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안시는 충청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삼한시대 목지국에서 시작하여 백제,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주요 교통 요충지로 발전했다. 1963년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되어 천안시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천안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현재 동남구와 서북구 2개의 구와 4개의 읍, 8개의 면,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기술 분야 기업과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호두과자와 병천순대가 지역 특산물로 유명하다. 경부선과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다양한 고속도로와 국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며, 천안역과 천안아산역을 통해 서울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독립기념관, 유관순 열사 기념관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시설과 국립공주대학교, 단국대학교 등 여러 대학이 위치한 교육 도시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도시 - 당진시
당진시는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현대제철을 포함한 여러 산업 시설이 있어 물류가 활발하며, 1914년 면천군과 통합되어 당진군이 되었다가 2012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도시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 천안시의 행정 구역 - 서북구
천안시 서북구는 2008년 신설된 천안시의 2개 구 중 하나로, 백제 초기 유적지와 성거산, 망향의동산 등의 관광 명소, 남서울대, 백석대 등의 교육기관, 그리고 천안배, 거봉포도 등의 특산물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천안시의 행정 구역 - 백석동 (천안시)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은 쌍용동에서 분동되어 현재 백석1동과 백석2동으로 나뉘며, 천안종합운동장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하고 흰색 바위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진 지역이다. - 천안시 - 남양유업
남양유업은 1964년에 설립되어 유제품 및 음료를 제조하며 사업을 확장해 왔으나, 여러 사건과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천안시 - 롯데푸드
롯데푸드는 1958년 일동산업으로 시작하여 롯데그룹에 인수된 후 롯데삼강을 거쳐 2013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2022년 롯데제과에 흡수 합병되었고, 빙과류, 유지류, 햄, 유제품 등을 생산하며 롯데네슬레코리아를 통해 커피 제품도 생산한다.
천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표기 | 천안시 |
한자 표기 | 天安市 |
로마자 표기 | Cheonan-si |
McCune-Reischauer 표기 | Ch'ŏnan-si |
위치 | 대한민국 충청남도 |
면적 | 636.25 km² |
인구 | 658,831 명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1,035.31 명/km² |
방언 | 충청 방언 |
시장 | 박상돈 (국민의힘) |
행정 구역 | 2 구, 16 법정동, 4 읍, 8 면 |
시청 소재지 |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156 |
홈페이지 | 천안시청 |
시목 | 능수버들 |
시화 | 개나리 |
시조 | 비둘기 |
행정 구역 | |
구 | 동남구 서북구 |
읍 | 성환읍 성거읍 목천읍 직산읍 |
면 | 광덕면 풍세면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입장면 동면 |
행정동 | 19 |
법정동 | 30 |
정치 | |
국회의원 |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천안시 갑)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천안시 을)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천안시 병) |
기타 | |
지역 번호 | 041 |
2. 역사
삼한시대 마한 54개 소국 중의 하나인 목지국이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대목악군과 감매현·순치현이었다. 757년에 대목악은 대록군(大麓郡), 림천은 순치(馴雉)로 개명되었다. 고려 초기에 천안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였다. 고려 태조는 930년에 동서도솔을 합쳐 천안도독부를 설치하였다. 태조 왕건은 술사 예방이 삼국의 중앙에 해당하는 천안은 다섯 용이 구슬을 다투는 지세이므로 이곳에 큰 관부를 설치하면 후백제가 스스로 항복해 올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천안은 고려의 남진정책의 전초기지로 중앙군이 파견되어 주둔하였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왕건은 왕자성에 성을 쌓고 군사훈련소를 설치하였다.
직산군은 고려시대에 홍경원이 설치되어 있던 곳으로, 본래 교통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었던 홍경원은 막강한 경제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망이·망소이의 난 때에는 명학소민들이 홍경원을 불태우고, 고려 현종이 1021년 아버지 안종의 뜻을 받들어 세운 280칸짜리 고려 10대 사찰 중의 하나인 홍경사의 승려들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고,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제를 실시했을 때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 1914년 4월 1일 : 천안군, 직산군(현 직산읍, 성환읍, 성거읍, 입장면), 목천군(현 목천읍,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이 '''천안군'''으로 통폐합되었다.[52] (14면)
- 1917년 10월 1일 : 영성면을 '''천안면'''으로, 성산면을 직산면으로 개칭하였다.[53]
- 1931년 4월 1일 : 천안면이 '''천안읍'''으로 승격하였다.[54]
- 1963년 1월 1일 :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하고, 천안군의 이름이 '''천원군'''(天原郡)으로 변경되어 12면을 관할하였다.[55]
- 1973년 7월 1일 : 성환면이 성환읍으로 승격하였다.[56]
- 1985년 10월 1일 : 성거면이 성거읍으로 승격하였다.[57]
- 1991년 1월 1일 : 천원군이 다시 '''천안군'''으로 개칭하였다.[58]
- 1995년 5월 10일 : 천안시와 천안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천안시'''가 되었다.[59] (2읍 10면 13행정동)
- 2002년 1월 1일 : 직산면이 직산읍으로, 목천면이 목천읍으로 승격하였다.[60] (4읍 8면 13행정동)
- 2003년 8월 1일 : 쌍용3동이 쌍용2동에서 분동하였다.[61] (4읍 8면 14행정동)
- 2005년 9월 30일 : 시청사를 문화동에서 시내 서부의 불당동으로 이전하였다.[62]
- 2006년 1월 10일 : 백석동이 쌍용3동에서 분동하였다.[63] (4읍 8면 15행정동)
- 2007년 5월 28일 : 신용동이 일봉동과 신방동으로 분동되었다.[64] (4읍 8면 16행정동)
- 2008년 6월 23일 : 동남구와 서북구가 설치되었다.[65] (2구 4읍 8면 16행정동)
- 2013년 10월 14일 : 불당동이 백석동에서 분동하고, 부성동이 부성1동과 부성2동으로 분동되었다.[66] (2구 4읍 8면 18행정동)
- 2021년 11월 15일 : 불당동이 불당1동과 불당2동으로 분동되었다.(2구 4읍 8면 19행정동)
