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라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라니어는 파라과이, 볼리비아, 아르헨티나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특히 파라과이에서는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고전 과라니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예수회 선교 활동과 독재 정권의 언어 정책을 거치면서 독특한 역사를 지니게 되었다. 과라니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해졌으며, 고유한 문자 체계와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이며, 명사, 대명사, 동사의 다양한 형태 변화를 보인다. 또한, 영어 어휘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문학 작품과 관련 기관을 통해 언어의 보존과 발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피어족 - 고대 투피어
    고대 투피어는 16세기 브라질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투피남바족 언어로, 포르투갈어의 영향으로 어순이 변화하고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파라과이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볼리비아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볼리비아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과라니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과라니어
고유 이름avañeʼẽ
발음/aʋaɲẽˈʔẽ/
다른 이름파라과이 과라니어
사용 민족과라니족
파라과이인
사용 국가파라과이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사용 지역남아메리카
전체 사용자 수654만 명 (2020년)
문자과라니어 알파벳(로마자)
공용 국가파라과이
볼리비아
공용 지역아르헨티나의 코리엔테스 주
브라질의 마투그로수두술 주의 타쿠루
언어 관리 기관파라과이 Guarani Ñe’ẽ Rerekuapavẽ
ISO 639-1gn
ISO 639-2grn
ISO 639-3gug
글롯로그para1311
링구아88-AAI-f
주의IPA
언어 계통
어족투피어족
어파투피-과라니어족
하위 어군과라니어 (I)어군
방언조파라
코리엔테스 과라니어 (타라구이)
서부 볼리비아 과라니어 (심바)
동부 볼리비아 과라니어 (차운쿠)
아바 과라니어 (치리파)
므비아 과라니어
기타
과라니어 사용 지역
메르코수르 언어메르코수르의 언어 중 하나로 인정됨
코리엔테스 주 공용어코리엔테스 주에서 '공식 대체 언어'로 지정됨

2. 역사

고전 과라니어는 광대한 선교 지역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던 언어였지만, 파라과이 과라니어는 예수회 감축지 외부에서 기원했다. 예수회는 인디오에 대한 로마 가톨릭 선교를 과라니어으로 진행했으며, 예수회 선교소와 같은 자치 공동체에서도 과라니어가 사용되었다. 또한 과거 파라과이를 지배했던 여러 독재자들이 국경을 폐쇄했기 때문에 국내 문화와 언어는 보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렇게 과라니어는 활력을 유지하며 살아남아 공용어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2. 1. 기원

최근 학문적 연구에 따르면 과라니어는 예수회 감축지 안팎을 막론하고 식민지 시대 파라과이의 주요 언어였다. 18세기 예수회 추방 이후, 감축지 주민들은 점차 북쪽과 서쪽으로 아순시온으로 이동했는데, 이러한 인구 이동은 식민지 남부와 동부 지역에서 선교사들이 사용하던 예수회 방언에서 뚜렷하게 일방적인 변화를 가져왔다.[10][11]

대체로 예수회의 고전 과라니어는 스페인어에서 직접적인 음운 차용을 피했다. 대신 선교사들은 과라니어 접사의 성격을 이용하여 새로운 정확한 번역이나 역어 용어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예수회는 유럽의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복잡하고, 매우 종합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12] 반대로, 선교지 외부에서 사용되던 과라니어는 스페인어 표현이 자유롭고 규제되지 않은 흐름을 특징으로 했다. 스페인어 단어와 구문이 최소한의 음운 적응을 거쳐 과라니어에 통합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 현상의 좋은 예는 "성찬"이라는 단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수회는 그들의 접사 전략을 사용하여 이 단어를 Tupârahava|투파라하바gn로 번역했는데, 이는 "하느님"을 의미하는 Tupâ|투파gn라는 단어를 기반으로 한 역어이다.[13] 현대 파라과이 과라니어에서는 같은 단어를 komuño|코무뇨gn로 표현한다.[14]

감축지에서 이주한 후,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과라니어 방언은 처음으로 광범위한 접촉을 하게 되었다. 대다수의 화자들은 구어체가 아닌 엄격하게 규제된 예수회 방언 대신 파라과이 화자들의 실제 사용에서 진화한 변종을 선호했다.[15] 이 현대적인 구어 과라니어는 과라니어로 "혼합"을 의미하는 호파라로 알려져 있다.

