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주로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의 열대 파동에서 발생하며, 대서양으로 이동하여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는 허리케인이다. 주로 8월과 9월에 발생하며, 카보베르데 제도 남쪽 해상에서 시작하여 북아메리카로 접근하는 경로를 보인다. 이 허리케인은 서진하는 경향이 있어 장기간 활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1966년 허리케인 페이스가 그 예시이다. 1974년에는 GATE 연구 프로젝트, 2006년에는 NAMMA-06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보베르데의 지리 - 카보베르데의 시간
카보베르데는 협정 세계시보다 1시간 느린 UTC-01:00 시간대를 사용하며, IANA 시간대 데이터베이스에는 "Atlantic/Cape_Verde"로 등재되어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에서 표준적으로 활용된다. - 북대서양 허리케인 -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1898년에 설립되어 열대성 저기압 감시, 예보, 분석을 담당하고 허리케인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 환경예보센터의 일부이다. - 북대서양 허리케인 -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은 허리케인의 최대 풍속에 따라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분류하여 강도를 추정하는 척도로, 3등급 이상은 "강력한 허리케인"으로 분류되며 예상 피해 정도와 관련이 있다. -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 - 허리케인 어마
2017년 8월 말 카보베르데 제도 서쪽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어마는 5등급까지 강화되어 카리브해와 미국 플로리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광범위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여 그 이름이 은퇴되었다. -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 - 허리케인 플로렌스
허리케인 플로렌스는 2018년 미국 동부에 상륙하여 폭우와 강풍으로 큰 피해를 입혔으며,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역대 최고 강수량을 기록하고 5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강력한 허리케인이다.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 |
---|
2. 발생
1940년대 초반까지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당시 사용되던 표면 도표의 동쪽에서 형성된 8월과 9월 초의 폭풍을 지칭했다.[1]
2. 1. 발생 메커니즘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주로 우기 때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의 열대 파동(Tropical Wave)으로부터 발생한다. 이로부터 발생한 열대 요란(Tropical Disturbance)이 아프리카 대륙 서안(대서양)으로 빠져나오면, 열대 폭풍으로 발달한다. 주로 8월과 9월에 발생하나, 7월과 10월에도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1]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일반적으로 우기 동안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형성되어 아프리카 스텝으로 이동하는 열대 파동에서 발생한다. 이 교란은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멀어져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인 위도 10~15도 이내, 즉 카보베르데 제도에서 1100km(1600km 사이)에서 곧 열대 저기압이 된다.[1] 이는 서경 40도 동쪽의 열대 위도를 포함한다.
3. 이동 경로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거의 서진하는 진로를 가져 육상 상륙이나 수온이 낮은 해상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급격한 약화를 막아, 장기간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1966년의 허리케인 페이스는 대서양 허리케인 중 3번째로 긴 활동 기간(16일)을 기록했다.[8][9]
3. 1. 일반적인 경로
일반적으로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카보베르데 섬 남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대서양 중부에서 허리케인으로 발달한다. 하지만, 간혹 카보베르데 섬 근해나 카리브 해에서 발달하는 허리케인도 있다.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이 북아메리카에 접근하면 다음과 같은 경로로 진행한다.
- 계속 서쪽으로 진행하는 경우: 만약 진로가 남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윈드워드 제도를 거쳐 카리브 해로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카리브 해에서 니카라과, 온두라스, 벨리즈 쪽으로 계속 서진한다.[8]
- 만약 진로가 약간 북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리워드 제도를 거쳐 대앤틸리스 제도에 상륙할 수 있다. 약간 더 북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바하마를 거쳐 미국 플로리다주에 상륙할 수 있다.[8]
- 이보다 더욱더 북쪽에 치우쳐 있을 때: 허리케인의 진로가 늦여름에 대서양 동부에서 발생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이 영향으로 허리케인이 앤틸리스 제도 북쪽을 지나면서 진로가 점점 북쪽으로 꺾이기 시작한다. 그 결과, 허리케인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나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상륙하기도 한다. 만약 위와 같은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면, 진로가 바다 쪽으로 심하게 꺾여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때때로 허리케인이 이같은 진로를 타게 되면, 북진 속도가 빨라져 미국 뉴잉글랜드 지방에 상륙할 수 있다.[8]
- 아열대고기압이 제자리에 있지 않을 경우: 뒤로 휘는 모양으로 허리케인이 이상 진로를 보인다. 이 영향으로 허리케인이 상륙하지 않을 수 있다.[8]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거의 서진하는 진로를 그리기 때문에, 육상에 상륙하거나 수온이 낮은 해상으로 이동하여 허리케인이 빠르게 약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다수의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들이 오랜 기간 동안 활동하게 되며, 그 예로는 1966년에 발생했던 허리케인 페이스를 들 수 있다. 허리케인 페이스는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중에 3번째로 가장 오래 활동한 허리케인으로 기록되었다.(활동일수: 16일)[8][9]
3. 2. 이상 경로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이 북아메리카에 접근하면 다음과 같은 경로로 진행한다.