천안은 서울과 가까운 위치와 차령산맥의 험준한 지형을 뚫고 대구와 부산으로 이어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어 오래전부터 한국의 주요 교통 중심지였다. 천안의 삼거리 공원은 오랫동안 전략적인 교통 요충지이자 문화가 확산되는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서울에서 시작되는 삼남대로가 갈라지는 곳으로, 한 갈래는 김천, 대구, 경주, 동래 등을 포함하는 영남 지역으로, 다른 한 갈래는 공주, 논산을 거쳐 전주, 광주, 순천, 여수 등을 포함하는 호남 지역으로 이어진다.[5]
전략적인 위치 덕분에 천안은 또한 남쪽에서 올라오는 초기 통신망이 서울로 향하기 전에 모이는 중요한 우편 중심지였거나, 수도에서 남쪽 지역으로 메시지가 분산되는 곳이었다. 이후 도시 최초의 우체국 설립과 함께 더욱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우편 서비스가 등장했으며, 천안(그리고 1883년 이후 한국 전체)의 우편 서비스 역사는 천안 동부 양지말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우체국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6]
천안은 20세기 전반 대부분 상대적으로 작은 도시였다. 교통 중심지였던 천안은 한국 전쟁 당시 천안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1963년, 규모가 커지고 있던 이 지역의 세 개의 행정구역이 통합되어 천안시로 승격되었다.[7] 이후 천안시는 인근 지역의 인구를 편입하며 규모가 커졌다.[7] 1995년에는 천안군과 천안시가 하나의 큰 천안시로 통합되었다.[7] 2002년에는 시 조례에 따라 직산면과 목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7]
2. 1. 고대
삼한시대 마한 54개 소국 중의 하나인 목지국이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대목악군과 감매현·순치현이었다.[52] 757년에 대목악은 대록군(大麓郡), 림천은 순치(馴雉)로 개명되었다. 고려 초기에 천안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였다. 고려 태조는 930년에 동서도솔을 합쳐 천안도독부를 설치하였다. 태조 왕건은 술사 예방이 삼국의 중앙에 해당하는 천안은 다섯 용이 구슬을 다투는 지세이므로 이곳에 큰 관부를 설치하면 후백제가 스스로 항복해 올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천안은 고려의 남진정책의 전초기지로 중앙군이 파견되어 주둔하였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왕건은 왕자성에 성을 쌓고 군사훈련소를 설치하였다.직산군은 고려시대에 홍경원이 설치되어 있던 곳으로, 본래 교통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었던 홍경원은 막강한 경제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망이·망소이의 난 때에는 명학소민들이 홍경원을 불태우고, 고려 현종이 1021년 아버지 안종의 뜻을 받들어 세운 280칸짜리 고려 10대 사찰 중의 하나인 홍경사의 승려들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52]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고,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제를 실시했을 때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1914년에 천안·목천·직산 3군을 합병하여 천안군이 되었다.[52]
2. 2. 고려
고려 태조는 930년에 동서도솔을 합쳐 천안도독부를 설치하면서 천안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였다.[52] 태조 왕건은 술사 예방의 말을 듣고 천안에 큰 관부를 설치하면 후백제가 항복할 것이라 믿었다. 천안은 고려의 남진정책 전초기지로 중앙군이 주둔했을 것으로 추측된다.[52] 왕건은 왕자성에 성을 쌓고 군사훈련소를 설치하였다.[52]직산은 고려시대에 홍경원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망이·망소이의 난 때 명학소민들이 홍경원을 불태우고, 고려 현종이 1021년 세운 홍경사의 승려들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52]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고,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제를 실시했을 때 공주부에 속하였다.[52]
2. 3. 조선
고려 초기에 천안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였다. 고려 태조는 930년에 동서도솔을 합쳐 천안도독부를 설치하였다. 태조 왕건은 술사 예방의 말을 듣고 천안에 큰 관부를 설치하면 후백제가 항복할 것이라 생각했다. 천안은 고려의 남진정책 전초기지로 중앙군이 주둔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왕건은 왕자성에 성을 쌓고 군사훈련소를 설치하였다.직산은 고려시대에 홍경원이 설치되어 있던 곳으로, 교통 편의를 위해 설치되었던 홍경원은 막강한 경제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망이·망소이의 난 때 명학소민들이 홍경원을 불태우고, 고려 현종이 1021년 아버지 안종의 뜻을 받들어 세운 280칸짜리 홍경사 승려들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고,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제를 실시했을 때 공주부에 속하였다.
2.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천안군, 직산군(현 직산읍, 성환읍, 성거읍, 입장면), 목천군(현 목천읍,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이 '''천안군'''으로 통폐합되었다.[52] 1917년 10월 1일 영성면이 '''천안면'''으로, 성산면이 직산면으로 개칭되었다.[53] 1919년 4월 1일(구력 3월 1일)에는 병천면 아우네 장터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났다.[36][37]1931년 4월 1일 천안면이 '''천안읍'''으로 승격하였다.[54] 1942년에는 갈전면이 병천면으로 개칭되었다. 1946년에는 천안읍의 일본식 지명이 폐지되었다. 예를 들어 본정(本町)은 대흥동(大興洞)으로, 황금정(黃金町)은 와촌동(瓦村洞)으로 바뀌는 등, 여러 지명이 한국식으로 변경되었다.
1963년 1월 1일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하고, 천안군의 이름이 '''천원군'''(天原郡)으로 변경되었다.[55]
2. 5. 대한민국
삼한시대 마한 54개 소국 중의 하나인 목지국이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대목악군과 감매현·순치현이었다. 천안이라는 지명은 고려 초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고려 태조는 930년에 동서도솔을 합쳐 천안도독부를 설치하였다. 태조 왕건은 술사 예방이 삼국의 중앙에 해당하는 천안은 다섯 용이 구슬을 다투는 지세이므로 이곳에 큰 관부를 설치하면 후백제가 스스로 항복해 올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천안은 고려의 남진정책의 전초기지로 중앙군이 파견되어 주둔하였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왕건은 왕자성에 성을 쌓고 군사훈련소를 설치하였다.직산군은 고려시대에 홍경원이 설치되어 있던 곳으로, 본래 교통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었던 홍경원은 막강한 경제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망이·망소이의 난 때에는 명학소민들이 홍경원을 불태우고, 고려 현종이 1021년 아버지 안종의 뜻을 받들어 세운 280칸짜리 고려 10대 사찰 중의 하나인 홍경사의 승려들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고,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제를 실시했을 때에는 공주부에 속하였다.
