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성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 성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군주로, 초 도오를 죽이고 자립하여 즉위했다. 그는 즉위 초 덕치를 베풀고 주변 제후들과 우호 관계를 맺었으며, 주 왕실에 조공하여 남방을 안정시키는 명을 받았다. 이후 영토를 확장하여 초나라를 강성하게 만들었으나, 제 환공과의 대립과 송나라와의 홍수 전투, 진 문공과의 만남 등을 거치며 점차 교만해졌다. 말년에는 태자 상신과의 갈등으로 반란이 일어나 곰 발바닥 요리를 먹는 척하며 시간을 벌려 했으나 결국 죽임을 당했다. 그의 사후 아들 초 목왕이 즉위하였고, 시호는 성으로 정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해된 기원전 7세기 군주 - 아몬 (유다 왕국)
므낫세의 아들인 아몬은 유다 왕국의 15대 왕으로, 22세에 즉위하여 2년간 통치하며 아버지의 우상 숭배 정책을 따랐으나 신복들의 반역으로 암살당하고 그의 아들 요시야가 왕위를 이었다. - 살해된 기원전 7세기 군주 - 제 의공
제 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형을 살해하고 즉위했으나 폭정과 사치로 민심을 잃어 재위 4년 만에 살해당한 폭군이다. - 강제로 자살한 중국 사람 - 태평공주
태평공주는 당 고종과 측천무후의 딸로, 무측천 시대부터 현종 시대까지 정치에 깊이 관여하며 권력을 행사했지만, 현종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강제로 자살한 중국 사람 - 사마륜
사마륜은 서진의 황족으로, 조카인 진 혜제를 폐위하고 황제에 올랐으나 3개월 만에 반란으로 체포되어 자결하며 서진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초 성왕 | |
---|---|
기본 정보 | |
![]() | |
휘 | 웅윤 |
씨 | 웅(熊) |
성 | 미(羋) |
시호 | 성왕(成王) |
통치 정보 | |
왕조 | 초 |
재위 기간 | 기원전 671년 - 기원전 626년 |
수도 | 영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문왕 |
어머니 | 식규 |
배우자 | 정모 |
기타 정보 | |
몰년 | 기원전 626년 9월 15일 |
2. 생애
형 도오를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다.
즉위 초, 안으로는 덕정을 베풀고 밖으로는 제후들과 우호관계를 맺으며 남쪽으로 영토를 넓혔다. 여러 차례 군사를 이끌고 중원으로 가 제(齊)나라와 패권을 다투었다.[1][4] 제 환공 사후, 송나라 양공이 주최하는 회맹에 초청받았으나, 소국이 자신을 초청한 것에 불만을 품고 자옥을 보내 양공을 크게 모욕했다. 이후 송나라와 홍수에서 전투를 벌여 승리했다. ('''송양지인''' 참고)
정나라를 초나라의 영향권 안에 두었으나, 점차 교만해져 정나라 임금의 두 딸을 첩으로 삼는 등 패륜적인 행위를 저질렀다.
진나라 공자 중이가 망명해 오자 제후의 예로 대접하고, 훗날 진나라 왕이 되면 어떻게 보답할 것인지 물었다. 중이는 "만약 진과 초의 양군이 중원에서 만나게 된다면, 저희 군은 삼사(1사는 하루 행군의 거리)를 물러나겠습니다."라고 답했다. 기원전 638년 성복 전투에서 이 약속은 지켜졌고, 초군은 대패했다.
기원전 626년, 서자 직(職)을 총애하여 태자 상신(商臣)을 폐하려 하자, 상신이 반란을 일으켜 성왕에게 자결을 강요했다. 성왕은 웅번(熊蹯) 요리를 먹고 죽겠다고 청하며 시간을 끌려 했으나, 반숭이 허락하지 않고 성왕을 살해했다.
2. 1. 즉위와 초기 통치
기원전 672년, 도오 웅간이 사냥을 나갔을 때 습격해서 죽이고 자립했다.즉위 후 안으로는 덕정을 베풀었고, 밖으로는 제후들과 우호관계를 맺었으며, 주 왕실에 조공하여 "남방을 진정시키라"는 명을 받았다. 이후 적극적으로 주변 국가들을 병합하여 남쪽으로 1천 리에 달하는 영토를 개척했다.[1][4]
초나라가 급속도로 강성해지는 것을 우려한 제(齊)나라의 재상 관중은 제 환공에게 이를 토벌할 것을 건의했다. 결국 성왕도 패자 제 환공의 군대에는 대적하지 못하고 화해하여 제(齊)나라가 주최하는 회맹에 참여했다.
