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베르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보베르데는 세네갈 연안의 베르데 곶 근처에 위치한 섬나라로, 포르투갈어로 "녹색 곶"을 의미한다. 1444년 포르투갈의 항해사들이 섬을 발견한 후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었고, 1975년 7월 5일 독립했다. 수도는 산티아구 섬에 위치한 프라이아이며, 포르투갈어와 카보베르데 크리올어를 사용한다. 정치는 준대통령제 공화국이며, 아프리카에서 민주주의가 발달한 국가로 평가받는다. 경제는 서비스업 중심이며, 관광, 이민자들의 송금, 외국 원조에 의존한다. 카보베르데는 아프리카와 유럽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음악, 문학, 요리가 발달했다. 대한민국과는 1988년 수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보베르데 - 타하팔드상니콜라우시
카보베르데 상니콜라우섬 서쪽에 위치한 타라팔 드 상니콜라우 시는 2005년 상니콜라우 시에서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상프란시스쿠지아시스 프레게지아로 구성되어 있고 프라이아 브란카와 타하팔지상니콜라우 등의 주요 정착지가 있으며 2012년부터 민주주의 운동이 집권당이며 이탈리아 피우지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카보베르데 - 카보베르데의 시간
카보베르데는 협정 세계시보다 1시간 느린 UTC-01:00 시간대를 사용하며, IANA 시간대 데이터베이스에는 "Atlantic/Cape_Verde"로 등재되어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에서 표준적으로 활용된다.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 - 브라질
브라질은 남아메리카 동부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으로, 포르투갈 식민 지배에서 독립하여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며,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고 경제적으로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발달한 스포츠 강국이다.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 - 모잠비크
모잠비크는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로,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를 거쳐 1975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으로 농업, 광업,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포르투갈어권 - 브라질
브라질은 남아메리카 동부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으로, 포르투갈 식민 지배에서 독립하여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며,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고 경제적으로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발달한 스포츠 강국이다. - 포르투갈어권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카보베르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상징 종류 | 문장 |
국어 | 포르투갈어 |
국가어 | 카보베르데 크리올어 |
수도 | 프라이아 |
최대 도시 | 수도 |
공용어 | 포르투갈어 |
국가 언어 | 카보베르데 크리올어 |
국경일 | 7월 5일 |
국가 모토 | () |
국가 | 자유의 노래 |
면적 순위 | 166위 |
면적 | 4,033km² |
인구 조사 년도 | 2022년 |
인구 | 593,149명 |
인구 순위 | 172위 |
인구 밀도 | 147.1명/km² |
인구 밀도 순위 | 89위 |
GDP (PPP) | 57억 1700만 달러 |
GDP (PPP) 년도 | 2023년 |
GDP (PPP) 순위 | 170위 |
1인당 GDP (PPP) | 9,909 달러 |
1인당 GDP (PPP) 순위 | 125위 |
명목 GDP | 25억 9800만 달러 |
명목 GDP 년도 | 2023년 |
명목 GDP 순위 | 181위 |
1인당 명목 GDP | 4,502 달러 |
1인당 명목 GDP 순위 | 117위 |
독립 | 포르투갈로부터 |
독립일 | 1975년 7월 5일 |
Gini 지수 | 42.4 |
Gini 지수 년도 | 2015년 |
인간 개발 지수 (HDI) | 0.661 |
인간 개발 지수 (HDI) 년도 | 2022년 |
인간 개발 지수 (HDI) 순위 | 131위 |
통화 | 카보베르데 에스쿠도 |
통화 코드 | CVE |
시간대 | CVT |
UTC 오프셋 | -1 |
ccTLD | .cv |
날짜 형식 | dd/mm/yyyy |
운전 방향 | 오른쪽 |
ISO 3166-1 | CV / CPV |
국제전화번호 | 238 |
일본어 국명 | 카보베르데 공화국 |
로마자 표기 | Cabo Verde |
문화어 표기 | 까부웨르드, 베르데갑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공화국 |
대통령 | 조제 마리아 네베스 |
총리 | 울리시스 코레이아 에 실바 |
입법부 | 국민의회 |
종교 | |
종교 | 기독교 81.7% 가톨릭교 72.5% 기타 기독교 9.2% 무종교 15.6% 이슬람교 1.3% 기타 1.2% |
종교 조사 년도 | 2021년 |
2. 어원
카보베르데는 세네갈 연안에 있는 베르데곶(Cap-Vert) 근처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1444년에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베르데곶 근처의 이 섬들을 발견하고 포르투갈어로 "녹색의 곶"이라는 뜻의 '카보베르데'(Cabo Verde)라고 이름 지었다. 2013년 10월 24일, 카보베르데 정부는 각국 정부와 여러 국제 기구에 카보베르데라는 포르투갈어 국명만을 사용하고 다른 언어로 번역한 국명은 쓰지 말 것을 요청했다.[11]
카보베르데는 15세기까지 무인도였던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이다. 1975년까지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를 받았다.
이 나라는 세네갈 해안에 있는 카보베르데 반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 1975년 독립 이후 영어 사용자들은 이 군도와 국가를 '카보베르데'(Cape Verde)라고 불러왔다. 그러나 2013년 카보베르데 정부는 유엔을 포함한 공식적인 목적에서는 영어로 말하거나 쓸 때도 포르투갈어 명칭 Cabo Verdept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8][12]
과거에는 영어로 번역한 '''케이프베르데'''(''Cape Verde'')가 외국어 표기로 사용되었으나, 2013년 카보베르데 정부는 번역된 외국어 표기 사용 금지를 요청했고, 같은 해 10월 25일 국제연합은 포르투갈어 표기에 준하는 ''Cabo Verde''로 변경했다.[116] 한국어 표기는 '''카보베르데 공화국'''이며, 줄여서 '''카보베르데'''라고 한다. '''카보베르데''', '''카보벨데'''라고도 쓴다. 한국에서는 외교부가 관할하는 재외공관명칭위치급여법(재외공관의 명칭 및 위치와 재외공관에 근무하는 외무공무원의 급여에 관한 법률)에서 국명을 "카보베르데"로 규정했으나, 2019년 "카보베르데"로 국명을 변경하는 법 개정이 이루어져 4월 1일에 시행되었다.[117]
3. 역사
16세기에는 노예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해적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노예 무역으로 수많은 아프리카인들이 카보베르데로 끌려왔고, 이들이 오늘날 카보베르데인의 조상이다. 노예 무역 쇠퇴 후에는 대서양 항로의 중간 거점항이자 보급항으로 번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프리카에서 민족주의 열풍이 거세지면서 기니비사우 독립 아프리카당(PAIGC)을 중심으로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다. 1974년 포르투갈에서 일어난 카네이션 혁명 이후 독립이 가시화되었고, 1975년 7월 5일 독립을 이루었다.[17]
독립 당시 아프리카 대륙의 기니비사우와 연방을 맺을 계획이었으나, 1980년 기니비사우 쿠데타로 무산되었다.
카보베르데는 1990년대 초 이후 안정적인 의원내각제 민주주의 국가이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발전되고 민주적인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포르투갈어 사용 공동체'''와 '''포르투갈어 사용 아프리카 국가'''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3. 1. 초기 역사
유럽인들이 방문하기 전까지 카보베르데는 무인 지대였고, 1456년경 제노바 공화국과 포르투갈 왕국의 항해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13][14][15] 무인도이기는 했지만, 고대로부터 페니키아인, 아랍인, 무어인 및 인근 서아프리카의 부족들이 이 섬들을 방문했다고 한다. 포르투갈 공식 기록에 따르면,[16] 최초 발견은 제노바 출신의 안토니우 드 놀리(António de Noli)가 하였으며, 그는 이후 포르투갈 국왕 아폰수 5세에 의해 카보베르데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카보베르데 제도 발견에 기여한 다른 항해사로는 디오구 디아스, 디오구 아폰수, 베네치아 공화국 출신의 알비세 카다모스토, 그리고 안토니우 드 놀리의 탐험 항해에 동행했던 디오구 고메스가 있다.
1462년에는 열대 지방으로는 드물게 산티아구섬에서 포르투갈인의 이주가 시작되어, 히베이라그란드(Ribeira Grande, 나중에 시다드벨랴로 이름을 바꿈)라는 정착촌이 건설되었다.[17]
3. 2. 식민지 시대
유럽인들이 방문하기 전까지 카보베르데는 무인도였으며, 1456년경 제노바 공화국과 포르투갈 왕국의 항해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13][14][15] 페니키아인, 아랍인, 무어인 및 인근 서아프리카의 부족들이 이 섬들을 방문했다는 기록이 있다. 1462년에는 산티아구섬에 포르투갈인들이 이주를 시작하여 히베이라그란드(Ribeira Grande, 현재의 시다드벨랴)라는 정착촌을 건설했는데, 이는 열대 지방에서는 드문 경우였다.[17]
1444년 디아구 디아스가 몇몇 섬들을 발견했고, 1455년에는 제노바 상인 안토니오 놀리와 포르투갈인 디오구 아폰수가 방문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엔리케 항해왕자의 사업에 종사했던 카다모스토와 안토니오 놀리가 나머지 섬들을 발견했다. 1462년 포르투갈 정착민들은 산티아구 섬에 도착하여 최초의 유럽인 거주지가 된 리베이라 그란데(현재의 시다드 베이야)를 건설했다.[118]
16세기에는 노예 무역이 번성하여 카보베르데는 번영했다.[17] 그러나 해적들이 가끔 포르투갈 정착지를 공격했다. 잉글랜드의 사략선 선장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1585년에 당시 수도였던 리베이라 그란데를 두 번 약탈했다.[17]
1712년 프랑스의 공격 이후, 리베이라 그란데는 쇠퇴하고 1770년 프라이아가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17] 카보베르데에는 정착한 포르투갈인과 강제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에 의해 크레올 문화가 형성되었고, 두 민족 간의 혼혈도 진행되었다.[118]
19세기 노예 무역의 감소는 경제 위기를 초래했다. 카보베르데의 초기 번영은 서서히 사라졌으나, 대서양 중앙의 해상 운송로에 위치하여 선박에 보급품을 공급하는 이상적인 장소가 되었다. 훌륭한 항구 덕분에 상 비센테 섬의 민델루는 19세기에 중요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17]
19세기에는 간헐적인 가뭄과 포르투갈로부터 도입된 대토지 소유 제도의 폐해 등으로 인해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된 카보베르데 사람들의 해외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특히 많은 사람들이 미국으로 향했다.[118]
1951년 포르투갈은 증가하는 민족주의를 무디게 하려는 시도로 카보베르데의 지위를 식민지에서 해외 속주로 변경했다.[17] 1956년, 아밀카르 카브랄과 카보베르데인, 기니인 동료들은 비밀리에 기니·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PAIGC)을 조직했다.[17] 이들은 카보베르데와 포르투갈 기니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상황 개선을 요구했고, 두 국가의 독립 운동의 기초를 형성했다. 1960년 기니 코나크리에 본부를 설치한 PAIGC는 1961년 포르투갈에 대한 무장 반란을 시작했다. 파괴 행위는 결국 1만 명의 소련 블록 지원 PAIGC 병사와 3만 5천 명의 포르투갈과 아프리카군 사이에 기니비사우 독립 전쟁을 일으켰다.[17]
1972년까지 PAIGC는 포르투갈군이 주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 기니의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카보베르데에 대한 포르투갈의 통제를 방해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다. 포르투갈 기니는 1973년 독립을 선포했고 1974년 법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았다. 아밀카르 카브랄이 1973년 암살된 후 형성된 독립 운동은 그의 이복동생 루이스 카브랄에게 이어졌고, 1975년 제도의 독립으로 절정에 달했다.