- 계속 서쪽으로 진행하는 경우: 만약 진로가 남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윈드워드 제도를 거쳐 카리브 해로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카리브 해에서 니카라과, 온두라스, 벨리즈 쪽으로 계속 서진한다.[8]
- 만약 진로가 약간 북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리워드 제도를 거쳐 대앤틸리스 제도에 상륙할 수 있다. 약간 더 북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바하마를 거쳐 미국 플로리다주에 상륙할 수 있다.[8]
- 이보다 더욱더 북쪽에 치우쳐 있을 때, 허리케인의 진로가 늦여름에 대서양 동부에서 발생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이 영향으로 허리케인이 앤틸리스 제도 북쪽을 지나면서 진로가 점점 북쪽으로 꺾이기 시작한다. 그 결과, 허리케인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나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상륙하기도 한다. 만약 위와 같은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면, 진로가 바다 쪽으로 심하게 꺾여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때때로 허리케인이 이같은 진로를 타게 되면, 북진 속도가 빨라져 미국 뉴잉글랜드 지방에 상륙할 수 있다.[8]
- 아열대고기압이 제자리에 있지 않을 경우 뒤로 휘는 모양으로 허리케인이 이상 진로를 보인다. 이 영향으로 허리케인이 상륙하지 않을 수 있다.[8]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거의 서진하는 진로를 그리기 때문에, 육상에 상륙하거나 수온이 낮은 해상으로 이동하여 허리케인이 빠르게 약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다수의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들이 오랜 기간 동안 활동하게 되며, 그 예로는 1966년에 발생했던 허리케인 페이스를 들 수 있다. 허리케인 페이스는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중에 3번째로 가장 오래 활동한 허리케인으로 기록되었다.(활동일수: 16일)[8][9]
3. 3. 장기 활동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은 거의 서쪽으로 이동하는 진로를 가지기 때문에, 육지에 상륙하거나 수온이 낮은 바다로 이동하여 빠르게 약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들이 오랜 기간 동안 활동하게 된다. 그 예로 1966년에 발생했던 허리케인 페이스를 들 수 있다. 허리케인 페이스는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중 3번째로 가장 오래 활동한 허리케인으로 기록되었다. (활동일수: 16일)[8][9]
4. 연구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 연구는 1974년 GATE 연구 프로젝트와[3] 2006년 NAMMA-06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이루어졌다.[5][6]
4. 1. GATE 연구 프로젝트 (1974)
1974년, 20개국이 DC-6 항공기를 동원하여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을 발생시키는 열대 파동을 연구하는 GATE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3]4. 2. NAMMA-06 (2006)
2006년에는 NASA 아프리카 몬순 융합 활동(NASA African Monsoon Multidisciplinary Activities, NAMMA-06)이라는 두 달간의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DC-8 항공기를 동원하여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동부 대서양의 초기 교란을 조사했다.[5][6]참조
[1]
서적
Atlantic Hurricanes
https://archive.org/[...]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출판부
1960
[2]
웹사이트
FAQ: HURRICANES, TYPHOONS AND TROPICAL CYCLONES (Part 1 of 2) Subject: A2) What are "Cape Verde"-type hurricanes?
http://www.faqs.org/[...]
Faqs.org
2009-10-08
[3]
웹사이트
Feature Stories : Fifty Years of NOAA Hurricane Research
http://celebrating20[...]
상무부
2010-01-20
[4]
간행물
NASA's Three Pronged Approach to Hurricane Research
국립 해양대기청
2006
[5]
웹사이트
Off Africa's Coast, a Hurricane Nursery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0-01-20
[6]
뉴스
Research Team Seeking Clues to a Hurricane's Birth
https://www.washingt[...]
2010-01-20
[7]
웹인용
FAQ: HURRICANES, TYPHOONS AND TROPICAL CYCLONES (Part 1 of 2) Subject: A2) What are "Cape Verde"-type hurricanes?
http://www.faqs.org/[...]
Faqs.org
2009-10-08
[8]
웹인용
HURDAT(대서양 허리케인 데이터베이스)
http://www.nhc.noaa.[...]
미국 해양대기청(NOAA)
2009-10-08
[9]
서적
Historical Climatology Series 6-2: Tropical Cyclones of the North Atlantic Ocean, 1851 – 2006 (with 2007 and 2008 track maps included)
http://www.nhc.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09-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