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라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라니어는 파라과이, 볼리비아, 아르헨티나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특히 파라과이에서는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고전 과라니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예수회 선교 활동과 독재 정권의 언어 정책을 거치면서 독특한 역사를 지니게 되었다. 과라니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해졌으며, 고유한 문자 체계와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이며, 명사, 대명사, 동사의 다양한 형태 변화를 보인다. 또한, 영어 어휘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문학 작품과 관련 기관을 통해 언어의 보존과 발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피어족 - 고대 투피어
고대 투피어는 16세기 브라질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투피남바족 언어로, 포르투갈어의 영향으로 어순이 변화하고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파라과이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볼리비아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볼리비아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과라니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과라니어 |
고유 이름 | avañeʼẽ |
발음 | /aʋaɲẽˈʔẽ/ |
다른 이름 | 파라과이 과라니어 |
사용 민족 | 과라니족 파라과이인 |
사용 국가 | 파라과이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
사용 지역 | 남아메리카 |
전체 사용자 수 | 654만 명 (2020년) |
문자 | 과라니어 알파벳(로마자) |
공용 국가 | 파라과이 볼리비아 |
공용 지역 | 아르헨티나의 코리엔테스 주 브라질의 마투그로수두술 주의 타쿠루 |
언어 관리 기관 | 파라과이 Guarani Ñe’ẽ Rerekuapavẽ |
ISO 639-1 | gn |
ISO 639-2 | grn |
ISO 639-3 | gug |
글롯로그 | para1311 |
링구아 | 88-AAI-f |
주의 | IPA |
언어 계통 | |
어족 | 투피어족 |
어파 | 투피-과라니어족 |
하위 어군 | 과라니어 (I)어군 |
방언 | 조파라 코리엔테스 과라니어 (타라구이) 서부 볼리비아 과라니어 (심바) 동부 볼리비아 과라니어 (차운쿠) 아바 과라니어 (치리파) 므비아 과라니어 |
기타 | |
![]() | |
메르코수르 언어 | 메르코수르의 언어 중 하나로 인정됨 |
코리엔테스 주 공용어 | 코리엔테스 주에서 '공식 대체 언어'로 지정됨 |
2. 역사
고전 과라니어는 광대한 선교 지역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던 언어였지만, 파라과이 과라니어는 예수회 감축지 외부에서 기원했다. 예수회는 인디오에 대한 로마 가톨릭 선교를 과라니어으로 진행했으며, 예수회 선교소와 같은 자치 공동체에서도 과라니어가 사용되었다. 또한 과거 파라과이를 지배했던 여러 독재자들이 국경을 폐쇄했기 때문에 국내 문화와 언어는 보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렇게 과라니어는 활력을 유지하며 살아남아 공용어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2. 1. 기원
최근 학문적 연구에 따르면 과라니어는 예수회 감축지 안팎을 막론하고 식민지 시대 파라과이의 주요 언어였다. 18세기 예수회 추방 이후, 감축지 주민들은 점차 북쪽과 서쪽으로 아순시온으로 이동했는데, 이러한 인구 이동은 식민지 남부와 동부 지역에서 선교사들이 사용하던 예수회 방언에서 뚜렷하게 일방적인 변화를 가져왔다.[10][11]대체로 예수회의 고전 과라니어는 스페인어에서 직접적인 음운 차용을 피했다. 대신 선교사들은 과라니어 접사의 성격을 이용하여 새로운 정확한 번역이나 역어 용어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예수회는 유럽의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복잡하고, 매우 종합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12] 반대로, 선교지 외부에서 사용되던 과라니어는 스페인어 표현이 자유롭고 규제되지 않은 흐름을 특징으로 했다. 스페인어 단어와 구문이 최소한의 음운 적응을 거쳐 과라니어에 통합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 현상의 좋은 예는 "성찬"이라는 단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수회는 그들의 접사 전략을 사용하여 이 단어를 Tupârahava|투파라하바gn로 번역했는데, 이는 "하느님"을 의미하는 Tupâ|투파gn라는 단어를 기반으로 한 역어이다.[13] 현대 파라과이 과라니어에서는 같은 단어를 komuño|코무뇨gn로 표현한다.[14]
감축지에서 이주한 후,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과라니어 방언은 처음으로 광범위한 접촉을 하게 되었다. 대다수의 화자들은 구어체가 아닌 엄격하게 규제된 예수회 방언 대신 파라과이 화자들의 실제 사용에서 진화한 변종을 선호했다.[15] 이 현대적인 구어 과라니어는 과라니어로 "혼합"을 의미하는 호파라로 알려져 있다.