2. 2. 정치적 상황

아순시온(Asunción), 파라과이 정부 표지판; 과라니어와 스페인어 이중 언어


파라과이 과라니어는 독립 이후 대부분의 역사에서 파라과이 정부에 의해 억압받아 왔으며, 100년 이상 국립학교에서 금지되었다. 그러나 포퓰리스트들은 종종 언어에 대한 자부심을 이용하여 민족주의적 열정을 고취시키고 사회적 통합이라는 서사를 홍보했다.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너(Alfredo Stroessner) 독재 정권 동안, 그의 콜로라도당(Colorado Party)은 스트로에스너 자신이 과라니어로 연설한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파라과이인들에게 호소하기 위해 이 언어를 사용했다.[16] 파라과이 민주주의의 도래 이후인 1992년, 과라니어는 새로운 헌법에서 스페인어와 동등한 언어로 확립되었다.[5]

스페인어와 과라니어의 혼합어인 조파라(Jopará)는 파라과이 인구의 약 90%가 사용한다. 두 언어 간의 코드 전환은 공식 및 비즈니스 관련 사항에는 스페인어가 더 많이 사용되고, 예술과 일상생활에는 과라니어가 더 많이 사용되는 스펙트럼에서 일어난다.[17]

과라니어는 볼리비아아르헨티나 코리엔테스 주(Corrientes Province)의 공식 언어이기도 하다.

3. 분류

과라니어는 연구자들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Rodrigues (1984/85)는 형태론적·음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투피-과라니어족 하위 7개 언어군 중 첫 번째 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46]


  • 구구아라니어(Guarani Antigo)
  • 음비아어(Mbya)
  • 셰테어(Xeté (Serra dos Dourados))
  • 냔데바어(Ñandéva; 다른 이름: 치리파어(Txiripá))
  • 카이와어|Kaiwá language|카이와어영어(다른 이름: 카요바어 (Kayová))
  • 파이어(Pai Tavytera language|Pai Tavytera language|파이어영어) (Pãi)
  • 파라과이 구아라니어(Guarani Paraguaio)
  • 구아야키어|Aché language|구아야키어영어(Guayaki)
  • 타피에테어(Tapieté)
  • 치리구아노어(Chiriguano; 다른 이름: Ava)
  • 이소세뇨어(Izoceño; 다른 이름: 차네어 (Chané))


Kaufman (1994)는 다음과 같은 분류를 제시했다.

I. 투피-과라니어족(Tupí-Guaraní family)

  • A. 구아라니어군(Guaraní group)
  • * 1. 구아라니어(지역)(Guaraní language (area))
  • ** 카잉구아 방언(Kaingwá)

카이와(Kaiwá, 다른 이름: 카요바 (Kayová))
파이(Pãi, 다른 이름: 파니(Pany))
타뷔테란(Pai Tavytera language|Pai Tavytera language|타뷔테란영어)

  • ** 볼리비아 구아라니 방언(Bolivian Guaraní)
  • ** 파라과이 구아라니 방언(Paraguayan Guaraní)

호파라|Jopara language|호파라영어(Jopará)

  • ** 치리파-냔데바 방언(Chiripá-Nyandeva)

치리파(Chiripá)
냔데바(Nyandéva)

  • ** 치리구아노 방언 복합체/신생 언어(?) (Chiriguano; 동의어: 아바 (Avá))

타피에테(Tapieté (= 냐나이구아 Nyanaigua))
치리구아노-차네-이소세뇨 (Chiriguano-Chané-Isosenyo (= 타피 Tapyi))

  • ** 음비아 구아라니 방언|Mbyá Guaraní language|음비아 구아라니 방언영어()
  • * 2. 셰타어|Xeta language|셰타어영어(Shetá)
  • * 3. 구아야키어(Guajakí)


Lewis et al. (2015a, b, c, d, e, f)는 구아라니어라는 이름이 붙은 언어를 다음 5가지로 세분화했다.

