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촘판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촘판틀리는 아즈텍 시대에 사용된 해골 받침대 또는 해골 벽을 의미하며, 다른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도 유사한 구조로 나타난다. 톨텍, 마야, 아즈텍 문명에서 발견되었으며, 희생된 사람들의 해골을 전시하는 데 사용되었다. 촘판틀리는 인신 제사와 관련된 의례적 장소였으며, 메소아메리카 볼 게임의 승리자 머리를 전시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2015년에는 멕시코 시티에서 촘판틀리 타워가 발굴되었고, 현대 미술 작품이나 소설에서도 묘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전리품 수집 행위 - 머리 사냥
    머리 사냥은 인간의 머리에 영적인 힘이 있다고 믿어 머리를 베는 행위로, 종교적 의례, 통과의례, 전리품 획득 등 다양한 형태로 역사적으로 행해졌다.
  • 인간 전리품 수집 행위 - 인피제본
    인피제본은 인간의 피부로 책을 제본하는 행위로, 프랑스 혁명 시기에 은어로 사용된 후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며 범죄자, 흑사병 관련 서적, 고서적 등에 적용되었고, 모낭 패턴 검사 등의 방법으로 식별 가능하지만 윤리적, 법적 문제와 안전성 논란이 있다.
  • 메소아메리카 - 멕시코 고원
    멕시코 고원은 멕시코 북부에서 남부까지 뻗어 있는 고원 지대로, 북쪽의 리오그란데강에서 남쪽의 할리스코주까지 이어지며, 1,100m의 평균 해발고도를 가진 협곡과 사막 지형의 북부 고원과 2,000m의 평균 해발고도를 가진 계곡 지형에 주요 도시가 위치한 남부 고원으로 나뉜다.
  • 메소아메리카 - 바히오
    바히오는 멕시코 중부 고원 내 저지대로 아과스칼리엔테스주, 과나후아토주, 할리스코주, 케레타로주를 포함하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과 함께 농업, 광업, 제조업, 관광업이 발달한 멕시코 경제의 핵심 지역이다.
  • 아즈텍 사회 - 아마틀
    아마테는 멕시코의 전통 종이로 무화과 나무 껍질을 주재료로 하며, 과거 의례 및 기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수공예품으로 상업화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아즈텍 사회 - 치남파
    치남파는 멕시코 소치밀코 호수와 찰코 호수 주변에서 아즈텍 시대에 식량 생산을 위해 사용된 인공 농업 방식으로, 얕은 호수 바닥에 흙을 쌓아 밭을 만들어 다양한 작물을 재배했으며, 스페인 정복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지역에서 그 형태가 유지되고 있다.
촘판틀리
개요
촘판틀리의 재건된 모습
재건된 촘판틀리
유형랙 또는 울타리
용도인간 두개골 전시
문화권고대 메소아메리카
톨텍 문화
마야 문명
아즈텍 문명
연대약 600–900년경 (마야 문명 시대)
약 900–1250년경 (톨텍 문화 시대)
어원
언어나와틀어
로마자 표기tzompantli

2. 어원

이 명칭은 아즈텍의 고전 나우아틀어에서 유래되었지만, 다른 문명에서 묘사된 유사한 구조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정확한 어원은 불확실하지만, 일반적으로 '해골 받침대', '해골 벽' 또는 '해골 깃발'로 해석된다.[2] 이는 나우아틀어 단어 tzontecomatlnci ('해골'; tzontlinci 또는 tzom-nci '머리카락', '두피' 및 tecomatlnci ('호리병' 또는 '용기')에서 유래)과 pamitlnci ('깃발')의 합성어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파생은 여러 고문서에서 이러한 구조가 깃발과 연관되어 묘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나우아틀어 언어학자 프랜시스 카르투넨은 pantlinci가 단순히 '열' 또는 '벽'을 의미한다고 제안했다.[4]

3. 역사적 분포

촘판틀리는 후기 후고전기(13세기~16세기)와 정복 이후(16세기 중반~17세기) 코덱스, 정복자들의 동시대 기록, 그리고 몇몇 다른 비문에 묘사된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촘판틀리와 유사한 구조물의 첫 번째 사례는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3세기경 사포텍 문명의 라 코요테라, 오아하카 유적에서 발굴되었다.[6] 사포텍인들은 이 구조물을 야가베투|야가베투zap라고 불렀으며, 61개의 해골이 전시되어 있었다.[7]