- 1914년 4월 1일 : 천안군, 직산군(현 직산읍, 성환읍, 성거읍, 입장면), 목천군(현 목천읍, 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이 '''천안군'''으로 통폐합되었다.[52] (14면)
- 1917년 10월 1일 : 영성면을 '''천안면'''으로, 성산면을 직산면으로 개칭하였다.[53]
- 1931년 4월 1일 : 천안면이 '''천안읍'''으로 승격하였다.[54]
- 1963년 1월 1일 :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하고, 천안군의 이름이 '''천원군'''(天原郡)으로 변경되어 12면을 관할하였다.[55]
- 1973년 7월 1일 : 성환면이 성환읍으로 승격하였다.[56]
- 1985년 10월 1일 : 성거면이 성거읍으로 승격하였다.[57]
- 1991년 1월 1일 : 천원군이 다시 '''천안군'''으로 개칭하였다.[58]
- 1995년 5월 10일 : 천안시와 천안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천안시'''가 되었다.[59] (2읍 10면 13행정동)
- 2002년 1월 1일 : 직산면이 직산읍으로, 목천면이 목천읍으로 승격하였다.[60] (4읍 8면 13행정동)
- 2003년 8월 1일 : 쌍용3동이 쌍용2동에서 분동하였다.[61] (4읍 8면 14행정동)
- 2005년 9월 30일 : 시청사를 문화동에서 시내 서부의 불당동으로 이전하였다.[62]
- 2006년 1월 10일 : 백석동이 쌍용3동에서 분동하였다.[63] (4읍 8면 15행정동)
- 2007년 5월 28일 : 신용동이 일봉동과 신방동으로 분동되었다.[64] (4읍 8면 16행정동)
- 2008년 6월 23일 : 동남구와 서북구가 설치되었다.[65] (2구 4읍 8면 16행정동)
- 2013년 10월 14일 : 불당동이 백석동에서 분동하고, 부성동이 부성1동과 부성2동으로 분동되었다.[66] (2구 4읍 8면 18행정동)
- 2021년 11월 15일 : 불당동이 불당1동과 불당2동으로 분동되었다.(2구 4읍 8면 19행정동)
천안은 서울과 가까운 위치와 차령산맥의 험준한 지형을 뚫고 대구와 부산으로 이어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어 오래전부터 한국의 주요 교통 중심지였다. 천안의 삼거리 공원은 오랫동안 전략적인 교통 요충지이자 문화가 확산되는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서울에서 시작되는 삼남대로가 갈라지는 곳으로, 한 갈래는 김천, 대구, 경주, 동래 등을 포함하는 영남 지역으로, 다른 한 갈래는 공주, 논산을 거쳐 전주, 광주, 순천, 여수 등을 포함하는 호남 지역으로 이어진다.[5]
전략적인 위치 덕분에 천안은 또한 남쪽에서 올라오는 초기 통신망이 서울로 향하기 전에 모이는 중요한 우편 중심지였거나, 수도에서 남쪽 지역으로 메시지가 분산되는 곳이었다. 이후 도시 최초의 우체국 설립과 함께 더욱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우편 서비스가 등장했으며, 천안(그리고 1883년 이후 한국 전체)의 우편 서비스 역사는 천안 동부 양지말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우체국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6]
천안은 20세기 전반 대부분 상대적으로 작은 도시였다. 교통 중심지였던 천안은 한국 전쟁 당시 천안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1963년, 규모가 커지고 있던 이 지역의 세 개의 행정구역이 통합되어 천안시로 승격되었다.[7] 이후 천안시는 인근 지역의 인구를 편입하며 규모가 커졌다.[7] 1995년에는 천안군과 천안시가 하나의 큰 천안시로 통합되었다.[7] 2002년에는 시 조례에 따라 직산면과 목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7]
3. 지리
천안은 충청남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진천군, 서쪽으로는 아산시, 남쪽은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와 인접하고, 북쪽은 안성천을 경계로 경기도 평택시, 안성시에 접한다.[67] 천안시 중앙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차령산맥의 태조산(424m) 줄기를 중심으로 동서측으로 지역이 분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동남부는 높고, 서북부는 낮은 지형이다.[67] 북측지역은 평택평야까지 탁 트인 얕은 구릉성 평지이며, 동측은 국사봉, 만근산, 망경산 줄기를 경계로 아산시와 진천군과 인접하고 있다.[67] 수계는 안성천, 삽교천, 금강수계로 구분되어 북부지역은 성환, 성거, 직산, 입장지역의 지표수가 북류하여 안성천으로 유출되어 서해로 유입되고, 동부지역은 성거, 진천, 전의와의 경계가 분수령이 되어 남류, 동류하여 미호강 상류를 이루어 금강으로 유입되며, 서남부지역은 직산, 목천읍계가 분수령이 되어 서류하여 곡교천으로 흘러 서해 경기만로 유입되고 있다.[67] 표고 100m이하가 전체면적의 49.8%인 316.71㎢이고, 300m이상이 7.5%인 47.671㎢에 달하고 경사도는 중심부의 태조산, 흑성산, 동측의 만근산, 서측의 광덕산, 망경산 일대가 25˚이상의 급경사를 형성하고 있고, 그 외 지역은 대부분 15˚이내의 비교적 평탄한 지형이다.[67]
천안은 고속도로를 기준으로 서울 남쪽으로 83.6km에 위치한 수도권의 배후도시이자 충청남도의 관문으로 성장하고 있다. 시가지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경부선, 남서로는 장항선이 연결된다. 청주, 세종, 공주, 아산, 진천, 평택, 안성 방향으로 육로가 연결된다.
천안시는 동쪽으로는 차령산맥에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평야와 구릉지대에 걸쳐 있다. 시 주변의 산으로는 말로산(611m), 성거산(579m), 태조산(422m), 흑성산(519m), 광덕산(699m), 망경산(600m) 등이 있다. 시 자체는 대체로 평평하며, 안서동 등 일부 지역만이 구릉지대에 조성되어 있다.
