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북은 대한민국 국민이 대한민국 정부의 허가 없이 군사 분계선을 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가는 행위를 의미한다. 분단 이후 남북은 각자의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기 위해 월북자를 활용했으며, 한국 전쟁 전후와 냉전 시대에 다양한 사유로 월북이 발생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국가보안법에 따라 월북 행위를 엄격히 처벌하며, 월북 이후 북한에서의 처우는 출신 성분에 따라 다르다. 주요 월북 사례로는 최덕신, 류미영, 로이 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회 - 인민상
인민상은 북한에서 조선로동당에 기여한 다양한 분야의 작품이나 개인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특히 예술 분야의 영화 작품과 조총련 연계 조선대학교 교직원에게도 수여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회 - 북한의 개인숭배
북한의 개인 숭배는 김씨 일가에 대한 절대적 충성을 요구하며, 김일성으로부터 시작되어 3대 세습 체제까지 이어지며 권위주의 체제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 대한민국의 사회 - 대한민국으로의 이민
대한민국으로의 이민은 외국인이 대한민국으로 이주하여 영주하거나 장기 체류하는 현상으로, 외국인 수 증가에 따라 유엔은 대한민국을 이민 수용국으로 지정했으며, 국적 취득 절차, 이민 현황 및 정책, 이민자 문제, 비자 종류, 정부 노력, 정책 문제점, 노동자 및 불법 체류자 문제, 인권 침해, 다문화 가족, 통계 등을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사회 - 대한민국의 자살
대한민국의 자살은 자살 교사 및 방조 등을 처벌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사회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정부는 자살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 - 월북자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월북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월북 | |
---|---|
지도 | |
개요 | |
정의 |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건너간 사람 |
관련 용어 | 탈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대한민국으로 건너온 사람 귀순: 적국에서 아군으로 건너옴. |
원인 | |
정치적 이유 | 대한민국의 반공주의 정책에 대한 반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 또는 향수병 |
경제적 이유 | 대한민국의 경제적 어려움 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생활에 대한 기대 |
개인적 이유 | 가족 관계, 사회 부적응, 범죄 등 |
역사 | |
1950년대 | 한국 전쟁 이후 다수 발생 |
1960년대 | 박정희 정부의 반공 정책 강화 간첩 활동과 연루된 사례 발생 |
1970년대 이후 | 감소 추세 |
주요 인물 | |
1950년대 이전 | 김약수 임화 김규광 |
한국 전쟁 시기 | 조병옥의 아들 조용수 이강국 최익규 황철 정국은 박갑동 김달삼 문정현 |
1950년대 이후 | 오길남의 가족 고경희 정경모 손성모 김용규 양원찬 조선적 일본인 배우 고영희 김혜성 |
2000년대 이후 | 재미교포 로버트 박 대한민국 국적 탈북민 김만철 (가명) |
2020년대 이후 | 2020년 9월 해상에서 북한군에 피살 및 시신 소각된 대한민국 국민 (탈남자로 추정) |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 | |
불법 행위 | 대한민국의 법률상 허가 없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건너가는 행위는 불법으로 간주됨. |
처벌 |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처벌 가능 |
사회적 인식 | |
부정적 인식 | 배신 행위로 간주되는 경향 간첩 활동에 대한 우려 |
비판적 시각 | 개인의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 |
관련 사건 | |
오길남 사건 | 경제학자 오길남이 가족을 데리고 월북한 후 혼자 망명한 사건 |
2020년 9월 피살 사건 | 북한군이 대한민국 국민을 사살하고 시신을 불태운 사건 |
대중 문화 속의 월북 | |
영화 | 《의형제》 |
소설 | 조정래, 《태백산맥》 |
2. 역사적 배경
1945년 분단 이후 남북한은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기 위해 탈북 및 월북 사건을 이용해 왔다. 북한의 선전은 DMZ에서 경계 근무를 하는 한국군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1]
2. 1. 한국 전쟁 전후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북위 38도선 이남은 미군정이 통치하고, 이북은 소련군이 세운 각 급 북조선 인민위원회가 통치했다. 통일 국가 수립을 목표로 많은 정치가·독립 운동가가 38선을 왕래했지만, 평양으로 간 후 북한에 머물며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한 사람도 적지 않았다.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부터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체결까지, 남북의 통치 지역이 유엔군과 중국 인민지원군의 직접적인 개입으로 아코디언처럼 변화하는 과정에서, 38선을 넘은 사람도 적지 않았다.
