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를 든 사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1929년에 제작된 지가 베르토프 감독의 무성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 영화는 자막, 시나리오, 배우, 세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와 편집 기술만으로 현실을 재구성하려는 키노키 운동의 철학을 담고 있다. 모스크바, 키예프, 하르키우, 오데사 등 4개 도시에서 촬영되었으며, 도시 생활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내고 촬영 기법과 편집 스타일을 실험적으로 활용했다. 개봉 당시에는 비판을 받았지만, 현재는 영화 역사상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사운드트랙과 함께 재개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가 베르토프 감독 영화 - 레닌을 위한 세 개의 노래들
1934년 소련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레닌을 위한 세 개의 노래들》은 세 개의 에피소드를 통해 음악과 함께 레닌의 삶과 죽음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지가 베르토프 감독 영화 - 지구의 6분의 1
《지구의 6분의 1》은 1926년 소련 다큐멘터리 영화로, 소비에트 연방의 풍경과 문화를 자본주의 서방 세계와 대조하며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 발전과 사회주의 건설 과정을 보여주고 소비에트 시민들에게 사회주의 이상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 소련의 다큐멘터리 영화 - 레닌을 위한 세 개의 노래들
1934년 소련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레닌을 위한 세 개의 노래들》은 세 개의 에피소드를 통해 음악과 함께 레닌의 삶과 죽음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소련의 다큐멘터리 영화 - 지구의 6분의 1
《지구의 6분의 1》은 1926년 소련 다큐멘터리 영화로, 소비에트 연방의 풍경과 문화를 자본주의 서방 세계와 대조하며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 발전과 사회주의 건설 과정을 보여주고 소비에트 시민들에게 사회주의 이상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 무성 영화 - 전함 포템킨
《전함 포템킨》은 1905년 러시아 전함 포템킨호의 반란을 배경으로 혁명의 정당성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1925년 무성 선전 영화이며, 특히 오데사 계단 시퀀스는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 무성 영화 -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는 1914년 찰리 채플린의 '방랑자' 캐릭터가 등장하는 단편 코미디 영화로, 로스앤젤레스 베니스에서 열린 어린이 자동차 경주 촬영장에서 채플린이 촬영을 방해하는 해프닝을 코믹하게 담았다.
카메라를 든 사나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카메라를 든 사나이 |
원제 | Chelovek S Kino-apparatom, Man With A Movie Camera |
영어 제목 | Man with a Movie Camera |
다른 제목 | 이것이 로시야다 |
종류 | 다큐멘터리 영화 |
![]() | |
감독 | 지가 베르토프 |
각본 | 지가 베르토프 |
촬영 | 미하일 카우프만 |
편집 | 엘리자베타 스빌로바, 지가 베르토프 |
제작사 | 전 우크라이나 사진 영화 관리국(VUFKU), 도브젠코 영화 스튜디오 |
개봉일 | 1929년 1월 7일 |
상영 시간 | 68분 |
제작 국가 | 소비에트 연방 |
언어 | 무성 영화 (자막 없음) |
음악 | 마이클 나이만 (2002년판), 피에르 헨리 |
출연 | 미하일 카우프만 |
2. 제작 배경
1920년대 후반, 소련의 영화감독 지가 베르토프는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의 선구자였다. 그는 키노키(키노-오코, 영화의 눈) 운동의 일원으로서, 영화 제작에서 비다큐멘터리적 요소를 배제하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포착하고자 했다. 베르토프의 영화 대부분은 매우 논란이 많았고, 키노키 운동은 많은 영화 제작자들에게 혐오를 받았다.