천안시는 서울 수도권 남쪽 83.6km 지점에 위치하며, 충청남도의 관문이자 서울 수도권 배후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경부선이 남북을 잇고, 장항선이 남서쪽으로 연결된다. 서울, 대전, 세종, 공주, 아산, 진천, 평택, 안성 등과 육상 교통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천안은 충청남도의 동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충청남도 전체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도시이다. 천안의 동쪽은 충청북도의 청주시, 진천군, 서쪽은 아산시, 남쪽은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와 접하고, 북쪽은 경기도 평택시, 안성시와 경계를 이룬다. 서울에서 83.6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일본의 정령지정도시에 준하는 특례시로서, 서울에서 부산·광주로 이어지는 도로상에 있다. 수도권은 아니지만, 서울 지하철의 통근 전철이 들어오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수도권 규제 정책 덕분에 근교 지역으로서 급속히 성장하는 도시이다.
3. 1. 기후
천안시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온대 습윤 기후(쾨펜: ''Cwa'')의 경계 지역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68] 기후는 인근 서울, 수원, 또는 대전과 유사하며, 계절풍이 부는 시기가 있는 온화한 동부 지역 기후로 여겨진다. 천안은 4계절이 뚜렷하며, 여름에는 온화하게 높은 기온을, 겨울에는 온화하게 낮은 기온과 눈을 경험한다.[68]천안시의 연 평균 기온은 12.0℃이며, 평균 최고 기온은 17.9℃, 평균 최저 기온은 6.7℃이다.[69][70] 연 강수량은 1218.7mm이며, 연 강수일수는 일이다.[69][70] 연 평균 습도는 68.5%이다.[69][70] 연간 일조시간은 2271.3시간이다.[69][70]
역대 최고 기온은 1994년 7월 23일에 기록된 37.7℃이고, 역대 최저 기온은 2001년 1월 15일에 기록된 -23.9℃이다.[69][70]
4. 행정 구역
천안시의 행정 구역은 2구, 4읍, 8면, 19행정동으로 구성된다.[71] 면적은 636.07 km2이며, 2018년 9월 주민등록 인구는 669,928명이다.[71][72]
천안시는 동남구와 서북구의 2개의 일반구가 있다.
valign="top" | | valign="top" | |
2019년 1월 주민등록 기준으로 읍·면·동의 인구와 세대는 다음과 같다.[72]
읍·면·행정동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 (km2) | |
---|---|---|---|---|---|
성환읍 | 成歡邑 | 26,402 | 27,227 | 57.06 | |
성거읍 | 聖居邑 | 22,696 | 9,522 | 31.44 | |
직산읍 | 稷山邑 | 21,663 | 8,762 | 30.60 | |
입장면 | 笠長面 | 10,681 | 4,470 | 42.73 | |
성정1동 | 星井1洞 | 17,826 | 8,768 | 1.42 | |
성정2동 | 星井2洞 | 27,594 | 16,160 | 2.08 | |
쌍용1동 | 雙龍1洞 | 15,389 | 6,254 | 0.87 | |
쌍용2동 | 雙龍2洞 | 40,198 | 14,017 | 1.88 | |
쌍용3동 | 雙龍3洞 | 20,774 | 7,858 | 1.54 | |
백석동 | 白石洞 | 41,522 | 13,627 | 4.63 | |
불당1동 | 佛堂1洞 | - | - | - | |
불당2동 | 佛堂2洞 | - | - | - | |
부성1동 | 富城1洞 | 39,398 | 17,967 | 12.1 | |
부성2동 | 富城2洞 | 46,356 | 19,171 | 7 | |
서북구 | 西北區 | 400,566 | 385,713 | 197.68 | |
목천읍 | 木川邑 | 25,066 | 10,640 | 63.09 | |
풍세면 | 豊歲面 | 4,441 | 4,299 | 30.25 | |
광덕면 | 廣德面 | 4,506 | 2,246 | 80.50 | |
북면 | 北面 | 4,606 | 2,436 | 58.56 | |
성남면 | 城南面 | 3,682 | 1,689 | 33.01 | |
수신면 | 修身面 | 2,679 | 1,229 | 25.89 | |
병천면 | 竝川面 | 6,492 | 3,278 | 56.39 | |
동면 | 東面 | 2,383 | 1,139 | 43.25 | |
중앙동 | 中央洞 | 5,842 | 3,167 | 0.86 | |
문성동 | 文城洞 | 4,807 | 2,667 | 0.60 | |
원성1동 | 院城1洞 | 9,027 | 4,449 | 7.30 | |
원성2동 | 院城2洞 | 9,670 | 5,435 | 0.84 | |
봉명동 | 鳳鳴洞 | 18,972 | 8,836 | 1.57 | |
일봉동 | 日峰洞 | 23,444 | 9,007 | 2.53 | |
신방동 | 新芳洞 | 45,221 | 17,380 | 5.47 | |
청룡동 | 淸龍洞 | 55,858 | 17,214 | 16.89 | |
신안동 | 新安洞 | 40,308 | 14,354 | 11.54 | |
동남구 | 東南區 | 264,312 | 107,475 | 438.54 | |
총계 | 683,453 | 255,696 | 636.2 |
5. 정치
5. 1. 역대 시장
천안시는 충청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다. 민선 1기부터 7기까지 시장 선거가 있었다.5. 2. 국회의원
천안시 지역구 국회의원은 천안시 동남구의 국회의원과 천안시 서북구의 국회의원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6. 경제
2014년 천안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253,698명으로 충청남도 총종사자 수의 31.2%를 차지하고있다.[74]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278으로 0.1%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81,448명으로 32.1%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71,808명으로 67.7%의 비중을 차지한다.[74] 2차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의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74]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2.5%), 숙박 및 음식업(9.9%)과 사업서비스업(8.2%), 교육서비스업(8.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74]
천안 지역 경제는 지역 내 기술 분야 기업들에 의해 움직인다. 삼성, LG,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롯데웰푸드 천안공장, 현대약품 천안공장, 남양유업 천안공장, 삼성SDI 천안사업장, 삼성디스플레이 천안캠퍼스, 한솔제지 천안공장, 현대모비스 천안IP공장이 있다.
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 상업 ===
천안시는 인구대비 대형마트의 출점이 많은 편이다. 갤러리아백화점 센터시티점, 신세계백화점 천안아산점, 모다아울렛 천안아산점, 이마트 천안점, 천안터미널점, 천안서북점, 홈플러스 천안점, 천안신방점, 롯데마트 성정점, 메가마트 천안점, 코스트코 천안점등이 있다. 실질적 천안 생활권인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위치한 롯데마트 천안아산점과 이마트 트레이더스 천안아산점까지 포함하면 약 5만명 당 대형마트 하나가 있는 꼴이다.