휴전 후, 이승만 정권의 반공주의를 피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된 지식인들이 월북하기도 했지만, 박헌영을 비롯한 남조선로동당 당원처럼 월북자 중 적지 않은 수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후의 정치 투쟁 끝에 숙청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출신자와 그 자손으로 재일 조선인의 북송 사업에 의해 북한으로 이주한 사람이나 임수경처럼 일시적으로 북한을 방문한 사람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월북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또한, 대한민국 국민이 통일부의 허가 없이 월북 행위를 한 경우, 한국에서는 국가보안법으로 단속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임수경이 제3국을 경유하여 1989년에 월북 행위를 했을 때, 귀환 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재판에서 징역형 판결이 확정되었다.
2. 2. 냉전 시대
냉전 시대에는 여러 명의 한국인과 주한미군이 북한으로 귀순했다. 1953년 대한민국 공군 김성배 대위는 F-51 무스탕을 몰고 북한으로 귀순했다.[2] 1985년 대한민국 육군 병사 라일룡이 북한으로 망명했다.[3] 1988년에는 주한 미군 부대에서 근무하던 한국인 직원 손창구가 북한으로 귀순했다.[4]냉전 시대에 미국 육군 군인 여럿이 북한으로 귀순하기도 했다. 그 중 한 명인 로이 정은 한국인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비무장 지대를 넘어 귀순한 다른 사람들과 달리, 1979년 서독과 동독 사이의 국경을 먼저 넘어 귀순했다.[5] 그의 부모는 북한이 그를 납치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한국군을 대상으로 DMZ에서 선전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1] 일부 한국인들은 해외 체류 중 북한에 의해 납치되거나 납치 시도를 당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납치 시도는 주로 유럽, 일본 또는 홍콩에서 발생했다.[6]
3. 월북의 처벌
대한민국은 군사분계선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가는 행위(월북)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월북을 시도하다 체포된 경우에는 국가보안법 제6조에 따라 사형ㆍ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게 된다. 통일부의 허가 없이 월북 행위를 한 경우, 국가보안법으로 단속 대상이 된다.[4] 예를 들어 임수경이 제3국을 경유하여 1989년에 월북 행위를 했을 때, 귀환 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재판에서 징역형 판결이 확정되었다.[4]
4. 월북 이후의 처우
북한의 출신 성분 제도에서 월북자는 1945년 8월 15일 이전에 입북한 자를 제외하고는 "동요 계층" 혹은 "적대 계층"으로 분류되어 철저한 감시 대상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44][45] 특히 적대 계층은 평양직할시 등 주요 도시 거주나 요직 취업이 불가능하지만,[46] 월북자는 다음과 같은 처우를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47] 1993년 사회안전부 (경찰)가 정리한 "주민등록 참고서"에서는 월북자를 동요 계층으로 분류하고 있다.[48]
- 신원 조사 후에는 평양 거주가 대부분 허용되며, 중심부의 아파트를 제공받는다. 월북자 간의 공동체 형성을 제한하기 위해 북한의 중산층 사회에 섞이도록 흩어져 거주지가 결정된다.
- 평양에서 취업하는 경우 한국 출신은 대부분 조선로동당통일전선부 산하 "남조선문제연구소" 연구원 직책을 받는다. 외국인이나 한국에서 군사 관련 업무를 했던 사람은 첩보 기관에서의 정보 분석이나 공작원 양성 과정의 교관 직책을 받는다.
