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선감의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선감의록은 명나라 가정제 시기를 배경으로, 화씨 가문의 갈등과 주인공 화진의 시련,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그린 고전 소설이다. 화진은 뛰어난 능력을 지녔으나, 이복 형 화춘과 심씨 부인의 모함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윤여옥, 남채봉 등 조력자들의 도움과 엄씨 가문의 음모 속에서 화진은 유배, 백의종군 등의 시련을 겪지만, 결국 서산해를 토벌하고 진국공에 봉해진다. 이후 진나라 왕이 되어 가문을 번성시킨다. 이 작품은 권선징악, 여성 인물의 활약, 역사적 배경과 허구의 조화 등을 통해 주제 의식을 드러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대명 (드라마)
대명은 효종 시대의 조선을 배경으로 민족의 긍지를 되살리고자 기획된 드라마로, 효종의 지도력과 국력 신장 정책, 그리고 조선 왕족, 문무백관, 청나라와 명나라 인물들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 명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백발마녀전
《백발마녀전》은 명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강호의 전설적인 여검객 련예상과 무당파 제자 탁일항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무협 소설이며, 정치적 음모와 오해 속에서 파국을 맞은 후 백발마녀가 된 련예상을 되찾기 위한 탁일항의 노력이 주요 줄거리를 이룬다. - 조선의 소설 - 사씨남정기
사씨남정기는 김만중이 지은 고전 소설로, 사씨가 첩의 모함으로 쫓겨나는 과정을 통해 권선징악을 보여주며, 숙종 시대의 정치 상황을 풍자하고 가부장제를 비판한다. - 조선의 소설 - 홍길동전
《홍길동전》은 조선 시대 사회 문제 속에서 서얼 출신 홍길동이 활빈당을 이끌고 의적 활동을 펼치다 율도국을 건설하는 이야기를 그린 한글 소설로, 사회 비판과 민중 영웅 제시를 통해 문학적,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한국 문화의 주요 상징이 되었다.
| 창선감의록 | |
|---|---|
| 기본 정보 | |
![]() | |
| 유형 | 군사 교서 |
| 분야 | 국방 |
| 언어 | 한문 |
| 상세 정보 | |
| 창작 시기 | 조선 |
| 관련 인물 | 이순신 |
| 소장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
| 내용 | |
| 주요 내용 | 군령 군율 |
2. 줄거리
중국 명나라 가정제 연간, 화욱은 첫째 부인 심씨와의 사이에서 아들 화춘을, 셋째 부인 정씨와의 사이에서 화진을 낳았다. 화진이 총명하고 뛰어난 반면 화춘은 음탕하고 흉악했으므로 화욱은 화진을 총애했다. 이에 화춘과 심씨는 앙심을 품고 화진을 미워했다. 조정이 간신 엄승상에게 장악당하자, 화욱은 고향인 소흥(紹興, 현재의 중국 사오싱시)으로 내려간다. 화춘은 임소저와, 화진은 윤시랑의 딸 윤옥화와 남채봉과 정혼한다. 화욱과 정씨가 병으로 죽자, 화씨 집안은 화부인이 전담하게 되었다.
남어사가 엄승상을 탄핵하다 유배를 가자, 남씨 집안은 풍비박산이 난다. 남어사 부부는 곽공을 만나 목숨을 건지고, 남채봉은 진씨 집안에 의탁했다가 윤시랑의 양녀가 되었다. 진채경은 엄승상의 압박을 피해 남장을 하고 달아나 백경을 만나고, 윤여옥으로 가장한다.
화진은 과거에 합격해 승승장구하나, 심씨와 화춘의 모함으로 서자로 강등되고, 살인 누명을 쓰고 갇히지만 하춘해 등의 도움으로 처형을 면한다. 장평은 엄세번에게 윤옥화를 보내려 하지만, 윤여옥이 대신 변장하여 엄세번을 꼬드겨 화진을 살린다. 윤여옥은 엄월화와 혼인 가약을 맺고 도망친다.