2. 2. 정치적 상황

파라과이 과라니어는 독립 이후 대부분의 역사에서 파라과이 정부에 의해 억압받아 왔으며, 100년 이상 국립학교에서 금지되었다. 그러나 포퓰리스트들은 종종 언어에 대한 자부심을 이용하여 민족주의적 열정을 고취시키고 사회적 통합이라는 서사를 홍보했다.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너(Alfredo Stroessner) 독재 정권 동안, 그의 콜로라도당(Colorado Party)은 스트로에스너 자신이 과라니어로 연설한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파라과이인들에게 호소하기 위해 이 언어를 사용했다.[16] 파라과이 민주주의의 도래 이후인 1992년, 과라니어는 새로운 헌법에서 스페인어와 동등한 언어로 확립되었다.[5]
스페인어와 과라니어의 혼합어인 조파라(Jopará)는 파라과이 인구의 약 90%가 사용한다. 두 언어 간의 코드 전환은 공식 및 비즈니스 관련 사항에는 스페인어가 더 많이 사용되고, 예술과 일상생활에는 과라니어가 더 많이 사용되는 스펙트럼에서 일어난다.[17]
과라니어는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코리엔테스 주(Corrientes Province)의 공식 언어이기도 하다.
3. 분류
과라니어는 연구자들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Rodrigues (1984/85)는 형태론적·음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투피-과라니어족 하위 7개 언어군 중 첫 번째 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46]
- 구구아라니어(Guarani Antigo)
- 음비아어(Mbya)
- 셰테어(Xeté (Serra dos Dourados))
- 냔데바어(Ñandéva; 다른 이름: 치리파어(Txiripá))
- 카이와어|Kaiwá language|카이와어영어(다른 이름: 카요바어 (Kayová))
- 파이어(Pai Tavytera language|Pai Tavytera language|파이어영어) (Pãi)
- 파라과이 구아라니어(Guarani Paraguaio)
- 구아야키어|Aché language|구아야키어영어(Guayaki)
- 타피에테어(Tapieté)
- 치리구아노어(Chiriguano; 다른 이름: Ava)
- 이소세뇨어(Izoceño; 다른 이름: 차네어 (Chané))
Kaufman (1994)는 다음과 같은 분류를 제시했다.
I. 투피-과라니어족(Tupí-Guaraní family)
- A. 구아라니어군(Guaraní group)
- * 1. 구아라니어(지역)(Guaraní language (area))
- ** 카잉구아 방언(Kaingwá)
카이와(Kaiwá, 다른 이름: 카요바 (Kayová))
파이(Pãi, 다른 이름: 파니(Pany))
타뷔테란(Pai Tavytera language|Pai Tavytera language|타뷔테란영어)
- ** 볼리비아 구아라니 방언(Bolivian Guaraní)
- ** 파라과이 구아라니 방언(Paraguayan Guaraní)
호파라|Jopara language|호파라영어(Jopará)
- ** 치리파-냔데바 방언(Chiripá-Nyandeva)
치리파(Chiripá)
냔데바(Nyandéva)
- ** 치리구아노 방언 복합체/신생 언어(?) (Chiriguano; 동의어: 아바 (Avá))
타피에테(Tapieté (= 냐나이구아 Nyanaigua))
치리구아노-차네-이소세뇨 (Chiriguano-Chané-Isosenyo (= 타피 Tapyi))
- ** 음비아 구아라니 방언|Mbyá Guaraní language|음비아 구아라니 방언영어()
- * 2. 셰타어|Xeta language|셰타어영어(Shetá)
- * 3. 구아야키어(Guajakí)
Lewis et al. (2015a, b, c, d, e, f)는 구아라니어라는 이름이 붙은 언어를 다음 5가지로 세분화했다.