3. 3. 독립 운동과 독립
1956년, 아밀카르 카브랄과 카보베르데 및 포르투갈령 기니(현 기니비사우) 출신 인사들은 기니비사우 독립 아프리카당(PAIGC)을 비밀리에 결성했다.[17] PAIGC는 카보베르데와 포르투갈령 기니의 경제, 사회, 정치 상황 개선을 요구하며 두 국가 독립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1960년 PAIGC는 기니 코나크리에 본부를 설치하고, 1961년부터 포르투갈에 대한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이 투쟁은 소련 등 동구권의 지원을 받는 1만 명의 PAIGC 병력과 3만 5천 명의 포르투갈 및 아프리카 군대 간의 기니비사우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다.[17]
1972년까지 PAIGC는 포르투갈군의 주둔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령 기니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카보베르데에 대한 포르투갈의 통제는 유지되었다. 1973년 포르투갈령 기니는 독립을 선포했고, 1974년 법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았다. 같은 해 아밀카르 카브랄 암살 이후, 그의 이복동생 루이스 카브랄이 독립 운동을 이끌었고, 1975년 카보베르데의 독립으로 이어졌다.
1974년 4월 포르투갈에서 발생한 카네이션 혁명 이후, PAIGC는 카보베르데에서 활발한 정치 활동을 전개했다. 1974년 12월, PAIGC와 포르투갈은 포르투갈인과 카보베르데인으로 구성된 과도 정부 수립에 합의했다. 1975년 6월 30일, 카보베르데는 국민의회를 선출했고, 1975년 7월 5일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17]
1980년 11월 1980년 기니비사우 쿠데타 직후, 카보베르데와 기니비사우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카보베르데는 기니비사우와의 통합을 포기하고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PAICV)을 결성했다. 이후 양국 관계는 회복되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PAICV는 일당 체제를 수립하여 1990년까지 카보베르데를 통치했다.[17]
3. 4. 독립 이후
1975년 7월 5일,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했다.[17] 독립 초기,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는 통일 국가를 건설하려 했으나, 1980년 기니비사우에서 주앙 비에이라 수상의 쿠데타가 발생하여 카보베르데 출신 초대 대통령 루이스 카브랄(아밀카르 카브랄의 동생)이 실각했다. 이로 인해 카보베르데는 기니비사우와의 통일을 포기했고, PAIGC 카보베르데 지부는 1981년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 당(PAICV)으로 개편되었다.[119] PAIGC/PAICV는 일당 체제를 수립하여 1990년까지 카보베르데를 통치했다. 이후 양국 관계는 여러 문제들이 해결되어 우호적이다.
1990년 2월, 정권 운영에 대한 비판이 커지자 아프리카 독립당(PAICV)은 일당 체제를 종식시키는 헌법 개정안을 논의하기 위한 긴급 의회를 소집했다. 1990년 4월, 반대 세력들은 프라이아에서 민주운동(MpD)을 결성했다. 1990년 12월, PAICV와 MpD 등 여러 정당들이 대통령 선거에 참여할 권리를 주장했다. 1990년 9월 28일, 헌법 개정에 따라 일당 체제가 폐지되었고, 1991년 1월 최초의 다당제 선거가 실시되었다. MpD는 의회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했고, MpD의 대통령 후보 안토니오 마스카레냐스 몬테이루는 PAICV 후보이자 1975년부터 대통령직을 수행해 온 아리스티데스 페레이라를 누르고 대통령이 되었다. 1992년에는 헌법이 다시 개정되었다.[120]
1995년 12월 의회 선거에서 MpD는 총 72석 중 50석을 차지하며 의회 내 세력을 더욱 확장했다. 1996년 2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PAICV를 비롯한 야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 몬테이루 대통령이 재선되었다. 1995년 12월과 1996년 2월의 선거는 국내외 감시단에 의해 자유롭고 공정하다고 평가되었다.
2000년과 2001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PAICV의 페드루 피리스와 MpD의 카를루스 베이가가 주요 후보로 나섰다. 피리스는 PAICV 집권 시절 총리를 지냈고, 베이가는 몬테이루 대통령 시절 총리를 지냈다. 두 후보는 근소한 득표율 차이로 접전을 벌였으나, 피리스가 12표 차이로 승리했다. 2011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MpD가 정권을 탈환했고, 조르주 카를루스 폰세카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폰세카가 재선되었다.[121]
4. 지리
카보베르데는 아프리카 서쪽 해안에서 약 570km 떨어진 대서양에 위치한 군도 국가로, 10개의 큰 섬과 약 8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북쪽의 바를라벤투 제도와 남쪽의 소타벤투 제도로 나뉜다. 수도 프라이아는 소타벤투 제도의 산티아구섬에 있다.
카보베르데 제도는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 근처에 있으며 마카로네시아 생태지역의 일부이다. 위도 북위 14°와 북위 18°, 경도 서경 22°와 서경 26° 사이에 위치한다.
카보베르데는 말굽 모양으로 흩어져 있는 10개의 섬(9개의 유인도)과 8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4033km2이다.[42]
섬들은 공간적으로 두 그룹으로 나뉜다.[42]
면적과 인구 모두에서 가장 큰 섬은 산티아구섬이며, 이곳에는 수도 프라이아가 있다.[42]
살섬, 보아비스타섬, 마이오섬은 매우 평평하고 모래가 많으며 건조하다. 다른 섬들은 일반적으로 암석이 많고 초목이 더 많다.
몇몇 섬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화산 활동과 침식에 의해 생성된 섬으로 암석 산지이고, 포구섬의 포고산은 해발 2829m로 최고봉을 이룬다. 대부분의 섬들은 대륙에서 모래바람이 불어와 고온 건조한 기후이며, 5~10월의 우기를 제외하면 비가 적다. 연평균 강수량은 해안에서 200mm 내외, 산지에서 1000mm 정도이다. 연평균 기온은 24°C인데다가 화산재가 표층을 덮고 있기 때문에 토양도 비옥하지 않아 개발이 늦어지고 있다.
4. 1. 기후
카보베르데의 기후는 주변 바다가 섬들의 기온을 완화시키고 차가운 대서양 해류가 군도 주변에 건조한 대기를 생성하기 때문에 아프리카 본토보다 온화하다. 반대로, 섬들은 서아프리카 해안에 영향을 미치는 용승(차가운 해류)을 받지 않으므로, 세네갈보다 기온은 더 시원하지만 바다는 더 따뜻하다. 산티아구와 같이 가파른 산이 있는 일부 섬들의 지형 때문에 지형성 강수가 발생하여 습한 공기가 응축되어 식물, 바위, 토양, 통나무, 이끼 등에 흡수되면서 풍부한 숲과 무성한 식물이 자랄 수 있다. 산투 안탕 섬과 같이 높은 섬과 다소 습한 섬의 산악 지역에서는 건조한 계절풍림과 월계수림이 발달하기에 적합한 기후이다.[42] 평균 기온은 2월 22°C에서 9월 27°C까지 다양하다.[51] 카보베르데는 사헬의 반건조 지대에 속하며, 인근 서아프리카의 강수량 수준과는 전혀 다르다.[42] 8월에서 10월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비가 내리며, 잦은 짧은 시간 동안의 집중 호우가 있다.[42]사막은 일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이 250mm 미만인 지형으로 정의된다. 살 섬의 총 강수량 145mm은 이 분류를 확인시켜 준다. 연간 강수량의 대부분은 9월에 내린다.[51]
살, 보아비스타, 마이오 섬은 지형이 평평하고 기후가 건조한 반면, 다른 섬들은 일반적으로 암석이 많고 식물이 더 많다. 강수량이 드물기 때문에, 산악 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지형이 매우 건조하여 경작 가능한 토지가 2% 미만이다.[47] 이 군도는 고도와 연평균 강수량에 따라 건조, 반건조, 아습윤, 습윤의 네 가지 광범위한 생태 지대로 나눌 수 있다. 해안의 건조 지역인 비아나 사막(살헤이의 경우)에서는 100mm 미만에서 습윤 산악 지역에서는 1000mm 이상이다. 대부분의 강수량은 해양 안개의 응결에 의해 발생한다.