화진은 유배 중 유성희의 도움으로 살아나고, 곽공에게 병법을 배운다. 남어사 부부와 만나 남채봉의 생존을 알리고, 심씨와 화춘은 개과천선한다. 화진은 백의종군하여 서산해를 토벌하고, 남방을 평정하여 진국공(晋國公)에 봉해진다. 남채봉이 돌아오고 윤여옥도 진채경, 백경의 누이, 엄월화와 혼인한다. 이후 화진은 진나라 왕이 되고 자손들이 번창한다.
2. 1. 발단: 화씨 가문의 갈등과 남채봉의 시련
2. 2. 전개: 화진의 시련과 조력자들의 등장
2. 3. 위기: 윤여옥의 활약과 엄씨 가문의 음모
2. 4. 절정: 화진의 귀환과 서산해 토벌
2. 5. 결말: 화진의 영광과 가문의 번영
3. 등장인물
3. 1. 화씨 집안
- '''화진'''(花珍): 자는 형옥. 화욱의 정부인(鄭夫人)의 아들.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정의롭고 총명하며 뛰어난 능력을 지닌 인물이다.
- '''화춘'''(花瑃): 자는 경옥. 화욱과 심부인(沈夫人)의 아들. 어려서부터 아버지 화욱이 자기보다 화진을 더 총애하자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고 어머니 심부인과 함께 화진을 괴롭힌다. 질투심 많고 간악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 '''심부인'''(沈夫人): 화욱의 첫째부인이며, 화춘의 친어머니. 화욱이 화춘보다 화진을 총애하자 화진을 구박하고, 화욱과 정부인이 죽은 후 장평, 범한, 조씨 등의 계교에 혹해 화진을 귀양보내는 데 일조한다.
- '''요부인'''(姚夫人): 화욱의 둘째부인. 딸인 태강소저를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
- '''정부인'''(鄭夫人): 화욱의 셋째부인이며, 화진의 친어머니.
- '''화빙선'''(花聘仙): 태강(太姜)소저로 불린다. 화욱과 요부인의 딸.
- '''화욱'''(花郁): 명나라 초기의 장수 화운(花雲)의 7대 손으로 여양후 벼슬에 있었다. 조정에 간신이 득세하자 화진의 조언을 따라 벼슬을 내려놓고 고향 소흥부로 돌아온다.
- '''화부인'''(花夫人): 화욱의 누나이며 태상경 성염(成琰)의 부인이다. 성염이 죽은 후 동생 화욱의 집에서 아들 성준(成儁)과 함께 지내고 있다.
- '''임소저'''(林小姐): 화춘의 부인으로 정숙하지만 유약한 성격. 조월향의 모함으로 쫓겨난다.
- '''조월향'''(趙月香): 화춘이 임소저 대신 새로 들인 첩. 머지 않아 임소저를 쫓아내고, 동서지간인 남채봉도 죽이려 한다.
3. 1. 1. 화진
화진은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정의롭고 총명하며 뛰어난 능력을 지닌 인물이다.3. 1. 2. 화춘
화춘은 화진의 이복형으로, 질투심 많고 간악한 성격의 소유자이다.3. 2. 윤씨 집안
윤옥화(尹玉花)는 자가 홍염이며, 윤여옥의 쌍둥이 누나이다. 윤여옥(尹汝玉)은 자가 장원이며, 윤옥화의 쌍둥이 동생이다. 윤혁(尹爀)은 윤시랑이라고도 불리며, 자는 중회이다. 쌍둥이의 아버지이며 화욱(화씨 집안)과는 친한 사이다.3. 3. 남씨 집안
- '''남채봉'''(南彩鳳): 자는 광아. 화진과 혼인하였으나, 아버지 남표가 귀양을 가게 되어 집을 떠났다가 해적을 만나 부모님과 헤어지게 된다. 이후 진씨 집안에 신세를 지며 진채경과 친해진다. 남채봉은 화진의 아내로, 지혜롭고 강인한 여성이다.