- 월급은 대략 5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 1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이며, 쌀 1kg이 시장 가격으로 5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2022년 12월 기준)인 북한에서 생활은 불가능한 금액이다. 그러나 국가에 의한 특별 배급이 보장되어 매우 저렴한 공정 가격으로 생활이 가능하다.
- 외화 지급은 없지만, 월북 시 가져온 외화는 본인이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 결혼은 본인의 희망에 따라 당국이 알선하지만, 대개 알선되는 배우자는 당국의 스파이다. 월북자의 아버지와 북한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는 "아버지가 월북자"라는 이유로 당이나 군 관련 직업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연구자나 스포츠 선수와 같은 엘리트가 되는 것은 가능하므로, 당이나 군 관련 직종 외의 직종에는 제한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철저한 감시 대상"으로 분류되는 점은 사실이며, 본인과 그 가족의 일상생활 전부가 당국에 의해 24시간 365일 감시받는다. 감시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기만 해도 가족과 함께 행방불명된 사례도 있다.
과거에는 월북자가 외국에 여행하는 것도 허용되었지만, 1986년 최은희 · 신상옥 (북한 정부는 월북자라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납치 피해자)이 여행지 오스트리아에서 현지 미국 대사관에 망명하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공용이라도 월북자의 외국 여행은 금지되었다.[47] 또한, 최고 지도자 (김정은)와의 단체 사진 촬영이 촬영 당일에 "상층부의 지시"로 취소된 사례도 있었으며,[47] 이 점은 최고 지도자의 지방 시찰에 즈음하여 "위해를 가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연도에서의 환영에서 배제되는 적대 계층과 같은 취급이라고 할 수 있다.
4. 1. 재탈북 문제
탈북자가 대한민국으로 탈북했다가 다시 북한으로 재탈북하는 경우가 있다. 2012년 상반기에만 이와 같은 "재탈북자"가 100건에 달했다. 대한민국에서 겪는 광범위한 차별이 재탈북의 가능한 이유 중 하나로 포함된다.[7][8] 2012년 기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탈북자의 7.2%가 실업 상태였는데, 이는 대한민국 평균 실업률의 두 배였다.[9] 2013년에는 탈북자 2만 5천 명 중 800명의 행방이 묘연해졌다. 이들은 북한으로 돌아가는 길에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국가로 갔을 수도 있다.[10] 대한민국 통일부는 2014년 기준으로 재탈북 사례를 공식적으로 13건만 인정하고 있다.[11]대한민국의 법은 귀화한 탈북자의 재입국을 허용하지 않는다. 북한은 대한민국이 재입국을 원하는 사람들을 납치하여 강제로 억류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그들이 떠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요구했다.[12][13][14]
5. 주요 월북 사례
wiki
- 1977년 10월 20일 경기도 연천 일대 비무장지대(DMZ)를 담당했던 육군 20사단 62연대 대대장 유운학 중령이 무전병 오봉주 일병과 함께 역곡천을 따라 월북했다.[49]
- 1984년 6월 26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제22보병사단 소속 육군 조준희 일병이 총기를 난사, 병사 15명을 사살하고 월북했다.[49]
- 1987년 1월 3일 윤태식은 아내를 죽이고 월북을 시도하였다.