  • 아바 구아라니어(Ava Guaraní; 다른 이름: 치리파어 (Chiripá, Txiripá), 냔데바어 (Ñandeva)[47], Apytare; ISO 639-3: nhd)
  • * 아파포쿠바 방언(Apapocuva)
  • 서부 볼리비아 구아라니어(Western Bolivian Guaraní; ISO 639-3: gnw)
  • 동부 볼리비아 구아라니어(Eastern Bolivian Guaraní; 경멸적인 표현: "치리구아노어" (Chiriguano); ISO 639-3: gui)
  • * 아바 방언(Ava)
  • * 이소세뇨 방언(Izoceño)
  • * 차네 방언(Chané)
  • 파라과이 구아라니어(Paraguayan Guaraní; ISO 639-3: gug)
  • * 호파라 방언(Jopará)
  • 음비아 구아라니어(Mbyá; ISO 639-3: gun)
  • * 바티콜라 방언(Baticol)
  • * 탐베오페 방언(Tambéopé)


파라과이 구아라니어의 하위 분류로 자주 언급되는 호파라(방언)는 스페인어 요소가 혼합된 도시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구아라니어이다.[48][49]

4. 문자 체계

과라니어는 비교적 최근에 문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사용되는 과라니어 알파벳은 기본적으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두 개의 분음 부호와 여섯 개의 이중자를 추가한 체계이다.[50] 정서법은 매우 음소적이며, 각 문자는 스페인어와 비슷한 음가를 가진다.

모음 문자는 Y를 포함해 여섯 글자이며, 각각 예각 악센트 부호를 사용하여 강세를 표시한다(Á/á, É/é, Í/í, Ó/ó, Ú/ú, Ý/ý). 하지만 이러한 강세가 있는 글자는 무강세인 것과 같은 문자로 취급된다. 또한, 틸데도 많은 문자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N/n에 틸데를 붙여 Ñ/ñ으로 하면, 스페인어와 마찬가지로 경구개 비음을 나타낸다. 틸데가 붙은 모음 문자는 포르투갈어처럼 비음임을 나타낼 수 있다(Ã/ã, Ẽ/ẽ, Ĩ/ĩ, Õ/õ, Ũ/ũ, Ỹ/ỹ).

과라니어 알파벳의 특징적인 표기로, 틸데에 의해 비음화된 연구개 자음 G/g, 즉 연구개 비음인 G̃/g̃이 있다. 이것은 20세기 중반에 비교적 최근에 과라니어에 도입되었으며, 그 사용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또한 이 문자는 유니코드에서도 정규 합성으로 처리되지 않아, 분음 부호가 충분히 지원되지 않는 컴퓨터나 글꼴을 사용할 경우 사진식자에 어려움이 있거나 컴퓨터상의 표시가 완전히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강세는 비음을 포함하는 단어에서는 비음에 놓인다.[64] 비음이 없다면 강세가 있는 음절에, 그것도 없다면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5. 음운론

과라니어의 음절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거나 모음만으로 구성된다.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이나 두 개 이상의 자음이 연속되는 음절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C)V'로 표현된다.

성문 폐쇄음(glottal stop)은 과라니어(pusogn)로 모음 사이에만 표기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도 음운론적으로 나타난다.[19] 이 때문에, 어떤 단어들은 서로 가까이 여러 개의 성문 폐쇄음을 가지게 되고, 그 결과 여러 가지 동화 현상을 겪는다. 예를 들어, "나는 물을 마신다"라는 뜻의 ʼaʼyʼugn는 hayʼugn로 발음된다. 이는 과라니어의 역사에서 정규적인 음운 변화 과정으로부터 동사 형태의 불규칙성이 유래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성문 폐쇄음이 생략되는 정도에 따라 변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예: "내가 가져온다"를 의미하는 aruʼuka > aruuka > arukagn). 단어 내부의 성문 폐쇄음은 두 번째 구성 요소가 모음으로 시작하는(따라서 성문 폐쇄음으로 시작하는) 어근이었던 화석화된 합성어에서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과라니어는 비음 조화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비음 음절은 비음 모음으로 구성되며, 자음이 유성음인 경우 비음 동소를 취한다. 강세 음절이 비음인 경우, 비음성은 구강음인 강세 음절을 만날 때까지 양쪽 방향으로 확산된다. 여기에는 접사, 조사, 그리고 합성어가 포함된다. 무성 자음은 비음 동소를 가지지 않지만, 비음성의 확산을 방해하지는 않는다.[20]

예를 들어,

: →

: →

그러나 구강 모음을 가진 두 번째 강세 음절은 비음화되지 않는다.

