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1796년 니케포로스 테오토키스가 처음 사용한 언어로, 고대 그리스어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순수한 형태의 그리스어를 의미한다. 한때 공문서와 공식적인 글에 사용되었으나, 1976년 민중 그리스어가 공식 언어가 되면서 쇠퇴했다. 그러나 카타레부사에서 사용된 문법, 구문 규칙, 어휘가 현대 그리스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문", "경찰" 등의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는 데 기여했다. 현재는 그리스 정교회 등 일부 종교 및 전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2. 역사

카타레부사는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었지만, 그리스어의 보수적인 문학 형태는 코이네 그리스어 시대부터 존재해 왔다. 끊임없이 발전하는 구어체 코이네와 아티카 문어체 사이에는 항상 이중 언어 사용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결국 데모틱 그리스어로 발전했다. 중세 그리스어 텍스트와 비잔틴 제국 문서는 대부분 보수적인 문어체 그리스어로 작성되었다. 13세기 이전에 구어체 그리스어로 쓰여진 텍스트는 매우 드물다.[3] 카타레부사의 확립은 이미 존재했던 그리스어의 보수적 형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표준화한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2. 1. 기원과 발전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1796년 그리스의 박식가 니케포로스 테오토키스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9] 카타레부사는 당시 공문서와 그리스 학자들의 공식적인 글에 널리 쓰였다.

근대 그리스 구어에서 '카타레부사'는 '공식 언어'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카타레부사는 공무, 정치, 서한, 공문서, 언론 보도 등 공적인 목적에 사용되었고, 일상에서는 민중 그리스어(δημοτική|디모티키el)가 쓰였다. 이러한 이중 언어 사용 상황은 대부분의 그리스 사람들이 카타레부사에 적응하지 못하면 공적인 영역에서 배제되고 교육 기회를 얻지 못하게 만들었다.

1976년 민중 그리스어가 그리스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1982년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는 20세기 말까지 기존 그리스어 발음법 표기를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20세기 말 카타레부사는 완전히 쇠퇴하였다.

그러나 200년 동안 카타레부사에서 채택된 문법, 구문 규칙, 어휘가 민중 그리스어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오늘날 그 의의가 재조명되기도 한다.[10] 현대 그리스어는 옛 민중 그리스어가 아니라 코이네 그리스어의 영향이 이어져 19세기 카타레부사와 민중 그리스어가 절충된 형태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카타레부사는 "신문", "경찰", "자동차", "비행기", "텔레비전" 등 이전 시대에 없던 개념을 다른 언어에서 차용하지 않고 고전어에 기반하여 결합하는 데 기여했다.

카타레부사는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었지만, 그리스어의 보수적인 문학 형태는 코이네 그리스어 시대부터 존재했다. 구어체 코이네와 아티카 문어체 사이에는 항상 이중 언어 사용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데모틱 그리스어로 발전했다. 중세 그리스어 텍스트와 비잔틴 제국 문서는 대부분 보수적인 문어체 그리스어로 작성되었다. 13세기 이전 구어체 그리스어 텍스트는 매우 드물다.[3] 카타레부사는 이미 존재했던 그리스어의 보수적 형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표준화한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2. 2. 사용과 언어 이중성 문제

카타레부사라는 용어는 1796년 그리스의 박식가 니케포로스 테오토키스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카타레부사는 당시 공문서와 그리스 학자들의 공식적인 글에 널리 쓰였다.

근대 그리스에서 '카타레부사'는 '공식 언어'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카타레부사는 공무, 정치, 서한, 공문서, 언론 보도 등 공적인 목적에 사용되었고, 일상에서는 민중 그리스어(δημοτική|디모티키el)가 쓰였다. 이러한 이중 언어 사용 상황은 대부분의 그리스 사람들이 카타레부사에 적응하지 못하면 공적인 영역에서 배제되고 교육 기회를 얻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했다.

1976년 민중 그리스어가 그리스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1982년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는 20세기 말까지 기존 그리스어 발음법 표기를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20세기 말 카타레부사는 완전히 쇠퇴했다.

그러나 200년 동안 카타레부사에서 채택된 문법, 구문 규칙, 어휘가 민중 그리스어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오늘날 그 의의가 재조명되기도 한다.[10] 현대 그리스어는 옛 민중 그리스어가 아니라 코이네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카타레부사와 민중 그리스어의 절충안이라는 견해도 있다. 카타레부사는 "신문", "경찰", "자동차", "비행기", "텔레비전" 등 이전 시대에 없던 개념을 다른 언어에서 차용하지 않고 고전어에 기반하여 결합하는 데 기여했다.