- 2014년 9월 16일 아랍계 미국인이 월북을 시도하다 한국군에 의해 체포되었다.[50]
- 2022년 1월 1일 신원미상 1명이 제22보병사단 강원도 철책을 넘어 월북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 2023년 7월 18일, 공동경비구역을 견학 중이던 주한미군 소속 이등병 남성 한 명이 월북하였다.[51]
연도 | 이름 | 직업/사건 | 비고 |
---|---|---|---|
1977년 | 유운학 중령, 오봉주 일병 | 육군 20사단 62연대 대대장, 무전병 | 역곡천을 따라 월북 |
1984년 | 조준희 일병 | 제22보병사단 소속 육군 | 총기 난사로 15명 사살 후 월북 |
1987년 | 윤태식 | 수지김 사건 관련 | 아내 살해 후 월북 시도 |
- | 최덕신 |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 | |
- | 류미영 | 천도교청우당 의장 | 최덕신의 부인 |
- | 김봉한 | 북한의 침술 연구자 | |
- | 오길남 | 경제학자 | 후에 남한으로 재귀순 |
- | 신숙자 | 오길남의 부인, 딸들과 함께 양심수로 억류 | |
- | 리승기 | 화학자 | 비날론 발명,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연구에 연루되었을 가능성 있음 |
- | 로이 정 (본명: 정려섭) | 미국 육군 군인 | 북한으로 귀순한 다섯 번째 미군 |
2014년 | 아랍계 미국인 | 월북 시도 중 한국군에 체포 | |
2022년 | 신원 미상 | 22사단 철책 월북 | |
2023년 | 트래비스 킹 | 주한미군 이등병 | 공동경비구역 견학 중 월북 |
5. 1. 대한민국 군인 월북
- 1977년 10월 20일 경기도 연천 일대 비무장지대(DMZ)를 담당했던 육군 20사단 62연대 대대장 유운학 중령이 무전병 오봉주 일병과 함께 역곡천을 따라 월북하였다.[49]
- 1984년 6월 26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제22보병사단 소속 육군 조준희 일병이 총기를 난사, 병사 15명을 사살하고 월북하였다.[49]
- 2022년 1월 1일 신원미상 1명이 제22보병사단 강원도 철책을 넘어 월북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5. 2. 민간인 월북
- 1987년 1월 3일, 윤태식은 아내를 살해하고 월북을 시도하였다.[22]
- 1996년 12월, 전 남무리 스크린 대표이자 국가안전기획부 요원이었던 백흥룡(30세)은 아내 진찬이(25세)와 함께 북한으로 월북했다. 백흥룡은 "국가안전기획부의 촉수를 폭로"하기 위해 북한에 왔으며, 자신과 아내가 "북한을 갈망했다"고 주장했다. 노동신문 1997년 3월 13일 자에 "독약 거미, 파시즘의 왕이 인민 위에 군림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 1997년 1월 중순 평양에서 이들을 위한 대중 집회가 열렸다.[23][24][25]
- 1998년 12월 초, 전라남도 출신의 활동가이자 한국 사회인민당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이었던 윤송식(61세)은 북한으로 월북했다. 그는 "조선 반도의 정치 아래에서 민족 통일을 위한 투쟁에 기여하겠다는 결의를 가지고 북한에 왔다"고 선언했다. 1999년 1월 14일, 그의 업적을 기리는 대중 집회가 평양에서 열렸으며,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훈장과 상금을 받았다. 1999년 평화적 통일을 위한 북한 내 전직 한국 정치인 협의회의 상임위원이 되었고, 특히 국가보안법과 미국에 대해 대한민국 정부를 자주 비판했다. 저서로는 "위대한 태양 아래서"(2001), "자주 통일의 기치를 따라"(2004)가 있다.[30][31][32][33][34][35][36]
- 2019년, 전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 최덕신의 아들인 최인국은 북한 국영 매체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를 통해, 부모님의 뜻에 따라 북한에서 살면서 한반도 통일에 헌신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정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41]
5. 3. 주한미군 월북
