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였다. 이 국가는 키르기스어, 러시아어, 한국어로 가사가 번역되었으며, 스탈린주의 버전과 탈스탈린주의 버전으로 나뉜다. 스탈린주의 버전은 스탈린을 찬양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1992년 탈스탈린주의화의 일환으로 수정되었다. 현재는 수정된 버전을 사용하며, 가사 수정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음악 - 키르기스스탄의 국가
    키르기스스탄의 국가는 1992년 채택된 현재 국가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국가의 역사를 소개하며, 키르기스어 가사와 다양한 언어 번역본을 통해 국가의 다민족, 다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고 연주 시 공식 의례와 예절을 설명한다.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6년 키르기스 자치주에서 승격되어 설립된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재차 승격되었다.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은 낫과 망치, 떠오르는 해, 산맥, 밀 이삭, 면 가지, 붉은 리본, 키르기스어와 러시아어 표어, 공화국 이름, 오각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36년부터 1991년까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 상징이었다.
  • 소련의 국가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무탈 부르하노프가 작곡하고 티무르 파타와 투라브 툴라가 가사를 썼고,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멜로디로 사용된다.
  • 소련의 국가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9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우크라이나가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행복을 찾았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고, 1992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효력을 잃었으며, 2015년부터는 우크라이나에서 공연이 금지되었다.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기본 정보
제목 (한국어)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로마자 표기Keurgeuz SSR Mamlekettik Gimni
영어 제목State Anthem of the Kyrgyz SSR
국가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명옛 키르기스스탄의 국가 (가사 제외).
그림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악보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악보
음악
작곡가블라디미르 블라소프, 압딜라스 말디바예프, 블라디미르 페레
작곡 시기1946년
가사
작사가쿠바니치베크 말리코프, 투겔바이 시디크베코프, 무칸베트 토크토바예프, 아알리 토콤바예프
채택 및 폐지
채택1946년
재채택1991년 (가사 없음)
폐지 (가사 있음)1991년
폐지 (음악만)1992년
계승키르기스 공화국 국가
음원

2. 가사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시대에 따라 가사가 변화했다. 크게 1946년부터 1992년까지 사용된 스탈린주의 버전과 1992년 독립 이후 현재까지 사용되는 탈스탈린주의 버전으로 나뉜다.

키르기스어 원문로마자 표기한국어 번역



스탈린주의 버전(1946-1992)은 이오시프 스탈린을 찬양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탈스탈린주의 버전(1992-현재)에서는 해당 내용이 삭제되었다.

2. 1. 키르기스어 가사

키르기스어 가사는 키릴 문자, 로마자, 아랍 문자로 표기되어 있다.

키릴 문자 표기라틴 문자 표기아랍 문자 표기
كوممۇنىزم جولۇندا



키르기스어 가사의 변천사는 소련 시기 정치적 변화를 반영한다. 1946년 채택된 가사는 이오시프 스탈린을 찬양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으나, 1992년 독립 이후 삭제되었다. 현재 가사는 1992년에 수정된 버전이다.

2. 1. 1. 스탈린주의 버전 (1946-1992)

아라토의 용감한 키르기스 민족이여,


노동자의 자유를 위해 끊임없이 투쟁하였네.


위대한 러시아는 따뜻한 우정으로 우리를 환영하였고,


레닌은 우리에게 자유로 가는 길을 열어주었네.





'''후렴'''


자유로운 소비에트 깃발이여,


우리를 승리로 이끄소서.


자유의 깃발을 높이 들고,


키르기스스탄은 영광스러워라!





용기와 노동을 통한 승리,


현명한 아버지 스탈린에 의해 완성되었네.


결국 우리의 부와 행복을 위태롭게 하여,


영원히 번영으로 이끌었네.





'''''후렴'''''





강력한 소비에트 국가에서 영원하라,


자유 국가들의 연합은 깨지지 않네.


우리는 조국을 지키기 위해 많은 것을 바치고,


우리의 우뚝 솟은 영혼은 굳건히 설 것이네.





'''''후렴'''''

2. 1. 2. 탈스탈린주의 버전 (1992-현재)

1992년 키르기스스탄이 독립한 이후, 국가의 가사에서 스탈린 관련 내용이 삭제되고 일부 수정된 현재 사용되는 버전이다.