2. 3. 민중 그리스어와의 경쟁과 쇠퇴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1796년 그리스의 니케포로스 테오토키스가 처음 사용했다.[9] 카타레부사는 당시 공문서와 그리스 학자들의 공식적인 글에 널리 쓰였다.

근대 그리스의 구어에서 '카타레부사'는 '공식 언어'를 뜻하게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카타레부사는 공무나 공적인 목적(정치, 서한, 공문서, 언론 보도 등)으로 쓰였고, 일상에서는 민중 그리스어(δημοτική|디모티키el)가 쓰였다. 이러한 이중 언어 사용 상황은 대부분의 그리스 사람들이 카타레부사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공적인 영역에서 배제되고 교육을 더 받을 수 없게 만들었다.

1976년 민중 그리스어가 그리스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1982년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가 기존 그리스어 발음법의 표기를 폐지한다고 발표하면서 20세기 말 카타레부사는 완전히 쇠퇴했다.

그러나 200년 동안 카타레부사에서 채택한 여러 문법, 구문 규칙, 어휘가 민중 그리스어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오늘날 그 의의가 재조명되기도 한다.[10] 오늘날의 현대 그리스어는 옛 민중 그리스어가 아니라, 19세기의 전통적인 카타레부사와 민중 그리스어 간의 절충안이며, 코이네 그리스어의 영향도 받았다고 평가받는다. 카타레부사가 후대에 기여한 점으로는 "신문", "경찰", "자동차", "비행기", "텔레비전" 등의 개념을 다른 언어에서 바로 차용하지 않고 고전어에 기반하여 결합한 것을 꼽을 수 있다.

2. 4. 현대 그리스어에 미친 영향

200년 동안 카타레부사에서 채택한 여러 문법이나 구문 규칙, 그리고 카타레부사에서 나온 어휘가 민중 그리스어와 접촉하였기 때문에 오늘날 그 의의가 재조명되기도 한다.[10] 혹자는 오늘날의 현대 그리스어가 더 이상 옛 민중 그리스어가 아니라, 코이네 그리스어의 영향이 이어져 19세기의 전통적인 카타레부사와 민중 그리스어 간의 절충안이라고 보기도 한다. 카타레부사가 나중에 기여한 점 가운데 하나는 "신문", "경찰", "자동차", "비행기", "텔레비전" 등의 개념을 다른 언어에서 바로 차용하지 않고 고전어에 기반하여 결합한 것을 꼽을 수 있다.

3. 명칭

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카타레부사el)는 '정화, 정제'를 의미하며, 동사 καθαρεύω|카타레보el의 여성 현재 분사형이다. (따라서 이 용어는 영어의 ''catharsis''와 어원이 같다.)

4. 현대적 사용

그리스 정교회, 키프로스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예루살렘 총대주교청에서는 지금도 카타레부사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5] 기존에 축적된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분량이 방대하여, 사법(司法) 등 일부 전문 분야에서도 계속 사용된다.

4. 1. 종교

그리스 정교회, 키프로스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예루살렘 총대주교청에서는 지금도 카타레부사를 공식 의사소통에 사용하고 있다.[5] 기존에 축적된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분량이 방대하여, 사법(司法)을 비롯한 일부 전문 분야에서도 계속 사용된다. 한편 신문에스티아》는 그리스 신문들 중 유일하게 카타레부사로 발행되고 있다.

4. 2. 법률 및 학술

그리스 정교회, 키프로스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예루살렘 총대주교청에서는 카타레부사를 공식 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하고 있다.[1] 기존에 축적된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분량이 막대하기 때문에, 사법(司法)을 비롯한 일부 전문 분야에서도 계속 사용된다.[1] 한편 신문에스티아》는 그리스 신문들 중 유일하게 카타레부사로 발행되고 있다.[1]

4. 3. 언론

그리스 정교회, 키프로스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예루살렘 총대주교청에서는 카타레부사를 공식 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 축적된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분량이 막대함 때문에, 사법(司法)을 비롯한 일부 전문 분야에서도 계속 사용된다. 한편 신문에스티아》는 그리스 신문들 중 유일하게 카타레부사로 발행되고 있다.

