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0년 겨울 전쟁의 결과로 카렐리야 지협과 라도가 카렐리야 지역이 소련에 할양된 후, 1940년 3월 31일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제정되었다. 이 국가는 아르마스 애이키애가 작사하고 카를 라우티오가 작곡했으며, 1950년대 초부터 1956년 러시아 SFSR에 재흡수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핀란드어, 러시아어, 한국어로 번역된 가사를 통해 카렐리야-핀란드 민족의 정체성과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의 지위를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계속 전쟁
    계속 전쟁은 1941년에서 1944년 사이 핀란드가 겨울 전쟁에서 잃은 영토 회복 및 확장을 목표로 소련을 공격했으나 교착 상태에 빠져 휴전 협정을 체결, 일부 영토를 할양하고 배상금을 지불했지만 독립을 유지한 전쟁이다.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핀란드의 카렐리야 지협 재탈환
    핀란드의 카렐리야 지협 재탈환은 계속전쟁 중 핀란드가 독일의 지원을 받아 소련으로부터 카렐리야 지협을 되찾기 위한 군사 작전이었으나, 1944년 소련의 공세로 다시 점령당하고 모스크바 휴전 협정으로 소련에 할양되었다.
  • 핀란드의 노래 - 핀란드의 국가
    핀란드의 사실상 국가인 "마암메"는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가 스웨덴어로 작사하고 프레드리크 파시우스가 곡을 붙인 낭만주의 민족주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관례에 따라 국가의 지위를 확립해왔다.
  • 핀란드의 노래 - Yhden enkelin unelma
    Yhden enkelin unelma는 다양한 에디션과 편곡으로 발매된 핀란드어 캐롤 팝 버전 앨범으로, 핀란드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Tarja Turunen, Heikki Pohto 등이 제작에 참여했다.
  • 소련의 국가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키르기스스탄의 국가로, 다양한 언어의 가사를 가지며 역사적 배경과 관련되어 스탈린 시대와 탈스탈린 시대를 거치며 가사에 변화가 있었다.
  • 소련의 국가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무탈 부르하노프가 작곡하고 티무르 파타와 투라브 툴라가 가사를 썼고,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멜로디로 사용된다.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기본 정보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악보
국가 악보
국가명카렐로-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영어 제목Anthem of the Karelo-Finnish SSR
핀란드어 제목Karjalais-suomalaisen SNT hymni
상징
작곡가칼 라우티오
작사가아르마스 아이키아
역사
채택1945년
폐지1956년 7월 16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강등)
계승소비에트 연방 국가

2. 역사

2. 1. 성립 배경

1940년 3월, 겨울전쟁의 결과로 모스크바 평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핀란드의 카렐리야 지협과 라도가 카렐리야 지역이 소련에 할양되었다.[9][10][11] 같은 해 3월 31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Каре́ль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과 할양된 영토를 통합하여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기로 결정하였다. 1945년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는 국가 제정을 위한 공모전을 열었고, 아르마스 애이키애(Armas Äikiä)가 작사하고 카를 라우티오(Karl Rautio)가 작곡한 작품이 당선되어 1950년대 초까지 국가로 사용되었다.[9][10][11]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와 함께 러시아인을 언급하지 않은 소련 내 공화국의 국가였다.[9][10][11]

2. 2. 국가 제정

1945년,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는 새로운 국가를 제정하기 위한 공모전을 개최하였다.[9][10][11] 아르마스 애이키애(Armas Äikiä)가 작사하고 카를 라우티오(Karl Rautio)가 작곡한 곡이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이 곡은 1950년대 초부터 1956년, 공화국이 러시아 SFSR에 재흡수될 때까지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 국가로 사용되었다.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와 함께 러시아인을 언급하지 않은 소련 내 공화국의 국가 중 하나였다.

2. 3. 러시아 SFSR로의 통합

1956년,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에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Каре́ль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이로써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멸되었고, 아르마스 아이키아(Armas Äikiä)가 작사하고 카를 라우티오(Karl Rautio)가 작곡한 국가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 국가는 그루지야 및 에스토니아 국가와 함께 소비에트 공화국 국가들 중 러시아인을 언급하지 않은 단 세 개의 국가 중 하나였다.

3. 국가

3. 1. 특징

3. 2. 가사

핀란드어 원문러시아어 가사한국어 번역 가사


3. 2. 1. 핀란드어 가사

Oma Karjalais-suomalaiskansamme maa,

Vapaa Pohjolan Neuvostojen tasavalta.

Kotimetsäimme kauneus öin kajastaa

Revontultemme taivaalta leimuavalta.
Kerto:''Neuvostoliitto on voittamaton,''

''Se kansamme suur-isänmaa ijät on.''

''Sen Tienä on Kansojen Kunniantie,''

''Se Karjalan Kansankin voittoihin vie.''