- '''계앵'''(季鶯): 남채봉의 시녀로 남채봉이 부모님과 헤어져 홀몸이 되었을 때 그녀를 도와 진씨 집안에 묵게 한다.
- '''남표'''(南標): 남어사. 자는 자평이다. 남채봉의 아버지. 엄숭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역으로 공격당해 귀양을 가게 되고, 귀양 도중 딸과 헤어진 뒤 신선 곽선공과 만나 함께 지낸다.
- '''한부인'''(韓夫人): 남표의 부인이며 남채봉의 어머니.
3. 3. 1. 남채봉
남채봉은 화진의 아내로, 지혜롭고 강인한 여성이다.3. 4. 진씨 집안
- 진채경(陳彩瓊): 윤씨 집안의 윤여옥과 정혼한 사이였으나, 엄숭의 양아들 조문화가 혼인을 요청하자 남장하고 가출한다.
- 진창운(陳昌雲): 진채경의 오빠.
- 진형수(陳衡秀): 진제독. 자는 평중이다. 진채경의 아버지. 진채경과 조문화의 결혼 문제로 모함을 당해 감옥에 갇힌다.
- 오부인(吳夫人): 진채경의 어머니이며, 윤씨 집안의 윤혁과는 사촌관계이다.
3. 4. 1. 진채경
진채경은 남장 여자로, 윤여옥과 정혼한 사이였으나 조문화의 강요를 피해 도망쳤다.3. 5. 엄씨 집안
- 엄월화(嚴月華): 엄숭의 딸. 윤여옥이 누나 대신 여장하고 엄씨 집안에 들어왔을 때 그가 남자임을 알고 정혼한다.
- 엄세번(嚴世藩): 엄숭의 아들.
- 조문화(趙文華): 엄숭의 양아들. 진채경에게 반해서 억지로 정혼하려 하나 진채경이 달아나는 바람에 실패한다.
- 엄숭(嚴崇): 실존인물인 간신배. 충신들을 모함하여 제거하고 조정을 어지럽히다가 나중에 쫓겨난 이들이 복귀하자 반대로 쫓겨난다. 엄숭은 간신으로, 권력을 남용하여 조정을 어지럽혔다.
3. 5. 1. 엄숭
엄숭은 간신으로, 권력을 남용하여 조정을 어지럽혔다.3. 6. 기타 인물
- '''유성양'''(柳聖讓): 유담의 아들로 태강소저와 약혼한다.
- '''백경'''(白瓊): 자는 성고. 남장한 진채경과 만나는데, 진채경을 윤여옥인 줄 알고 자기 여동생과 정혼시킨다.
- '''범한'''(范漢): 화춘의 친구. 화춘의 첩 조월향과 모의하여 화진을 귀양보내는 데 일조한다.
- '''장평'''(張平): 화춘의 친구. 윤여옥을 엄씨 집안에 바칠 계략을 꾸미지만 윤옥화의 기지로 실패하며, 이를 무마하기 위해 범한으로 가장해 거짓 상소를 꾸몄다가 발각되어 처벌된다.
- '''천자'''(가정제)
- '''유성희'''(兪聖禧)
- '''여진흥''': 일명 안남왕. 서산해와 동맹을 맺었다가 화진에게 감화되어 아군이 된다.
- '''서산해'''(徐山海): 화천왕으로 자칭하고 반란을 일으킨 해적으로 화진에게 토벌된다.
4. 작품 분석
4. 1. 주제와 사상
4. 2. 여성 인물의 활약
4. 3. 역사적 배경과 허구성
4. 4. 한국 고전소설과의 연관성
5. 현대적 의의
참조
[1]
웹인용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http://encykorea.aks[...]
[2]
서적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55
지식을만드는지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