: →

: → [20]

즉, 강세 모음이 하나인 단어의 경우, 모든 유성 음소는 구강음이거나 비음이 되는 반면, 무성 자음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강음 와 비음 를 비교해 볼 수 있다.

5. 1. 자음

과라니어는 다양한 자음을 가지며, 일부 자음은 소리가 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소리난다. 유성 자음은 구강 모음 앞과 비음 모음 앞에서 다른 소리를 낸다. 전비음화 자음도 존재한다. 일부 자음은 스페인어에서 유래했다. 성문 폐쇄음은 모음 사이에만 표기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도 나타난다.[18]


  • 유성음: 입안에서 울림이 있는 소리.
  • 구강: 입.
  • 동소이음: 같은 자음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소리나는 현상.
  • 비음화: 코를 통해 소리가 나는 현상.
  • 전비음화: 자음 앞에서 코를 통해 소리가 나는 현상.
  • 성문 폐쇄음: 성문을 닫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유성음 자음은 구강 모음 앞에서는 구강 동소이음을, 비음 모음 앞에서는 비음 동소이음을 갖는다. 유성 파열음의 구강 동소이음은 전비음화된다. 도 있다. 떨림음 , 그리고 자음 , , 는 과라니어 고유음이 아니고 스페인어에서 유래했다.

구강 는 지역에 따라 , , , 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지만, 비음 동소이음은 항상 이다. 등후치 마찰음은 와 사이에서 자유롭게 변한다.

ges, gues는 마찰음이 아니라 유음이지만, 스페인어 관례대로 , 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gues는 로도 표기되는데, 이것은 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성문 폐쇄음은 과라니어(Guarani)로 pusogn라고 하며, 모음 사이에만 표기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도 음운론적으로 나타난다.[19]

5. 2. 모음

과라니어는 6개의 구개 모음과 6개의 비음 모음을 가진다. 는 스페인어 및 IPA 표기와 거의 일치하지만, 때때로 개방 중모음 , 가 더 자주 사용된다. 문자 는 중설 비원순 고모음 를 나타내며, 이는 폴란드어와 유사하다.

구개 모음과 비음 모음
colspan="2"전설중설후설
고모음
저모음



비음을 고려하면 모음 체계는 완벽하게 대칭적이며, 각 구개 모음은 그에 상응하는 비음을 가지고 있다. 비음을 가진 대부분의 체계는 구개음보다 비음이 적다.

5. 2. 1. 비음 조화

과라니어는 특이할 정도로 강한 비음 조화를 보인다. 비음 음절은 비음 모음으로 구성되며, 자음이 유성음인 경우 비음 동소이음을 취한다. 강세 음절이 비음인 경우, 비음성은 구강음인 강세 음절을 만날 때까지 양쪽 방향으로 확산된다. 여기에는 접사, 조사, 그리고 합성어가 포함된다.[20] 무성 자음은 비음 동소이음을 가지지 않지만, 비음성의 확산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 →

: →

그러나 구강 모음을 가진 두 번째 강세 음절은 비음화되지 않는다.

: →

: → [20]

즉, 강세 모음이 하나인 단어의 경우, 모든 유성 음소는 구강음이거나 비음이 되는 반면, 무성 자음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강음 와 비음 를 비교해 볼 수 있다.

과라니어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비음조화(nasal harmony영어)를 가진 언어이다. 모든 단어는 어근에 아래의 변이음을 하나라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비음과 구음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특정 음소가 "비음"인 단어에 나타날 때는 반드시 비음화된 변이음이 나타나고, "구음"인 단어에는 비음화된 변이음이 나타나지 않으며, 비음과 비비음인 변이음이 함께 나타나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ã - ẽ - ĩ - õ - ũ - ỹ - g̃ - m - mb - n - nd - ng - nt - ñgn

또한 비음조화는 접두사나 특정한 전치사를 선택할 때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후치사인 ''pe''나 ''ta''는 각각 비음인 단어 뒤에서는 ''me'', ''nda''로 변한다.