천안 지역 경제는 상당 부분 지역 내 기술 분야 기업들에 의해 움직인다. 삼성, LG,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수많은 대학교들 또한 기여하는데, 한국 전역의 학생들이 1년 중 8개월 동안 천안으로 몰려들면서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 농업 ===
천안 지역 경제는 지역 내 기술 분야 기업들에 의해 움직인다. 삼성, LG,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수많은 대학교들 또한 기여하는데, 한국 전역의 학생들이 1년 중 8개월 동안 천안으로 몰려들면서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 입장 거봉포도
- 성환 배
- 성환 개구리참외
- 천안 수신멜론
- 천안 오이
- 천안 버섯
=== 지역 내 총생산 ===
천안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69조 124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23.6%를 차지하고 있다.[73] 농림어업(1차산업)은 7,149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52조 4,778억원으로 76.0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5조 8,197억원으로 22.92%의 비중을 차지한다.[73] 3차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건설업(3.03%)과 도소매업(2.7%), 사업서비스업(2.67%)과 교육서비스업(2.06%)이 비중을 차지한다.[73]
천안 지역 경제는 삼성, LG,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외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어 이들에 의해 움직인다. 또한, 한국 전역의 학생들이 1년 중 8개월 동안 천안으로 몰려들면서 소비가 증가하여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
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6. 1. 산업
2014년 천안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253,698명으로 충청남도 총종사자 수의 31.2%를 차지하고있다.[74]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278으로 0.1%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81,448명으로 32.1%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71,808명으로 67.7%의 비중을 차지한다.[74] 2차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의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74]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2.5%), 숙박 및 음식업(9.9%)과 사업서비스업(8.2%), 교육서비스업(8.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74]천안 지역 경제는 지역 내 기술 분야 기업들에 의해 움직인다. 삼성, LG,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롯데웰푸드 천안공장, 현대약품 천안공장, 남양유업 천안공장, 삼성SDI 천안사업장, 삼성디스플레이 천안캠퍼스, 한솔제지 천안공장, 현대모비스 천안IP공장이 있다.
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6. 2. 상업
천안시는 인구대비 대형마트의 출점이 많은 편이다. 갤러리아백화점 센터시티점, 신세계백화점 천안아산점, 모다아울렛 천안아산점, 이마트 천안점, 천안터미널점, 천안서북점, 홈플러스 천안점, 천안신방점, 롯데마트 성정점, 메가마트 천안점, 코스트코 천안점등이 있다. 실질적 천안 생활권인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위치한 롯데마트 천안아산점과 이마트 트레이더스 천안아산점까지 포함하면 약 5만명 당 대형마트 하나가 있는 꼴이다.
천안 지역 경제는 상당 부분 지역 내 기술 분야 기업들에 의해 움직인다. 삼성, LG,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수많은 대학교들 또한 기여하는데, 한국 전역의 학생들이 1년 중 8개월 동안 천안으로 몰려들면서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6. 3. 농업
천안 지역 경제는 지역 내 기술 분야 기업들에 의해 움직인다. 삼성, LG그룹,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수많은 대학교들 또한 기여하는데, 한국 전역의 학생들이 1년 중 8개월 동안 천안으로 몰려들면서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 입장 거봉포도
- 성환 배
- 성환 개구리참외
- 천안 수신멜론
- 천안 오이
- 천안 버섯
6. 4. 지역 내 총생산
천안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69조 124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23.6%를 차지하고 있다.[73] 농림어업(1차산업)은 7,149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52조 4,778억원으로 76.0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5조 8,197억원으로 22.92%의 비중을 차지한다.[73] 3차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건설업(3.03%)과 도소매업(2.7%), 사업서비스업(2.67%)과 교육서비스업(2.06%)이 비중을 차지한다.[73]천안 지역 경제는 삼성, LG, 코닝(Corning Inc.)과 같은 대규모 국내외 기업들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들이 천안에 사업장을 두고 있어 이들에 의해 움직인다. 또한, 한국 전역의 학생들이 1년 중 8개월 동안 천안으로 몰려들면서 소비가 증가하여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
서울 수도권 인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시내 곳곳에 산업단지가 건설되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 그룹의 전자기기, 반도체, 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전용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등 외국 기업과 외국인 노동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7. 사회
충청남도천안교육지원청이 천안시의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에 관한 교육행정사무를 담당한다.[12]
천안시는 대한민국의 첨단 기술 본부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대학들이 위치해 있다.
대학교 |
---|
국립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
나사렛대학교 |
남서울대학교 |
백석대학교 |
백석문화대학교 |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
선문대학교 천안캠퍼스 |
순천향대학교 천안캠퍼스 |
천안연암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호서대학교 천안캠퍼스 |
고등학교 |
---|
목천고등학교 |
병천고등학교 |
성환고등학교 |
천안공업고등학교 |
천안두정고등학교 |
천안불당고등학교 |
천안신당고등학교 |
천안쌍용고등학교 |
천안업성고등학교 |
천안여자고등학교 |
천안오성고등학교 |
천안월봉고등학교 |
천안제일고등학교 |
천안중앙고등학교 |
천안중앙고등학교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 |
천안청수고등학교 |
충남예술고등학교 |
한마음고등학교 |
복자여자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
천안고등학교 |
천안상업고등학교 |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
국내 대학의 많은 기술 프로그램을 졸업하는 한국 학생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부문 종사자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매우 높으며, 그 수요의 상당 부분은 외국인 근로자들에 의해 충족되고 있다. 이 도시에는 현재 많은 외국인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지난 5년 동안 3배나 증가했다. 천안 지역에는 9,000명이 넘는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20]
또한 천안에는 외국인 수감자 전용 교도소가 있으며, 1,000명이 넘는 외국인 수감자들이 수감되어 있다.[21]
7. 1. 교육
충청남도천안교육지원청이 천안시의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에 관한 교육행정사무를 담당한다.[12]천안시는 대한민국의 첨단 기술 본부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대학들이 위치해 있다.