산티아고와 같은 일부 섬에서는 내륙과 동해안의 더 습한 기후가 남서해안의 더 건조한 기후와 대조를 이룬다.
카보베르데의 대부분 지역은 일년 내내 강수량이 적지만, 높은 산의 북동쪽 사면은 특히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지형성 상승으로 인해 상당한 강수량을 보인다. 이러한 일부 지역에서는 이 강수량이 열대우림 서식지를 유지하기에 충분하지만, 섬의 인간 활동의 영향을 상당히 받는다. 이러한 그늘진 지역은 시원하고 습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카보베르데는 카보베르데 제도 건조림 생태 지역에 위치해 있다.[48]
서반구를 향하는 허리케인은 종종 카보베르데 근처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허리케인을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이라고 한다. 이러한 허리케인은 카보베르데에서 멀리 떨어진 따뜻한 대서양 해역을 지나면서 매우 강해질 수 있다. 평균 허리케인 시즌에는 약 두 개의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이 발생하며, 이는 종종 육지에 도달하기 전에 발달할 수 있는 따뜻한 열린 바다가 많기 때문에 계절 중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폭풍이다. 기록상 가장 큰 다섯 개의 대서양 열대 사이클론은 카보베르데형 허리케인이었다. 대서양 분지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열대 사이클론의 대부분은 카보베르데 허리케인이다.[49]
2015년 현재, 섬 자체는 기록상(1851년 이후) 두 번만 허리케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1892년 한 번, 그리고 2015년에는 허리케인 프레드가 대서양에서 가장 동쪽에 형성된 허리케인으로 카보베르데에 영향을 주었다.[50]
카보베르데: 상 비센테, 살 및 산티아고 (1981–2010년 평균, 1931–1960년 극값) 기후 데이터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F) | 32°C | 33.1°C | 34.2°C | 33.4°C | 33.3°C | 34.1°C | 33.6°C | 38°C | 34.8°C | 33°C | 33°C | 31°C | - | ||||||||||||||
평균 최고 기온 °C (°F) | 24.9°C | 25.1°C | 25.8°C | 25.9°C | 26.6°C | 27.3°C | 28.2°C | 29.4°C | 29.9°C | 29.5°C | 28.2°C | 26.3°C | - | ||||||||||||||
일 평균 기온 °C (°F) | 22.1°C | 21.9°C | 22.4°C | 22.7°C | 23.4°C | 24.3°C | 25.3°C | 26.5°C | 26.9°C | 26.4°C | 25.2°C | 23.4°C | - | ||||||||||||||
평균 최저 기온 °C (°F) | 19.4°C | 19.1°C | 19.3°C | 19.8°C | 20.6°C | 21.6°C | 22.7°C | 23.9°C | 24.5°C | 23.8°C | 22.6°C | 20.9°C | - | ||||||||||||||
최저 기온 기록 °C (°F) | 12°C | 10°C | 12°C | 15°C | 15°C | 15°C | 17°C | 14.5°C | 19°C | 18.5°C | 17°C | 16°C | 10°C | ||||||||||||||
강수량 mm (인치) | 4.9mm | 1.5mm | 0.7mm | 0.4mm | 0.3mm | 0mm | 3.9mm | 30.2mm | 41.7mm | 18.8mm | 3.7mm | 3.1mm | - | ||||||||||||||
평균 일조시간 | 213.4 | 184.9 | 197.1 | 199.0 | 195.4 | 175.1 | 165.4 | 160.7 | 165.1 | 185.3 | 186.2 | 202.9 | - | ||||||||||||||
평균 상대 습도 (%) | 66.9 | 67.3 | 66.9 | 67.8 | 69.5 | 72.3 | 73.8 | 75.3 | 76.0 | 73.5 | 70.7 | 69.5 | - | ||||||||||||||
출처 1: 국립 기상 및 지구물리학 연구소[51] | 출처 2: 독일 기상청 (극값)[52][53][54] |
2011년, 나우루 대통령에 따르면 카보베르데는 기후 변화로 인한 홍수로 인해 8번째로 위험에 처한 국가로 선정되었다.[55] 2023년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 위해 카보베르데에 도착했다. 그는 카보베르데가 기후 변화로 인한 존재론적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세계 지도자들이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56] 카보베르데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재생 에너지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현재 에너지의 20%가 재생 가능 에너지에서 나오며, 2030년까지 이 비율을 50%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57] 2023년 포르투갈은 카보베르데가 환경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대가로 1.4억유로의 부채를 탕감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아프리카 최초의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부채 탕감 사례 중 하나이다.[58]
4. 2. 지질
카보베르데 제도는 주로 화성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산 구조와 화산쇄설암 잔해가 군도 전체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화산 및 관입암체 암석은 염기성 성분을 가지며, 이 군도는 나트륨-알칼리성 암석학 지방으로, 다른 마카로네시아 제도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암석학적 연속성을 갖는다.군도 주변에서 확인된 자기 이상은 섬을 형성하는 구조가 1억 2,500만 년에서 1억 5,0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감을 나타낸다. 섬 자체는 서쪽에서는 800만 년 전, 동쪽에서는 2,000만 년 전부터 형성되었다.[43] 가장 오래된 노출 암석은 마이오 섬과 상티아구 섬의 북쪽 반도에서 발견되며, 1억 2,800만 년~1억 3,100만 년 전의 베개 용암이다. 제도에서의 최초의 화산 활동 단계는 초기 마이오세에 시작되어 이 시대 말에 절정에 달했고, 그때 섬들은 최대 크기에 도달했다. 인간 정착 이후의 역사적 화산 활동은 포고 섬으로 제한되었다.[44]
이 섬들은 카보베르데 해저 고원으로 알려진 수심 융기 위에 위치한다.[45] 이 고원은 세계 대양에서 가장 큰 돌출부 중 하나이며, 2.2km 높이로 1200km2의 반원형 지역에 걸쳐 있으며, 지오이드 상승과 관련이 있다.[43]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활화산인 포고 산은 2014년에 분화했다. 이 화산은 지름 8km의 칼데라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장자리는 해발 1600m에 위치하고, 내부 원추는 해발 2829m까지 상승한다. 칼데라는 마그마 방(깊이 8km) 내부의 원통형 기둥을 따라 마그마 방의 부분적 배출(분출) 이후 침강으로 인해 발생했다.
살 섬과 마이오 섬에는 광범위한 염호가 있다.[42] 상티아구 섬, 산투 안탕 섬, 상투 니콜라우 섬에서는 건조한 사면이 곳곳에서 우뚝 솟은 산기슭을 따라 펼쳐진 사탕수수밭이나 바나나 농장으로 이어진다.[42] 해안 절벽은 엄청난 토석류에 의해 형성되었다.[46]
5. 정치
카보베르데는 안정적인 준대통령제 대의민주주의 공화국이다.[2][28] 1992년에 채택되어 1995년, 1999년에 개정된 헌법은 카보베르데 정부의 기본 원칙을 정의한다.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며, 5년 임기로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17]
총리는 정부수반이며, 다른 장관들과 국무장관들을 제안한다. 총리는 국민의회가 지명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30] 국민의회 의원들은 5년 임기로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PAICV)과 민주운동(MpD)은 카보베르데의 양대 정당이다.[31] 2016년 총선에서 민주운동(MpD)은 15년 만에 집권당인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PAICV)을 제치고 승리했으며, 당 대표인 울리세스 코레이아 에 실바가 총리가 되었다. 조르주 카를루스 알메이다 폰세카는 2011년 8월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2016년 10월 재선되었으며, MpD의 지지를 받고 있다.[32]
대한민국과는 1988년에 수교하였다.
5. 1. 국제 관계
1988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2013년 당시 미국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는 카보베르데를 "진정한 성공 사례"라고 언급했다.[34] 카보베르데는 여러 국제 지표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지표 | 점수 | 포르투갈어 사용 아프리카 국가들 순위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순위 | 아프리카 국가 순위 | 세계 순위 | 연도 |
---|---|---|---|---|---|---|
인간개발지수 | 0.654 | 1위 | 3위 | 10위 | 125위 | 2017년[35] |
아프리카 거버넌스 이브라힘 지수 | 71.1 | 1위 | 해당사항 없음 | 3위 | 해당사항 없음 | 2018년[36] |
언론 자유 | 27 (자유) | 1위 | 2위 | 1위 | 48위 | 2014년 |
세계 자유도 | 1/1 | 1위 | 1위 | 1위 | 1위 | 2016년 |
언론 자유 지수 | 18.02 | 1위 | 2위 | 3위 | 27위 | 2017년 |
민주주의 지수 | 7.88 (불완전 민주주의) | 1위 | 1위 | 2위 | 26위 | 2018년 |
부패인식지수 | 59 | 1위 | 2위 | 2위 | 38위 | 2016년 |
경제자유지수 | 66.5 | 1위 | 1위 | 3위 | 57위 | 2016년 |
전자정부 준비 지수 | 0.3551 | 1위 | 3위 | 14위 | 127위 | 2014년 |
실패 국가 지수 | 74.1 | 1위 | 3위 | 8위 | 93위 | 2014년 |
네트워크 준비 지수 | 3.8 | 1위 | 3위 | 7위 | 87위 | 2015년 |
카보베르데는 비동맹 정책을 추구하며 모든 우호국과의 협력 관계를 모색한다.[17] 앙골라, 브라질, 중국, 리비아, 쿠바, 프랑스, 기니비사우,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상투메프린시페, 세네갈, 러시아, 룩셈부르크, 미국은 프라이아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카보베르데는 특히 아프리카에서 활발한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다.
카보베르데는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CPLP)의 창립 회원국이다.
