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주 유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주 유씨는 신라 말 호족 유긍달의 후손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유긍달은 고려 건국에 기여하여 왕건의 셋째 부인 신명순성왕태후를 배출하며 외척 세력으로 성장했고, 고려 경종대까지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고려 시대에는 여러 왕비와 재상을 배출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3명과 생원 20명을 배출했다. 현대에는 유진룡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2,544명이 충주 유씨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주 유씨 - 유애리
    유애리는 1981년 KBS 8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다양한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KBS 주요 보직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건국대학교 등에서 활동하며 방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여러 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 충주 유씨 - 유진룡
    유진룡은 대한민국의 행정가이자 학자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과 장관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문화 정책을 추진했고, 장관직 이후에는 대학교 교수 및 부총장, 수림문화재단 이사장, 예술의전당 이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충주 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충주 유씨
한자 표기忠州 劉氏
로마자 표기Chungju Yussi
유형씨족
속한 가문유씨
국가한국
기원충청북도 충주시
시조유긍달
구성원1985년: 1,125명 (274가구)
2000년: 1,597명 (497가구)
2015년: 2,544명
관련 인물신명순성왕후
유권열
유신성
유진
유징필
유씨 부인
유방의
유충기
기화
유진룡
유애리
웹사이트충주 유씨
역사
고려 초기남한강 수운 세력
시조유긍달
주요 인물신명순성왕후: 태조의 후비
유긍달: 태조의 장인
기타 정보
집성촌충청북도 충주시
주요 인물신명순성왕후
유권열
유신성
유진
유징필
유방의
유충기
기화
유진룡
신명순성왕태후
헌의왕후
문덕왕후
선정왕후

2. 역사

충주 유씨(忠州 劉氏) 시조 유긍달신라 말 충주 지방의 유력한 호족이었다. 유긍달궁예의 부장으로서 지금의 충주, 청주, 괴산 등지를 공격할 때 왕건과 인연을 맺었다.[9]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웠으며, 그의 딸 신명순성왕태후가 태조의 셋째 부인이 되어 정종, 광종 등을 낳으면서 강력한 외척으로 떠올랐다.[9] 경종 대까지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유긍달은 사후 태사내사령에 추증되었다.[9]

2. 1. 시조 및 고려 건국

유긍달(劉兢達)은 신라 말 충주 지방의 유력한 호족이었다. 900년(효공왕 4) 궁예의 부장으로서 지금의 충주, 청주, 괴산 등지를 공격하여 청길(淸吉), 신훤(莘萱)의 세력을 평정할 때 왕건과 인연을 맺었다.[9] 고려 건국 후 그의 딸은 왕건의 셋째 부인 신명순성왕태후가 되었고, 신명순성왕태후는 태자 왕태(훗날의 정종), 광종, 문원대왕 왕정, 증통국사 등의 다섯 왕자와 낙랑, 흥방 두 공주를 낳았다.[9] 이로써 유긍달의 가문은 강력한 외척으로 떠올랐으며 경종 대(975~981)까지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9] 유긍달은 사후 태사내사령(太師內史令)에 추증되었다.[9]

2. 2. 고려 왕실과의 관계

유긍달의 딸 신명순성왕태후는 태조의 셋째 부인이자 왕위에 오른 후 첫 번째 왕후가 되었으며, 정종과 광종을 비롯한 다섯 왕자와 두 공주를 낳아 충주 유씨 가문을 강력한 외척으로 만들었다.[4][9] 충주 유씨는 경종, 성종, 목종 대에 걸쳐 왕비와 후궁을 배출하며 고려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9]

헌의왕후, 문덕왕후, 선정왕후는 모두 실제로는 개성 왕씨 출신이었으나, 친족과의 혼인을 위해 어머니의 성을 따라 본관을 바꾸었다.

3. 주요 인물

충주 유씨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여러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 유권열 : 태조의 제3왕후 신명순성왕태후의 친가 출신으로 태조 즉위 초 광평시랑(廣評侍郞)을 지냈다.
  • 유신성 : 994년(성종 13) 광종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다. 1033년(덕종 2) 태부(太傅)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광위(匡衛)이다. 광종의 외가인 충주 유씨 가문 출신으로, 광종의 신임을 얻어 조정에서 활약한 명신(名臣)이다.

  • 유진 : 충주 출신으로, 광종 때 벼슬길에 나와 내승지(內承旨)가 되었다. 목종 때 이부상서 참지정사(吏部尙書參知政事)가 되고, 현종 즉위 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올랐으며, 1011년(현종 2)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 이듬해 문하시랑을 지냈다. 1014년 검교태사 수문하시중(檢校太師守門下侍中)에 이르렀다.[10]

  • 유징필 : 고려 전기의 재상. 1013년(현종 4) 예부시랑(禮部侍郎)으로 거란에 다녀왔으며, 1020년 국자좨주(國子祭酒)로 복시(覆試)를 주관하였다. 1036년(정종 2) 참지정사 겸 서경유수사(參知政事兼西京留守使)로 재상 반열에 올랐고, 내사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內史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서경유수사로 승진하였다.

  • 유방의 : 고려 중기 문신. 1148년(의종 2) 삼화현령(三和縣令)에 임명되었으며, 재임 중 사망하였다.