대학교 |
---|
국립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
나사렛대학교 |
남서울대학교 |
백석대학교 |
백석문화대학교 |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
선문대학교 천안캠퍼스 |
순천향대학교 천안캠퍼스 |
천안연암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호서대학교 천안캠퍼스 |
고등학교 |
---|
목천고등학교 |
병천고등학교 |
성환고등학교 |
천안공업고등학교 |
천안두정고등학교 |
천안불당고등학교 |
천안신당고등학교 |
천안쌍용고등학교 |
천안업성고등학교 |
천안여자고등학교 |
천안오성고등학교 |
천안월봉고등학교 |
천안제일고등학교 |
천안중앙고등학교 |
천안중앙고등학교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 |
천안청수고등학교 |
충남예술고등학교 |
한마음고등학교 |
복자여자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
천안고등학교 |
천안상업고등학교 |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
7. 2. 문화
- 독립기념관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1987년에 개관했다. 광대한 부지에 크고 작은 13개의 전시시설이 있다.
- 망향의 언덕 - 해외에서 사망한 한국인을 위한 국립묘지로 1976년에 개설되었다. 1983년의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희생자 위령탑도 있다.
- 각원사 - 시가지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태조산 중턱에 있는 사찰. 높이 15m의 대불이 있다.
- 천안 주변은 거봉(巨峰, 고봉) 등 포도의 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7. 2. 1. 박물관·기념관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해 한국 국민의 분노가 있었다. 이 때 국민모금을 통하여 독립기념관을 만들게 되었다. 1987년 8월 15일 제42주년 광복절 기념식과 같이 준공, 개관하였다. 2011년 8월 누적 관람객 4,000만명을 돌파하였다. 한국 역사자료의 수집, 관리, 전시, 조사, 연구, 국민에 대한 교육, 홍보 등을 하고 있다.[13]대한민국 독립기념관은 한국의 독립 투쟁을 보여주는 역사적 공간이다. 1987년 8월 15일 개관하였으며, 민간 기부금으로 건립되었다. 한국의 식민지 시대를 기억하고 민족 정신을 함양하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기념관은 3.96 km2의 조경된 부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전시물 외에도 국가대례당, 건국기념탑, 통일대종 등을 볼 수 있다.
천안박물관
우정박물관
아라리오미술관
리각미술관
천안홍대용과학관
천안흥타령관
산사현대시 100년관
이동녕선생기념관
유관순열사기념관
천안 우체국 박물관은 1884년 최초의 우편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의 우편 유물과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사진과 편지 운반 도구를 포함하여 한국 우편 서비스의 역사 전체를 보여준다. 이 박물관은 천안에 있는 정보통신부 공무원 연수원으로 2004년 2월 서울에서 이전되었다.
독립기념관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1987년에 개관했다. 광대한 부지에 크고 작은 13개의 전시시설이 있다.
7. 2. 2. 국보
wikitext
- 봉선홍경사사적갈비 (국보 제7호)
- 보협인석탑 (국보 제209호)
- 성거산 천흥사 동종 (국보 제280호)
7. 2. 3. 축제
- 천안 흥타령 축제
- 아우내 봉화제
- 아우내 단오축제
천안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는 흥타령축제(흥타령 축제/흥타령 축제한국어)이다. 흥은 한국어로 즐거움과 기쁨을 뜻하며, 보통 한국 음악을 가리킨다.
이 춤 축제는 인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우크라이나의 전통 춤부터 비보이까지 다양한 공연이 특징이다.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17개국 이상의 많은 팀들도 이 축제에 참가한다.[17]
이 축제는 2003년에 시작되었으며,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유망축제"와 "준비된 축제"로 선정되었다. 2007년 12월 26일 기준으로 이 축제는 "우수축제"로 승격되었다.[18]

3·1 독립운동[19]을 기념하기 위해, 천안에서 유관순을 중심으로 매년 아우내장터에서 독립 만세운동 재현 행사가 열린다. 이 민중운동은 1919년 3월 31일 매봉산 등 여러 산에서 24개의 봉화를 밝히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다음 날, 3000명이 아우내 장터에 모여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일본 경찰이 도착하여 유관순의 부모를 포함한 19명이 현장에서 사살되었고, 수십 명이 부상을 입었다. 오늘날 사람들은 평화롭게 모여 이를 기억한다. 그리고 봉화를 상징하는 횃불 행렬이 아우내 장터에서 병천을 거쳐 유관순 기념관까지 천천히 이어진다.
매년 음력 4월 8일, 불교도들은 부처의 탄생을 기념한다. 천안에서는 지역 사찰들이 건물과 경내를 등불로 장식하고, 시내 중심가의 많은 지역이 행렬과 음악 공연, 전통 북 공연을 위해 차량 통행이 통제된다. 한국인들은 종종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입고 하루 종일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도심의 보행자 전용 거리와 골목길을 거닌다.
7. 2. 4. 종교
태조산(Mt. Taejosan)에는 가곡사(Gagwonsa)라는 불교 사찰이 있다. 사찰 경내에는 높이 15m, 둘레 30m, 무게 60톤이 넘는 대형 청동 석가모니불이 있다. 부처는 태조산 정상을 바로 뒤에 두고 서쪽으로 도시와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다. 신자들과 관광객들은 산기슭에서 가파른 계단을 올라온다.태조산에는 소규모의 성불사(Seong-bul-sa) 사찰도 있다.
도시 남서쪽, 인근 아산시와의 경계 근처에는 이순신 장군을 기리는 현충사(Hyeonchung-sa) 사찰이 있다. 이곳은 본당과 정교한 정원을 갖춘 대규모 사찰 단지이며, 유학자들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순신 장군의 묘소가 경내에 있으며, 사찰과 경내에는 여러 국가지정문화재가 있다.[14]
7. 2. 5. 스포츠
- 남자 프로 배구 프로팀 :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유관순체육관)
- K리그2 팀 : 천안 시티 FC (천안종합운동장)
- 리틀야구연맹 팀 : 천안 흥타령 리틀 야구단
- 리틀야구연맹 팀 : 천안 서북구 리틀 야구단
천안시는 국가대표팀 경기가 열리는 천안종합운동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내셔널리그 소속이었던 천안시청 축구단의 연고지이기도 했다. 농구장은 특히 상용동 지역에 많이 있으며, 공공 테니스장과 골프 연습장도 풍부하게 갖춰져 있다.