카보베르데는 일부 루소폰 국가들과 양자 관계를 맺고 있으며 여러 국제기구의 회원국이기도 하다.[17] 또한 경제 및 정치 문제에 관한 대부분의 국제 회의에도 참가한다.[17] 2007년부터 카보베르데는 코토누 협정에 따라 EU와 '특별 파트너십' 지위[37]를 갖고 있으며, 카보베르데 에스쿠도가 유로에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 회원 자격을 신청할 수도 있다.[38] 2011년 카보베르데는 로마 규정을 비준했다.[39] 2017년 카보베르데는 핵무기 금지 조약에 관한 UN 조약에 서명했다.[40]
- 일본-카보베르데 관계
- * 일본 국적자 체류 인원 - 2명 (2022년 10월 현재)[122]
- * 카보베르데 국적자 일본 체류 인원 - 14명 (2021년 6월 현재)[122]
- * 대일 무역 (2020년)[122]
- ** 대일 수출액 - 0엔
- ** 대일 수입액 - 49.62억엔
5. 2. 사법
사법 시스템은 대법원(대법원장을 포함한 대법관들은 대통령, 국회, 사법부 위원회에서 임명)과 지방 법원으로 구성된다. 민사, 헌법, 형사 사건은 별도의 법원에서 심리한다. 항소는 대법원에 제기된다.[17] 사법부의 최고 기관은 '''최고사법재판소'''이다. 법 체계는 종주국이었던 포르투갈의 법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5. 3. 군사
카보베르데군은 국가경비대와 해안경비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5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의 0.7%가 군사비로 지출되었다.카보베르데군은 1974년부터 1975년까지 포르투갈에 대한 독립 전쟁에서 유일한 전투를 치렀고, 이후 국제 마약 밀매와의 싸움에 노력을 기울였다. 2007년에는 카보베르데 경찰과 함께 '플라잉 런치 작전'(Operacão Lancha Voadorapt)을 수행하여 콜롬비아에서 네덜란드와 독일로 코카인을 밀수하는 마약 밀매 조직을 소탕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작전은 3년 이상 걸렸으며, 처음 2년 동안은 비밀 작전이었고 2010년에 종료되었다. 2016년에는 카보베르데군이 11명의 사망자를 낸 아군끼리의 충돌인 몬테 초타 학살에 연루되었다.[41]

6. 행정 구역
카보베르데는 22개의 시(concelhos)로 나뉘며, 식민지 시대에 존재했던 종교 구역을 기반으로 32개의 교구(''프레게지아'')로 세분화된다.[62],[63]
섬 | 시 | 2010년 인구조사 | 2021년 인구조사 | 교구 |
---|---|---|---|---|
산투 안탕 | 리베이라 그란데 | 18,890 | 15,022 | 노사 세뇨라 두 로자리우 |
노사 세뇨라 두 리브라멘투 | ||||
산투 크루시피쿠 | ||||
상 페드루 아포스톨루 | ||||
파울 | 6,997 | 5,696 | 산투 안토니우 다스 폼바스 | |
포르투 노부 | 18,028 | 15,014 | 상 주앙 바티스타 | |
산투 안드레 | ||||
상 비센테 | 상 비센테 | 76,107 | 74,016 | 노사 세뇨라 다 루스 |
산타 루지아 | ||||
상 니콜라우 | 리베이라 브라바 | 7,580 | 6,978 | 노사 세뇨라 다 라파 |
노사 세뇨라 두 로자리우 | ||||
타라팔 드 상 니콜라우 | 5,237 | 5,261 | 상 프란시스쿠 | |
살 | 살 | 25,765 | 33,347 | 노사 세뇨라 다스 도레스 |
보아비스타 | 보아비스타 | 9,162 | 12,613 | 산타 이사벨 |
상 주앙 바티스타 |
섬 | 시 | 2010년 인구조사 | 2021년 인구조사 | 교구 |
---|---|---|---|---|
마이우 | 마이우 | 6,952 | 6,298 | 노사 세뇨라 다 루스 |
산티아구 | 프라이아 | 131,602 | 142,009 | 노사 세뇨라 다 그라사 |
상 도밍구스 | 13,808 | 13,958 | 노사 세뇨라 다 루스 | |
상 니콜라우 톨렌티누 | ||||
산타 카타리나 | 43,297 | 37,472 | 산타 카타리나 | |
상 살바도르 두 문두 | 8,677 | 7,452 | 상 살바도르 두 문두 | |
산타 크루스 | 26,609 | 25,004 | 산티아구 마이오르 | |
상 로렌수 두스 오르강스 | 7,388 | 6,317 | 상 로렌수 두스 오르강스 | |
리베이라 그란데 드 산티아구 | 8,325 | 7,632 | 산티시무 노메 드 예수스 | |
상 주앙 바티스타 | ||||
상 미겔 | 15,648 | 12,906 | 상 미겔 아르캉주 | |
타라팔 | 18,565 | 16,620 | 산투 아마루 아바데 | |
포구 | 상 필리페 | 22,228 | 20,732 | 상 로렌수 |
노사 세뇨라 다 콘세이상 | ||||
산타 카타리나 두 포구 | 5,299 | 4,725 | 산타 카타리나 (산타 카타리나 두 포구) | |
모스테이루스 | 9,524 | 8,062 | 노사 세뇨라 다 아주다 | |
브라바 | 브라바 | 5,995 | 5,594 | 상 주앙 바티스타 |
노사 세뇨라 두 몬테 |
7. 경제
카보베르데는 천연자원이 부족하지만, 주목할 만한 경제 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을 이루어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2007년 이후 유엔은 카보베르데를 최빈개도국이 아닌 개도국으로 분류하고 있다.[64]
카보베르데는 10개의 주요 섬 중 5개(산티아고, 산투 안탕, 상투 니콜라우, 포고, 브라바)만이 상당한 농업 생산을 지원하며,[64] 소비되는 식량의 90% 이상을 수입한다. 광물 자원으로는 소금, 포졸라나(시멘트 생산에 사용되는 화산암), 석회암이 있다.[17]
카보베르데 경제는 서비스업 중심이며, 상업, 운송 및 공공 서비스가 GDP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인구의 약 35%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지만, 농업과 어업은 GDP의 약 9%만 기여한다. 어류와 조개류가 풍부하며 소량이 수출된다. 카보베르데 이민자들은 송금을 통해 국내 경제에 GDP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기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7]
1991년 이후 정부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개방적인 정책과 광범위한 민영화 프로그램을 포함한 시장 지향적 경제 정책을 추진해왔다.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약 4.07억달러의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지거나 계획되었는데, 그 중 58%가 관광,[65] 17%가 산업, 4%가 인프라, 21%가 어업 및 서비스 부문이었다.[17]
2011년에는 4개의 섬에 풍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국가 전력의 약 30%를 공급하고 있다.[66] 카보베르데는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원에 완전히 의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67] 2010년에 개소한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지역 센터를 유치했다.[67]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실질 GDP는 연평균 7% 이상 증가하여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카보베르데는 2007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고,[68][69] 2008년에는 최빈개도국(LDC)에서 중간소득국(MIC)으로 격상되었다.[68][69]
카보베르데는 포르투갈과 상당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통화를 포르투갈 에스쿠도에, 그리고 1999년에는 유로에 연동하게 되었다.
카보베르데는 이민(MIgration), 송금(Remittances), 외국 원조(Aids), 관료제(Bureaucracy)의 머리글자를 딴 MIRAB 경제의 전형적인 예시이며, 해외 송금이 GDP의 20%를 차지한다.[129]
농업이나 어업 등의 1차 산업은 GDP의 12%에 불과하며,[130] 건조한 기후와 빈번한 가뭄으로 인해 농업은 자급자족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어장이 형성되어 어업이 활발하며, 수산물은 2013년 카보베르데 수출액의 84.2%를 차지하는 주요 수출품이다. 특히 참치·다랑어류가 총수출액의 40.7%를 차지하고 있다.[131] 그러나 카보베르데의 총수출액은 2013년 기준으로 6,900만 달러에 불과하며,[131] 같은 해 수입액은 7억 2,700만 달러로 큰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131] 자원은 소금이 생산될 뿐이다.
카보베르데의 주요 산업은 GDP의 약 70%를 차지하는 3차 산업이다. 카보베르데는 대서양 상의 요충지에 위치하여 해운·공운 모두 중요한 위치에 있으므로 기항하는 선박과 항공기가 많아 이와 관련된 수입이 중요하다. 공운에서는 살섬 중앙에 대규모 아밀카르 카브랄 국제공항이 있으며, 유럽과 남미를 잇는 항공기의 급유 지점으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120]
아프리카 내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정치와 자유 경제가 결합하여 순조로운 경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부채 감축, 성장 산업에 대한 우대 세제 도입, 거시경제의 안정, 해외 직접 투자 유치, 사회 서비스 향상 등을 주요 정책으로 하고 있다.
7. 1. 개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카보베르데에 할당한 총 예산은 5410만유로이며, 이는 특히 여성이 가장인 농촌 및 도시 외곽 지역의 빈곤 감소와 양호한 거버넌스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되었다.[73]7. 2. 관광

카보베르데는 대서양 중앙의 항로 교차점에 위치해 있어 전략적 중요성이 크다. 민델루 항구와 살, 프라이아의 국제공항 개선으로 이러한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17] 2007년 12월에는 보아비스타에 새로운 국제공항이 개항했고, 2009년 말에는 상투 안탕 섬에 카보베르데 최신 국제공항(세자리아 에보라 공항)이 개항했다. 민델루의 선박 수리 시설은 1983년에 문을 열었다.[17]
주요 항구는 민델루와 프라이아에 있지만, 다른 모든 섬에도 소규모 항구 시설이 있다. 살의 국제공항 외에도 모든 유인도에 공항이 건설되었다. 브라바와 상투 안탕의 공항을 제외한 모든 공항은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카보베르데 군도에는 3050km의 도로가 있으며, 그 중 1010km는 포장되어 있고 대부분 조약돌을 사용한다.[17]
카보베르데의 미래 경제 전망은 원조 유지, 관광 장려, 해외 송금, 이웃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아웃소싱 노동, 그리고 정부 개발 프로그램 추진에 크게 의존한다.[17]
8. 인구와 주민
카보베르데 주민들은 대부분 크리올로 구성되어 있다.[3] 2022년 기준 카보베르데의 인구는 593,149명이었다.[3] 카보베르데인의 상당수(236,000명)는 주요 섬인 상티아구에 거주한다.[74]
카보베르데인은 (자유민 또는 노예였던) 아프리카인과 다양한 출신의 유럽인의 후손이다. 보아비스타섬, 상티아구섬, 상투앙투섬 등지에는 북아프리카계 유대인 조상을 가진 카보베르데인도 있다.
