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그리스어는 다양한 방언을 포함하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파생되었지만 음운, 표기, 문법 등에서 변화를 겪었다. 주요 방언으로는 데모틱, 카타레부사, 폰토스 방언, 카파도키아 방언, 마리우폴 방언, 남이탈리아 방언, 예바닉, 차코니아 방언, 그리스계 오스트레일리아 방언 등이 있다. 음운 체계는 고대 그리스어와 달리 단순화되었으며, 그리스 문자를 사용한다. 문법적으로는 여격, 부정사 등이 사라지고 조동사 활용이 발달하는 등 고대 그리스어와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어 - 에토스
에토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개인, 집단 등의 고유한 성향이나 가치를 의미하며, 수사학에서는 화자의 신뢰성을, 사회학에서는 사회 인식의 기준을, 예술에서는 등장인물의 성격과 도덕적 선택을 나타내는 요소로 사용된다. - 그리스어 - 중세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문어와 구어 간의 이중 언어 사용이 특징적이고, 주변 언어 및 여러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언어에 관한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현대 그리스어 | |
---|---|
언어 정보 | |
기본 정보 | |
사용 국가 | 그리스 키프로스 알바니아 (남부 알바니아) 튀르키예 (아나톨리아) 이탈리아 (칼라브리아, 살렌토) |
사용자 수 | 1340만 명 (2012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헬라스어군 그리스어 아티카 그리스어–이오니아 그리스어 |
조상 언어 | 원시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 |
방언 | |
방언 | 이탈리아 그리스어 (칼라브리아 그리스어 및 그리코) 폰토스 그리스어 (마리우폴리탄) 포함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차코니아어 예바닉어 마니오트 히마리오트 키프로스 그리스어 크레타 그리스어 데모티키 (표준 현대 그리스어의 기반) 카타레부사 (인공어, 표준 현대 그리스어의 기반) 기타 |
표준어 | |
표준어 | 표준 현대 그리스어 |
문자 체계 | |
문자 | 그리스 문자 그리스 점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el |
ISO 639-2b | gre |
ISO 639-2t | ell |
ISO 639-3 | ell |
Glottolog | mode1248 |
Glottolog 이름 | Modern Greek |
Lingua | part of 56-AAA-a |
기타 정보 | |
공용어 국가 | |
소수 언어 국가 | . |
언어 관리 기관 | 그리스어 센터 |
민족 | 그리스인 |
지역 | 동지중해 |
2. 종류
현대 그리스어의 방언에는 데모틱(Demotic), 카타레부사(Katharevousa), 폰토스 방언(Pontic), 카파도키아 방언(Cappadocian), 마리우폴 방언(Mariupolitan), 남이탈리아 방언(Southern Italian), 예바닉(Yevanic), 차코니아 방언(Tsakonian), 그리스계 오스트레일리아 방언(Greco-Australian) 등이 있다.
- 데모틱(민중어): 민중어 참조.
- 카타레부사: 카타레부사 참조.
- 폰토스 방언: 폰토스 방언 참조.
- 카파도키아 방언: 카파도키아 방언 참조.
- 마리우폴 방언: 마리우폴 방언 참조.
- 남이탈리아 방언: 남이탈리아 방언 참조.
- 예바닉: 예바닉 참조.
- 차코니아 방언: 차코니아 방언 참조.
- 그리스계 오스트레일리아 방언: 그리스계 오스트레일리아 방언 참조.
2. 1. 민중어 (Demotic)
엄밀히 말해, '''민중어'''(Δημοτική)는 코이네에서 파생되어 현재까지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력을 유지하고 있는 현대 그리스어의 모든 ''구어'' 형태를 가리킨다. 민중어는 11세기 이전부터 이미 통용어였으며, 특히 그리스 본토, 그리스 제도, 아나톨리아(소아시아) 해안 지역, 콘스탄티노플, 키프로스에서 비잔티움인들의 "로마어"로 불렸다.[8]오늘날 표준화된 민중어는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며, "표준 현대 그리스어" 또는 간략하게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 "민중어"로 불린다. 민중어는 음운론과 어휘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지역적 변종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상호 이해력이 매우 높다. 그래서 그리스 언어학자들은 이들을 더 넓은 "민중어 방언"인 "공통 현대 그리스어"( - '공통 신헬레니즘어')의 "방언"으로 지칭한다.