베르토프는 이전 영화인 《세상의 6분의 1》에 대한 비평가들의 비판에 대한 응답으로 《카메라를 든 사나이》를 제작했다. 비평가들은 베르토프가 "자막"을 과도하게 사용한 것이 "키노키"가 따르는 영화 제작 스타일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7]
2. 1. 키노키 운동
지2. 2. 제작 의도
베르토프는 1920년대 후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의 초기 선구자였다. 그는 키노키 (키노-눈) 영화 제작자 운동에 속해 있었다. 베르토프는 다른 키노 예술가들과 함께 영화 제작에 대한 급진적인 접근 방식인 모든 비다큐멘터리 스타일을 폐지하는 것을 사명으로 선언했다. 베르토프의 영화 대부분은 매우 논란이 많았고, 키노크 운동은 많은 영화 제작자들에게 혐오를 받았다.베르토프의 최고 업적인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그의 이전 영화인 《세상의 6분의 1》에 대한 비평가들의 비판에 대한 응답이었다. 비평가들은 베르토프가 "자막"을 과도하게 사용한 것이 "키노키"가 따르는 영화 제작 스타일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르토프는 영화 개봉을 앞두고 많은 두려움에 직면했다. 그는 소련 중앙 공산당 신문 《프라우다》에 영화의 실험적이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성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경고문을 게재할 것을 요청했다. 베르토프는 영화가 대중에게 파괴되거나 무시될 것을 걱정했다. 《카메라를 든 사나이》가 공식적으로 개봉되자 베르토프는 영화 시작 부분에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자막 없이
(자막이 없는 영화)
시나리오의 도움 없이
(시나리오가 없는 영화)
극장의 도움 없이
(배우, 세트 등이 없는 영화)
시각적 현상에 대한 시네마틱 커뮤니케이션의 실험을 나타낸다.
키노-아이의 이러한 새로운 실험은 극장과 문학의 언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진정으로 국제적인 절대적인 영화 언어를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선언문은 베르토프가 1922년에 썼던 이전의 선언문과 같은 맥락인데, 그는 문학과 극장에 빚을 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대중 영화들을 부인했다.[7]
3. 영화 내용 및 구성
이 영화는 아방가르드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또한, 몇몇 장면은 연출되었다.
3. 1. 주요 장면
이 영화는 6개의 별도 부분으로 나뉘는데, 각 부분은 화면에 숫자가 나타나고 평평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영화는 오버레이, 슬로우 모션, 패스트 모션, 빠른 교차 편집, 몽타주와 같은 많은 편집 기법을 사용한다.영화 제목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미하일 카우프만)는 다양한 샷을 촬영하기 위해 여러 장소를 여행한다. 그는 두 번째 산 모양의 카메라 위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카메라맨의 오버레이 샷, 맥주 잔 안에 있는 카메라맨의 또 다른 오버레이 샷과 같은 예술적인 이미지에 등장한다. 일반적인 이미지로는 일하는 노동자, 스포츠 행사, 결혼하고 이혼하는 커플, 출산하는 여성, 장례 행렬 등이 있다. 영화의 많은 부분이 다양한 경제 계층의 사람들이 도시 환경을 헤쳐나가는 것을 다룬다. 때때로 영화 편집자(엘리자베타 스빌로바)가 필름 스트립과 다양한 편집 장비를 사용하는 모습이 나온다.
3. 2. 연출된 장면
영화는 배우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몇몇 장면은 연출된 상황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카메라맨의 몇몇 행동, 여자가 옷을 입는 장면, 체스 말이 보드 중앙으로 쓸려가는 장면(말들이 바깥으로 팽창하여 제자리에 서도록 거꾸로 삽입된 샷)이 포함된다. 스톱 모션은 삼각대 위에 있는 무인 카메라가 일어나 기계 부품을 보여준 다음 화면 밖으로 걸어가는 것을 포함한 여러 샷에 사용된다.4. 영화 기법 및 스타일
이 영화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다양한 촬영 및 편집 기법을 사용했다. 노골적인 아방가르드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주제는 매우 다양하다. 일하는 노동자, 스포츠 행사, 결혼하고 이혼하는 커플, 출산하는 여성, 장례 행렬 등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영화의 많은 부분은 다양한 경제 계층의 사람들이 도시 환경을 헤쳐나가는 것을 다룬다. 때때로 영화 편집자(스빌로바)가 필름 스트립과 다양한 편집 장비를 사용하는 모습이 나온다.
배우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몇 가지 연출된 상황을 보여준다. 카메라맨의 행동, 여자가 옷을 입는 장면, 체스 말이 보드 중앙으로 쓸려가는 장면(말들이 바깥으로 팽창하여 제자리에 서도록 거꾸로 삽입된 샷) 등이 그 예이다. 스톱 모션은 삼각대 위에 있는 무인 카메라가 일어나 기계 부품을 보여준 다음 화면 밖으로 걸어가는 장면 등에서 사용되었다.