이 나라의 역사적 과정에는 처음부터 사회 계급 형성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현재 "부르주아" 계층은 없지만, 여러 유형의 "소부르주아" 계층은 수적으로 상당하다. 대다수 인구는 농민과 일부 노동자 계급으로 구성되어 있다.[75]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483,628명이다.[133]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섬은 수도 프라이아가 있는 상티아구섬(269,370명)이고, 상 비센테섬(74,016명), 상투 안탕섬(36,632명), 포구섬(33,519명), 살섬(33,347명)이 그 뒤를 잇는다. 최대 도시는 프라이아(137,868명)이며, 민델루(69,013명), 에스파르고스(24,500명), 아소마다(21,297명) 순이다.[134]
순위 | 도시 | 섬 | 인구 |
---|---|---|---|
1 | 프라이아 | 상티아구 | 127,832 |
2 | 민델루 | 상비센테 | 70,468 |
3 | 산타마리아 | 살 | 23,839 |
4 | 아소마다 | 산타카타리나 | 12,026 |
5 | 포르투노보 | 포르투노보 | 9,430 |
6 | 페드라바데주 | 산타크루스 | 9,345 |
7 | 상필리페 | 상필리페 | 8,125 |
8 | 타라팔 | 타라팔 | 6,177 |
9 | 살레이 | 보아비스타 | 5,407 |
10 | 히베이라그란데 | 히베이라그란데 | 4,625 |
인구 구성은 포르투갈인과 아프리카계 혼혈(크레올, 무라토)이 71%, 아프리카계가 28%, 유럽계가 1%이다.[135]
많은 카보베르데인이 해외로 이주하여 국내 거주 인구보다 해외 거주 카보베르데인이 더 많다.
8. 1. 언어
포르투갈어가 공용어이며, 크레올어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카보베르데는 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76] 1999년 11월 23일자 헌법 9조 1항에 "공용어는 포르투갈어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포르투갈어는 교육과 행정의 언어이며,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에서도 사용된다.[76]카보베르데 크리올어(Kriolukea)는 카보베르데 전역에서 구어로 사용되며, 거의 모든 카보베르데인의 모국어이다. 헌법은 크리올어에 포르투갈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기 위한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76] 특히 산티아구 크리올어와 상비센테 크리올어를 중심으로 크리올어로 된 상당한 양의 문학 작품이 존재한다. Kriolukea는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이후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섬들 간의 언어 형태 차이는 언어 표준화의 주요 장애물이 되어 왔다. 어떤 사람들은 상비센테 크리올어를 중심으로 한 북부(바를라벤투) 표준어와 산티아구 크리올어를 중심으로 한 남부(소타벤투) 표준어의 두 가지 표준어를 개발하는 것을 옹호해 왔다. 언어학자이자 카보베르데 문화부 장관인 마누엘 베이가 박사는 Kriolukea의 공식화와 표준화를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다.[77] 공용어는 포르투갈어이지만, 이해도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카보베르데 크리올어이다.[136]
8. 2. 종교
카보베르데인 대다수는 기독교인이다. 2010년 기준으로 가톨릭 신자가 전체 인구의 약 80%를 차지하며 가장 큰 종교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79] 이는 수 세기 동안 이어진 포르투갈 지배를 반영한 것이다. 다른 대부분의 종교 집단은 개신교이며, 나사렛 교회가 두 번째로 큰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오순절교회, 하나님의 왕국 세계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등이 있다.[79] 이슬람교는 가장 큰 소수 종교이다.[79] 무신론자는 인구의 1% 미만을 차지한다.[79] 많은 카보베르데인들은 기독교를 아프리카의 토착 신앙과 관습과 혼합하여 믿는다.[81]
국민의 85%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137] 다른 가톨릭 신자들은 아프리카 종교의 영향을 받아 혼합적인 신앙을 가지고 있다.[138] 그 외에 개신교 여러 교파가 있으며, 나사렛 교회가 가장 크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오순절교회, 하나님의 왕국 만국교회, 오순절파, 복음주의 교회가 소수 존재한다.[137] 소규모 바하이교 공동체와, 소규모이지만 성장하고 있는 무슬림 공동체가 있다.[137]
8. 3. 해외 이주

카보베르데인의 해외 거주자 수(약 100만 명)는 자국 내 거주자 수의 거의 두 배에 달한다.[82] 카보베르데는 오랜 이민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카보베르데인들은 마카오에서 아이티, 아르헨티나, 스웨덴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83] 1975년 독립 이전까지 카보베르데 이민자들은 포르투갈 여권을 소지했기 때문에, 디아스포라의 규모는 공식 통계보다 훨씬 클 수 있다.
대다수의 카보베르데인들은 미국과 서유럽에 거주하며, 미국에 50만 명이 넘는 가장 큰 해외 카보베르데인 인구가 있다. 미국의 카보베르데인들은 대부분 뉴잉글랜드 지역, 특히 매사추세츠주의 보스턴과 뉴베드퍼드 및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도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브록턴에는 미국 도시 중 가장 큰 카보베르데인 공동체(18,832명)가 있다.[84]
카보베르데인들은 1840년대부터 매사추세츠주로 이주하기 시작했지만, 현재 인구의 대부분은 1970년대에 이주했다.[85] 그들은 현재 보스턴에서 10대 이민 그룹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 출신 이민자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다. 최초의 카보베르데 이민자들은 포경업에 종사하기 위해 매사추세츠주로 왔다.[85] 포경업이 쇠퇴하자 그들은 해운업, 계절적 농업(예: 크랜베리 수확) 및 공장 일자리로 이동했다. 두 번째 카보베르데 이민자들은 1975년 카보베르데가 독립한 후 도착했다. 그들은 또한 공장에서 일자리를 찾았지만, 제조 공장들이 문을 닫으면서 1990년대에는 서비스업으로 이동했다. 카보베르데 이민자들은 또한 레스토랑, 식료품점, 부동산 및 보험 사무소, 기타 기업 등 활기찬 소규모 사업 부문을 개발했다.[85] 미국의 카보베르데 이민자들은 미국 군대에 장기간 복무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 독립 전쟁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모든 주요 분쟁에 참여했다.[86]
수 세기 동안의 식민지 관계로 인해, 두 번째로 많은 카보베르데인들은 포르투갈(15만 명)에 거주하며, 앙골라(4만 5천 명)와 상투메 프린시페(2만 5천 명) 등 전 포르투갈 식민지에도 상당한 공동체가 있다. 스페인(6만 5,500명), 프랑스(2만 5천 명), 세네갈(2만 5천 명), 이탈리아(2만 명) 등 문화적, 언어적 유사성을 가진 국가에도 많은 인구가 있다. 영국(3만 5,500명), 네덜란드(2만 명, 그중 1만 5천 명은 로테르담에 집중되어 있음), 룩셈부르크와 스칸디나비아(7천 명)에도 다른 대규모 공동체가 있다. 미국과 유럽을 제외하고는 멕시코(5천 명)와 아르헨티나(8천 명)에 가장 많은 카보베르데인 인구가 있다.
수년에 걸쳐 카보베르데는 상대적으로 높은 1인당 소득, 정치적 및 사회적 안정, 시민의 자유로 인해 이민자 순유입국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인들은 상당하고 중요한 외국인 인구 부문을 구성하는 반면, 인근 서아프리카 국가들이 대부분의 이민을 차지한다. 21세기에 수천 명의 유럽인과 라틴 아메리카인들이 주로 전문직 종사자, 기업가, 은퇴자로 카보베르데에 정착했다. 90개국 이상 출신의 2만 2천 명이 넘는 외국 태생 거주자들이 귀화했다.
카보베르데 디아스포라의 경험은 많은 예술적, 문화적 표현에 반영되어 있으며, 가장 유명한 것은 세자리아 에보라의 노래 ''소다드''이다.[87]
9. 사회
카보베르데는 보건 및 교육 분야에서 아프리카 내에서도 상위권에 속하는 사회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카보베르데는 과학 기술 분야에서 서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 연구 개발 투자가 낮은 편이다. 2011년 GDP의 0.07%만이 연구 개발에 투입되었으며,[97] 인구 100만 명당 연구원 밀도는 51명으로 세계 평균(1,083명)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연구 인력은 대부분 정부 부문에 종사했으며, 여성 연구원 비율은 36%였다. 의학 및 농업 과학 분야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고, 엔지니어 8명 중 1명, 자연 과학 연구원 5명 중 3명, 사회 과학자 6명 중 3명, 인문학 연구원 5명 중 2명이 여성이었다.[97]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고등교육, 과학 및 문화부는 교류 프로그램 및 국제 협력 협정을 통해 연구 및 학계 부문의 이동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카보베르데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20만 명의 학자를 동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베로아메리카 학술 이동성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97] 2024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카보베르데는 90위를 기록했다.[98]
2015년 카보베르데 정부는 기업, 연구 및 개발을 위한 기술 공원 건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TechPark Cabo Verde로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아프리카개발은행과 카보베르데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2022년 6월 완공될 예정이었다. 이 사업의 목표는 대규모 국제 기업을 유치하여 현지 기업과 신생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99]
카보베르데는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성장하는 휴대전화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는 ICT 인프라 개선 및 디지털 경제 발전을 위한 여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경제는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 촉진,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100]
카보베르데에서는 시장, 축제, 기념행사 등 사람이 많은 곳에서 절도와 강도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가해자는 주로 거리의 아이들로 구성된 갱단이다.[101] 살인은 프라이아와 민델루 등 주요 인구 밀집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101] 치안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소매치기, 날치기, 강도 등이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야간 외출 자제 및 사람이 없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프라이아와 민델루에서는 청소년 그룹에 의한 집단 폭력 사건도 발생하고 있어 위험한 상황이다.[141]
9. 1. 보건
카보베르데 국가통계청의 최신 자료(2017년)에 따르면, 0~5세 영아 사망률은 인구 1,000명당 15명이며, 모성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42명이다.[88] 15~49세 카보베르데인의 HIV/AIDS 유병률은 0.8%이다.[89]
2017년 기준 카보베르데의 출생 시 기대수명은 76.2세이며, 남성은 72.2세, 여성은 80.2세이다.[88] 카보베르데 제도에는 총 6개의 병원이 있는데, 중앙병원 2곳(수도 프라이아와 상투 안탕의 민델루에 각각 1곳)과 지역병원 4곳(상티아구 북부 산타 카타리나, 상투 안탕, 포구, 살에 각각 1곳)이 있다. 또한 28개의 보건소, 35개의 위생센터, 그리고 다양한 사설 클리닉이 제도 전역에 위치해 있다.