2023년 7월 18일, 공동경비구역을 견학 중이던 주한미군 소속 트래비스 킹 이등병이 월북하였다.[51]냉전 시대에 여러 명의 미국 육군 군인이 북한으로 귀순했다. 그 중 한 명인 로이 정은 한국인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비무장 지대를 넘어 귀순한 다른 사람들과 달리, 그는 1979년 서독과 동독 사이의 국경을 먼저 넘어 귀순했다.[5] 그의 부모는 북한이 그를 납치했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그가 "안보 위험"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 사건을 조사하는 데 관심이 없었고, 유사한 경우 납치가 발생했음을 증명하는 것은 대개 불가능했다. 당시 여러 명의 한국인이 의문스럽게 실종되어 북한으로 이동한 사건이 있었는데, 그 중에는 1979년 4월 노르웨이에서 휴가를 보내던 중 실종된 서울의 한 지질학 교사의 사건도 있었다. 일부 한국인들은 또한 해외 체류 중 북한이 자신들을 납치하려 했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납치 시도는 주로 유럽, 일본 또는 홍콩에서 발생했다.[6]
6. 현대 한국 출신 월북자
북한은 이중 탈북자를 유인하기 위한 선전을 펼쳤지만,[15] 일반적으로 북한 출신이 아닌 현대 한국 출신 탈북자들은 환영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6][17][18] 최근 몇 년 동안 7명이 대한민국을 떠나려 했으나, 북한에서 불법 입국으로 구금되어 결국 송환되었다.[16][17][18] 2019년 기준으로, 북한에는 전직 대한민국 국민 5,461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다음은 대한민국에서 북한으로의 탈북 사례 중 주목할 만한 사건들의 목록이다.
연도 | 내용 |
---|---|
1986년 | 전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이었던 최덕신은 부인 류미영과 함께 북한으로 탈북했다.[21] |
1996년 |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전 남무리 스크린 대표이자 국가안전기획부 요원이었던 30세의 백흥룡은 아내 진찬이(25세)와 함께 1996년 12월 북한으로 탈북했다.[22] 백흥룡은 북한에 "국가안전기획부의 촉수를 폭로"하기 위해 왔으며 자신과 아내가 "북한을 갈망했다"고 주장했다.[23] 백흥룡은 노동신문 1997년 3월 13일자에 "독약 거미, 파시즘의 왕이 인민 위에 군림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24] 1997년 1월 중순 평양에서 이들을 위한 대중 집회가 열렸다.[25] |
1997년 | 36세의 대한민국 대전 호텔 보일러공이었던 한경선은 1997년 7월 초 제3국을 통해 북한으로 탈북했다. 1997년 7월 17일 인터뷰에서 그는 "김영삼 대통령 당선 이후 대한민국에 많은 타락한 유흥 및 서비스 시설이 나타나 살인, 강간, 강도와 같은 악행을 일으켰다"고 선언하며, 자신을 포함한 일반 사람들이 대한민국에서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없기 때문에 "북한으로 탈북했다"고 밝혔다. 1997년 7월 22일 열린 회의에서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훈장과 상금을 받았으며, 평양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26][27][28] |
1998년 | 인천 출신의 대한민국 어부 송기찬은 북한으로 탈북했다. 송씨는 자신의 트롤선을 북한의 미상의 항구로 항해했다.[29] |
1998년 | 전라남도 출신의 61세 활동가이자, 한국 사회인민당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이었던 윤송식은 1998년 12월 초 북한으로 탈북했다.[30][31] 그는 "조선반도의 정치 아래에서 민족 통일을 위한 투쟁에 기여하겠다는 결의를 가지고 북한에 왔다"고 선언했다. 1999년 1월 14일, 그의 업적을 기리는 대중 집회가 평양에서 열렸으며,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훈장과 상금을 받았다.[32] 그는 1999년 평화적 통일을 위한 북한 내 전직 한국 정치인 협의회의 상임위원이 되었고, 특히 국가보안법에 대해, 그리고 미국에 대해 대한민국 정부를 자주 비판했다.[33][34] 그는 두 권의 책을 출판했다; "위대한 태양 아래서" (2001)[35]와 "자주 통일의 기치를 따라" (2004).[36] |
2004년 | 33세의 대한민국 군인 첸은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혐의로 체포되었는데, 그는 비밀리에 북한으로 넘어가 자신이 복무했던 군 부대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첸은 중국 지린 성을 흐르는 두만강을 건너 북한 함경북도의 회령까지 갔다.[37] 북한에 의해 불법 입국자로 추방되어 중국에서 대한민국으로 송환된 첸은 자신이 복무했던 대한민국 공군 전투기 부대의 위치와 대공포 위치 등 북한에 군사 정보를 제공한 혐의를 받았다. |