일부에서는 빠른 편집, 기계의 클로즈업, 상점 창문 디스플레이, 타자기 키보드의 샷과 같은 많은 시각적 아이디어가 발터 루트만의 ''베를린: 대도시 교향곡''(1927)에서 차용되었다고 잘못 언급하기도 한다. 그러나 베르토프가 1929년 독일 언론에 기고한 글에 따르면, 이러한 기술과 이미지는 그가 이전 10년 동안 제작한 키노-프라우다 뉴스릴과 다큐멘터리에서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며, 이 모든 것이 ''베를린''보다 앞선다. 베르토프의 선구적인 영화 개념은 발터 루트만과 작가, 번역가, 영화 제작자, 평론가인 류나오(1905–1940)를 포함한 다른 추상 영화에 영감을 주었으며, 류나오의 ''카메라를 가진 남자''(1933)는 베르토프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에 대한 명백한 오마주를 담고 있다.[10] 영화에 "배우"와 "세트"가 없다는 점은 일상적인 세계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제공하며, 제목 카드에 따르면 이는 "연극과 문학의 언어와 분리된" 새로운 영화 언어의 창조를 지향한다.
4. 1. 촬영 기법
이 영화는 오버레이, 슬로우 모션, 패스트 모션, 빠른 교차 편집, 몽타주 등 다양한 편집 기법을 사용한다.[8] 이중 노출과 겉으로 보기에 "숨겨진"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화를 선형적인 영화가 아닌 초현실적인 몽타주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영화의 많은 장면에는 크기가 바뀌거나 다른 물체 아래에 나타나는 사람들이 등장한다.[10] 이러한 촬영 기법 때문에 영화는 빠르게 진행된다. 시퀀스와 클로즈업은 단어를 사용하여 완전히 표현할 수 없는 감정적 특성을 포착한다.영화 제목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베르토프의 형제인 미하일 카우프만)는 다양한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여러 장소를 여행한다. 그는 두 번째 산 모양의 카메라 위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카메라맨의 오버레이 샷, 맥주 잔 안에 있는 카메라맨의 또 다른 오버레이 샷과 같은 예술적인 이미지에 등장한다.
4. 2. 편집 스타일
이 영화는 오버레이, 슬로우 모션, 패스트 모션, 빠른 교차 편집, 몽타주 등 다양한 편집 기법을 사용한다.[8] 이중 노출과 겉으로 보기에 "숨겨진" 카메라를 사용하여 선형적인 영화가 아닌 초현실적인 몽타주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영화의 많은 장면에는 크기가 바뀌거나 다른 물체 아래에 나타나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편집 방식은 영화를 빠르게 진행시키며, 시퀀스와 클로즈업은 단어로 완전히 표현할 수 없는 감정적 특성을 포착한다.[9]마르크스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베르토프는 소비에트 세계의 기존 이상에 대한 논평 역할을 할 미래 도시를 만들고자 했다. 이 인공 도시의 목적은 진실을 통해 소비에트 시민을 일깨우고 궁극적으로 이해와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이었다. 영화의 미학은 전력화, 산업화, 그리고 노동자들의 힘든 노동을 통한 성취를 묘사하는 방식에서 빛을 발했다. 베르토프는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생활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을 만들어냈다.[9]
5. 사운드트랙
이 영화는 1929년에 처음 개봉되었을 때 무성 영화였고, 극장에서는 라이브 음악과 함께 상영되었다. 그 이후로 여러 번 다른 사운드트랙과 함께 재개봉되었다.
1993년에는 무지크 콩크레트의 선구자로 알려진 프랑스 작곡가 피에르 앙리가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을 만들었다.[24] 1999년에는 인 더 너서리 밴드가 브래드퍼드 국제 영화제를 위해 버전을 만들었으며,[29] 현재 일부 DVD 버전에서 알로이 오케스트라 악보와 함께 대체 사운드트랙으로 제공된다. 2001년에는 스티브 얀센과 클라우디오 키아누라가 1999년 12월 11일 밀라노의 팔라치나 리버티에서 이 영화 상영을 위한 라이브 사운드트랙을 녹음했고, 이 곡은 2001년에 앨범 ''Kinoapparatom''으로 CD로 발매되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운드트랙이 있다.