2. 2. 제나라와의 관계
초 성왕은 초 문왕과 식규 사이에서 태어났다.[1] 기원전 672년(장오 5년), 웅윤은 형인 도오(장오)에게 살해당할 위기에 처해 수(隨)로 망명했다.[1] 웅윤은 수(隨)의 백성들의 도움을 받아 도오를 습격하여 살해하고, 초나라 왕으로 즉위했는데, 이가 성왕이다.[1]초나라가 급속도로 강성해지는 것을 우려한 제(齊)나라의 재상 관중은 제 환공에게 초나라를 토벌할 것을 건의했다.[3] 결국 성왕도 패자 제 환공의 군대에는 대적하지 못하고 화해하여 제(齊)나라가 주최하는 회맹에 참여했다.[3]
2. 3. 송나라와의 갈등과 홍수 전투
기원전 638년, 제 환공이 죽자 송의 양공이 회맹을 주재하려 하여 성왕을 초청했으나, 성왕은 "소국인 송이 나를 초청하다니 무례하다"라고 말하고 장군 자옥을 파견하여 회맹 자리에서 양공을 크게 욕보였다. 자옥은 이때의 공으로 훗날 영윤이 되었다.그 후 송나라는 설욕을 위해 초나라에 전쟁을 걸었고, 양군은 홍수에서 격돌했다. (홍수의 전투) 양공이 초나라 군대가 강을 건너기까지 공격을 시작하지 않아 송나라 군대는 처참하게 패했다. ('''송양지인'''의 고사)
2. 4. 진 문공과의 만남
진나라 공자 중이가 초나라에 망명해 오자, 초 성왕은 그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제후의 예로 대접했다. 성왕은 중이에게 훗날 진나라 왕이 되면 어떻게 보답할 것인지 물었고, 중이는 "대왕께서는 모든 것을 가지고 계신데, 무엇으로 사례를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라고 답했다. 성왕이 "그래도 꼭 듣고 싶소"라고 하자, 중이는 "만약 제가 진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어, 그 후에 진과 초의 양군이 중원에서 만나게 된다면, 저희 군은 삼사(1사는 하루 행군의 거리)를 물러나겠습니다. 그래도 용서받지 못한다면 한 번 싸우겠습니다"라고 대답했다.이를 들은 자옥은 중이를 죽일 것을 제안했으나, 성왕은 "안 된다. 공자는 예를 지키고 현신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것은 하늘이 공자를 돕고 있기 때문이다. 하늘은 진을 일으키려 한다. 누가 그것을 막을 수 있겠는가. 천의에 따르지 않으면 화를 면할 수 없다"라고 대답했다. 자옥이 호언을 인질로 잡을 것을 제안하자, 성왕은 "그러면 예에 어긋나는 일이 된다"라고 말했다.
혜공이 죽고 회공이 즉위하자, 성왕은 중이를 후하게 대접하여 진으로 돌려보냈다.
2. 5. 성복 전투
기원전 638년, 초 성왕이 송나라를 공격하자, 진나라 문공이 송나라를 지원했다. 성왕은 진 문공과의 싸움을 피하려 했으나, 영윤 자옥은 전투를 강행했다. 성왕은 "중이(重耳, 진 문공의 이름)는 오랫동안 망명했지만, 하늘의 뜻으로 귀국했다. 하늘의 뜻을 거스를 수는 없다"라고 말했지만, 자옥은 "억지로 공을 세우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저는 악담을 했던 입을 막아주고 싶습니다" (과거 자옥을 '300승 이상의 군대를 이끌 만한 그릇이 아니다'라고 평했던 위가를 되돌려주고 싶습니다)라고 말하며 끈질기게 싸움을 원했다. 이에 성왕은 노하여 자옥에게 소수의 병력만 남기고 귀국했다. 결국 초군은 성복에서 진군에게 대패했고(성복 전투), 자옥은 패전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다.2. 6. 최후
기원전 626년, 성왕은 서자인 직(職)을 총애하여 태자 상신(商臣)을 폐하고 직을 세우려고 했다. 태자의 스승인 반숭(潘崇)이 상신을 충동질하여 반란을 일으키게 했고, 반숭은 군사를 거느리고 궁을 에워싸고 내실로 들어가 성왕에게 자결을 강요하였다. 성왕은 자신을 따르는 무리가 반란을 진압하러 올 때까지 기다리려고 일부러 조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웅번(熊蹯, 곰 발바닥) 요리를 먹고 죽겠다고 청했다. 그러나 반숭은 이를 듣지 않고 성왕의 허리띠로 목을 졸라 죽였다.상신은 투월초(鬪越椒)를 시켜 동생 직을 죽이고 목왕으로 즉위하였다. 목왕은 성왕의 장례를 치르고 그를 폄하하기 위해 영(靈)으로 시호를 정하려고 했으나, 영 자에는 불명(不冥)의 의미가 있고, 성(成) 자에는 명(冥)의 의미가 있다고 하여 성으로 정하였다.
3. 평가
초 성왕은 즉위 초 덕정을 베풀고 제후들과 우호 관계를 맺으며 남쪽으로 영토를 넓히는 등 적극적인 내정과 외교를 펼쳐 초나라를 강대국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기원전 638년에는 송 양공과의 홍수 전투에서 승리하고 정나라를 영향권 아래 두는 등 군사적 업적도 남겼다.
하지만, 송 양공과의 갈등이나 정나라 임금의 딸들을 첩으로 삼는 등 외교적 판단에서 미숙함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점들은 당시 선비들로 하여금 성왕의 끝이 좋지 않을 것을 예견하게 하였다.
말년에 성왕은 총애하는 서자 직(職)을 태자로 세우려다, 기원전 626년 태자 상신(商臣)의 반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태자의 스승 반숭(潘崇)이 상신을 부추겨 반란을 일으켰고, 성왕은 웅번(곰 발바닥) 요리를 먹고 죽겠다고 시간을 끌었으나 허락되지 않고 목 졸려 살해당했다.
4. 가족 관계
熊摯|웅지중국어의 형은 초 도오이며, 아버지는 초 문왕, 어머니는 식규(息嬀)이다.[1] 성왕은 자신의 외조카 둘을 첩으로 삼았다.[1] 성왕은 서자인 공자 직을 총애하여 태자를 폐하고 직을 세우려 하였으나, 초 목왕이 공자 직을 죽였다.[1]
참조
[1]
Shiji
[2]
서적
"Zuo Tradition. ''Zuozhuan. ''左傳: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http://www2.iath.vi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6
[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M.E. Sharpe, Inc
[4]
문서
春秋左氏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