카보베르데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건강한 국가 중 하나로, 독립 이후 보건 지표가 크게 개선되었다. 2007년에는 "중간 개발" 국가 그룹으로 승격되어 최빈개발국 목록에서 제외되었으며(두 번째 국가),[90] 2020년 기준 인간개발지수는 아프리카에서 11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2015년 기준 보건 분야 총 지출은 GDP의 7.1%였다.
카보베르데는 충분한 데이터를 가진 127개국 중 48위를 차지했으며, GHI 지수는 9.2로 기아 수준이 낮음을 나타낸다.[91]
9. 2. 교육
카보베르데의 교육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우수한 교육 시스템 중 하나로, 2023년 세계교육포럼에서 8위를 차지했다.[92] 카보베르데 교육 시스템은 포르투갈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현지 대학들은 미국 교육 시스템을 채택하여 2010년 이전 5년제 학사 학위 프로그램 대신 4년제 학사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카보베르데의 초등 교육은 6세에서 14세 사이의 아동에게 의무적이며 무료이다.[93] 2011년 초등학교 순취학률은 85%였다.[93][94] 15세 이상 인구의 약 91%가 읽고 쓸 수 있으며,[95] 인구의 약 25%가 대학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교과서는 학생의 90%에게 제공되었으며, 교사의 98%가 연수를 받았다.[93] 대부분의 아동이 교육에 접근할 수 있지만, 교재, 급식 및 도서에 대한 지출 부족 등의 문제가 남아 있다.[93]
2016년 기준, 카보베르데에는 69개의 중등 학교(사립 중등 학교 19개 포함)와 적어도 10개의 대학이 있으며, 이들은 산티아구섬과 상투안탕섬에 있다.
2015년 카보베르데 인구의 23%가 중등 학교에 다녔거나 졸업했다. 고등 교육의 경우, 카보베르데 남성의 9%와 여성의 8%가 학사 학위를 소지하거나 대학에 다녔다. 카보베르데의 전체 대학 교육률(대학 졸업생과 학부생)은 지역 대학 진학 연령 인구의 약 24%이다.[96] 2010년 교육 총 지출은 GDP의 5.6%였다. 25세 이상 성인의 평균 수학 연수는 12년이다.
2017년에도 이러한 추세는 유지되었다. 카보베르데는 고등 교육 시스템의 질과 포용성으로 서아프리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17년 기준 4명 중 1명의 젊은이가 대학에 다녔고, 학생의 3분의 1이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를 선택했다.[67] 2018년 여성은 학생의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졸업생의 3분의 2를 차지했다.[67]
2015년 추계에 따르면, 15세 이상 국민의 읽고 쓰기 능력(識字率)은 86.8%(남성: 91.7%, 여성: 82%)이다.[139] 2016년에는 GDP의 5.4%가 교육비로 지출되었다.[139]
9. 3. 과학 기술
카보베르데는 2011년 GDP의 0.07%만을 연구 개발에 투입하여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낮은 비율 중 하나를 기록했다.[97] 고등교육, 과학 및 문화부는 교류 프로그램 및 국제 협력 협정을 통한 이동성 강화를 통해 연구 및 학계 부문을 강화할 계획이다. 카보베르데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20만 명의 학자를 동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베로아메리카 학술 이동성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97] 2024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카보베르데는 90위를 기록했다.[98]2011년 카보베르데에는 25명의 연구원이 있었으며, 인구 100만 명당 연구원 밀도는 51명이었다. 이는 2013년 세계 평균인 100만 명당 1,083명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 2011년 연구원들은 모두 정부 부문에서 일했으며, 3명 중 1명은 여성(36%)이었다. 의학이나 농업 과학 분야에서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연구 개발에 참여한 8명의 엔지니어 중 1명은 여성이었다. 자연 과학 분야에서 연구하는 5명의 연구원 중 3명은 여성이었고, 사회 과학자 6명 중 3명, 인문학 분야의 연구원 5명 중 2명도 여성이었다.[97]
2015년 정부는 기업, 연구 및 개발을 위한 기술 공원 건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20년 말 현재 TechPark Cabo Verde로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2022년 6월 완공될 예정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아프리카개발은행과 카보베르데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 카보베르데의 올라보 코레이아(Olavo Correia) 재무장관에 따르면, 이 사업의 목표는 "대규모 국제 기업을 유치하여 현지 기업과 신생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99]
카보베르데는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성장하는 휴대전화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ICT 인프라 개선에 투자하고 디지털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계획을 수립했다. 디지털 경제는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 촉진 및 카보베르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00]
9. 4. 범죄
카보베르데에서는 특히 시장, 축제, 기념행사와 같이 사람이 많은 곳에서 절도와 강도가 빈번하게 발생한다.[101] 이러한 범죄의 가해자는 종종 거리의 아이들로 구성된 갱단인 경우가 많다.[101] 살인은 프라이아와 민델루와 같은 주요 인구 밀집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101]카보베르데의 치안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소매치기, 날치기, 강도 등의 범죄가 최근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야간 외출은 최대한 자제하고, 낮에도 사람이 없는 곳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프라이아나 민델루 등 도시 지역에서도 청소년 그룹에 의한 집단 폭력 사건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 이들 도시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다.[141]
10. 문화
카보베르데 문화는 아프리카와 유럽의 요소가 혼합된 것이 특징이다. 포르투갈어가 공용어이며, 크레올어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카보베르데는 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42] 종교는 가톨릭이 98%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밖에 개신교 신도 등이 있다.
사회적, 문화적 양식은 포르투갈과 아프리카 지방의 영향을 받아 독특하다.[123] 축구 경기와 교회 활동은 사회적 상호 작용과 오락의 주요 요소이며,[42]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 praça|광장pt를 따라 산책하는 전통이 카보베르데 도시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진다.[42]
카보베르데의 전통 춤은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의 영향을 받았다. 대표적인 춤으로는 푸나나(Funaná), 콜라데이라(Coladeira), 바뚜케(음악과 춤)(Batuque (music and dance)), 모르나(음악)(Morna (music)) 등이 있으며, 주크(Zouk)와 키좀바(Kizomba)와 같은 새로운 스타일도 인기를 얻고 있다.
카보베르데는 카보베르데 국제영화제와 프라이아 국제영화제와 같은 영화제로도 알려져 있다.
카보베르데에서는 시다드 베랴의 건축물 군이 2009년에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10. 1. 매체

전기가 공급되는 도시에서는 세 개의 채널로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다. 하나는 국영 채널(RTC – TCV)이고, 나머지 세 개는 외국계 채널이다. 2005년 포르투갈에 본사를 둔 RTI가 설립한 RTI 카보베르데, 2007년 3월 31일 브라질에 본사를 둔 레데 레코드가 설립한 레코드 카보베르데, 그리고 2016년부터 TV CPLP가 있다.[102] 프리미엄 채널로는 브라질의 레코드가 소유한 두 채널인 Boom TV와 Zap Cabo Verde의 카보베르데 버전이 있다.[102] 호텔이나 빌라에서는 위성 네트워크 채널을 포함한 다른 프리미엄 채널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이용 가능성이 제한적이다. 그러한 채널 중 하나는 포르투갈 라디오 방송국 RDP의 아프리카 버전인 RDP 아프리카이다.
2023년 초 기준으로 카보베르데 인구의 약 99%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으며, 70%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11%는 유선전화를 소유하고 있으며, 2%는 지역 케이블 TV를 구독하고 있다. 2003년에는 71,700개의 유선전화와 53,300개의 휴대전화가 사용되고 있었다.
2004년에는 7개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었는데, 6개는 독립 방송국이고 1개는 국영 방송국이었다. 카보베르데 뉴스 에이전시(주로 Inforpress)가 매체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방송되는 라디오 방송국으로는 RCV, RCV+, Radio Kriola, 그리고 종교 방송국인 Radio Nova가 있다. 지역 라디오 방송국으로는 카보베르데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인 Rádio Praia, 카보베르데 최초의 FM 방송국인 Praia FM, Rádio Barlavento, Rádio Clube do Mindelo, 그리고 민델루의 Radio Morabeza가 있다.
