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운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운봉은 일제강점기 친일 영화에 출연하고 광복 후 조선영화동맹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한 배우이다. 1938년 영화 《한강》으로 데뷔하여,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시기 친일 영화에 출연했다. 안석영 연출의 《지원병》에 문예봉과 함께 주연으로 출연했으며, 《나는 간다》, 《태양의 아들들》 등의 작품에 참여했다. 광복 후에는 조선영화동맹에 가담하여 서울지부 집행위원을 맡았으나, 1949년 《마음의 고향》 출연을 마지막으로 월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문예봉
    문예봉은 일제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배우로, 영화 《임자 없는 나룻배》로 데뷔하여 《춘향전》에서 춘향 역을 맡아 스타덤에 올랐으며, 월북 후 북한에서 공훈배우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 월북자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월북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 - 김여정
    김여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정일과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나 김정은의 여동생이며, 조선로동당 핵심 실세로 부상하여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대외적으로 강경한 어조의 담화를 발표하며 대남·대미 압박을 주도하기도 한다.
최운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최운봉
최운봉
본명알 수 없음
출생일1914년
출생지알 수 없음
사망일알 수 없음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다른 이름알 수 없음
배우자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생애

최운봉은 1938년 《한강》으로 데뷔했다. 일제 강점기에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 등으로 관제 선동 영화가 주로 제작되던 시기에 여러 친일 영화에 출연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광복 후에는 조선영화동맹에서 활동하다가, 1949년 《마음의 고향》 출연을 마지막으로 월북했다.[2]

2. 1. 일제강점기 활동

1938년 《한강》으로 데뷔했다. 최운봉의 데뷔 시기는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으로 관제 선동 영화가 주로 제작되던 시기였다. 1942년에는 영화사가 통폐합되어 국책 영화만 제작할 수 있었다.

최운봉은 지원병 제도를 홍보하는 안석영 연출의 《지원병》(1941년)에 문예봉과 함께 주연으로 출연한데 이어, 《나는 간다(今ど我は行く일본어)》, 《태양의 아들들(太陽の子供達일본어)》, 《감격의 일기(感激の日記일본어)》, 《우리들의 전쟁(我れらの戰爭일본어)》 등 친일 영화에 잇따라 출연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1]

2. 2. 광복 후 활동

광복 후 조선영화동맹에 가담하여 서울지부 집행위원을 맡아 영화 대중화 운동에 참가했다.[1] 조선영화동맹에는 좌익과 우익 영화인들이 대거 참가했으나, 차츰 우익 계열이 분리되었다.

1949년 함세덕의 희곡을 영화화한 《마음의 고향》에 출연한 것을 마지막으로 월북했다.[2]

참조

[1] 서적 한국영화사연구 새미 2003-02-03
[2] 논문 한국영화 성장기의 토대에 대한 연구 - 동란기 한국영화 제작을 중심으로 - http://thesis.cau.ac[...]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