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안 영남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안 영남루는 1601년 천안군수 노대하가 건립한 화축관의 정문으로 사용된 문루이다. 천안이 영·호남의 관문이었기에 역대 왕의 온양온천 행차 시 임시 거처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영남루만 남아 있으며, 1919년 중앙국민학교 운동장으로 옮겨졌다가 1959년 천안삼거리공원 호수가로 이전되었다.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건물 밖에는 '영남루' 편액이, 안에는 송시열의 기문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찰서 숙소 등으로 사용되었고, 해방 후에는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문화유산 - 천안 성거산 위례성
  • 천안시의 문화유산 - 직산 사산성
    직산 사산성은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에 위치한 백제 시대 산성으로, 테뫼식과 포곡식 산성의 형태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백제, 고구려, 신라의 유물이 출토되어 삼국의 각축장이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천안시의 건축물 - 천안축구센터
    천안축구센터는 2002년 FIFA 월드컵 잉여금으로 건립되어 2009년 2월에 개장했으며, 천연 잔디 및 인조 잔디 구장, 주 경기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천안시의 건축물 - 유관순체육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유관순체육관은 여러 프로 스포츠 구단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남자프로배구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의 홈구장이다.
  • 충청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낙화암
    낙화암은 백제 멸망 당시 많은 궁녀들이 투신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백마강변의 바위 절벽으로, 역사적 사실과 과장된 전설이 혼재된 비극적인 장소이다.
  • 충청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덕산온천지구유
    덕산온천 지구유비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온천의 온천수 발견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비석으로, 1947년 온천수 발견 당시 '땅에서 솟아난 약수'라는 의미로 '지구유'라 명명되어 자연석 형태의 비석에 그 글자가 새겨졌으며, 덕산온천은 조립질 흑운모 화강암과 세립질 각섬석 화강암 지대에 위치하고 여러 단층의 영향을 받는다.
천안 영남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영남루
로마자 표기Yeongnamnu
천안 영남루
천안 영남루
국가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
유형문화재자료
지정 번호12
지정일1984년 5월 17일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룡동 291-4
시대조선시대
수량1동
문화재청 ID31,00120000,34

2. 역사

1601년(선조 35년) 천안군수 노대하(盧大河, 1546년 ~ 1610년)가 화축관을 건립하였고, 영남루는 이 화축관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다. 화축관은 천안군 객사의 별관으로, 이후 여러 차례 개수하였다. 천안은 영·호남의 관문이어서, 화축관은 역대 왕의 온양온천 행차 시 임시 거처로 사용되던 곳이다. 처음에는 정청 10칸, 전후퇴주 9칸, 동서랑 각 5칸, 시녀방 3칸, 정분 2칸의 큰 규모였다.

현재는 화축관의 정문 문루인 영남루만이 남아 있다. 화축관 앞에 있던 것을 1919년에 중앙국민학교 운동장으로 옮겼다가 1959년에 다시 현 천안삼거리공원 호수가로 옮겼는데, 이조차 일제강점기 때 촬영된 사진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이 변형되었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앞면 중앙에 층계가 있으며 4면에 난간을 설치했다. 건물 밖에는 영남루(永南樓)라고 쓴 편액이, 건물 안에는 우암 송시열이 지은 기문(記文)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가 되자 경찰서 숙소, 헌병대 사무실로 사용되었고, 해방 후에도 학교 관사로 활용되다가 철거되었다.

2. 1. 조선시대

1601년(선조 35년) 천안군수 노대하(盧大河, 1546년 ~ 1610년)가 화축관을 건립하였고, 영남루는 이 화축관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다. 화축관은 천안군 객사의 별관으로, 이후 여러 차례 개수하였다. 천안은 영·호남의 관문이어서, 화축관은 역대 왕의 온양온천 행차 시 임시 거처로 사용되던 곳이다. 처음에는 정청 10칸, 전후퇴주 9칸, 동서랑 각 5칸, 시녀방 3칸, 정분 2칸의 큰 규모였다.

2. 2. 일제강점기

2. 3. 해방 이후

3. 건축

3. 1. 영남루

현재는 화축관의 정문 문루인 영남루만이 남아 있다. 화축관 앞에 있던 것을 1919년에 중앙국민학교 운동장으로 옮겼다가 1959년에 다시 현 천안삼거리공원 호수가로 옮겼는데, 이조차 일제강점기 때 촬영된 사진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이 변형되었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앞면 중앙에 층계가 있으며 4면에 난간을 설치했다. 건물 밖에는 '영남루(永南樓)'라고 쓴 편액이, 건물 안에는 우암 송시열이 지은 기문(記文)이 남아 있다.

3. 2. 화축관

1601년(선조 35년)에 군수 노대하(盧大河, 1546년 ~ 1610년)가 객사의 별관으로 세운 화축관은 천안이 영·호남의 관문이어서 역대 왕의 온양온천 행차시 임시 거처로 사용되던 곳이다. 처음에는 정청 10칸, 전후퇴주 9칸, 동서랑 각 5칸, 시녀방 3칸, 정분 2칸의 큰 규모였다. 일제강점기가 되자 경찰서 숙소, 헌병대 사무실로 사용되었고, 해방 후에도 학교 관사로 활용되다가 철거되었다.

4. 현재

5. 비판적 시각

6. 보존 노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