6. 문법

과라니어는 교착어의 일종으로, 다합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밀레프스키의 유형론에 따르면 6종 언어로 분류되는 유동-S 유형의 사동태 언어이다. 보통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사용하지만, 주어가 명시되지 않을 때는 목적어-동사(OV) 어순을 사용한다.[21] 성이 없고 고유한 정관사는 없지만,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단수에는 lagn, 복수에는 logn를 정관사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고전 과라니어(Guaraniete)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65]

6. 1. 명사

과라니어는 명사 시제를 나타내는데, 과거는 -kuegn로, 미래는 -rãgn로 표현한다.[22] 예를 들어, tetã ruvichakuegn는 "전 대통령"으로, tetã ruvicharãgn는 "차기 대통령"으로 번역된다. 과거 접미사 -kuegn는 "전-", "전직", "버려진", "한때의", "일시적인" 등으로도 번역된다. 이 접미사는 일어나지 않은 일을 나타내는 표현에도 쓰이는데, 예를 들어 paʼirãguegn는 "사제가 되려고 공부했지만 실제로는 끝내지 못한 사람", 즉 "전 미래 사제"를 의미한다.[22] 일부 명사는 -kuegn 대신 -regn를, -rãgn 대신 -guãgn를 사용한다.[22]

6. 2. 대명사

ore|오레gn (배타적)2인칭nde|ㄴ데gnpeẽ|페엥gn3인칭haʼe|아에gnhaʼekuéra / hikuái|아에쿠에라 / 이쿠아이gn



3인칭 복수 대명사 hikuái|이쿠아이gn는 동사 뒤에만 나타난다.[21] 예를 들어, 'oHecha hikuái|오에차 이쿠아이gn'는 '그들이 본다'를 의미한다.

재귀 대명사는 je|제gn이다.[21] 예를 들어, 'ahecha|아에차gn' ("나는 본다")와 'ajehecha|아제에차gn' ("나는 나 자신을 본다")와 같이 사용된다.

6. 3. 활용

과라니어 어근은 arealgn (하위 종류 airealgn 포함)과 chendalgn이라고 불리는 여러 활용 종류로 나뉜다. 이 이름들은 1인칭과 2인칭 단수 접두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3]

arealgn 활용은 참여자가 능동적으로 관여함을 나타낼 때 쓰이며, chendalgn 활용은 참여자가 피동적인 대상임을 나타낼 때 쓰인다. 그러나 자동사가 상태가 아닌 사건을 나타낼 때, 예를 들어 manógn '죽다'와 같은 동사나 심지어 kégn '잠자다'와 같은 동사에도 arealgn 활용이 사용된다. 또한, 모든 스페인어 차용 동사는 차용 형용사가 chendalgn을 취하는 것과는 달리 arealgn로 받아들여진다.[23] 자동사는 어느 활용이든 취할 수 있고, 타동사는 일반적으로 arealgn을 취하지만, 습관상의 상을 나타낼 때는 chendalgn을 취할 수 있다. 명사도 활용될 수 있지만, chendalgn로만 활용되며, 이것은 서술적인 소유 의미를 전달한다.[24]

활용은 어근이 유성음인지 비유성음인지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대명사arealgnairealgnchendalgn
유성음비유성음
chegna-guatagna-ñeʼẽgnai-purugnche-tuichagn
ñandegnja-guatagnña-ñeʼẽgnjai-purugnñande-tuichagn
oregnro-guatagnro-ñeʼẽgnroi-purugnore-tuichagn
ndegnre-guatagnre-ñeʼẽgnrei-purugnnde-tuichagn
peẽgnpe-guatagnpe-ñeʼẽgnpei-purugnpende-tuichagn
haʼe(kuéra)gno-guatagno-ñeʼẽgnoi-purugni-tuichagn


6. 3. 1. 부정

과라니어에서 부정은 n(d)(V)-...-(r)i 형태의 접사로 표시된다. 접사의 동사 앞 부분은 구어에서는 nd-이고, 비음(콧소리)을 내는 단어의 경우에는 n-이다. 2인칭 단수의 경우, 단어의 기본 형태 앞에 -e-가 삽입되고, 1인칭 복수 포함의 경우에는 -a-가 삽입된다.

동사 뒤 부분은 -i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ri이고, 그 외에는 -i이다. 그러나 구어 과라니어에서는 -i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ri 부분이 자주 생략된다.

