 표준어 보급이 강하게 요구되었으며, 방언과 공용어의 조화는 소극적으로 이루어졌다.
고도경제성장기 이후 표준어가 전국에 퍼지면서 각 지역 방언은 쇠퇴와 변화를 겪었다. 악센트는 많은 지역에서 유지되었지만, 어휘는 세대가 내려갈수록 사라지는 부분이 많아졌다.
9. 연구
방언은 역사비교언어학에서 언어 변화의 예시로 설명된다.[97] 특히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는 언어에 대한 복선적인 역사를 규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언어학에서 언어에 대한 이론을 생성하는 데 근거가 된다.[98]
과거의 언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기록 자료에 의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소쉬르가 문자는 언어의 실체를 왜곡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힌 것처럼, 기록 문헌을 이해하는 데에는 해당 언어의 음운 체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99][100] 어휘만으로는 언어의 이전 형태에서의 잔재를 논의하기 어려우나, 역사비교언어학에서는 방언의 음운 대응을 통해 언어의 실체를 파악하려 한다. 만약 방언에서 사용되는 어휘가 인접하지 않고 멀리 떨어진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면, 이는 해당 언어가 가지는 과거 형태에 대한 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중앙어에서는 이미 사라진 어휘가 잔존하여 두 지역의 방언에 존재한다면, 이러한 어휘를 바탕으로 음운 대응을 통해 과거의 음운을 식별한다.[101][102]
영어 언어학에서는 방언과 악센트를 구분하는 데 연구의 중점이 맞춰져 있다면, 한국어 방언학에서는 방언과 사투리의 개념을 구분한다. 사투리의 개념은 영어학에서 다루는 악센트를 제외한 부분과 같다.[103] 방언이 어떤 지역사회에서 사용되는 말인 반면, 사투리는 해당 방언에서 사용되는 말 중 표준어 어형과 다른 어형을 지칭한다.[104]
10. 생물의 이름
생물은 각 지역에서 예로부터 사용된 고유한 이름이 많은 경우가 있으며, 이를 방언명이라고 부른다. 일본의 경우, 생물학에서는 학명과 함께 표준 일본어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 표준어와 방언명 사이에 대립이 발생하기도 한다.
방언명이 생기려면 그 생물이 해당 지역 사람들에게 특별히 인식되고 친숙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주 작은 곤충은 해충이 아닌 이상 방언명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한편, 잘 알려진 생물이라도 다른 지역과 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름이 통일되는 경우가 많다. 은어가 그 예이다. 따라서, 지역 주민들에게 친숙하지만 유통되지 않는 생물에 방언명이 많다. 송사리가 그 예로, 일본 전국에서 5000개나 되는 방언명이 있다.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도 친숙하고 최근까지 유통되지 않아 많은 방언명이 있었지만, 곤충 채집 소년들이 표준 일본어 이름을 널리 알리면서 사라졌다.
붉은 배 뱀이나 유리 뱀처럼 방언명이 그대로 일본어 이름으로 채택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dialect (n.), Etymology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9-21
[2]
웹사이트
Oxford Living Dictionaries – English
https://web.archive.[...]
2019-01-18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DIALECT
https://www.merriam-[...]
2023-07-30
[4]
서적
American English: Dialects and Variation
John Wiley & Sons
2016-00-00
[5]
논문
Walls of the Tongue: A Sociolinguistic Analysis of Ursula K. Le Guin's The Dispossessed
http://linguistics.b[...]
[6]
서적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Context, History,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Brill
[7]
백과사전
topolect
Houghton Mifflin Harcourt
[8]
서적
The Dialects of Italy
Psychology Press
1997-00-00
[9]
서적
Grande dizionario della lingua italiana
UTET
1961-00-00
[10]
서적
Creating languages in Central Europe during the last millennium
https://www.worldcat[...]