천안에는 2만 6천 명 수용 규모의 천안 백석 경기장이 있다. 이 경기장에서는 2013년 10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말리의 경기가 개최되었다.

천안은 배구단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의 연고지이며, 유관순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그 인기로 인해 천안은 이제 "배구 도시"라고 불린다.
7. 2. 6. 먹거리
- 호두과자[75]
호두과자는 틀에 밀가루 반죽과 속으로 호두와 팥 앙금을 넣어서 구운 과자의 일종으로 천안의 호두과자가 가장 유명하다. 천안역 앞과 천안 IC방향으로 호두과자 가게들이 많이 밀집해 있다. 천안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작고 호두 모양의 맛있는 과자, 혹은 ''호두과자''로 유명하다. 기차로 천안역을 출발하거나 통과할 때 많은 상인들이 호두과자를 파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16]
- 병천순대
충남 병천은 유관순 열사의 3·1 독립만세 운동으로 유명한 ‘아우내 장터’가 있는 곳. 50년 전 이곳에 돈육 가공 공장이 들어오면서 향토음식으로 자리 잡게 됐다. 병천순대가 다른 지방의 순대와 다른 점은 돼지의 창자 중에 가장 가늘고 부드러운 소창을 사용해 돼지 특유의 누린내가 적고 담백하다는 점이다. 특히 병천순대로 만든 순대국은 병천순대 특유의 담백하고 깊은 맛을 자랑한다.[76]
천안은 또한 참외, 포도, 배 등 여러 농산물로도 유명하다. 천안 주변은 거봉(巨峰, 고봉) 등 포도의 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8. 교통
이 도시는 도로뿐만 아니라 두 개의 기차역을 통해 서울과 매우 잘 연결되어 있다. 첫 번째는 천안역이고, 두 번째는 (KTX 고속철도가 운행되는) 천안아산역이다. 천안의 여러 지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운행한다.[77]
=== 철도 ===
경부선과 장항선이 천안시의 서부를 지난다. 경부선은 남북으로 뻗은 형태이며, 장항선은 시의 서부를 통해 아산, 예산, 홍성으로 향한다. 2004년 4월 1일 천안아산역이 개업하였고, 2005년 1월 20일부터 경부선, 2008년 12월 15일부터 장항선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들어와 서울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단국대학교, 상명대학교, 백석대학교가 있는 두정역 인근에서도 전철을 이용해 수도권으로 이동할 수 있다.
천안시는 천안역과 천안아산역(KTX 고속철도 운행)을 통해 서울과 잘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천안의 여러 지역을 운행한다. 참고로, KTX·SRT가 정차하는 천안아산역은 아산시에 있지만, 시 경계와의 거리는 약 400m이다.
- 한국철도공사
-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경기도 평택시) ← 성환역 - 직산역 - 두정역 - 천안역 → (세종특별자치시)
- *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경부선 직결) ← 천안역 - 봉명역 - 쌍룡역 → (아산시)
- ** 직산역, 두정역, 봉명역, 쌍룡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만 정차한다.
=== 도로 ===
- 고속도로
- * 1호선 경부고속도로: (충청북도 청주시) ← 천안휴게소 - 목천 나들목 - 천안 분기점 - 천안삼거리휴게소 - 천안 나들목 - 망향휴게소 - 북천안 나들목 - 입장휴게소 → (경기도 안성시)
- * 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공주시) ← 남풍세 나들목 - 풍세 요금소 - 남천안 나들목 - 천안 분기점)
- * 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 (충청북도 청주시) ← 천안 휴게소 - 목천 나들목 - 천안 분기점 - 서천안 나들목 → (아산시)
- 국도
- * 국도 제1호선 - 세종특별자치시, 평택시와 연결
-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4호선 - 아산시, 진천군과 연결
- * 국도 제23호선 - 공주시, 논산시와 연결
- * 국도 제43호선 - 아산시, 세종특별자치시와 연결
- 지방도
-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 안성시와 연결
- *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 청주시, 안성시와 연결
-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 아산시, 안성시와 연결
=== 버스 ===
천안종합터미널을 중심으로 시외, 고속 등의 중장거리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8. 1. 철도
경부선과 장항선이 천안시의 서부를 지난다. 경부선은 남북으로 뻗은 형태이며, 장항선은 시의 서부를 통해 아산, 예산, 홍성으로 향한다. 2004년 4월 1일 천안아산역이 개업하였고, 2005년 1월 20일부터 경부선, 2008년 12월 15일부터 장항선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들어와 서울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77] 단국대학교, 상명대학교, 백석대학교가 있는 두정역 인근에서도 전철을 이용해 수도권으로 이동할 수 있다.천안시는 도로뿐만 아니라 천안역과 천안아산역(KTX 고속철도 운행)을 통해 서울과 잘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천안의 여러 지역을 운행한다. 참고로, KTX·SRT가 정차하는 천안아산역은 아산시에 있지만, 시 경계와의 거리는 약 400m이다.
- 한국철도공사
-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경기도 평택시) ← 성환역 - 직산역 - 두정역 - 천안역 → (세종특별자치시)
- *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경부선 직결) ← 천안역 - 봉명역 - 쌍룡역 → (아산시)
- ** 직산역, 두정역, 봉명역, 쌍룡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만 정차한다.
8. 2. 도로
- 고속도로
- * 1호선 경부고속도로: (충청북도 청주시) ← 천안호두 휴게소 - 목천 나들목 - 천안 분기점 - 천안삼거리 휴게소 - 천안 나들목 - 망향 휴게소 - 북천안 나들목 - 입장 휴게소 → (경기도 안성시)
- * 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 (충청북도 청주시) ← 천안 휴게소 - 목천 나들목 - 천안 분기점 - 서천안 나들목 → (아산시)
- * 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공주시) ← 남풍세 나들목 - 풍세 요금소 - 남천안 나들목 - 천안 분기점)
- 국도
- * 국도 제1호선 - 세종특별자치시, 평택시와 연결
-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4호선 - 아산시, 진천군과 연결
- * 국도 제23호선 - 공주시, 논산시와 연결
- * 국도 제43호선 - 아산시, 세종특별자치시와 연결
- 지방도
-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 안성시와 연결
- *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 청주시, 안성시와 연결
-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 아산시, 안성시와 연결
- 경부고속도로
- *천안휴게소(부산 방향만) - 목천 나들목 - 천안분기점 - 천안삼거리휴게소(서울 방향만) - 천안 나들목 - 망향휴게소(부산 방향만) - 북천안 나들목 - 입장휴게소(서울 방향만)
- 논산천안고속도로
- *풍세요금소 - 남천안 나들목 - 천안분기점
- 국도 23호선
8. 2. 1. 버스
천안종합터미널을 중심으로 시외, 고속 등의 중장거리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9. 자매 도시
미국 오리건주 비버튼은 1989년부터 천안시의 자매 도시이다.[78][22]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스자좡 시는 1997년부터 천안시의 자매 도시이다.[78] 이 외에도 터키 뷔유크체크메제, 중국 웨이하이 웬덩이 천안시의 자매 도시이다.[22]
10. 출신 인물
김산호, 원진아, 이선빈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엘리는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작사가이자 K팝 걸그룹 EXID의 멤버이다. 성한빈, 김태래는 K팝 보이그룹 제로베이스원의 멤버이다. 비아이는 K팝 아티스트이자 가수로, 이전에는 아이콘의 멤버였다.
