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 문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 문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중원 지역 정복을 목표로 주변 국가들과 빈번하게 전쟁을 벌였다. 그는 즉위 후 주변국을 정벌하며 세력을 확장하여 채나라 애후를 사로잡고, 식나라를 멸망시키고 식부인 규씨(도화부인)를 아내로 맞이하였다. 이후 등나라, 정나라 등을 공격하며 세력을 넓혔으나, 파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황나라를 공격하여 승리한 후 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75년 사망 - 낙성왕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초나라의 군주 - 초 영왕
    초 영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쇠퇴한 초나라의 패권을 재건하려 했으나, 쿠데타로 자결했다.
  • 초나라의 군주 - 웅악
초 문왕
기본 정보
전체 이름성: 미 (羋)
씨족 이름: 웅 (熊)
이름: 자 (貲)
칭호
재위 기간기원전 689년 – 기원전 677년
계승초나라 왕
이전무왕
다음두오
시호문왕 (文王)
개인 정보
아버지무왕
어머니등만
배우자단희
식귀
사망 년도문왕 15년 6월 15일 (기원전 675년 6월 17일)
기타 정보
미 (羋)
웅 (熊)
이름자 (貲)

2. 생애

초 문왕은 중원을 차지하기 위해 주변 국가들과 자주 다투었다. 먼저 가까운 정나라를 공격했으나, 정나라는 혼란 속에서도 방어에 성공하고 초나라와 화친했다. 이후 국경을 맞대고 있는 식나라(息)와 채나라(蔡)를 노렸다.[1]

식후(息侯)와 채 애후(蔡 哀侯)의 부인들은 (陳)나라 진후(陳侯)의 딸들이었다. 그 중 식부인 규씨는 매우 아름다웠는데, 어느 날 친정인 진나라로 가던 중 채나라를 경유하게 되었다. 채 애후는 그녀에게 음담패설을 했고, 크게 노한 식부인 규씨는 남편 식후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식후는 초 문왕에게 채나라를 칠 것을 간청했고, 초 문왕은 이를 기회로 삼았다.[1]

문왕 14년(기원전 676년), 파(巴)나라가 초나라 권읍을 점령했다. 권읍의 윤인 염오의 일족이 반란을 일으키자 파나라가 초나라를 침공했다. 문왕 15년(기원전 675년) 봄, 문왕은 파나라 군대와 싸웠으나 크게 패했다. 육권이 입성을 허락하지 않아 황나라를 공격해 승리했지만, 개선 도중 병에 걸려 붕어했다.

2. 1. 즉위 초

무왕 51년(기원전 690년) 무왕이 붕어하자 뒤를 이어 초왕이 되었다. 문왕 2년(기원전 688년) 군대를 이끌고 을 공격하던 도중 에 들렀는데, 이때 등나라의 삼생이 문왕을 암살하려 했으나 등나라 기후가 막아 실행되지 않았다. 문왕 6년(기원전 684년) 군대를 신에서 격파하고 애후를 사로잡아 돌아왔다. 문왕 10년(기원전 680년) 채나라 애후의 감언이설에 넘어가 식을 공격해 멸망시키고 식기를 데려왔지만, 애후에게 속았음을 깨닫고 채나라를 공격했다. 문왕 12년(기원전 678년) 등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같은 해 가을 을 공격하여 역에 이르렀다.

2. 2. 주변국 정벌

초 문왕은 군대를 일으켜 식나라를 공격했다. 식나라는 동서나라인 채나라에 구원을 요청했고, 채 애후는 군사를 이끌고 식나라를 도우러 갔다. 그러나 이는 식나라와 초나라의 계략이었고, 채 애후는 사로잡혀 초나라로 끌려갔다. 채 애후는 이 모든 것이 식후의 계략임을 알고 원한을 품었다.

초 문왕은 채 애후를 가마솥에 삶아 죽이려 했으나, 충신 육권이 목숨을 걸고 간언하여 채 애후를 살려주었다. 육권은 왕을 범한 죄로 자신의 발을 잘랐고, 초 문왕은 그의 충심에 감동하여 잘린 발을 대부(大府)에 모시게 하고 육권을 치료했다.

채 애후는 초 문왕에게 복수하기 위해 식부인 규씨가 천하 절색이라고 말했다. 초 문왕은 식부인 규씨를 차지하기 위해 식나라를 방문, 식후를 사로잡고 식부인 규씨를 아내로 삼았다. 식나라는 멸망하고 초나라에 편입되었으며, 식후는 분사했다. 이후 사람들은 식부인 규씨를 도화부인(桃花夫人)이라 불렀다. 도화부인은 초 문왕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낳았는데, 둘째 아들 웅운(熊惲)이 훗날 초 성왕이 된다.