Isänmaa Kalevan, kotimaa runojen,

Jota Leninin Stalinin lippu johtaa.

Yli kansamme uutteran onnellisen

Valo kansojen veljeystähdestä hohtaa.
KertoKotimaamme loi uudeksi kansamme työ,

Tätä maata me puollamme kuin isät ammoin.

Sotasuksemme suihkavat kalpamme lyö.

Asemahdilla suojaamme Neuvosto-Sammon.
Kerto[9][10][11]

위 핀란드어 가사는 아르마스 애이키애가 작사하였다.

3. 2. 2. 러시아어 가사

Родная страна нашего Карело-Финского народа,

Свободная Северная Совет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Наших родных лесов красота ночами отражается

На нашем Северном сиянии, пылающем на небе.

'''Припев:'''

''Советский Союз непобедим,''

''Это великого предка нашего народа земля вечная.''

''Путь его — путь чести народов,''

''Он и народ Карелии приведет к победам.''

Отечество Калевы, родина рун,

Которую Ленина-Сталина знамя ведет.

Над нашим народом трудолюбивым счастливым

свет народов братства звезды сияет.

'''''Припев'''''

Нашу родину вновь создал труд нашего народа,

Эту страну мы зашцищаем как отцы в давние времена.

Наши военные лыжи мчатся, наш меч разит

Оружием мы отстоим Советское Сампо.

'''''Припев'''''[9][10][11]

3. 2. 3. 한국어 번역 가사

핀란드어 가사를 기반으로 번역되었다.

'''1절'''

카렐리야-핀란드의 인민들의 고향은

자유로운 북쪽의 소비에트 공화국!

아름다운 우리의 숲은 밤에 빛나리

하늘은 북쪽 오로라에 빛나리라.

'''후렴'''

소비에트 연방은 무적이고

카렐리야는 영원토록 그의 일부이라!

우리의 행복은 우리의 위대한 조국에 오리라

영광스러운 승리로!

'''2절'''

칼레바의 조국, 룬의 고향은

레닌스탈린의 깃발이 이끌고 있도다.

인민들의 형제애의 별은 빛나고 있도다

우리의 부지런하고 행복한 인민들의 위에서!

'''3절'''

우리 인민들의 노동은 우리의 조국을 부활시키네

우리는 아버지처럼 이 조국을 지켜왔노라!

우리의 하늘은 흔들거리고, 우리의 검(劍)으로 적들을 쳐부수리라

우리 군대의 힘으로 소비에트의 삼포를 지키리라!

3. 3. 상징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카렐리야-핀란드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하고,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의 지위를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가는 핀란드어, 카렐리아어, 영어로 번역되어 불렸다. 1절에서는 카렐리야-핀란드 민족의 땅과 북쪽 소비에트 공화국으로서의 정체성, 밤의 숲과 오로라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다. 후렴에서는 소련의 불패성과 카렐리야가 소련의 일부임을 강조하며, 영광스러운 승리로 이끌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2절에서는 칼레발라와 룬의 고향으로서의 역사성과 레닌스탈린의 깃발 아래 형제 민족의 별빛이 빛나는 모습을 묘사한다. 3절에서는 카렐리야-핀란드 민족의 노동으로 조국이 새롭게 창조되었음을 강조하고, 조상들처럼 땅을 지키고 소비에트 삼포를 수호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4. 평가

참조

[1] 서적 Economic-geographic Reorientation in Western Finnish Karelia: A Result of the Finno-Soviet Boundary Demarcations of 1940 and 1944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2] 서적 Economic-geographic Reorientation in Western Finnish Karelia: A Result of the Finno-Soviet Boundary Demarcations of 1940 and 1944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1961
[3] 웹사이트 Герб, флаг и гимн Карело-Финской Совет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КФССР) - Время СССР https://sovtime.ru/g[...] 2020-11-29
[4] 웹사이트 Гимн Карело-Финской ССР https://www.all-kare[...] 2020-09-22
[5] 웹사이트 Karelia http://www.nationala[...] Kendall, David
[6] 웹사이트 National Anthems & Patriotic Songs - Karelo-Finnish Soviet Socialist Republic, Anthem of the lyrics + Karelian translation https://lyricstransl[...]
[7] 서적 Economic-geographic Reorientation in Western Finnish Karelia: A Result of the Finno-Soviet Boundary Demarcations of 1940 and 1944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8] 서적 Economic-geographic Reorientation in Western Finnish Karelia: A Result of the Finno-Soviet Boundary Demarcations of 1940 and 1944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9] 웹사이트 Герб, флаг и гимн Карело-Финской Совет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КФССР) - Время СССР https://sovtime.ru/g[...] 2020-11-29
[10] 웹사이트 Гимн Карело-Финской ССР https://www.all-kare[...] 2020-09-22
[11] 웹사이트 Karelia http://www.nationala[...] Kendall, Dav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