- 아바 구아라니어(Ava Guaraní; 다른 이름: 치리파어 (Chiripá, Txiripá), 냔데바어 (Ñandeva)[47], Apytare; ISO 639-3: nhd)
- * 아파포쿠바 방언(Apapocuva)
- 서부 볼리비아 구아라니어(Western Bolivian Guaraní; ISO 639-3: gnw)
- 동부 볼리비아 구아라니어(Eastern Bolivian Guaraní; 경멸적인 표현: "치리구아노어" (Chiriguano); ISO 639-3: gui)
- * 아바 방언(Ava)
- * 이소세뇨 방언(Izoceño)
- * 차네 방언(Chané)
- 파라과이 구아라니어(Paraguayan Guaraní; ISO 639-3: gug)
- * 호파라 방언(Jopará)
- 음비아 구아라니어(Mbyá; ISO 639-3: gun)
- * 바티콜라 방언(Baticol)
- * 탐베오페 방언(Tambéopé)
파라과이 구아라니어의 하위 분류로 자주 언급되는 호파라(방언)는 스페인어 요소가 혼합된 도시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구아라니어이다.[48][49]
4. 문자 체계
과라니어는 비교적 최근에 문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사용되는 과라니어 알파벳은 기본적으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두 개의 분음 부호와 여섯 개의 이중자를 추가한 체계이다.[50] 정서법은 매우 음소적이며, 각 문자는 스페인어와 비슷한 음가를 가진다.
모음 문자는 Y를 포함해 여섯 글자이며, 각각 예각 악센트 부호를 사용하여 강세를 표시한다(Á/á, É/é, Í/í, Ó/ó, Ú/ú, Ý/ý). 하지만 이러한 강세가 있는 글자는 무강세인 것과 같은 문자로 취급된다. 또한, 틸데도 많은 문자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N/n에 틸데를 붙여 Ñ/ñ으로 하면, 스페인어와 마찬가지로 경구개 비음을 나타낸다. 틸데가 붙은 모음 문자는 포르투갈어처럼 비음임을 나타낼 수 있다(Ã/ã, Ẽ/ẽ, Ĩ/ĩ, Õ/õ, Ũ/ũ, Ỹ/ỹ).
과라니어 알파벳의 특징적인 표기로, 틸데에 의해 비음화된 연구개 자음 G/g, 즉 연구개 비음인 G̃/g̃이 있다. 이것은 20세기 중반에 비교적 최근에 과라니어에 도입되었으며, 그 사용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또한 이 문자는 유니코드에서도 정규 합성으로 처리되지 않아, 분음 부호가 충분히 지원되지 않는 컴퓨터나 글꼴을 사용할 경우 사진식자에 어려움이 있거나 컴퓨터상의 표시가 완전히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강세는 비음을 포함하는 단어에서는 비음에 놓인다.[64] 비음이 없다면 강세가 있는 음절에, 그것도 없다면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5. 음운론
과라니어의 음절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거나 모음만으로 구성된다.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이나 두 개 이상의 자음이 연속되는 음절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C)V'로 표현된다.
성문 폐쇄음(glottal stop)은 과라니어(pusogn)로 모음 사이에만 표기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도 음운론적으로 나타난다.[19] 이 때문에, 어떤 단어들은 서로 가까이 여러 개의 성문 폐쇄음을 가지게 되고, 그 결과 여러 가지 동화 현상을 겪는다. 예를 들어, "나는 물을 마신다"라는 뜻의 ʼaʼyʼugn는 hayʼugn로 발음된다. 이는 과라니어의 역사에서 정규적인 음운 변화 과정으로부터 동사 형태의 불규칙성이 유래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성문 폐쇄음이 생략되는 정도에 따라 변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예: "내가 가져온다"를 의미하는 aruʼuka > aruuka > arukagn). 단어 내부의 성문 폐쇄음은 두 번째 구성 요소가 모음으로 시작하는(따라서 성문 폐쇄음으로 시작하는) 어근이었던 화석화된 합성어에서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과라니어는 비음 조화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비음 음절은 비음 모음으로 구성되며, 자음이 유성음인 경우 비음 동소를 취한다. 강세 음절이 비음인 경우, 비음성은 구강음인 강세 음절을 만날 때까지 양쪽 방향으로 확산된다. 여기에는 접사, 조사, 그리고 합성어가 포함된다. 무성 자음은 비음 동소를 가지지 않지만, 비음성의 확산을 방해하지는 않는다.[20]
예를 들어,
: →
: →
그러나 구강 모음을 가진 두 번째 강세 음절은 비음화되지 않는다.