10. 2. 음악
카보베르데 사람들은 음악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민델루의 카니발과 같은 대중적인 축제에서 잘 나타난다. 카보베르데 음악은 "아프리카, 포르투갈, 브라질의 영향"을 통합한다.[103] 카보베르데의 대표적인 국민 음악은 ''모르나''로, 일반적으로 카보베르데 크리올어로 부르는 서정적이고 애수에 찬 노래 형식이다. ''모르나'' 다음으로 가장 인기 있는 음악 장르는 ''콜레이라''이며, 그 뒤를 ''푸나나''와 ''바투크'' 음악이 잇는다. 세자리아 에보라는 무대에서 맨발로 공연하는 것을 좋아해서 "맨발의 디바"로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카보베르데 가수였다. 그녀는 또한 삼촌 바나가 "모르나의 왕"으로 불린 것과는 달리 "모르나의 여왕"[104]으로 불렸다. 세자리아 에보라의 국제적인 성공은 다른 카보베르데 예술가들이나 포르투갈에서 태어난 카보베르데인 후손들이 음악 시장에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만들었다. 사라 타바레스, 루라, 마이라 안드라데 가수들이 그 예이다.카보베르데 전통 음악의 또 다른 위대한 대표는 트라바디냐로 더 잘 알려진 안토니우 비센테 로페스와 2004년에 사망한 일두 로보이다. 프라이아 시 중심부에 있는 문화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일두 로보 문화원이라고 한다.
카보베르데의 음악은 포르투갈, 서인도 제도, 아프리카, 브라질의 음악의 영향을 받아 혼합되어 있다.[142] 아프리카계 주민이 많은 소타벤토 제도에서는 아프리카계 음악의 영향이 강하고, 포르투갈계 주민이 많았던 바르라벤토 제도에서는 포르투갈 음악의 영향이 강하며, 바이올린, 카바키뉴, 포르투갈 기타가 사용된다.[118] 카보베르데의 진수인 국민 음악은 ''모르나''(바르라벤토 계)이며, 대개 카보베르데 크레올어로 불리는, 애수가 있고 열정적인 노래의 양식이다. 기타 대중 음악 장르로는 푸나나, 바투케, 콜라 등이 있다. 카보베르데 출신 가수 중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은 세자리아 에보라이며, 2003년 미국 그래미상을 수상한 그녀의 노래는 국가와 그 문화의 특징이 되었다.
무용의 양식으로는, 소프트 댄스의 모르나(Morna)와, 모르나가 현대화된 파사다(주크), 포르투갈과 아프리카의 춤이 혼합된 관능적인 후나나(Funaná), 최고도로 관능적인 콜라데이라, 그리고 바투케(Batuque)의 춤이 있다.
10. 3. 문학
카보베르데 문학은 포르투갈어권 아프리카에서 가장 풍부한 문학 중 하나로 손꼽힌다. 파울리누 비에이라, 마누엘 드 노바스, 세르지우 프루소니, 우제니우 타바레스, B. 레자, 페드루 카르두주 등은 유명한 시인들이다. 발타사르 로페스 다 실바, 안토니우 아우렐리우 곤살베스, 마누엘 로페스, 오를란다 아마릴리스, 앙리케 테이셰이라 드 소우사, 아르메니우 비에이라(2009년 카몽이스 상 수상), 카오베르디아누 덤바라, 아자구아 박사, 제르마누 알메이다 등은 유명한 작가들이다. 디나 살루스티우의 소설 ''A Louca de Serrano''는 카보베르데 여성이 쓴 최초의 소설이며, 영어 번역본 ''The Madwoman of Serrano''는 카보베르데 소설이 영어로 번역된 최초의 사례이다.[105][106]
10. 4. 요리

카보베르데의 식단은 주로 생선과 옥수수, 쌀과 같은 주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부분의 기간 동안 구할 수 있는 채소는 감자, 양파, 토마토, 카사바, 양배추, 케일 및 말린 콩이다. 바나나와 파파야와 같은 과일은 연중 내내 구할 수 있지만, 망고와 아보카도와 같은 다른 과일은 제철이다.[42]
카보베르데에서 인기 있는 요리는 ''카슈파''로, 옥수수(호미니), 콩, 그리고 생선이나 고기를 넣고 천천히 끓인 스튜이다. 일반적인 전채 요리는 ''파스텔''로, 생선이나 고기를 채운 페이스트리 껍질을 튀긴 것이다.[42]
10. 5. 스포츠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성공적인 스포츠 팀은 카보베르데 남자농구 국가대표팀으로, 2007 FIBA 아프리카 챔피언십에서 이집트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108] 2023년에는 2023 FIBA 농구 월드컵에 처음 출전했다.[108] 카보베르데 출신으로 가장 유명한 선수는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에서 뛰는 월터 타바레스이다.
카보베르데는 웨이브 세일링(윈드서핑의 한 종류)과 카이트보딩으로 유명하다.[109] 하와이 출신의 2009년 PWA 웨이브 세계 챔피언 조쉬 안굴로는 카보베르데 제도를 윈드서핑 명소로 홍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08] 현지 카이트서퍼인 미투 몬테이로는 2008년 웨이브 부문 카이트 서핑 세계 챔피언이었다.
카보베르데 축구 국가대표팀은 "투바롱스 아주이스"(푸른 상어)라는 별명을 가진 카보베르데의 국가대표팀이며, 카보베르데 축구 연맹이 관리한다. 이 팀은 2013년, 2015년, 2021년 및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네 번 출전했다.[110]
카보베르데는 1996년 이후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111] 2016년에는 그라셀리노 바르보사가 패럴림픽에서 메달을 딴 최초의 카보베르데 선수가 되었다.[111]
카보베르데에서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최초의 축구 대회는 포르투갈 제국의 일부였던 독립 이전인 1953년에 개최되었다.[111] 그 외에도 구기 종목이 성행하며, 풋살, 농구, 골프, 테니스, 크리켓이 주요 종목이다. 최근에는 카이트서핑과 윈드서핑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11.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On the Occasion of the Republic of Cabo Verde's National Day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4-07-08
[2]
SSRN
Between Constitutional Diffusion and Local Politics: Semi-Presidentialism in Portuguese-Speaking Countries
[3]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 Cabo Verde
https://data.worldba[...]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Cape Verde)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5]
웹사이트
GINI index
http://data.worldban[...]
World Bank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7]
웹사이트
INE APRESENTA OS RESULTADOS DEFINITIVOS DO V RECENSEAMENTO GERAL DA POPULAÇÃO E HABITAÇÃO (RGPH-2021)
https://ine.cv/notic[...]
2022-04-04
[8]
잡지
Cape Verde Gets New Name: 5 Things to Know About How Maps Change
http://news.national[...]
2013-12-12
[9]
웹사이트
Constituição da República de Cabo Verde
https://ihl-database[...]
[10]
웹사이트
Cape Verde, Country on the West Coast of Afric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www.citypopul[...]
[11]
서적
p. 4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Cabo Verde põe fim à tradução da sua designação oficial
http://www.panapress[...]
Panapress
2013-10-31
[13]
웹사이트
Cabo Verde – Cultural life
https://www.britanni[...]
[14]
웹사이트
Cape Verde, Country on the West Coast of Afric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15]
서적
Immigrants in American History: Arriv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Publisher
2013
[16]
간행물
Carta regia (royal letter)
1462-09-19
[17]
웹사이트
Cape Verde background note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8-07
[18]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19]
위키소스
Journal of researches into the natural history and geology of the countries visited during the voyage of HMS Beagle round the world – Chapter 1 at Wikisource, top part
https://en.wikisourc[...]
[20]
뉴스
Pedro Pires wins Cape Verde runoff
https://eu.southcoas[...]
[21]
뉴스
Cape Verde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m/[...]
2018-05-08
[22]
뉴스
Cape Verde President Fonseca on track to win re-election
https://cn.reuters.c[...]
2016-10-03
[23]
뉴스
Cape Verde opposition wins back parliament
https://www.reuters.[...]
2016-03-21
[24]
뉴스
Cape Verde ruling party retains power after winning legislative vote
https://www.africane[...]
2021-04-19
[25]
뉴스
Opposition candidate Neves wins Cape Verde election
https://www.reuters.[...]
2021-10-18
[26]
뉴스
Cape Verde's new president Jose Maria Neves to be sworn in on Nov. 9
http://www.news.cn/e[...]
[27]
웹사이트
WHO certifies Cabo Verde as malaria-free, marking a historic milestone in the fight against malaria
https://www.who.int/[...]
[2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Cape Verde
http://confinder.ric[...]
[29]
웹사이트
V-Dem [Country–Year/Country–Date] Dataset v11.1
https://www.v-dem.ne[...]
Varieties of Democracy (V-Dem) Project
2021
[30]
웹사이트
Cabo Verde: Freedom in the World 2024 Country Report
https://freedomhouse[...]
[31]
뉴스
Opposition returns to power in Cape Verde after 15 years
https://www.yahoo.co[...]
[32]
뉴스
Cape Verde country profile
https://www.bbc.com/[...]
2018-12-05
[33]
웹사이트
Cape Verde opens first embassy in Nigeria {{!}} Premium Times Nigeria
https://www.premiumt[...]
2021-11-20
[34]
웹사이트
Remarks by the President After Meeting with African Leaders
https://obamawhiteho[...]
[35]
웹사이트
2016 Human Development Report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6
[36]
웹사이트
2013 Ibrahim Index of African Governance
https://web.archive.[...]
Mo Ibrahim Foundation
2014-08-06
[37]
뉴스
Cape Verde-EU 'Special Partnership' takes shape
https://web.archive.[...]
European Commission
2008-05-25
[38]
웹사이트
Cape Verde could seek EU membership this year
https://web.archive.[...]
Eubusiness.com
2010-06-26
[39]
웹사이트
Cape Verde becomes the 119th State to join the Rome Statute system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2011-10-13
[40]
웹사이트
Chapter XXVI: Disarmament – No. 9 Treaty on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2017-07-07
[41]
뉴스
Eleven shot dead in Cape Verde, including two Spanish citizens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4-27
[42]
웹사이트
The Peace Corps Welcomes You to Cape Verde
https://web.archive.[...]
Peace Corps
2006-04
[43]
논문
undefined
2008
[44]
서적
North-East Atlantic Islands: The Macaronesian Archipelagos
http://dx.doi.org/10[...]