구어 동사비음 동사"i"로 끝나는 동사
japo|하다, 만들다gnkororõ|포효하다, 코골다gnjupi|올라가다, 상승하다gn
nd-ajapó-ignn-akororõ-ignnd-ajupí-rign
nde-rejapó-ignne-rekororõ-ignnde-rejupí-rign
nd-ojapó-ignn-okororõ-ignnd-ojupí-rign
nda-jajapó-ignna-ñakororõ-ignnda-jajupí-rign
nd-orojapó-ignn-orokororõ-ignnd-orojupí-rign
nda-pejapó-ignna-pekororõ-ignnda-pejupí-rign
nd-ojapó-ignn-okororõ-ignnd-ojupí-rign



부정은 모든 시제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미래 또는 비현실적인 참조의 경우 일반적인 시제 표시가 moʼãgn로 대체되어 n(d)(V)-기저-moʼã-ign가 된다. 예를 들어 Ndajapomoʼãign는 "나는 그것을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의미이다.

ani|아니gn, ỹhỹ|응응gn, nahániri|나하니리gn, naumbre|나움브레gn, naʼanga|나앙가gn와 같은 다른 부정어도 있다.

6. 4. 기타 동사 형태소



te-gn는 희망을 나타내는 접두사이다. 예를 들어 Ahasagn는 "나는 통과한다"이고, Tahasagn는 "나는 통과하고 싶다"라는 뜻이다. te-gn는 기저 형태이며, 동사의 인칭 접미사에 따라 모음 변화와 생략이 발생한다.[25]

6. 5. 한정사

과라니어에는 다양한 지시 형용사와 한정사가 존재한다.

과라니어의 지시 형용사와 한정사
과라니어(Guarani)한국어스페인어(Spanish)
1 – 지시 형용사
(a) 가까운 사물이나 존재(당신이 그것을 봄)
kogn이것este, estaes
upe/pegn저것ese, esaes
amogn저쪽의 것/저것aquel, aquellaes
peteĩ-teĩ (+/- va)gn각각cada unoes
koʼã, ã, áãgn이것들estos, estases
umign저것들esos, esas, aquellos, aquellases
(b) 부정적, 먼 사물이나 존재(당신이 그것을 보지 못함 - 지시 형용사 기억):
kugn저것 (단수)aquel, aquellaes
akóign저것들 (복수)aquellos, aquellases
(c) 기타 일반적인 지시 형용사:
opagn모든todo, toda, todos, todases (모든 존재에 대해)
maymagn모든todos, todases (사람에 대해)
mbovy-gn몇몇, 소수, 특정한unos, unases
hetagn많은, 매우 많은muchos, muchases
ambue (+/- kuéra)gn다른otros, otrases
ambuegn또 다른otro, otraes
ambueve:gn다른 것el otro, la otraes
ambuevegn다른, 또 다른otro, otros, (강조) –es
oimeraẽgn어느 것이든cualquieraes
mokoĩvegn둘 다ambos, ambases
ni peteĩ (+/- ve)gn둘 다 아닌ni el uno ni el otroes



; 화자 가까이에 있으며 보이는 것

: ''ko'' - 이것

: ''pe'' - 저것

: ''amo'' - 저것(멀리 있는 것)

: ''peteĩ-teĩ'' - 각각

: ''ko'ã'' - 이것들

: ''umi'' - 저것들

; 불분명하고 화자에게서 멀리 있으며 볼 수 없는 것

: ''ku'' - 저것(멀리 있는 것)

: ''akói'' - 저것들(멀리 있는 것들)

; 기타 한정사

: ''opa'' - 모든

: ''mayma'' - 모두(사람에게만 사용)

: ''mbovy'' - 몇몇의

: ''heta'' - 많은

: ''ambue'' - 다른

: ''ambueve'' - 다른 한쪽의

: ''Oimeraẽ'' - 어느 한쪽의

: ''Mokoĩve'' - 양쪽의

: ''Ni peteĩ'' - 하나도 없는

7. 스페인어 차용어

스페인어와 과라니어는 오랜 기간 밀접하게 접촉하면서 많은 과라니어 단어에 스페인어가 유입되었다. 이러한 차용어들은 대부분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신대륙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사물이나 개념들을 나타낸다.[27]