연도 | 사운드트랙 제작자 | 비고 |
---|---|---|
2003년 | 더 로타르스 | 매사추세츠주 브루클린의 쿨리지 코너 극장에서 상영 |
2006년 | 베를린 Absolut Medien | 마이클 니만, 인 더 너서리, 베르너 씨의 새로운 사운드트랙이 담긴 DVD 출시 |
2007년 | 아트 조이드 | 세실 바비올의 추가 비디오와 함께 영화의 풍경 버전, 2012년 CD 발매[30] |
2008년 | 할트 더 플럭스 | 베르겐 국제 영화제에서 연주[31] |
2008년 | 더 시네마틱 오케스트라 | |
2008년 | 트릭스 오브 더 라이트 오케스트라 | 샌프란시스코 브레인워시 카페에서 공연 |
2009년 | 알렉스 오타올라 | 멕시코 국립 영화관에서 라이브 연주 |
2009년 | 복사레 현악 사중주단 | 소비에트 모더니스트 작곡가의 음악 연주 |
2010년 | 3epkano | 더블린 피츠윌리엄 광장에서 상영[32] |
2010년 | 비탈리 트카추크 | 오데사 "무테 나이트" 영화제에서 연주[33] |
2011년 | 얀 르 롱, 필립 쿠손, 스테판 그리말트 | 프랑스 무지락 Centre Culturel du Vieux Couvent에서 초연 |
2014년 | 제임스 웻젤 |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SIFF 시네마 업타운에서 라이브 연주 |
2014년 | 캐스퍼벡 트리오 | 비고, 히혼, 오렌세 등에서 공연[34] |
2014년 | 밥 훈트 | 스톡홀름 시네마테켓에서 초연[35] |
2016년 | 도널드 소신, 존 데이비스 등 | 뉴욕 아스토리아 무빙 이미지 박물관에서 공연[36] |
2022년 | SilentFilmDJ D'dread | 독일 라르츠 at.tension 페스티벌에서 라이브 DJ 세트 연주[37] |
2022년 | 몬토폴리스 | 영화에 맞춰 새로운 라이브 악보 연주하며 투어 중[39] |
2024년 | 알렉산더 토바 | 이스트 할리우드 캣츠 크롤에서 공연[40] |
5. 1. 주요 사운드트랙
- 1983년 운 드라마 뮤지컬 인스탄테네는 베르토프의 글, 그중에서도 그의 귀 연구소를 바탕으로 새로운 작곡[22]을 연주했다. 전자 사운드, 앰비언스, 목소리가 15인조 오케스트라와 믹싱되었다. 1984년에는 Grrr Records에서 LP가 발매되었다.[23]
- 1995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알로이 오케스트라가 베르토프가 남긴 메모를 바탕으로 새로운 작곡을 연주했다.[25] 사이렌 소리, 아기의 울음소리, 군중 소리 등 음향 효과를 통합했다. 여러 DVD 버전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26]
- 1996년 노르웨이 작곡가 게이르 옌센(바이오스피어)은 트롬소 국제 영화제에서 원래 반주 피아니스트에 대한 감독의 서면 지침을 사용하여 영화를 위한 새로운 사운드트랙을 작곡하도록 의뢰받았다. 옌센은 사운드트랙의 절반을 작곡하고 나머지 절반을 페르 마틴센(멘탈 오버드라이브)에게 넘겼다. 이 곡은 1996년 TIFF에서 노르웨이 버전인 ''Mannen med filmkameraetno''에 사용되었다.[27]
- 2002년 제이슨 스윈스코가 작곡하고 영국의 재즈 및 전자 음악 그룹 더 시네마틱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사운드트랙 버전이 출시되었다(''카메라를 든 사나이 (더 시네마틱 오케스트라 앨범)' 참조).
- 2002년 마이클 니만이 작곡한 이 영화의 악보는 영국 영화 연구소 DVD에 포함되어 있다.