Elsevier
2021
[45]
논문
undefined
2010
[46]
서적
Submarine mass movements and their consequences: 3rd international symposium
Springer
2007
[47]
서적
Immigrants in American History: Arriv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Publisher
2013
[48]
학술지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49]
웹사이트
First Cabo Verde Missions Explore Earliest Roots of Atlantic Hurricanes
https://www.aoml.noa[...]
2022-09-14
[50]
웹사이트
Wait, a Hurricane Formed Where in the Atlantic?
https://www.climate.[...]
[51]
웹사이트
Normais Climatológicas
https://www.inmg.gov[...]
[52]
웹사이트
Klimatafel von Santa Maria / Sal (Int.Flugh.) / Kapverden (Rep. Kap Verde)
https://www.dwd.de/D[...]
DwD
[53]
웹사이트
Klimatafel von Praia / Sao Tiago / Kapverden (Rep. Kap Verde)
https://www.dwd.de/D[...]
DwD
[54]
웹사이트
Klimatafel von Mindelo / Sao Vicente / Kapverden (Rep. Kap Verde)
https://www.dwd.de/D[...]
DwD
[55]
뉴스
A sinking feeling: why is the president of the tiny Pacific island nation of Nauru so concerned about climate change?
http://www.thefreeli[...]
2011-11-14
[56]
웹사이트
UN chief arrives in Cabo Verde to raise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https://www.africane[...]
2023-01-22
[57]
웹사이트
Cabo Verde 'on the frontlines' of climate crisis, says Guterres ahead of Ocean Summit
https://news.un.org/[...]
2023-01-21
[58]
웹사이트
Portugal leads way for Europe with Cape Verde debt-for-nature swap
https://www.euronews[...]
2023-01-26
[59]
웹사이트
Endemic Bird Areas: Cape Verde Islands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61]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Cabo Verde
https://fra-data.fao[...]
[62]
간행물
2010 Census
Instituto Nacional de Estatistica
[63]
간행물
2021 Census
Instituto Nacional de Estatistica
[64]
서적
Incerteza, adaptabilidade e inovação na sociedade rural da Ilha de Santiago de Cabo Verde
Fundação Galouste Gulbenkian
2010
[65]
서적
Turismo em Meio Insular Africano: Potencialidades, constrangimentos e impactos
Gerpress
2010
[66]
웹사이트
Turbines arrive for ground-breaking wind farm in Africa – InfraCo Limited
https://web.archive.[...]
[67]
서적
UNESCO Science Report: the Race Against Time for Smarter Development.
https://unesdoc.unes[...]
UNESCO
2021
[68]
웹사이트
MFW4A
https://web.archive.[...]
[69]
웹사이트
Cabo Verde – Data
https://web.archive.[...]
World Bank
[70]
웹사이트
Cape Verde to join WTO on 23 July 2008
https://web.archive.[...]
WTO News
[71]
웹사이트
Cape Verde government raises minimum wage to 13,000 escudos
https://macauhub.com[...]
2018-01-08
[72]
뉴스
Governo vai aumentar salário mínimo nacional de 11 para 13 mil escudos
https://web.archive.[...]
2018-01-06
[73]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https://web.archive.[...]
Ec.europa.eu
2012-12-21
[74]
웹사이트
Cape Verde: Population
http://www.capeverde[...]
caperverde.com
[75]
서적
Michel Lesourd, État et société aux îles du Cap Vert, Paris: Karthala, 1995
[76]
웹사이트
Constituição da República de Cabo Verde
https://ihl-database[...]
[77]
논문
The Illegible State in Cape Verde: Language Policy and the Quality of Democracy
https://hdl.handle.n[...]
Boston University
2015
[78]
웹사이트
Cape Verde,Other Christian,ALL (CABO VERDE)
http://features.pewf[...]
2012-06-10
[79]
웹사이트
State.gov
https://2001-2009.st[...]
State.gov
2007-09-14
[80]
웹사이트
Jews in Cape Verde
http://www1.umassd.e[...]
[81]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Cape Verde
https://2009-2017.st[...]
State.gov
2010-06-15
[82]
서적
2004
[83]
웹사이트
Cape Verdean Americans – History, Modern era, The first cape verdeans in america
Everyculture.com
[84]
웹사이트
Cape Verdeans in Brockton
https://www.bostonpl[...]
[85]
웹사이트
A History of Immigration to Boston: Eras, Ethnic Groups, and Places
https://brewminate.c[...]
2019-05-28
[86]
웹사이트
Cape Verdeans: Cape Verdean Veterans
http://sites.google.[...]
[87]
웹사이트
Cesaria, the unlikely heroine for the country that treasures her indomitable spirit
https://qz.com/afric[...]
2019-04-13
[88]
웹사이트
Início – INE
http://www.ine.cv/
Ine.cv
2014-06-20
[89]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90]
웹사이트
UN advocate salutes Cape Verde's graduation from category of poorest States
http://www.un.org/ap[...]
2007-06-14
[91]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92]
웹사이트
Countries With The Best Education System in Africa 2023: Top 15
https://bscholarly.c[...]
2023-01-09
[93]
간행물
Findings on the Worst Forms of Child Labor (2001)
http://www.dol.gov/i[...]
Bureau of International Labor Affai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2002
[94]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 Data
http://data.worldban[...]
[95]
웹사이트
Literacy rate, adult total (% of people ages 15 and above) - Cabo Verde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96]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Cabo Verde
https://www.ine.cv/
[97]
서적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http://unesdoc.unesc[...]
UNESCO
[98]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99]
웹사이트
Cape Verde: small country, big digital ambitions
https://resilient.di[...]
resilient.digital-africa.co
2021-11-26
[100]
웹사이트
Cabo Verde – Digital Economy
https://www.trade.go[...]
2022-07-31
[101]
웹사이트
Cape Verde
https://travel.state[...]
2008-05-05
[102]
뉴스
TV Record Cabo Verde disponível também nos canais a cabo em Cabo Verde
http://www.cvmultime[...]
[103]
서적
Popular Musics of the Non-Western Worl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4]
뉴스
Cesária Évora, Singer From Cape Verde, Dies at 70 (Published 2011)
https://www.nytimes.[...]
2011-12-19
[105]
웹사이트
The Madwoman of Serrano by Dina Salústio : Our Books :: Dedalus Books, Publishers of Literary Fiction
http://www.dedalusbo[...]
[106]
웹사이트
Translating Dina Salústio, Cape Verde's First Female Novelist
https://brittlepaper[...]
2022-03-25
[107]
비디오
àma Gloria
https://www.allocine[...]
2024-06-19
[108]
웹사이트
Cape Verde windsurfing Holidays
https://www.planetwi[...]
Planet Travel Ltd, Brighton (United Kingdom)
2023-04-16
[109]
웹사이트
Become a Waver Rider Kiteboarding in Cape Verde {{!}} 57hours
https://57hours.com/[...]
2023-04-16
[110]
뉴스
Africa Cup of Nations: Cape Verde and Ethiopia qualify
https://www.bbc.com/[...]
2014-09-24
[111]
웹사이트
Rio 2016: Cabo-verdiano conquista primeira medalha dos PALOP na Paralimpíada
https://www.dw.com/p[...]
2016
[112]
뉴스
Drone delivers medical supplies to remote islands
https://www.bbc.co.u[...]
2021-12-31
[113]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021-11-07
[114]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0-22
[115]
웹사이트
Cabo Verde
https://www.cia.gov/[...]
중앙정보국
2021-07-10
[116]
웹사이트
the Republic of Cabo Verde
https://unterm.un.or[...]
The United Nations Terminology Database
2021-07-10
[117]
웹사이트
第198回国会提出法律案一覧
https://www.mofa.go.[...]
외무성
[118]
서적
크레올의 섬 카보베르데 그 형성과 디아스포라
사회평론사
1997-05
[119]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 2 아프리카
아사쿠라 서점
1998
[120]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 2 아프리카
아사쿠라 서점
1998
[121]
웹사이트
카보베르데 기초 데이터
https://www.mofa.go.[...]
일본 외무성
2018-11-21
[122]
웹사이트
외무성 카보베르데 기초 데이터
https://www.mofa.go.[...]
[123]
간행물
The Peace Corps Welcomes You to Cape Verde
http://www.peacecorp[...]
Peace Corps
2006-04
[124]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 2 아프리카
아사쿠라 서점
1998
[125]
서적
나라의 성립 2 지리
아키시키 서점
2010-03
[126]
웹사이트
Praia, Cape Verde Travel Weather Averages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4-01-14
[127]
웹사이트
Cape Verde weather
http://www.metoffice[...]
Met Office
2015-10-08
[128]
웹사이트
Voodoo Skies - Praia Monthly Temperature weather history
http://voodooskies.c[...]
2015-10-08
[129]
서적
카보베르데 경제
아키시키 서점
2010-03
[130]
서적
카보베르데 경제
아키시키 서점
2010-03
[131]
서적
데이터 북 오브 더 월드 2016년판 세계 각국 요람과 최신 통계
니노미야 서점
2016-01-10
[132]
서적
나라의 성립 2 지리
아키시키 서점
2010-03
[133]
뉴스
População residente em Cabo Verde caiu para 483.628 habitantes
https://www.rtp.pt/n[...]
2021-08-06
[134]
웹사이트
Republic of Cape Verde Islands & Municipalities
http://www.citypopul[...]
CityPopulation.de
2023-01-14
[135]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09-11-29
[136]
서적
크레올이라는 언어
아키시키 서점
2010-03
[137]
웹사이트
http://www.state.gov[...]
[138]
웹사이트
https://www.cia.gov/[...]
[139]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8-11-21
[140]
웹사이트
http://www.everycult[...]
[141]
웹사이트
外務省 海外安全ホームページ
https://www.anzen.mo[...]
2024-10-05
[142]
서적
(제목 정보 부족)
https://books.google[...]
[143]
웹사이트 # 또는 기타 적절한 type
[144]
웹사이트 # 또는 기타 적절한 type
[145]
웹사이트 # 또는 기타 적절한 ty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