: →
: → [20]
즉, 강세 모음이 하나인 단어의 경우, 모든 유성 음소는 구강음이거나 비음이 되는 반면, 무성 자음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강음 와 비음 를 비교해 볼 수 있다.
5. 1. 자음
과라니어는 다양한 자음을 가지며, 일부 자음은 소리가 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소리난다. 유성 자음은 구강 모음 앞과 비음 모음 앞에서 다른 소리를 낸다. 전비음화 자음도 존재한다. 일부 자음은 스페인어에서 유래했다. 성문 폐쇄음은 모음 사이에만 표기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도 나타난다.[18]- 유성음: 입안에서 울림이 있는 소리.
- 구강: 입.
- 동소이음: 같은 자음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소리나는 현상.
- 비음화: 코를 통해 소리가 나는 현상.
- 전비음화: 자음 앞에서 코를 통해 소리가 나는 현상.
- 성문 폐쇄음: 성문을 닫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유성음 자음은 구강 모음 앞에서는 구강 동소이음을, 비음 모음 앞에서는 비음 동소이음을 갖는다. 유성 파열음의 구강 동소이음은 전비음화된다. 도 있다. 떨림음 , 그리고 자음 , , 는 과라니어 고유음이 아니고 스페인어에서 유래했다.
구강 는 지역에 따라 , , , 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지만, 비음 동소이음은 항상 이다. 등후치 마찰음은 와 사이에서 자유롭게 변한다.
ges, gues는 마찰음이 아니라 유음이지만, 스페인어 관례대로 , 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gues는 로도 표기되는데, 이것은 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성문 폐쇄음은 과라니어(Guarani)로 pusogn라고 하며, 모음 사이에만 표기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도 음운론적으로 나타난다.[19]
5. 2. 모음
과라니어는 6개의 구개 모음과 6개의 비음 모음을 가진다. 는 스페인어 및 IPA 표기와 거의 일치하지만, 때때로 개방 중모음 , 가 더 자주 사용된다. 문자 는 중설 비원순 고모음 를 나타내며, 이는 폴란드어와 유사하다.
비음을 고려하면 모음 체계는 완벽하게 대칭적이며, 각 구개 모음은 그에 상응하는 비음을 가지고 있다. 비음을 가진 대부분의 체계는 구개음보다 비음이 적다.
5. 2. 1. 비음 조화
과라니어는 특이할 정도로 강한 비음 조화를 보인다. 비음 음절은 비음 모음으로 구성되며, 자음이 유성음인 경우 비음 동소이음을 취한다. 강세 음절이 비음인 경우, 비음성은 구강음인 강세 음절을 만날 때까지 양쪽 방향으로 확산된다. 여기에는 접사, 조사, 그리고 합성어가 포함된다.[20] 무성 자음은 비음 동소이음을 가지지 않지만, 비음성의 확산을 방해하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 →
: →
그러나 구강 모음을 가진 두 번째 강세 음절은 비음화되지 않는다.
: →
: → [20]
즉, 강세 모음이 하나인 단어의 경우, 모든 유성 음소는 구강음이거나 비음이 되는 반면, 무성 자음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강음 와 비음 를 비교해 볼 수 있다.
과라니어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비음조화(nasal harmony영어)를 가진 언어이다. 모든 단어는 어근에 아래의 변이음을 하나라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비음과 구음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특정 음소가 "비음"인 단어에 나타날 때는 반드시 비음화된 변이음이 나타나고, "구음"인 단어에는 비음화된 변이음이 나타나지 않으며, 비음과 비비음인 변이음이 함께 나타나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ã - ẽ - ĩ - õ - ũ - ỹ - g̃ - m - mb - n - nd - ng - nt - ñgn
또한 비음조화는 접두사나 특정한 전치사를 선택할 때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후치사인 ''pe''나 ''ta''는 각각 비음인 단어 뒤에서는 ''me'', ''nda''로 변한다.
6. 문법
과라니어는 교착어의 일종으로, 다합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밀레프스키의 유형론에 따르면 6종 언어로 분류되는 유동-S 유형의 사동태 언어이다. 보통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사용하지만, 주어가 명시되지 않을 때는 목적어-동사(OV) 어순을 사용한다.[21] 성이 없고 고유한 정관사는 없지만,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단수에는 lagn, 복수에는 logn를 정관사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고전 과라니어(Guaraniete)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