기원전 684년, 초 문왕은 군대를 이끌고 채나라를 공격하여 채 애후를 사로잡았다.[1] 기원전 680년, 채나라 애후의 꾐에 넘어가 식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식기를 데려왔으나, 속았음을 깨닫고 다시 채나라를 공격했다.[1] 기원전 678년에는 등나라를 멸망시켰다.[1]

2. 3. 도화부인(桃花夫人) 이야기

성공의 둘째 딸인 식부인 규씨는 매우 아름다워 그 모습이 복숭아꽃 같았다. 어느 날 식부인 규씨가 친정인 진나라로 가던 중 채나라를 경유했는데, 채 애후는 그녀에게 음담패설을 늘어놓았다. 크게 노한 식부인 규씨는 자리를 박차고 떠났고, 돌아와 남편 식후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1] 화가 난 식후는 초 문왕에게 채나라를 칠 것을 간청했고, 초 문왕은 식나라를 치는 척하며 채나라를 공격해 채 애후를 사로잡았다. 이는 식나라와 초나라의 계략이었다.[1]

채 애후는 복수심에 초 문왕에게 식부인 규씨가 천하절색이라고 말했고, 초 문왕은 식나라를 멸망시키고 식부인 규씨를 아내로 삼았다. 이후 사람들은 식부인 규씨를 도화부인(桃花夫人)이라 불렀다.[1] 도화부인은 초 문왕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낳았는데, 둘째 아들 웅운이 훗날 초 성왕이 되었다.[1]

도화부인은 3년 동안 초 문왕에게 말을 하지 않았고, 초 문왕은 채나라를 쳐들어가 채 애후를 항복시켰다.[1]

2. 4. 파나라와의 전쟁과 최후

어쨌든 도화부인은 3년 동안 초 문왕에게 말 한마디 하지 않았다. 초 문왕이 묻자, 도화부인은 팔자를 두 번 고친 사람이 왜 말을 하겠느냐며 눈물을 흘렸다. 초 문왕은 당황해하며 이것이 채나라 때문이라며 쳐들어가 채 애후를 잡아 항복시켰다. 초 문왕은 많은 물품과 보물을 가지고 돌아갔다. 그 후 그는 다른 나라를 침공했는데, 전투에서 뺨에 화살을 맞고 부상당했다. 그래서 패배하여 수도 영으로 돌아왔는데, 성을 지키는 충신 육권이 패배한 군대에게는 성문을 열어 줄 수 없으니 다만 조공을 오랫동안 바치지 않은 황나라를 이기고 온다면 받아들이겠다고 답했다.

문왕 14년(기원전 676년), 파나라 사람들이 초나라의 권읍을 점령했다. 권읍의 윤인 염오가 도망친 일로, 문왕은 염오를 처형했다. 이 때문에 염오의 일족이 반란을 일으켰고, 파나라 사람들은 이를 틈타 초나라를 침공했다. 문왕 15년( 기원전 675년) 봄, 문왕은 파나라 군대를 맞이했으나, 진에서 크게 패했다. 그래서 초 문왕은 황나라를 치는데, 그것이 마지막이었음을 육권도 초 문왕도 몰랐다. 황나라군을 이기고 승리해서 돌아오는데, 그날 밤 꿈에 죽은 식후가 나와 산발한 머리로 외쳤다.

"내 너에게 무슨 죄를 졌길래 나를 죽게 했느냐, 왜 남의 부인을 뺐고 내 나라를 멸망 시켰느냐, 내 이미 너의 죄를 상제(上帝)께 아뢰었다."

라고 말하고는 다친 뺨을 때렸다. 초 문왕은 비명을 지르며 터진 상처의 피고름이 너무 아파 그날 밤으로 죽고 말았다. 그리하여 장자 웅간이 왕위에 오르니, 그가 도오이다. 물러나려 했지만, 육권이 입성을 허락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황으로 진격하여 황 군대를 척릉에서 격파했다. 개선하는 도중 추에서 병에 걸려, 6월 경신일에 붕어했다. 재위 15년.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식규도화부인. 원래 진(陳)나라 사람으로 식후비(息侯妃)였으나, 후에 식채 양국이 초나라에 멸망하여 초 문왕의 시중을 들게 되었다. 채 애후는 그녀를 천하제일 미녀로 불렀다.
식궤진나라 공주[1]
단희
자녀웅간식규 소생. 초 문왕의 뒤를 이었다. 나중에 동생에게 죽임을 당했다.
자녀웅운식규 소생. 웅간이 즉위하고, 웅운은 나라를 잃고 도망쳤으며,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초나라의 왕이 되었다.
자녀저오식규의 아들[1]
자녀성왕식규의 아들[1]
자녀문미(文羋)정 문공의 첩, 정의 문공에게 시집갔다.[1]
자녀江芈|강미중국어강미(江羋), 강의 군주에게 시집갔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