}

| vaka||gn

| 소 (cow)

|-

| caballo||es

| kavaju||gn

| 말 (horse)

|-

| cabra||es

| kavara||gn

| 염소 (goat)

|-

| rowspan="3" | 종교

| cruz||es

| kurusu||gn

| 십자가 (cross)

|-

| Jesucristo||es

| Hesukrísto||gn

| 예수 그리스도 (Jesus Christ)

|-

| Pablo||es

| Pavlo||gn

| 바울 (Paul (saint))

|-

| rowspan="3" | 지명

| Australia||es

| Autaralia||gn

|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

|-

| Islandia||es

| Iylanda||gn

| 아이슬란드 (Iceland)

|-

| Portugal||es

| Poytuga||gn

| 포르투갈 (Portugal)

|-

| rowspan="3" | 음식

| queso||es

| kesu||gn

| 치즈 (cheese)

|-

| azúcar||es

| asuka||gn

| 설탕 (sugar)

|-

| morcilla||es

| mbusia||gn

| 블러드 소시지 (blood sausage)

|-

| rowspan="3" | 허브/향신료

| canela||es

| kanéla||gn

| 계피 (cinnamon)

|-

| culantro||es

| kuratũ||gn

| 실란트로 (미국식), 고수 (영국식) (cilantro (US), coriander (UK))

|-

| anís||es

| ani||gn

| 아니스 (anise)

|}

8. 영어로 유입된 과라니어

영어는 포르투갈어를 통해 과라니어(혹은 관련된 투피어 투피어)에서 소수의 단어를 차용했는데, 대부분 동물이나 식물의 이름이다. "재규어"는 jaguaretegn에서 유래했고, "피라냐"는 pira añagn("이빨이 있는 물고기", 투피어: pirátup '물고기', añatup '이빨')에서 유래했다. 다른 단어로는 akutign에서 유래한 "아구티", tapiragn에서 유래한 "타피르", ĩwasaʼign("[물을 흘리는] 과일")에서 유래한 "아사이", aguarágn "여우"에서 유래한 "와라", 그리고 mbarakaja'ygn "작은 고양이"에서 유래한 "마르가이"가 있다. 자카란다, 과라나, 카사바는 과라니어 또는 투피-과라니어에서 유래한 단어이다.[28] 이페카쿠아나(약용의 이름)는 구토를 유발하는 덩굴식물을 의미하는 ipe-kaa-guenégn로 표현될 수 있는 동음이의어인 투피-과라니어 이름에서 유래했다.[29] "쿠거"는 과라니어 ''guazu ara''에서 차용되었다.[30]

9. 문학

성경 번역으로는 1913년 영국외국성서공회에서 인쇄한 존 윌리엄 린드세이의 신약 성서 번역이 있으며, 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로 번역된 최초의 신약 성서로 여겨진다.[36] 현대적인 성경 전체 번역은 Ñandejara Ñeʼẽ|냔데하라 녜에gn로 알려져 있다. 2019년에는 여호와의 증인이 과라니어 신세계역 성경을 출판했다.[37][38][39]

최근에는 과라니어 소설도 출판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작품은 다음과 같다.


  • Kalaito Pombero|칼라이토 폼베로gn (타데오 자라테아, 1981)
  • Poreʼỹ rape|포레이 라페gn (우고 센투리온, 2016)
  • Tatukua|타투쿠아gn (아르날도 카스코 비야알바, 2017)

10. 관련 기관


  • 과라니어 문화 연구소(Ateneo de Lengua y Cultura Guaraní)
  • 이비 마라에이 펀드(Yvy Marãeʼỹ Foundation)