민중어 변종은 크게 북부와 남부의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북부 방언은 강세가 없는 모음의 변화가 특징적인 반면, 남부 방언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민중어는 1982년부터 공식적으로 단음절 표기법으로 된 그리스 문자로 교육되어 왔다.
2. 1. 1. 북부 방언
북부 방언에는 루멜리아(콘스탄티노플), 에피로테, 마케도니아,[9] 테살리아, 트라키아, 북부 에우보이아 방언, 스포라데스 제도, 사모스, 스미르나, 사라카차니카 등이 있다.북부 방언의 주요 특징은 강세가 없는 모음 음소의 표준적인 음운 변화인데, 는 가 되고, 는 가 되며, 와 는 탈락한다. 탈락한 모음은 주변 음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가령 탈락한 는 앞의 자음을 구개음화시킨다. 남부 방언에서는 이러한 음운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2. 1. 2. 남부 방언
남부 방언군은 다음과 같은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8]- 구 아테네-마니오트: 메가라, 아이기나, 아테네, 키메(구 아테네), 마니 반도(마니오트)
- 이오니아-펠로폰네소스: 펠로폰네소스 반도(마니 반도 제외), 이오니아 제도, 아티카, 보이오티아, 남부 에우보이아
- 크레타-키클라데스: 키클라데스 제도, 크레타, 시리아와 레바논의 여러 지역
- 남동부: 히오스, 이카리아, 도데카니사 제도, 키프로스
남부 방언에서는 북부 방언과 달리 강세가 없는 모음 음소의 표준적인 음운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2. 2. 카타레부사 (Katharevousa)
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카타레부사el)는 19세기 현대 그리스 국가 건설 당시,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데모틱어 사이의 타협안으로 제시된 사회언어이다. 1976년까지 현대 그리스의 공식 언어였다.카타레부사는 다양한 악센트를 사용하는 그리스 문자로 쓰여졌다. 데모틱 그리스어에는 터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등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포함되어 있지만, 카타레부사에서는 대부분 제거되었다.[1]
그리스어 논쟁 문서도 참조.
2. 3. 폰토스 방언 (Pontic)

폰토스어(Ποντιακάel)는 원래 터키의 흑해 연안 산악 지대, 소위 폰투스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폰토스 학살(1919~1921)로 대부분의 화자가 사망하거나 그리스로 강제 이주당했고, 이후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으로 그 수가 더욱 줄었다. (소수의 무슬림 폰토스 그리스어 화자들은 이러한 사건들을 피해 터키의 폰토스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 폰토스어는 헬레니즘 그리스어와 중세 코이네에서 유래하며, 고대 식민지 시대의 영향으로 이오니아 방언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 폰토스어는 제4차 십자군 이후 비잔티움 제국이 여러 왕국으로 분열되면서( 트라페존트 제국 참조) 그리스 주류 문화와 고립된 결과 데모틱 그리스어와는 별개의 방언으로 발전했다.