촘판틀리는 톨텍과 믹스테크 등 다른 콜럼버스 이전 시대 메소아메리카 문화에서도 언급된다.[8][9] 중앙 멕시코에서 해골과 뼈에 대한 관심이 처음 나타난 것은 톨라의 톨텍 수도였다. 톨라의 촘판틀리는 희생자의 실제 해골이 전시된 넓은 플랫폼 측면에 여러 줄의 돌로 조각된 해골을 전시했으며, 1200년경 파괴되었다.[10]

마야 지역에서는 수직 기둥을 따라 해골을 서로 위에 꽂는 방식이 더 흔했다.[5] 우슈말과 유카탄 반도의 다른 푸욱 지역 유적지에서 촘판틀리 사례가 확인되는데, 이는 마야 고전 시대 9세기 말 무렵이다. 특히 훌륭한 비문 사례는 치첸이트사 유적지에서 발견된다.[11] 대규모 인신 제사는 톨텍인에 의해 마야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치첸이트사의 공놀이 경기장에서 촘판틀리의 출현으로 나타난다. 치첸이트사의 6개 공놀이 경기장 부조는 공놀이 선수의 참수를 묘사한다.[12]

촘판틀리nci나와틀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아즈텍인들이 해골 선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예는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웨이 촘판틀리nci(대 해골 선반)이며, 초기 정복자들에 의해 묘사되었다. 테노치티틀란에는 최소 5개 이상의 해골 선반이 더 있었지만, 훨씬 작았다.[13][14] 베르날 디아스 델 카스티요에 따르면, 에르난 코르테스 원정대가 테노치티틀란에서 처음 후퇴했을 때, 아즈텍인들은 포획한 사람들과 말의 잘린 머리를 전시하기 위해 임시 촘판틀리를 세웠다.[16] 코르테스 원정대는 테노치티틀란에서 희생된 사람들의 해골로 장식된 나무 촘판틀리 제단을 보고했다.[16] 템플로 마요르 단지 내부의 회반죽 부조는 희생을 묘사하며, 잔해는 멕시코 시티 소칼로 유적에서 볼 수 있다.

아즈텍 코덱스에는 아즈텍 제국 정복 시점 또는 그 직후의 촘판틀리 묘사가 많다. ''두란 코덱스'', ''라미레스 코덱스'', ''보르지아 코덱스'' 등이 그 예이다. ''멘도사 코덱스''에는 촘판틀리 묘사가 여러 개 있으며, 표지에는 독수리가 선인장에 앉아 해골 하나를 든 촘판틀리가 묘사되어 있다.

''멘도사 코덱스''의 표지


2015년부터 국립 인류학 및 역사 연구소 고고학자들이 발굴 조사를 통해 촘판틀리를 발견했다. 멕시코 시티 메트로폴리탄 대성당 근처에서 촘판틀리 타워 1개가 발견되었으며, 희생자의 75%는 남성이었지만 여성과 어린이도 희생되었다.[28]

3. 1. 개요

촘판틀리는 수직 기둥을 선형으로 배열하고 수평 가로보로 연결한 형태로 세워졌다. 해골은 수평 말뚝을 따라 가로로 관통되거나 꿰어졌다. 마야 지역에서는 수직 기둥을 따라 해골을 서로 위에 꽂는 방식이 더 흔하게 사용되었다.[5]

촘판틀리는 후기 후고전기(13세기~16세기)와 정복 이후(16세기 중반~17세기) 코덱스, 정복자들의 동시대 기록, 그리고 몇몇 다른 비문에 묘사된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첫 번째 사례로 여겨지는 촘판틀리와 유사한 구조물이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3세기경에 해당하는 사포텍 문명의 라 코요테라, 오아하카 유적에서 발굴되었다.[6] 사포텍인들은 이 구조물을 야가베투|야가베투zap라고 불렀으며, 61개의 해골이 전시되어 있었다.[7]

촘판틀리는 톨텍과 믹스테크와 같은 다른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메소아메리카 문화에서도 언급된다.[8][9]

3. 2. 톨텍

촘판틀리는 톨텍과 믹스테크와 같은 다른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메소아메리카 문화에서도 언급된다.[8][9] 중앙 멕시코에서 해골과 뼈에 대한 진정한 매료의 첫 번째 징후는 톨라의 톨텍 수도에서 나타났다. 톨라는 9세기부터 13세기까지 번성했다. 이 유적에는 촘판틀리의 파괴된 유적이 포함되어 있다. 톨라의 촘판틀리는 희생자의 실제 해골이 전시된 넓은 플랫폼 측면에 장식된 여러 줄의 돌로 조각된 해골을 전시했다. 촘판틀리는 1200년경에 파괴된 톨라 문명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났다.[10]