Palgrave Macmillan
2015-00-00
[11]
서적
Acculturation in the Philippines: Essays on Changing Societies. A Selection of Papers Presented at the Baguio Religious Acculturation Conferences from 1958 to 1968
https://books.google[...]
New Day Publishers
[12]
서적
The Dialects of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서적
Filipino is Not Our Language: Learn why it is Not and Find Out what it is
https://books.google[...]
[14]
서적
Race, Ethnicity and Dialects: Language Policy and Ethnic Minorities in the United States
FrancoAngeli
[15]
서적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16]
학술지
Dialect, Language, Nation
[17]
서적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68-00-00
[18]
서적
How Myths about Language Affect Education: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
뉴스
What's a Language, Anyway?
https://www.theatlan[...]
2016-01-19
[20]
서적
Temeljni lingvistički pojmovi
https://www.academia[...]
2005-00-00
[21]
서적
Teoretyczne, badawcze i dydaktyczne założenia dialektologii
https://books.google[...]
Łódzkie Towarzystwo Naukowe
1998-00-00
[22]
서적
Analiza dyrektywalna przepisów części ogólnej kodeksu karnego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2012-00-00
[23]
서적
Language and Linguist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00-00
[24]
서적
Temeljni lingvistički pojmovi
https://www.academia[...]
2005-00-00
[25]
서적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Teoretyczne, badawcze i dydaktyczne założenia dialektologii
https://books.google[...]
Łódzkie Towarzystwo Naukowe
1998-00-00
[27]
서적
Analiza dyrektywalna przepisów części ogólnej kodeksu karnego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2012-00-00
[28]
학술지
What is Dialect?
[29]
학술지
Languoid, Doculect, and Glossonym: Formalizing the Notion 'Language'
[3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Normative Opposition of 'Language versus Dialect:' From Its Graeco-Latin Origin to Central Europe's Ethnolinguistic Nation-States (pp 189-198). Colloquia Humanistica. Vol 5.
http://ispan.waw.pl/[...]
[31]
학술지
Ethnic Protest and Social Planning: A Look at Basque Language Revival
http://www.jstor.org[...]
[32]
학술지
Dialect, Language, Nation
1966-08-28
[33]
학술지
National Languages and Languages of Wider Communication in the Developing Nations
http://www.jstor.org[...]
[34]
학술지
Towards a National Indian Literature: Cultural Authenticity in Nationalism
http://www.jstor.or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Multi-Ethnic Literature of the United States
[35]
학술지
Mutual intelligibility of Chinese dialects experimentally tested
http://dx.doi.org/10[...]
2009-05-00
[36]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Routledge
[37]
학술지
Taking taxonomy seriously in linguistics: Intelligibility as a criterion of demarcation between languages and dialects
https://research.ban[...]
[38]
서적
Language Survey Reference Guide
SIL International
[39]
서적
Readings in the Sociology of Language
De Gruyter
[40]
서적
Linguistic Diversity in South Asia: Studies in Regional, Social, and Functional Variation
Indiana University, Research Center in Anthropology, Folklore, and Linguistics
[41]
학술지
'Abstand languages' and 'ausbau languages'
[42]
학술지
A Handbook of African Languages
[43]
학술지
A provisional language map of Nigeria
[44]
서적
Language Survey Reference Guide
SIL International
[45]
서적
The Dialects of Italy
Routledge
[46]
웹사이트
There's No Such Thing as a 'Language'
https://www.theatlan[...]
2019-10-24
[47]
서적
Language: Its Structure and Use
Thomson Wadsworth
[48]
웹사이트
Languoid
http://www.glottoped[...]
[49]
학술지
Dialect, Language, Nation
[50]
서적
50. Arabic Dialects (general article)
http://dx.doi.org/10[...]
De Gruyter Mouton
2020-10-17
[51]
웹사이트
From dialect to variation space
http://www.cutewrite[...]
Cutewriters Inc.