2005년 | 황만호에 탑승한 57세의 대한민국 어부 황홍련은 "만취 상태"에서 북방한계선을 넘어 북한으로 갔다.[38] 대한민국 해군은 60mm 박격포를 포함한 다양한 무기로 20발의 경고사격을 가했지만, 배를 막을 수 없었다.[39] |
2009년 | 30세의 강동림은 비무장 지대 울타리에 구멍을 내고 탈북했으며, 대한민국에서 수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나중에 남쪽으로 추방되었다. 그 구멍은 24시간이 넘도록 발견되지 않았고, 북한 매체를 통해 대한민국에 알려졌다.[17][40] |
2019년 | 전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 최덕신의 아들인 최인국은 북한의 국영 매체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에 따르면, 부모님의 뜻에 따라 그곳에서 살면서 한반도 통일에 헌신하기 위해 북한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41] |
2022년 |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대한민국 시민이 1월 초 비무장 지대를 넘어 북한으로 탈북했다.[42] |
7. 주목할 만한 월북자
참조
[1]
웹사이트
Communist Korean War Leaflets
http://www.psywarrio[...]
2006-01-05
[2]
뉴스
Koreans Admit Pilot Deserted
https://news.google.[...]
1953-10-25
[3]
뉴스
South Korean Soldier Defects to North
https://news.google.[...]
1985-02-19
[4]
뉴스
Korean Employee Defects to North
https://news.google.[...]
1988-02-16
[5]
웹사이트
Strangers At Home: North Koreans In The South
http://www.crisisgro[...]
2011-07-14
[6]
뉴스
South Korean, Who Joined U.S. Army, Reportedly Defected to North Korea
https://www.washingt[...]
1979-09-13
[7]
웹사이트
Why Do People Keep "Re-Defecting" To North Korea?
http://www.nknews.or[...]
2012-11-11
[8]
웹사이트
Phenomenon of North Korean "double defectors" shows deepening divide
http://www.scottisht[...]
[9]
웹사이트
North Korean refugees unemployment rate: twice the national average.
https://www.nknews.o[...]
2012-08-09
[10]
웹사이트
Why North Korean Defectors Keep Returning Home
http://www.businessi[...]
2013-12-26
[11]
웹사이트
The defector who wants to go back to North Korea
https://www.theguard[...]
2014-04-22
[12]
웹사이트
South Korea bans North Korean defector from repatriation
http://www.upi.com/T[...]
2015-09-22
[13]
웹사이트
Defector wants to return to North Korea
http://edition.cnn.c[...]
2015-09-23
[14]
웹사이트
A North Korean Defector's Regret
https://www.nytimes.[...]
2015-08-16
[15]
웹사이트
North Korea Is Promising No Harm And Cash Rewards For Defectors Who Come Back
http://www.businessi[...]
2013-08-18
[16]
웹사이트
South Korea intrigued by 6 who defected to Pyongyang
http://edition.cnn.c[...]
2013-10-28
[17]
웹사이트
North Korea Returns South Korean 'Defectors'
http://www.voanews.c[...]
2013-10-25
[18]
웹사이트
South Korean defectors flee TO North Korea 'in search of better life' - but end up in detention for up to 45 months
https://www.independ[...]
2013-10-28
[19]
웹사이트
Corea del Norte - Inmigración 2019
https://datosmacro.e[...]