3. 3. 마야

가장 흔하게 수직 기둥이 선형으로 배열되고 일련의 수평 가로보로 연결된 형태로 세워졌다. 해골은 이 수평 말뚝을 따라 가로로 관통되거나 꿰어졌다. 마야 지역에서 더 흔하게 사용된 다른 배열 방식은 수직 기둥을 따라 해골을 서로 위에 꽂는 것이었다.[5]

촘판틀리nci는 후기 후고전기(13세기~16세기)와 정복 이후(16세기 중반~17세기) 코덱스, 정복자들의 동시대 기록, 그리고 몇몇 다른 비문에 묘사된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사례는 마야 문명 유적지, 예를 들어 우슈말과 유카탄 반도의 다른 푸욱 지역 유적지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마야 고전 시대의 9세기 말 쇠퇴기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훌륭하고 온전한 비문 사례는 광대한 치첸이트사 유적지에서 발견된다.[11]

대규모 인신 제사는 톨텍인에 의해 마야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치첸이트사의 공놀이 경기장에서 촘판틀리nci의 출현으로 나타난다. 치첸이트사의 6개의 공놀이 경기장 부조는 공놀이 선수의 참수를 묘사하고 있다. 패배한 선수들은 참수되어 그들의 해골이 촘판틀리nci에 놓였던 것으로 보인다.[12]

3. 4. 아즈텍

촘판틀리nci나와틀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아즈텍인들이 여러 아즈텍 도시에서 발견되는 해골 선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최초이자 가장 두드러진 예는 아즈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위치한 웨이 촘판틀리nci(대 해골 선반)이며, 초기 정복자들에 의해 묘사되었다. 테노치티틀란에는 최소 5개 이상의 해골 선반이 더 있었지만, 모든 기록에 따르면 훨씬 작았다.

베르날 디아스 델 카스티요에 따르면, 에르난 코르테스의 원정대가 테노치티틀란에서 처음 후퇴했을 때, 아즈텍인들은 포획한 사람들과 말의 잘린 머리를 전시하기 위해 임시 촘판틀리nci를 세웠다. 코르테스 원정대는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머무는 동안, 최근 희생된 사람들의 해골로 장식된 나무 촘판틀리nci 제단을 보고했다.[16] 템플로 마요르 단지 내부에서 회반죽으로 조각된 부조는 이러한 희생을 묘사했으며, 이 부조의 잔해는 현재 멕시코 시티의 소칼로 유적에서 볼 수 있다.

3. 4. 1. 촘판틀리 준비

베르날 디아스 델 카스티요의 목격담에 따르면, 에르난 코르테스의 원정대가 테노치티틀란에서 처음 후퇴했을 때, 아즈텍인들은 포획한 사람들과 말의 잘린 머리를 전시하기 위해 임시 촘판틀리|촘판틀리nci를 세웠다. 이 촘판틀리|촘판틀리nci는 ''피렌체 문서''의 12번째 책에 묘사되어 있다.[13][14] 이 조롱은 아즈텍 코덱스에도 묘사되어 있으며, 스페인 군대와 그 동맹국들이 결국 도시를 점령하게 된 전투들을 포함한다.[15]

코르테스의 원정대가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머무는 동안, 그들은 희생된 사람들의 해골로 장식된 나무 촘판틀리|촘판틀리nci 제단을 보고했다.[16] 템플로 마요르 단지 내부에서 회반죽으로 조각된 부조는 이러한 희생을 묘사했으며, 잔해는 현재 멕시코 시티의 소칼로 유적에서 볼 수 있다.

아스텍 수도 테노치티틀란템플로 마요르 발굴 결과, 남성과 여성, 어린이의 두개골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즈텍 문화의 인신 제사의 다양성을 보여준다.[17] 절단된 머리는 전시되었지만, 많은 학자들은 아즈텍 희생자들의 사지가 식인 풍습의 대상이 되었다고 본다.[18] 프라이 디에고 두란은 "살점을 먹고 난 뒤" 두개골이 사원에 전달되었다고 언급했다.[19]

두란은 촘판틀리|tzompantlinci가 주기적으로 개조되었다고 언급했다. "[두개골이] 낡아 훼손되면 조각조각 부서졌다. 그러나 울타리가 낡으면 개조되었고, 제거하면서 많은 [두개골]이 부서졌다. 다른 두개골은 더 많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제거되었고, 나중에 죽임을 당할 사람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19]

