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녕대군은 조선 연산군과 폐비 신씨의 차남이다. 연산군이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자 형 폐세자 황, 이복형 양평군 인, 이복 동생 이돈수와 함께 사사되었다. 그의 가족 관계는 성종의 손자, 연산군의 아들이며, 중종은 숙부가 된다. 외가로는 신승선을 외조부로, 신수근을 외숙으로 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연산군의 자녀 - 이황 (1497년)
이황은 연산군과 폐비 신씨의 장남으로 태어나 세자 시절 총명함을 보였으나 중종반정으로 폐세자가 되어 사사되었다. - 조선 연산군의 자녀 - 휘신공주
휘신공주는 조선 연산군의 장녀로, 폐위된 후 폐서인되었으며 구문경에게 시집갔으나 중종반정 이후 이혼했다가 재결합했고, 영응대군과 임영대군의 후손이며 아들을 두었으나 후손이 단절되어 이안눌이 제사를 받들었다. - 1500년 출생 - 벤베누토 첼리니
벤베누토 첼리니는 16세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금세공사이자 조각가로,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아 로마와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하며 '메두사의 머리를 든 페르세우스'와 '소금통' 같은 대표작을 남겼고, 그의 자서전은 후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1500년 출생 - 테쿤 우만
테쿤 우만은 16세기 스페인 군에 맞서 싸운 키체족 전사이자 과테말라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과테말라 독립의 상징으로 기려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 1506년 사망 - 안드레아 만테냐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 안드레아 만테냐는 프란체스코 스콰르치오네에게 사사하여 고대 로마 미술에 대한 관심과 원근법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만토바 궁정 화가로서 곤차가 가문 묘사, 〈카이사르의 개선〉, 〈죽은 그리스도를 애도함〉 등의 작품을 남겨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1506년 사망 - 연산군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은 초기 국방 강화와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폭정을 자행하여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폭정, 한글 탄압, 사찰 훼손, 방탕한 사생활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창녕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성(誠) |
원래 이름 | 창녕대군 |
작위 | 대군(大君) |
가족 관계 | |
부친 | 연산군 |
모친 | 폐비 신씨 |
생애 | |
출생일 | 1500년 음력 5월 22일 |
사망일 | 1506년 음력 9월 24일 |
2. 생애
연산군과 폐비 신씨의 차남으로, 중종반정으로 아버지 연산군이 폐위되자 형 폐세자 황과 이복형 양평군 인, 이복동생 이돈수와 함께 사사되었다.[5][6]
2. 1. 초기 생애
연산군과 폐비 신씨의 차남이다.[5] 연산군이 중종반정으로 폐출되자, 형 폐세자 황과 이복형 양평군 인, 이복 동생 이돈수와 함께 사사되었다.[6]2. 2. 중종반정과 죽음
연산군과 폐비 신씨의 차남이다.[5] 중종반정으로 아버지 연산군이 폐출되자, 형 폐세자 황과 이복형 양평군 인, 이복 동생 이돈수와 함께 사사되었다.[6]3. 가족 관계
창녕대군은 연산군과 폐비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왕가 전주 이씨로, 조부는 조선 제9대 왕 성종이며, 조모는 폐비 윤씨이다.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면서 왕족의 지위를 잃었다.
외가는 신승선을 외조부로, 신수근을 외숙으로 둔 명문가였다. 외사촌 단경왕후는 중종의 첫 번째 왕비가 되면서, 창녕대군은 중종의 조카이자 처남이라는 복잡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형제자매로는 원자, 휘신공주, 폐세자 황, 공주 복억, 대군 인수, 대군 총수, 대군 영수가 있었으나, 이들 중 상당수가 요절하였다.
3. 1. 왕가 전주 이씨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조부 | 성종 | 1457년 ~ 1494년 | 조선 제9대 왕 |
조모 | 폐비 윤씨 | 1455년 ~ 1482년 | |
아버지 | 연산군 | 1476년 ~ 1506년 | 조선 제10대 왕 |
숙부 | 중종 | 1488년 ~ 1544년 | 조선 제11대 왕 |
외조부 | 신승선 | 1436년 ~ 1502년 | 의정부 영의정, 거창부원군 |
외조모 | 전주 이씨 | ? ~ ? | 정경부인 중모현주, 증 흥안부부인 |
외숙 | 신수근 | 1450년 ~ 1506년 | 영의정, 익창부원군 |
외숙모 | 청주 한씨 | ? ~ ? | 정경부인, 증 청원부부인 |
외사촌이자 숙모 | 단경왕후 | 1487년 ~ 1557년 | |
어머니 | 폐비 신씨 | 1476년 ~ 1537년 | |
형 | 원자 | 1494년 ~ 1494년 | |
누이 | 휘신공주 | 1495년 ~ ? | |
형 | 폐세자 황 | 1497년 ~ 1506년 | |
동생 | 공주 복억 | 1499년 ~ ? | |
동생 | 대군 인수 | 1501년 ~ 1503년 | 조졸 |
동생 | 대군 총수 | 1502년 ~ 1503년 | 조졸 |
동생 | 대군 영수 | 1503년 ~ 1503년 | 조졸 |
3. 2. 외가
- 외조부: 의정부 영의정 거창부원군 장성공 신승선(1436~1502)
- 외조모: 정경부인 중모현주 증 흥안부부인 전주 이씨
- 외숙: 영의정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1450~1506)
- 외숙모: 정경부인 증 청원부부인 청주 한씨
- 외사촌이자 숙모: 단경왕후(1487~1557)
- '''어머니''': 폐비 신씨(1476~1537)
3. 3. 본가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성종 | 1457년 - 1494년 | 조선 제9대 왕 |
조모 | 폐비 윤씨 | 1455년 - 1482년 | |
아버지 | 연산군 | 1476년 - 1506년 | 조선 제10대 왕 |
숙부 | 중종 | 1488년 - 1544년 | 조선 제11대 왕 |
외조부 | 신승선 | 1436년 - 1502년 | 의정부 영의정 |
외조모 | 전주 이씨 | ? - ? | 정경부인 중모현주 증 흥안부부인 |
외숙 | 신수근 | 1450년 - 1506년 | 영의정 익창부원군 |
외숙모 | 청주 한씨 | ? - ? | 정경부인 증 청원부부인 |
외사촌이자 숙모 | 단경왕후 | 1487년 - 1557년 | |
어머니 | 폐비 신씨 | 1476년 - 1537년 | |
형 | 원자 | 1494년 - 1494년 | |
누이 | 휘신공주 | 1495년 - ? | |
형 | 폐세자 황 | 1497년 - 1506년 | |
동생 | 공주 복억 | 1499년 - ? | |
동생 | 대군 인수 | 1501년 - 1503년 | 조졸 |
동생 | 대군 총수 | 1502년 - 1503년 | 조졸 |
동생 | 대군 영수 | 1503년 - 1503년 | 조졸 |
참조
[1]
문서
Korean calendar
[2]
웹사이트
조선 제10대 연산군 가계도
https://m.blog.naver[...]
Naver
2021-06-27
[3]
웹사이트
조선10대 연산군자식 - 창녕대군 이성(昌寧大君 李誠)
https://m.blog.naver[...]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5]
문서
[6]
서적
중종실록
1506-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