  • 유충기 : 1190년(명종 20) 문과에 급제하여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거쳐 국자감 대사성(國字監大司成)을 지냈다.

  • 유진룡 : 대한민국의 정치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文化體育觀光部 長官)을 지냈다.

3. 1. 고려 시대

충주 유씨는 고려 시대에 왕실과 깊은 인연을 맺으며 중요한 역할을 한 가문이다.

태조의 제3왕후 신명순성왕태후는 충주 유씨 출신으로, 그녀의 친가인 충주 유씨는 태조 즉위 초부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4] 유권열은 광평시랑(廣評侍郞)을 역임했고, 유신성은 광종의 신임을 얻어 조정에서 활약했으며, 1033년(덕종 2) 태부(太傅)에 추증되었다.

유진은 광종 때 벼슬을 시작하여 현종 때 검교태사 수문하시중(檢校太師守門下侍中)에 이르렀다.[10] 유징필은 거란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러 관직을 거쳐 재상 반열에 올랐다. 유방의고려 중기 문신으로 삼화현령(三和縣令)을 지냈고, 유충기는 국자감 대사성(國字監大司成)을 역임했다.

3. 1. 1. 관료


  • 유권열 : 고려 태조 즉위 초 광평시랑(廣評侍郞)을 지냈다.
  • 유신성 : 광종의 신임을 받아 조정의 중책을 맡았으며, 1033년(덕종 2) 태부(太傅)에 추증되었다.
  • 유진 : 광종 때 벼슬을 시작하여 목종 때 이부상서 참지정사(吏部尙書參知政事)가 되었다. 현종 때는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 문하시랑을 거쳐 검교태사 수문하시중(檢校太師守門下侍中)에 이르렀다.[10]
  • 유징필 : 1013년(현종 4) 예부시랑(禮部侍郎)으로 거란에 다녀왔고, 1020년 국자좨주(國子祭酒)로 복시(覆試)를 주관했다. 1036년(정종 2) 참지정사 겸 서경유수사(參知政事兼西京留守使)로 재상 반열에 올랐으며, 이후 내사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內史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서경유수사로 승진하였다.
  • 유방의 : 고려 중기 문신으로, 1148년(의종 2) 삼화현령(三和縣令)에 임명되었으나 재관(在官) 중 병사하였다.
  • 유충기 : 1190년(명종 20) 문과에 급제하여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거쳐 국자감 대사성(國字監大司成)을 지냈다.
  • 유진룡 :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다.


충주 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 무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11]

문과
유기룡유사평유희



무과
유계종유귀창유기립유기태유명언
유무성유문유상량유상헌유억구
유용수유의남유의인유종례유중립
유처진유택진유필한유현복유홍택


3. 1. 2. 문과 급제자

이름
유방의(劉邦儀)
유충기(劉冲基)
유희(劉羲)

[11]

3. 1. 3. 왕비 및 후궁

태조의 왕비 신명순성왕태후[4]는 충주 유씨 시조 유긍달의 딸이다. 경종의 계비 헌의왕후, 성종의 제1비 문덕왕후, 목종의 제1비 선정왕후는 모두 실제로는 '''개성 왕씨''' 출신이었으나, 친족과의 혼인을 위해 어머니의 성을 따라 본관을 바꾸었다. 덕종의 5번째 부인이자 후궁인 부인 유씨[8]가 있다.

3. 2. 조선 시대

충주 유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3명, 생원 20명을 배출했다.[6] 유희, 유사평, 유기룡 등이 문과에 급제했으며, 기화와 같은 인물도 있었다.[6]

3. 2. 1. 문과 급제자

이름한자비고
유기룡劉起龍
유사평劉師玶
유희劉㵙[6]


3. 2. 2. 무과 급제자

이름
유계종
유귀창
유기립
유기태
유명언
유무성
유문
유상량
유상헌
유억구
유용수
유의남
유의인
유종례
유중립
유처진
유택진
유필한
유현복
유홍택


3. 2. 3. 생원시 및 진사시 급제자

구분성명한자
생원시유사공劉師珙
생원시유상현劉尙鉉
생원시유현劉俔
진사시유곤劉琨
진사시유응관劉應寬
진사시유해징劉海徵

[6]

3. 2. 4. 기타 인물

기화: 조선 중기 불교 승려이다.[6]

4. 인구

충주 유씨 인구 변화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274가구1,125명
2000년497가구1,597명
2015년2,544명


참조

[1]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28 https://books.google[...] The National Culture 2006
[2] 서적 한국문중별 가훈(해석편) https://books.google[...] Jooryang 2017
[3] 웹사이트 고려초 충주유씨, 남한강 수운세력이었다 https://www.inews365[...] 2016-04-25
[4] 웹사이트 태조 후비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http://db.history.go[...] 2021-08-01
[5] 서적 韓國中世社會史研究 https://books.google[...] Yichao Pavilion 1984
[6] 웹사이트 충주유씨(忠州劉氏) https://m.blog.naver[...] Naver 2021-08-01
[7] 웹사이트 유진 http://db.history.go[...] 2021-08-01
[8] 웹사이트 덕종 후비 유씨 http://db.history.go[...] 2021-08-01
[9] 문서 『고려사』 권88 열전 권제1 http://db.history.go[...]
[10] 문서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11] 한국학중앙연구원 LST_169_618_2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