6. 평가 및 영향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초기에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현재는 영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022년 Sight & Sound의 세계 최고의 영화 설문 조사에서 9위를 차지했으며, 2009년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는 우리가 보는 것을 배열하고, 질서를 부여하고, 리듬과 언어를 부여하고, 그것을 초월하는 놀라운 영화의 선물을 명시적이고 시적으로 만들었다."라고 평가했다.[17] 올렉산드르 도브젠코 국립 영화 센터는 2021년 이 영화를 우크라이나 영화사 100선 목록에서 3위로 선정했다.[5] 이 영화는 매체 탐구에 있어 획기적인 작품으로, 영화 자체가 훌륭한 엔터테인먼트와 사회학적 가치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Камерамен|카메라를 든 사나이ru의 선구적인 영화 개념은 발터 루트만과 류나오(1905–1940)를 포함한 다른 추상 영화에 영감을 주었다. 특히 류나오의 영화 '카메라를 가진 남자'(1933)는 베르토프의 Камерамен|카메라를 든 사나이ru에 대한 오마주를 담고 있다.[10] 이 영화는 일제강점기 한국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30년대 모더니즘 영화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당시 한국 영화인들에게 새로운 영화적 가능성을 제시했다.
6. 1. 초기 평가
이 영화는 연출과 과감한 실험에 대해 비판을 받았는데, 이는 감독이 허구 영화를 새로운 "대중의 아편"으로 자주 비난한 결과일 수 있다.[12]베르토프의 소련 동료들은 내용보다 형식에 집중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으며,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은 심지어 이 영화를 "무의미한 카메라 훌리건리즘"이라고 비난했다.[13] 이 작품은 서방에서도 대체로 무시되었다.[14]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폴 로타는 영국에서 베르토프는 "정말로 다소 웃기는 사람으로 여겨졌습니다. 이 모든 컷, 그리고 하나의 카메라가 다른 카메라를 촬영하는 것 – 그것은 모두 속임수였고, 우리는 그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했다.[15] 약 1,775개의 샷으로, 1929년의 일반적인 장편 영화보다 4배 이상 빠른 영화 편집 속도 역시 일부 시청자를 불안하게 했는데, 그 중에는 ''뉴욕 타임스''의 비평가 모돈트 홀도 있었다.[16] "프로듀서 지가 베르토프는 인간의 눈이 주의를 끄는 것을 일정 시간 동안 고정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6. 2. 재평가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현재 많은 사람들에게 역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여겨진다. 2022년 Sight & Sound의 세계 최고의 영화 설문 조사에서 9위를 차지했으며, 2009년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는 우리가 보는 것을 배열하고, 질서를 부여하고, 리듬과 언어를 부여하고, 그것을 초월하는 놀라운 영화의 선물을 명시적이고 시적으로 만들었다."라고 평가했다.[17] 올렉산드르 도브젠코 국립 영화 센터는 2021년 이 영화를 우크라이나 영화사 100선 목록에서 3위로 선정했다.[5] 이 영화는 매체 탐구에 있어 획기적인 작품으로, 영화 자체가 훌륭한 엔터테인먼트와 사회학적 가치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6. 3. 한국 영화에 미친 영향
Камерамен|카메라를 든 사나이ru의 선구적인 영화 개념은 발터 루트만과 작가, 번역가, 영화 제작자이자 평론가인 류나오(1905–1940)를 포함한 다른 추상 영화에 영감을 주었다. 특히 류나오의 영화 '카메라를 가진 남자'(1933)는 베르토프의 Камерамен|카메라를 든 사나이ru에 대한 오마주를 담고 있다.[10] 이 영화는 일제강점기 한국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30년대 모더니즘 영화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당시 한국 영화인들에게 새로운 영화적 가능성을 제시했다.7. 출연
주연 |
---|
미하일 카우프먼 |
7. 1. 주연
미하일 카우프먼참조
[1]
웹사이트
IMDB's list of alternate titles for Man with a Movie Camera
https://www.imdb.com[...]
[2]
뉴스
Floating Glimpses of Russia
https://www.nytimes.[...]
1929-09-17
[3]
뉴스
Sight & Sound Revises Best-Films-Ever Lists
http://www.studiodai[...]