참조

[1] 웹사이트 Paraguai https://www.muturzik[...] muturzikin.com 2008
[2] LPD
[3] 서적 Guaraní-English/English-Guaraní Concise Dictionary Hippocrene Books
[4] 학술지 Guaraní Académico or Jopará? Educator Perspectives and Ideological Debate in Paraguayan Bilingual Education
[5] 뉴스 In Paraguay, Indigenous Language With Unique Staying Power https://www.nytimes.[...] 2012-03-12
[6] 웹사이트 Ley Provincial Nº 5.598, que establece el guaraní como 'idioma oficial alternativo' de Corrientes http://www.romanisti[...] 2008-05-22
[7] 웹사이트 Antecedentes sobre la población nativa de las Américas http://www.mapuche.i[...]
[8] 웹사이트 Incorporación del Guaraní como Idioma del Mercosur http://www.mercosur.[...]
[9] 서적 Tesoro de la lengua guaraní
[10] 학술지 Los guaraníes después de la expulsión de los jesuitas: dinámicas políticas y transacciones simbólicas 2001
[11] 서적 Tras los expulsos: cambios demográficos y territoriales en el paraguay después de la expulsión de los jesuitas Universidad Católica "Nuestra Señora De La Asunción" 2009
[12] 백과사전 La hispanización del guaraní jesuítico en 'lo espiritual' y en 'lo temporal'. Segunda parte: Los procedimientos Lit Verlag 2008
[13] 서적 Vocabulario de la lengua guaraní 1724
[14] 서적 Ñande Ayvu Tenonde Porãngue'i: Nuevo diccionario guaraní́-castellano, castellano-guaraní́: Avañe'ẽ-karaiñe'ẽ, Karaiñe'ẽ-avañe'ẽ Servilibro 2008
[15] 서적 La lengua guaraní́ en el Paraguay colonial CEPAG 2003
[16] 학술지 Governance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Guaraní Language in Paraguay 2009
[17] 웹사이트 Guaraní: The Language and People http://linguistics.b[...] 1999-09-06
[18] 웹사이트 Phonological inventory of Paraguayan Guarani http://linguistics.b[...] University of California
[19] 서적 Gramática Guaraní Centro Editorial Paraguayo S.R.L.
[20] 서적 Nasalization, neutral segments, and opacity effects Psychology Press
[21] 학술지 Word Order in Paraguayan Guarani 2010
[22] 서적 El Idioma Guarnai: Gramática e Antología de Prosa y Verso Casa América
[23] 논문 Active languages http://www.ling.su.s[...] Stockholm University
[24] 학술지 Nomen-Verb-Distinktion im Guarani https://publikatione[...] Universität zu Köln
[25] 서적 Guarani Intermediate Course Brigham Young University
[26] 서적 Guarani Basic Course: Book 1
[27] 논문 Lexical strata in loanword phonology: Spanish loans in Guarani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8] 학회발표 Vestiges of an Amerindian-European language contact: Guarani loanwords in Uruguayan Spanish https://hal-univ-par[...] 2015-06-11
[29] OED
[30] 서적 Cougar Oxford English Dictionary
[31] 학술지 Vernacular Names of South American Mammals
[32] 학술지 Uruguay (The Problem of Etymology of Place Names of Guarani Origin)
[33] 학술지 Indian Place Names in South America and the Antilles. I https://ans-names.pi[...]
[34] 웹사이트 Guarani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Omniglot.com
[35]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36] 뉴스 Biblia en guaraní es incluida oficialmente en el Vaticano http://www.ultimahor[...] 2012-10-23
[37] 뉴스 Jehovah's Witnesses Release New World Translation in Guarani https://www.jw.org/e[...]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2019-08-20
[38] 뉴스 ¿Orekópa umi testígo de Jehová ibíblia tee? https://www.jw.org/g[...]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39] 웹사이트 Ñandejára Ñeʼẽ La Biblia https://www.jw.org/g[...]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40] 논문 2015a
[41] 웹사이트 http://www.romanisti[...]
[42] 서적 Shakai gengogaku nyūmon : ikita kotoba no omoshirosa ni semaru sociolinguistics https://www.worldcat[...] Kenkyūsha 2009
[43] 논문 2000
[44] 논문 2006
[45] 웹사이트 Website of Indigenous Peoples' Affairs which contains this information http://www.mapuche.i[...]
[46] 논문 2005
[47] 웹페이지
[48] 논문 2003
[49] 논문 2015e
[50] 논문 1967
[51] 논문 1967
[52] 논문 1967
[53] 논문 1967
[54] 웹페이지
[55] 논문 1967
[56] 논문 1967
[57] 논문 1967
[58] 논문 1967
[59] 논문 1967
[60] 논문 1967
[61] 논문 1967
[62] 논문 1967
[63] 논문 1967
[64] 논문 2005
[65] 논문 1967
[66] 논문 2005
[67] 논문
[68] 논문 2004
[69] 논문 2005
[70] 논문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의미 범주스페인어과라니어영어
동물{{lang|es|va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