5. 예시

1930년에 출판된 대 그리스 백과사전에서 발췌한 카타레부사 사용 예시이다. 이는 아담안티오스 코라이스와 그리스 정교회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데모티키, 영어, 일본어 번역이 함께 제시되어 있다.[6]

5. 1. 원문

다음은 1930년에 출판된 대 그리스 백과사전의 카타레부사에 대한 텍스트 샘플이다. 이 텍스트는 아담안티오스 코라이스와 그리스 교회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카타레부사표준 현대 그리스어영어 번역
{{llang|el-polyton|Ἡ δ' ἀπὸ τῆς Ἑλλάδος ἀποδημία του ἐγένετο πρόξενος πολλῶν ἀδίκων κρίσεων περὶ προσώπων καὶ πραγμάτων καὶ πρῶτα πρῶτα τῆς περὶ ἧς ἀνωτέρω ἔγινε λόγος πρὸς τὸν κλῆρον συμπεριφορᾶς του. Ἂν ἔζη ἐν Ἑλλάδι καὶ ἤρχετο εἰς ἐπικοινωνίαν πρὸς τὸν κλῆρον καὶ ἐγνώριζεν ἐκ τοῦ πλησίον ὄχι μόνον τὰς κακίας, ἀλλὰ καὶ τὰς ἀρετὰς αὐτοῦ, ὄχι μόνον πολὺ θὰ συνετέλει εἰς διόρθωσίν τινων ἐκ τῶν κακῶν ἐν τῇ Ἐκκλησίᾳ ἐχόντων, ἀλλὰ καὶ δὲν θὰ ἤκουεν ὅσα ἤκουσεν ἐκ τῶν ὑπερβολικῶν κατὰ τοῦ κλήρου ἐκφράσεών του.Η αποδημία του από την Ελλάδα έγινε πρόξενος πολλών άδικων κρίσεων για πρόσωπα και πράγματα και πρώτα πρώτα, για την οποία έγινε λόγος παραπάνω, της συμπεριφοράς του προς τον κλήρο. Αν ζούσε στην Ελλάδα και ερχόταν σε επικοινωνία με τον κλήρο και γνώριζε από κοντά όχι μόνο τις κακίες, αλλά και τις αρετές αυτού, όχι μόνο θα συντελούσε πολύ στη διόρθωση μερικών από τα κακά που υπάρχουν στην Εκκλησία, αλλά και δεν θα άκουγε όσα άκουσε εξαιτίας των υπερβολικών εκφράσεών του εναντίον του κλήρου.el그리스에서 그의 망명은 상황과 사람에 대한 많은 부당한 판단의 원인이 되었으며, 주로 위에서 논의된 성직자에 대한 그의 행동에 기인했다. 만약 그가 그리스에 살면서 성직자와 접촉하고 그들의 타락뿐만 아니라 미덕도 가까이에서 알았더라면, 그는 교회 내의 몇몇 문제를 수정하는 데 크게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성직자에 대한 과장된 감정으로 인해 들었던 모든 것을 듣지 않았을 것이다.[6]


5. 2. 표준 현대 그리스어 번역

[6]

5. 3. 한국어 번역

[6]

위 내용은 1930년에 출판된 대 그리스 백과사전에 나오는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사용 예시로, 아담안티오스 코라이스와 정교회의 관계에 대한 텍스트이다.

참조

[1] 논문 Language as a Factor of National Identity in the Balkans of the Nineteenth Century 1975
[2] 간행물 Adelfikí Didaskalía http://invenio.lib.a[...]
[3] 논문 Diglossia and Register Variation in Medieval Greek 2008
[4] 인터뷰 The Phenomenon of Diglossia: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http://www.onassis.g[...] ΑΩ International online magazine
[5] 논문 Glóssa kai exousía mésa apó poikíla keímena stin katharévousa kai ti dimotikí morfí tis ellinikís glóssas https://erkyna.gr/e_[...] 2015
[6] 서적 Great Greek Encyclopedia 1930
[7] 뉴스 The Phenomenon of Diglossia: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http://www.onassis.g[...]
[8] 서적 Great Greek Encyclopedia 1930
[9] 뉴스 The Phenomenon of Diglossia: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http://www.onassis.g[...]
[10] 웹인용 www.translexis.demon.co.uk http://www.translexi[...] 2009-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