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기산 보니파시오는 1948년 경기도 김포에서 출생하여 2016년 심장마비로 선종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주교이다. 1975년 사제 서품을 받고, 인천 부평1동성당 보좌신부로 사목을 시작했으며, 이후 천주교 인천교구 사목국장, 미국 교포 사목 등을 역임했다. 1999년 인천교구 부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2002년 인천교구 초대 교구장 나길모 주교의 은퇴로 교구장직을 승계했다. 그의 사목 표어는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신고등학교 동문 - 김도현 (가수)
김도현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씨름 선수 경력으로 전국체육대회 동메달, 전국시도대항장사씨름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3년과 2016년에 음반을 발매하고 방송에도 출연했다. - 가톨릭대학교 동문 - 최영수
최영수는 1970년 사제 서품을 받은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로서, 가톨릭신문 사장과 대구 평화방송 초대 사장을 역임하여 언론 선교에 힘썼고,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사형제 폐지 운동과 환경 운동에 헌신했으며, 제9대 천주교 대구대교구 교구장을 지냈다. - 가톨릭대학교 동문 - 염수정
염수정은 1943년 안성에서 태어나 5대째 가톨릭 신앙을 이어온 가정에서 성장하여 사제가 되었고,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대행 대주교를 거쳐 2014년 추기경으로 서임되어 생명 존중, 사회 정의, 남북 화해를 위해 활동하다 2021년 서울대교구장직에서 사임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추기경이다.
| 최기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본명 | 최기산 (보니파시오) |
| 로마자 표기 | Choe Gi-san |
| 인물 정보 | |
| 출생 | 1948년 5월 16일 |
| 출생지 | 미 군정 조선 경기도 김포군 |
| 선종 | 2016년 5월 30일 (68세) |
| 선종 장소 | 답동 주교좌 성당 |
| 국적 | 대한민국 |
| 학력 | |
| 모교 | 가톨릭대학교 |
| 직책 | |
| 직책 | 천주교 인천교구장 |
| 관구 | 답동 주교좌 성당 |
| 서품 정보 | |
| 주교 서품 | 1999년 10월 29일 |
| 임기 시작 | 2002년 4월 25일 |
| 임기 종료 | 2016년 5월 30일 |
2. 생애
최기산 보니파시오 주교는 1948년 경기도 김포군 양촌면 마산리(현 경기도 김포시 마산동)에서 태어나 2016년 선종할 때까지 천주교 주교로서 활동했다.
1967년 소신학교를 졸업하고 1975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인천 부평1동성당 보좌신부를 시작으로 본당사목, 교구사목, 해외 교포사목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1987년 천주교 인천교구 사목국장을 역임했고, 1990년부터 1995년까지 미국에서 교포 사목 및 공부를 했다. 특히 뉴저지 데마레스트에서 한인 천주교 성당을 정식으로 설립하고 신자 수를 크게 늘렸다.
1996년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영성처장 및 겨레문화연구소장을 겸임하였다. 199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인천교구 부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고, 2002년 나길모 주교의 은퇴로 교구장직을 승계받았다.
2016년 5월 30일 심장마비로 선종하였다.[2]
2. 1. 출생과 성장
최기산은 1948년 경기도 김포군 양촌면 마산리(현 경기도 김포시 마산동)에서 6남 2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본관은 해주이다. 고조부 때부터 천주교를 믿어온 집안에서 자라 자연스럽게 신앙을 접했다. 중학교 때 이미 사제가 되기로 결심했으며, 마산리 공소 출신으로 어릴 적 미사 참례를 위해 25리나 되는 거리를 가족과 함께 다녔던 것을 행복하게 회고했다.1967년 소신학교를 졸업했다.
2. 2. 사제 서품과 활동
1975년 12월 사제 서품을 받고 인천 부평1동성당 보좌신부로 사목을 시작했다. 본당사목, 교구사목, 해외 교포사목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1987년 천주교 인천교구 사목국장을 역임했다.2. 3. 미국 교포 사목
1990년부터 1995년까지 미국에서 교포 사목 및 공부를 했다.[1] 특히 미국 뉴저지 데마레스트에서 한인 천주교 성당을 정식으로 설립하고, 당시 55세대이던 신자 가구 수를 240세대까지 끌어올렸다.[1] 훗날 최기산은 이때가 미국 교포사목 당시 가장 행복했던 시기라고 전했다.[1]2. 4.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1996년 2월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으며, 영성처장 및 겨레문화연구소장을 겸임하였다.2. 5. 주교 서품과 교구장 활동
1999년 10월 29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인천교구 부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27일 부천 실내체육관에서 주교 서품식이 거행되었다.[1] 2002년 3월 26일 인천교구 초대 교구장 나길모 주교가 은퇴하면서 교구장직을 자동 승계받았다. 교구장 착좌식은 같은 해 4월 25일 인천교구 답동 주교좌 성당에서 거행되었다.[1]2016년 5월 30일 오전 11시 40분에 심장마비로 갑자기 선종하였다(68살).[2]
3. 문장
최기산 주교의 문장은 요한 복음서 14장 6절의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EGO SUM VIA VERITAS ET VITA)”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을 사목표어로 삼고 있다. 문장은 방패, 길, 책, 물병, 비둘기, 십자가, 모자, 장식술, 지팡이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소는 주교의 사목 의지와 신앙을 상징한다.[3]
3. 1. 사목 표어
최기산 주교의 사목표어는 요한 복음서 14장 6절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스스로를 가리켜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EGO SUM VIA VERITAS ET VITA).”라고 한 말이다. 이는 “성령으로 충만하신 예수 그리스도 홀로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시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인생의 방패로 삼아 그분의 뜻이 이루어지는 삶을 살기로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기산 주교의 사목 의지를 함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3]3. 2. 문장의 구성과 의미
최기산 주교의 문장은 방패 형상에 길, 진리를 뜻하는 책, 생명을 상징하는 물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최 주교가 사제 서품 때부터 좌우명으로 삼아온 주님의 기도 중 한 구절인 'FIAT VOLUNTAS TUA(주님 뜻대로 이루어지소서)'를 라틴어로 적어 놓았다.
문장 상단의 순백의 비둘기는 성령을 상징하며, 바로 아랫부분의 성광으로 빛나는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동시에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지듯이 최 주교 자신이 주교직을 겸손하게 받아들이겠다는 뜻이다. 중앙에 위치한 방패 형상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인생의 방패로 삼겠다는 의지를 표현한다. 방패에 새겨진 길과 책, 물병 모양은 각각 길과 진리와 생명을 상징한다.
비둘기 윗부분의 모자와 방패 옆 열두 매듭의 장식술, 그리고 방패 하단의 지팡이는 주교의 위계를 표시한다. 전체적으로 온화한 오렌지색 배열은 따뜻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려는 최 주교의 성품과 일치한다. 또한 녹색은 하느님의 종으로 더욱 헌신하겠다는 성실함을, 오렌지색과 녹색의 조화는 모든 이가 일치하여 하느님 나라를 완성하자는 화합과 평화의 의미를 담고 있다.[3]
참조
[1]
뉴스
천주교 인천교구 제2대 교구장 최기산 주교 선종
http://www.kihoilbo.[...]
Kiho Ilbo
2016-05-30
[2]
웹사이트
Diocese of Incheon
http://www.gcatholic[...]
[3]
뉴스
인천 최기산 주교 사목표어·문장 확정
http://www.catholict[...]
2011-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