고고학자 에두아르도 콘트레라스는 두개골에 부착된 조직이 촘판틀리|tzompantlinci 기둥이 두개골 옆으로 삽입되기 전에 제거되었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는 1960년에서 1965년 사이에 멕시코시티 틀라텔롤코의 플라자 데 라스 트레스 문화스 발굴을 바탕으로 이러한 가정을 한다.[19]

3. 4. 2. 역사적 묘사

촘판틀리nci라는 단어는 나와틀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즈텍인들이 여러 아즈텍 도시에서 발견되는 해골 선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최초이자 가장 두드러진 예는 아즈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위치한 웨이 촘판틀리nci(대 해골 선반)이며, 초기 정복자들에 의해 묘사되었다. 테노치티틀란에는 최소 5개 이상의 해골 선반이 더 있었지만, 모든 기록에 따르면 훨씬 작았다.[13][14]

베르날 디아스 델 카스티요의 목격자 증언에 따르면, 사건 발생 수십 년 후에 쓰여진 누에바 에스파냐 정복의 진실한 역사es에서, 에르난 코르테스의 원정대가 테노치티틀란에서 처음 후퇴해야 했을 때, 아즈텍인들은 침략자들로부터 포획한 사람들과 말의 잘린 머리를 전시하기 위해 임시 촘판틀리nci를 세웠다. 이 촘판틀리nci는 ''피렌체 문서''의 12번째 책에 묘사되어 있으며, 아즈텍 코덱스에도 묘사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스페인 군대와 그 동맹국들이 결국 도시를 점령하게 된 일련의 전투를 포함하고 있다.[15]

코르테스의 원정대가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머무는 동안(모테수마 2세 황제의 손님-포로로, 정복으로 이어질 전투 전), 그들은 최근 희생된 사람들의 해골로 장식된 나무 촘판틀리nci 제단을 보고했다.[16] 템플로 마요르 단지 내부에서, 회반죽으로 조각된 부조는 이러한 희생을 묘사했다. 이 부조의 잔해는 남아 있으며 현재 멕시코 시티의 소칼로 유적에서 볼 수 있다.

아즈텍 코덱스에는 촘판틀리nci에 대한 수많은 묘사가 있으며, 이는 아즈텍 제국 정복 시점 또는 그 직후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두란 코덱스'', ''라미레스 코덱스'', ''보르지아 코덱스'' 등이 있다. ''멘도사 코덱스''에는 촘판틀리nci에 대한 여러 묘사가 담겨 있다. ''멘도사 코덱스''의 표지에는 독수리가 선인장에 앉아 있는 옆에 해골 하나를 든 촘판틀리nci가 묘사되어 있다. 유사한 촘판틀리nci 묘사가 ''멘도사 코덱스''에서 촘판코(Tzompanco) 마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29] 보르지아 코덱스 45v 면에는 해골로 장식된 플랫폼이 묘사되어 있다.

3. 4. 3. 최근 발굴

2015년부터 국립 인류학 및 역사 연구소 소속 고고학자들이 발굴 조사를 진행하여 촘판틀리가 발견되었다. 이 발굴은 멕시코 시티 메트로폴리탄 대성당 근처에서 이루어졌으며, 촘판틀리 타워 1개가 발견되었다. 발굴 결과 희생자의 75%는 남성이었지만, 여성과 어린이도 희생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8]

4. 의미와 연관성

의례적으로 처형된 전쟁 포로의 두개골을 전시하는 것 외에도, tzompantli|촘판틀리nci는 메소아메리카 볼 코트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메소아메리카 볼 게임은 '승리를 위해' 진행되었으며, 패배한 팀은 희생되었다. 승리한 팀의 주장은 패배한 팀의 주장의 머리를 가져다가 tzompantli|촘판틀리nci에 전시했다.[12] tzompantli|촘판틀리nci는 고도로 의례화된 이 게임의 패자들의 머리를 전시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든 게임이 이런 결과를 낳은 것은 아니며, 이러한 결과를 낳은 경우에도 주목할 만한 포로들이 희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이론은 머리를 잃은 사람이 승리한 팀의 주장이라는 것이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31] 메소아메리카 문화에서 희생은 신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영광으로 여겨졌다.[32] 이전 톨텍의 수도인 툴라에는 볼 코트에 tzompantli|촘판틀리nci 비문이 잘 보존되어 있다.