유관순은 일제 강점기에 저항한 대한독립운동 활동가이다. 조병옥, 김승연, 김호연, 예성(슈퍼주니어 멤버), 안영명(한화 이글스 소속), 이상열(LG 트윈스 소속), 구창모(NC 다이노스 소속), 나리타 유타카(덴쓰 전 사장), 신혜성(신화 메인 보컬), LE(EXID), 송한빈(제로베이스원), 김규빈(제로베이스원) 등이 천안시 출신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cheonan mayor
https://www.cheonan.[...]
2024
[3]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 Cheonan
http://www.cheonan.g[...]
2015-02-04
[4]
웹사이트
Korail Korea Railroad
https://web.archive.[...]
2010-11-20
[5]
웹사이트
Tour & Leisure - Cheonan
http://www.cheonan.g[...]
2015-02-04
[6]
웹사이트
우정박물관
https://web.archive.[...]
2010-11-20
[7]
웹사이트
History - Cheonan
http://www.cheonan.g[...]
2015-02-04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9]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11]
웹사이트
http://stat.cheonan.[...]
2016-11
[12]
기타
[13]
웹사이트
Error Report - 독립기념관
http://www.i815.or.k[...]
[14]
웹사이트
http://hcs.go.kr/
[15]
웹사이트
ARARIO GALLERY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http://www.chungnam.[...]
[17]
뉴스
Passion for dancing - United Globe(춤에 대한 열정… 하나된 지구촌)
대전일보
2007-10-12
[18]
뉴스
Yeonhap News
2007-12-26
[19]
위키
March 1st Movement
[20]
웹사이트
http://www.korea.net[...]
2016-11
[21]
뉴스
South Korea's foreigners' prison
http://news.bbc.co.u[...]
news.bbc.co.uk
2010-02-23
[22]
웹사이트
Sisterhood/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cheonan.g[...]
Cheonan
2020-04-14
[2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4]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천안(23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2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천안(23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26]
법률
법률 제1176호 시설치 및 군의 관할구역과 명칭변경에 관한 법률
1962-11-21
[27]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설치 등에 관한 규정
1983-01-10
[28]
법률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05-10
[29]
조례
천안시조례 제508호 읍·면및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1-12-31
[30]
조례
천안시조례 제579호 행정동·리의명칭,관할구역및동·이장정수에관한조례
2003-07-01
[31]
조례
천안시조례 제692호 시청및읍·면·동사무소소재지에관한조례
2005-09-02
[32]
조례
천안시조례 제710호
2006-01-10
[33]
조례
천안시조례 제797호
2007-04-23
[34]
조례
천안시조례 제860호 구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2008-03-21
[35]
조례
천안시조례 제1319호
2013-08-12
[36]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道ノ位置管轄區域及府郡ノ名稱位置管轄區域ノ規定
1913-12-29
[37]
법령
忠清南道令第8号
1917-09-25
[38]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39]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97号
1938-09-27
[40]
법령
忠清南道令第29号
1938-09-27
[41]
법령
法律第1176号 市設置及び郡の管轄区域と名称変更に関する法律
1962-11-21
[42]
법령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73-03-12
[43]
법령
大統領令第6543号 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3-03-12
[44]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45]
법령
大統領令第11772号 京畿道楊州郡檜泉邑等の邑の設置と邑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85-09-26
[46]
법령
天原郡条例第1084号
1988-12-31
[47]
법령
法律第4274号 충청북도제원군등4개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0-12-31
[48]
행정구역
천안시 행정구역 (동남구, 서북구)
[49]
행정구역
천안시 행정구역 (서북구)
[50]
행정구역
천안시 행정구역 (동남구, 서북구)
[51]
웹사이트
천안시 상징물
http://www.cheonan.g[...]
[52]
법령
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13-12-29
[53]
법령
충청남도령 제8호
1917-09-25
[5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55]
법령
법률 제1176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56]
법령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57]
법령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58]
법령
법률 제4274호 충청북도제원군등4개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0-12-31
[59]
법령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05-10
[60]
법령
천안시 조례 제508호 읍·면및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1-12-31
[61]
법령
천안시 조례 제579호 행정동·리의명칭,관할구역및동·이장정수에관한조례
2003-07-01
[62]
법령
천안시 조례 제692호 시청및읍·면·동사무소소재지에관한조례
2005-09-02
[63]
법령
천안시 조례 제710호
2006-01-10
[64]
법령
천안시 조례 제797호
2007-04-23
[65]
법령
천안시 조례 제860호 구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2008-03-21
[66]
법령
천안시 조례 제1319호
2013-08-12
[67]
웹사이트
천안시의 지리
http://www.cheonan.g[...]
2012-04-25
[68]
기상자료
천안 기상 관측소 자료
[69]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천안(23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70]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천안(23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71]
웹사이트
행정구역
http://www.cheonan.g[...]
2018-08-00
[7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2017-06-27
[73]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 내 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74]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75]
웹사이트
천안시 통계 홈페이지
http://stat.cheonan.[...]
[76]
뉴스
천안이 변하고 있다
http://media.daum.ne[...]
한국경제
2012-04-19
[77]
일반
[78]
웹인용
천안시 > 천안소개 > 자매결연/국제교류
http://www.cheonan.g[...]
2008-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