키르기스어 원문로마자 표기한국어 번역


2. 2. 러시아어 가사

Киргизы жаждали свободы восход,|키르기지 자쥘리 스바보디 바스호트,ru

Октябрь светом Ала-Тоо озарил,|옥탸브리 스베톰 알라-토 오자릴,ru

Дружбой согрел нас великий русский народ,|드루주보이 사그렐 나스 벨리키 루스키 나로트,ru

Ленин всем нам дорогу к счастью открыл.|레닌 프셈 남 다로구 크 스차스티유 옷크릴.ru

'''Припев'''|프리페프ru

:Славься, наш киргизский край,|슬랍샤, 나시 키르기스스키 크라이,ru

:Вперёд шествуй и цвети,|프페료트 셰스트부이 이 츠베티,ru

:Знамя Ленина вздымай|즈나먀 레니나 브즈디마이ru

:К коммунизму на пути!|크 코무니즈무 나 푸티!ru

Вырастив в подвигах борьбы и труда|비라스티프 프 포드비가흐 보리비 이 트루다ru

И одарив счастьем советский народ,|이 오다리프 스차스티엠 사볘츠키 나로트,ru

Партия Ленина — сила народная|파르티야 레니나 — 실라 나로드나야ru

К новым победам нашу страну ведёт.|크 노빔 파볘담 나슈 스트라누 베됴트.ru

'''''Припев'''''|프리페프ru

Союз наций свободных несокрушим,|사유스 나치 스바보드니흐 네소크루심,ru

Дружба народов наших, как сталь, крепка,|드루주바 나로도프 나시흐, 칵 스탈, 크레프카,ru

К Отчизне беззаветно любовь мы храним,|크 옷치즈네 베자베트나 류보피 미 흐라님,ru

И коммунизм мы построим на века!|이 코무니즘 미 파스트로임 나 베카!ru

'''''Припев'''''|프리페프ru[10]

2. 3. 한국어 번역본

키르기스어 가사한국어 번역


2. 3. 1. 스탈린주의 버전 (1946-1992)

키르기스어 가사한국어 번역


2. 3. 2. 탈스탈린주의 버전 (1992-현재)

키르기스 민족은 자유를 갈망하며 일어섰고,


10월은 알라-토오 산맥을 비추었네.


위대한 러시아는 따뜻한 우정으로 우리를 환영했고,


레닌은 우리에게 행복의 길을 열어주었네.

후렴:


살아라, 키르기스스탄이여!


레닌의 깃발을 들어라.


전진하고, 번영하라,


공산주의의 길을 따라.


노동, 용기, 투쟁을 통해 남겨져,


소비에트 인민에게 행복을 제공하며,


승리에서 승리로 우리를 이끌며,


인민의 힘 – 레닌 당.


''(후렴)''

자유 공화국들의 연합은 깨지지 않으며,


우리는 다문화 연합을 건설했네.


우리의 영광스러운 조국을 사랑하며,


영원히 공산주의를 건설하리라!


''(후렴)''[4]

3. 국가의 상징성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키르기스스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특히 독립 이후 자주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3. 1. 소련 시대의 유산

소련 시대의 국가는 사회주의 이념과 키르기스스탄이 소련의 구성 공화국이었음을 보여준다. 가사에는 "위대한 러시아는 우정으로 우리에게 손을 내밀었고, 레닌은 우리에게 행복의 길을 열어주었네."와 같이 러시아와의 우호적인 관계와 레닌에 대한 찬양이 나타난다.[3][4] 또한, "공산주의의 길", "소비에트 인민에게 행복을 주었네." 등의 표현에서 공산주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3][4]

3. 2. 독립 이후의 변화

독립 이후 키르기스스탄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의 국가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를 채택했다. 이 과정에서 민족주의적 정체성과 주권 국가로서의 지위를 강조하며, 스탈린 시대의 잔재를 청산하고 민주주의 가치를 반영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국가의 가사에서 '레닌', '스탈린', '소비에트', '공산주의'와 같은 용어를 제거하고, '자유', '키르기스스탄'과 같은 용어를 강조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4. 가사 수정 논란

2010년대 초반, 키르기스스탄에서는 국가 가사 수정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가사 내용 중 "현명한 아버지 스탈린"과 같이 이오시프 스탈린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부분은 스탈린 시대의 억압과 대숙청을 경험한 키르기스인들에게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또한, "여성 차별적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일부 구절에 대한 수정 요구도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의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Kyrgyzstan (1946-1992) http://www.nationala[...] 2018-11-24
[2]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Киргизской Совет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cbd.minjust.g[...]
[3] 웹사이트 Гимн Киргизской ССР http://www.sovmusic.[...] 2019-03-16
[4] 웹사이트 Chorus and Orchestra of the Kyrgyz State - Anthem of Kirghiz SSR Lyrics http://www.songlyric[...] 2020-04-25
[5] 웹사이트 Kyrgyzstan (1946-1992) http://www.nationala[...]
[6]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КИРГИЗСКОЙ СОВЕТ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cbd.minjust.g[...]
[7] 웹사이트 Гимн Киргизской ССР http://www.sovmusic.[...]
[8] 웹사이트 Kyrgyzstan (1946-1992) http://www.nationala[...]
[9]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КИРГИЗСКОЙ СОВЕТ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cbd.minjust.g[...]
[10] 웹사이트 Гимн Киргизской ССР http://www.sovmus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