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촌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촌어족은 남아메리카의 언어 분류로, 셀크남어, 테우엘체어, 하우쉬어 등을 포함하는 가설적 어족이다. 20세기 인류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셀크남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셀크남어는 1970년대에 사멸되었다. 테우엘체족은 19세기 말 아르헨티나 정부의 파타고니아 원주민 학살로 인구가 급감하여 테우엘체어는 2019년 사멸된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학자들은 테우셴어를 촌어족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푸엘체어 역시 촌어족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촌어족 - 테우엘체어
    테우엘체어는 초난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3개의 모음 음질과 25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며 명사와 동사 범주를 포함하는 형태론적 특징을 보인다.
  • 촌어족 - 셀크남어
    셀크남어는 남부 촌어족에 속하며 하우쉬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 멸종 위기 언어로, OVS 어순을 사용하고 티에라델푸에고 제도의 셀크남족이 사용했으나 앙헬라 로이의 사망 후 멸종 위기에 놓여 현재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며, /a, ɪ, ʊ/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진다.
  • 아르헨티나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아르헨티나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 칠레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칠레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촌어족
언어 정보
이름촌어족
다른 이름파타고니아어족
지역파타고니아
계통 색아메리카
추정 계통모세텐-촌어족 ?
Glotto 코드chon1288
Glotto 참조 이름Chonan
사멸 여부사멸
사멸 시기2019년
헤트어, 귄나 야지치 (푸엘체어), 촌어족
헤트, 귄나 야지치 (푸엘체), 그리고 고유 촌어족
하위 분류
하위 어족 1고유 촌어족 †
하위 어족 2푸엘체-헤트어족 †
구성 언어 1테우엘체어
구성 언어 2셀크남어 (오나)
구성 언어 3하우시어 (마네켄크)
구성 언어 4테우센어 ?
구성 언어 5푸엘체어
구성 언어 6헤트어 ?

2. 역사와 인구 통계

20세기 동안 마르틴 구신데와 앤 채프먼과 같은 인류학자들이 셀크남족에 대한 연구를 광범위하게 진행했다. 하지만, 셀크남어는 1970년대에 사멸되었다.[1]

북부 테우엘체족마푸체족에게 정복당하여 파타고니아의 아라우카나화 과정에서 동화되었다. 약 170만 명의 마푸체족이 칠레아르헨티나 남서부에 거주하고 있다. 남부 테우엘체족은 웨일스인 정착민들과 평화롭게 교역했다. 일부 테우엘체족은 웨일스어를 배웠고 자녀들을 교육을 위해 정착민들에게 맡기기도 했다. 이들에 대한 훌륭한 사진 기록이 남아있다. 그러나 19세기 말, 아르헨티나 정부가 지원한 파타고니아의 집단 학살로 테우엘체족 인구가 급감했다.[1] 1900년경 테우엘체어 화자는 약 5,000명이었으나, 2005년에는 20명 정도만 남았다. 테우엘체어는 2019년에 사멸한 것으로 간주된다.

3. 분류

하우시어는 오나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했다. 일부 학자들은 테우셴어를 촌어족에 포함시키기도 하는데, 테우셴족은 테우엘체족과 푸엘체족 사이에 위치했다. 하지만 입증된 자료가 부족하다. 비에가스 바로스(2005)는 푸엘체어가 촌어족과 관련이 있으며, 확장된 촌어족의 한 갈래를 구성한다고 주장했다. 라일 캠벨은 비에가스 바로스의 제안을 수용했다.[2] 희소한 증거를 바탕으로, 헤트족(최소한 디디우헤트)은 푸엘체 계열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3. 1. 촌어족의 계통 (가설)

하우시어는 오나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언어군에 테우셴어를 추가하기도 하는데, 이 언어는 테우셴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테우엘체족과 푸엘체족 사이에 위치했다. 하지만 입증된 자료가 부족하다.

비에가스 바로스(2005)는 북쪽의 푸엘체어가 촌어족과 관련이 있으며, 확장된 촌어족의 한 갈래를 구성한다는 것을 증명하려 시도했다. 이러한 제안은 라일 캠벨에 의해 받아들여졌다.[2] 현재 이용 가능한 희소한 증거를 바탕으로 볼 때, 헤트족(또는 적어도 디디우헤트)은 제안된 푸엘체 계열 언어를 사용했을 수 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촌어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촌어족
  • 촌어
  • 오나어(셀크남)
  • 하우시어(마네켄크)
  • 대륙
  • 테우엘체어
  • 테우셴어
  • 푸엘체-헤트
  • 푸엘체어(구누나 퀴네)
  • ? 헤트어(디디우헤트; 탈루헤트와 체체헤트는 입증되지 않음)

4. 어휘

로우코트카는 파타고니아 (초난)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어휘들을 나열했다.[3]

4. 1. 기본 어휘 비교

로우코트카(1968)가 제시한 파타고니아(초난) 언어의 기본 어휘 비교는 다음과 같다.[3]

셀크남어마네켄크너테우에쉬어페에네켄어아오니켄어
하나shórshsetaulxáukenháukechochä
shókiaimxaukáyaxoxiegxánkä
shünshunóshánshaʔashán
orxánktnkorrurrhor
chenshakutchankʔchenchen
yulhaliékelkelkel
krenaniánsheuensheuensheuen
kreanimteruchkenginkonkängünkon
uéshnishnaxelxénoeshamehuenxälänuü


참조

[1] 서적 Language diversity endangered Walter de Gruyter 2007
[2] 간행물 "The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languages. In Campbell & Grondona (eds.), ''South America''" https://web.archive.[...] Mouton de Gruyter
[3]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1968
[4] 서적 Language diversity endangered Walter de Gruyter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