2012-08-01
[4]
뉴스
Silent film tops documentary poll
https://www.bbc.co.u[...]
2014-08
[5]
웹사이트
ДОВЖЕНКО-ЦЕНТРТОП – 100Людина – з кіноапаратом
https://dovzhenkocen[...]
National Oleksandr Dovzhenko Film Centre
2021
[6]
웹사이트
Dziga Vertov: The Man with the Movie Camera and Other Newly-Restored Works
https://www.blu-ray.[...]
2020-04-04
[7]
웹사이트
Images – Man With a Movie Camera by Grant Tracey
http://www.imagesjou[...]
[8]
웹사이트
Film Montage: The Projection of Modernity
https://www.open.ac.[...]
Open University
[9]
논문
The Cinematic Gaze and Kuttner's "Man with a Movie Camera"
https://link.gale.co[...]
Liverpool University Press (UK)
2018-01-01
[10]
논문
Rhythmic movement, the city symphony and transcultural transmediality: Liu Na'ou and The Man Who Has a Camera (1933)
2015-03-11
[11]
서적
The Concise Routledge Encyclopedia of the Documentary Fil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1-04
[12]
웹사이트
An Essay Towards Man with a Movie Camera
http://psi416.cankay[...]
[13]
웹사이트
Man With a Movie Camera
http://www.tcm.com/t[...]
Turner Classic Movies, Inc.
[14]
웹사이트
Critics' 50 Greatest Documentaries of All Time
https://www2.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15]
서적
The Man With the Movie Camera: The Film Companion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0
[16]
웹사이트
Man with a Movie Camera
https://www.rogerebe[...]
2009-07-01
[17]
웹사이트
Man with a Movie Camera (1929)
https://web.archive.[...]
British Film Institute
[18]
영화
Man with a Movie Camera
[19]
뉴스
Man with a Movie Camera review: power to The People
http://www.irishtime[...]
2015-07-30
[20]
뉴스
Man with a Movie Camera review – pure cinema, still unparalleled
https://www.theguard[...]
2015-08-02
[21]
뉴스
Man with a Movie Camera review – visionary, transformative 1929 experimental film
https://www.theguard[...]
2015-07-30
[22]
Youtube
Man with a Movie Camera (Un Drame Musical Instantané)
https://www.youtube.[...]
1929
[23]
웹사이트
Un drame musical instantané, à travail égal salaire égal
http://www.drame.org[...]
[24]
IRCAM
L'homme à la caméra
[25]
웹사이트
Orchestra Current Touring Repertoire
https://web.archive.[...]
[26]
Youtube
Man with a Movie Camera (Alloy Orchestra)
https://www.youtube.[...]
1929
[27]
웹사이트
tiff1996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Man with a movie camera (Mini-album)
https://mentaloverdr[...]
Bandcamp
[29]
웹사이트
Man with a Movie Camera" score by In the Nursery
http://www.inthenurs[...]
[30]
웹사이트
Eyecatcher/Man with a Movie Camera
http://www.artzoyd.n[...]
[31]
웹사이트
Featured Content on Myspace
https://archive.toda[...]
[32]
뉴스
3epkano Cinema in the Park
http://www.ireland.c[...]
[33]
Youtube
vitgit
https://www.youtube.[...]
[34]
웹사이트
Koncertzālē "Baltais flīģelis" uzstāsies "Caspervek Trio"
http://www.sigulda.l[...]
[35]
웹사이트
Bob Hund – Mannen med filmkameran
https://www.facebook[...]
[36]
웹사이트
'See It Big' Film Series Features Twenty Classic And Contemporary Documentaries: January 29–February 21, 2016
http://aws.reversesh[...]
2022-08-01
[37]
웹사이트
at.tension #9 Theaterfestival
https://www.attensio[...]
2022-10-22
[38]
웹사이트
Man with a Movie Camera #1929 1080p color - live Dj Soundtrack #DzigaVertov
https://www.youtube.[...]
2022-10-22
[39]
웹사이트
HOME Montopolis
https://www.montopol[...]
2023-05-14
[40]
웹사이트
Tovar In Concert
https://www.alexande[...]
2024-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