[20]
웹사이트
South Korean army shoots dead 'defector'
https://www.telegrap[...]
2013-09-16
[21]
웹사이트
Choi Duk Shin, 75, Ex-South Korean Envoy
https://www.nytimes.[...]
1989-11-19
[22]
뉴스
South Koreans defect to north
https://kcnawatch.or[...]
1996-12-25
[23]
뉴스
S. Korean defectors interviewed
https://kcnawatch.or[...]
1997-01-09
[24]
뉴스
Press review
https://kcnawatch.or[...]
1997-03-14
[25]
뉴스
Press review
https://kcnawatch.or[...]
1997-01-15
[26]
뉴스
State commendations awarded to contributors to festival
https://kcnawatch.or[...]
1997-07-05
[27]
뉴스
S. Korean defector welcomed by Pyongyangites
https://kcnawatch.or[...]
1997-07-22
[28]
뉴스
S. Korean defector interviewed
https://kcnawatch.or[...]
1997-07-17
[29]
웹사이트
BBC News | ASIA-PACIFIC | South Korean defects to the North
http://news.bbc.co.u[...]
[30]
뉴스
S. Korean Yun Song Sik defects to north
https://kcnawatch.or[...]
1998-12-22
[31]
뉴스
Yun Song Sik interviewed
https://kcnawatch.or[...]
1999-12-02
[32]
뉴스
Defector Yun Song Sik welcomed in Pyongyang
https://kcnawatch.or[...]
1999-01-15
[33]
뉴스
Total abolition of "security law" urged
https://kcnawatch.or[...]
1999-11-05
[34]
뉴스
U.S. urged not to misjudge DPRK
https://kcnawatch.or[...]
2003-01-23
[35]
뉴스
S. Korean defector publishes book
https://kcnawatch.or[...]
2001-04-24
[36]
웹사이트
Chaju tʻongil ŭi kichʻi ttara / Yun Sŏng-sik
https://catalogue.nl[...]
[37]
웹사이트
Would be Defector Arrested After Deportation by North
http://english.chosu[...]
2018-06-12
[38]
웹사이트
N. Korea Returns S. Korean Fisherman Who Attempted Defection
http://english.chosu[...]
2021-05-18
[39]
웹사이트
Unidentified Ship Defects to N. Korea
http://english.chosu[...]
2018-06-11
[40]
웹사이트
Military Under Fire After Man Defects to N.Korea
http://english.chosu[...]
2019-05-02
[41]
웹사이트
Son of high-profile South Korean defector 'moves to North Korea'
https://www.theguard[...]
2019-07-08
[42]
뉴스
South Korean crosses armed border in rare defection to North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1-02
[43]
뉴스
北朝鮮軍、韓国人を海上で射殺し遺体焼却 「脱南者」か
https://www.afpbb.co[...]
AFPBB News 日本語版(時事通信社が運営)
2020-09-24
[44]
서적
北朝鮮 その衝撃の実像
講談社
1991-07
[45]
서적
暴走国家・北朝鮮の狙い
PHP研究所
2009-10
[46]
서적
金正日 隠された戦争
文藝春秋
2006-11
[47]
웹사이트
死ぬまで「監視」され続ける…! 北朝鮮へ渡った人たちを待ち受ける「ヤバすぎる日常」と「悲しい末路」…!
https://gendai.media[...]
マネー現代
2024-06-08
[48]
웹사이트
【徹底解説】北朝鮮の身分制度「出身成分」「社会成分」「階層」
https://dailynk.jp/a[...]
DailyNK
2024-06-10
[49]
웹사이트
15명 학살 범죄자도 ‘영웅’ 취급…휴전선 넘은 이들의 운명
https://www.hani.co.[...]
2018-07-29
[50]
웹사이트
월북 시도 아랍계 미국인 한강에서 체포
http://www.newdaily.[...]
[51]
웹인용
JSA 견학중이던 주한미군 병사 1명 월북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7-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