볼 코트와의 연관성은 키체 마야의 종교적, 역사적, 문화적 기록인 ''포폴 부흐''에도 반영되어 있다. 마야 영웅 쌍둥이의 아버지인 훈 후나푸가 저승의 군주 (시발바)에게 살해당했을 때, 그의 머리는 볼 코트 옆 나무에 걸렸다.[33] 박 나무는 tzompantli|촘판틀리nci를 나타내며, 과일처럼 나무에 매달린 해골의 이미지는 tzompantli|촘판틀리nci와 게임의 일부 은유적 해석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34]

5. 현대적 사용

호세 차베스 모라도는 1961년 그림에서 촘판틀리를 묘사했다.[35] 조지 O. 잭슨은 '멕시코의 본질'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해골의 다양한 표현을 사진으로 촬영했으며, 이를 calaveras|칼라베라스es(해골을 뜻하는 스페인어 단어)라고 불렀다. 잭슨은 이러한 사진들을 묶어 촘판틀리라고 지칭했다.[36] 촘판틀리는 또한 에스토니아에서 멕시코 문화를 기념하는 축제인 멕스토니아(Mextonia)를 위해 예술 단체 누에베 아르테 우르바노가 제작한 벽화의 주제가 되기도 했다.[37] Museo de Arte de Querétaro|케레타로 미술관|italic=noes은 여러 예술가들이 해골을 묘사한 작품을 선보이는 촘판틀리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었다.[38]

6. 갤러리

템플로 마요르 박물관의

참조

[1] 문서 Palka 2000, p. 152.
[2] 문서 Mendoza 2007, p. 397.
[3] 뉴스 Tower of human skulls in Mexico casts new light on Aztecs https://www.reuters.[...] 2017-07-03
[4] 웹사이트 Re: Translation of Tzompantli http://listserv.ling[...] 2005-01-05
[5] 문서 Nelson et al. 1992, p. 308.
[6] 문서 Spencer 1982, pp. 236–239.
[7] 문서 Flannery 2003.
[8] 문서 Coe 2011, p. 196.
[9] 문서 Mendoza 2007, p. 396.
[10] 문서 Brandes 2009, p. 51.
[11] 문서 Miller and Taube 1993, p. 176.
[12] 문서 Coe 2011, pp. 195–196 (or 210 in the 2015 edition).
[13] 웹사이트 General History of the Things of New Spain by Fray Bernardino de Sahagún: The Florentine Codex — Viewer — World Digital Library https://www.wdl.org/[...] 2018-11-03
[14] 웹사이트 FAMSI - John Pohl's Mesoamerica - Historical Records of the Conquest http://www.famsi.org[...] 2018-11-04
[15] 문서 Diaz del Castillo 1963.
[16] 문서 Levy 2009, p. 65.
[17] 뉴스 Aztec tower of human skulls uncovered in Mexico City https://www.bbc.com/[...] 2017-07-02
[18] 문서 Michael Harner 1977, p. 120.
[19] 서적 Book of the gods and rites and the ancient calendar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71
[20] 문서 Coe and Koontz 2008, p. 194.
[21] 문서 Coe and Koontz 2008, p. 110.
[22] 문서 Harner 1977, p. 122.
[23] 문서 Ortíz de Montellano 1983.
[24] 문서 Ruben Mendoza 2007, pp. 407–408.
[25] 서적 Historia Verdadera de la Conquista de la Nueva España http://www.rae.es/si[...]
[26] 간행물 Vol. 53, No. 4, 75th Anniversary Meeting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December 1985), pp. 797–813.
[27] 서적 The Taking and Displaying of Human Body Parts as Trophies by Amerindians Springer 2007
[28] 뉴스 Feeding the gods: Hundreds of skulls reveal massive scale of human sacrifice in Aztec capital https://www.science.[...] 2018-06-20
[29] 웹사이트 Codex Mendoza (1542) https://publicdomain[...] 2012-05-14
[30] 웹사이트 Codex Borgia (Loubat 1898) http://www.famsi.org[...] University Library of Rostock
[31] 문서 Campbell 1988, p. 108.
[32] 문서 Coe and Koontz 2008, pp. 204–205.
[33] 문서 Coe 2011, p. 67.
[34] 문서 Mendoza 2007, p. 418.
[35] 뉴스 La Colección de Arte Moderno http://www.marco.org[...]
[36] 웹사이트 CALAVERAS http://www.georgeoja[...] 2018-11-09
[37] 뉴스 Nueve Arte Urbano recibe premio internacional por mural Tzompantli http://www.elunivers[...] 2018-11-10
[38] 뉴스 Un Tzompantli contemporáneo http://www.elunivers[...] 2018-11-10
[39] 서적 Palka 2000
[40] 서적 Mendoza 2007
[41] 뉴스 Tower of human skulls in Mexico casts new light on Aztecs https://www.reuters.[...] 2017-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