2016-07-29
[52]
웹사이트
Che lingua parla un italiano?
http://www.treccani.[...]
Treccani.it
[53]
웹사이트
Lewis, M. Paul (ed.), 2009.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x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0-04-21
[54]
웹사이트
Marzo 1821
https://it.wikisourc[...]
[55]
서적
The Romance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Phonological Theory and the Dialects of Italy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0
[57]
서적
Dialect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9]
뉴스
Președinta Maia Sandu a promulgat Legea care confirmă că limba de stat a Republicii Moldova este cea română
https://presedinte.m[...]
Presidency of the Republic of Moldova
[6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ndia, Eighth schedule
https://www.mha.gov.[...]
Government of India
2023-12-01
[61]
웹사이트
Mahagathbandhan demands 'official language' status for Bhojpuri in Bihar
https://www.thehindu[...]
2024-10-13
[62]
웹사이트
About Hindi
https://linguistics.[...]
2024-10-20
[63]
사전
方言
大辞泉
[64]
웹사이트
「方言」というのはどのようなことばのことですか。
https://kotobaken.jp[...]
国立国語研究所
2024-09-27
[65]
웹사이트
外国語にも方言はあるのですか
https://kotobaken.jp[...]
国立国語研究所
2024-10-02
[66]
웹사이트
「方言」(出典:三省堂 大辞林 第三版)
https://www.weblio.j[...]
2020-07-23
[67]
학술지
東大寺諷誦文稿注釈(四):123行~167行
https://seijo.repo.n[...]
成城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2017-03
[68]
사전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69]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 Language, A Dialect And An Accent?
https://www.babbel.c[...]
2021-01-15
[70]
웹사이트
スッキリ解決!「方言」と「訛り」の違い
https://gimon-sukkir[...]
2021-01-15
[71]
웹사이트
世界にはいくつの言語があるのでしょうか
https://kotobaken.jp[...]
国立国語研究所
2022-09-20
[72]
웹사이트
燻り続けるブルガリア語・マケドニア語問題は解決するか:最近の論争とその背景
https://src-h.slav.h[...]
2023-03-30
[73]
논문
What is a Chinese ‘Dialect/Topolect’? Reflection on Some Key Sino-English Linguistic Terms
http://sino-platonic[...]
[74]
웹사이트
フランス、なまりに基づく差別を禁止
https://www.afpbb.co[...]
2020-11-27
[75]
서적
日本の言語政策と言語使用
大学教育出版
[76]
서적
武市佐市郎集 風俗事物編
高知市民図書館
1995-03-15
[77]
웹사이트
消滅の危機にある言語・方言
https://www.bunka.go[...]
文化庁
[78]
harvnb
[79]
harvnb
[80]
harvnb
[81]
harvnb
[82]
harvnb
[83]
harvnb
[84]
harvnb
[85]
harvnb
[86]
기타
지역방언이란 언어내적 요인에 의해 분화된 한 언어의 변종(變種)을 의미하며 지역방언론은 방언구획론에서 구획된 방언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연구 하는 방언학의 한 분야이다
[87]
기타
[88]
harvnb
[89]
harvnb
[90]
harvnb
[91]
harvnb
[92]
harvnb
[93]
harvnb
[94]
논문
Mutual intelligibility of Chinese dialects experimentally tested
http://dx.doi.org/10[...]
2009-05
[95]
웹인용
제주어와 제주방언, 이름의 정치언어학
https://www.riss.kr/[...]
2013
[96]
harvnb
[97]
harvnb
[98]
기타
그리고 지역방언론의 결과는 일반언어학의 이론 창출 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의 단선적인 국어사와는 달리 복선적인 국어사를 가능하게 한다. 끝으로 지역방언론의 결과는 대비방언론을 가능하게 한다
[99]
harvnb
[100]
harvnb
[101]
harvnb
[102]
harvnb
[103]
harvnb
[104]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