2. 4. 카파도키아 방언 (Cappadocian)
카파도키아 방언(Καππαδοκικάel)은 터키 중앙부의 그리스 방언으로, 폰토스 방언과 같은 운명을 맞았다. 카파도키아 방언 사용자들은 1919년부터 1921년까지의 그리스인 학살과 1923년의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이후 그리스 본토에 정착했다.[10] 카파도키아 방언은 11세기와 12세기 소아시아 중앙부의 터키 정복 때부터 다른 비잔틴 그리스 방언들과 일찍 갈라졌다.[10] 그 결과, 명사의 성(性) 상실과 같은 몇 가지 급진적인 특징이 발전했다. 십자군 정복(제4차 십자군)과 그리스 해안의 후대 베네치아 영향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데모틱 그리스어에서 로망스어로 대체된 많은 단어에 대해 고대 그리스어 용어를 유지했다.[10] 카파도키아의 "로마" 그리스어 사용자들 사이에 거주했음을 의미하는 이름을 가진 시인 루미는 카파도키아 방언으로 몇 편의 시를 썼는데, 이는 카파도키아 방언의 가장 초기 증거 중 하나이다.[11][12][13][14]2. 5. 마리우폴 방언 (Mariupolitan)
루메이카(Ρωμαίικαel) 또는 마리우폴 그리스어는 우크라이나 남부와 러시아 남부의 아조프 해 북쪽 해안에 있는 약 17개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마리우폴 그리스어는 폰토스 그리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비잔티움 제국과 폰토스 트라페준트 제국의 일부였던 크림반도에서 사용되던 그리스어 방언에서 발전했다. 트라페준트 제국은 1461년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15] 그 후 크림 그리스어 국가는 독립적인 테오도로 그리스 공국으로 존재를 유지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 (1768-1774) 이후, 크림 반도의 그리스어 사용 주민들은 이슬람교가 지배하던 크림 반도를 벗어나 새로운 도시 마리우폴에 정착하기 위해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강제 이주되었다.[16] 마리우폴 그리스어의 주요 특징은 폰토스 방언(예: "-ía, éa"의 축약 결합(synizesis) 부재)과 핵심 방언의 북부 변종(예: 북부 모음 조화) 모두와 특정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17]2. 6. 남이탈리아 방언 (Southern Italian)

남부 이탈리아 방언 또는 이탈리오트 방언 (Κατωιταλιώτικαel)은 칼라브리아(Calabrian) 방언과 그리코(Griko) 방언을 포함하며, 칼라브리아(Calabria)와 아풀리아(Apulia) 지역의 약 15개 마을에서 약 15,000명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남부 이탈리아 방언은 한때 마그나 그라이키아를 형성했던 남부 이탈리아의 헬레니즘 요소의 마지막 살아남은 흔적이다. 그 기원은 기원전 700년 스파르타와 코린토스에서 이 지역에 정착한 도리아인 그리스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방언은 늦은 고대에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이탈리아 정복을 시작으로 중세 시대까지 이어진 비잔티움 그리스인 식민지 개척자들을 통해 코이네 그리스어의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그리코와 데모틱 그리스어는 어느 정도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전자는 차코니아 방언과 일부 공통된 특징을 공유한다.
2. 7. 예바닉 (Yevanic)
예바닉어(יעואניקה|예바니카yej, Γεβανικά|예바니카el)는 거의 사멸된 로마니오트 유대인의 언어이다. 이 언어는 수세기 동안 쇠퇴해 왔으며, 대부분의 화자가 홀로코스트에서 사망하면서 더욱 쇠퇴하였다.[1] 그 후, 이 언어는 주로 이스라엘로 이주한 로마니오트 유대인 이민자들에 의해 유지되었지만, 현대 히브리어에 의해 대체되었다.[1]2. 8. 차코니아 방언 (Tsakonian)
차코니아어(Τσακωνικάgrc)는 오늘날 남부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아르카디아 지역 레오니디오 마을 주변의 소수 마을에서만 완전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지역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차코니아어는 라코니아 방언(고대 스파르타 방언)에서 직접적으로 진화했으며, 따라서 도리아식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헬레니즘 공통어의 영향은 제한적이며, 다른 그리스 방언(예: 현대 그리스어 및 폰토스 그리스어)과는 상당히 다르며 상호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것을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
2. 9. 그리스계 오스트레일리아 방언 (Greco-Australian)
그리스계 오스트레일리아 방언(Greco-Australian)은 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하는 그리스 이민자들과 그리스계 오스트레일리아인들이 사용하는 오스트레일리아식 그리스어 방언이다.[18]3. 음운 및 표기
고대 그리스어부터 시작된 일련의 급격한 음운 변화는 현대 그리스어의 음운 체계를 고대 그리스어와는 상당히 다르게 만들었다. 현대 그리스어는 그리스 알파벳 24개 문자로 쓰이며, 각 문자는 대문자와 소문자 형태를 가진다. 시그마 문자는 추가적으로 특별한 어말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강세를 나타내는 예각 악센트와 모음 문자를 이중모음의 일부가 아니라고 표시하는 구분 부호 두 가지 부호가 있다.[19]
그리스어는 역사적 철자와 음소적 철자를 혼합한 철자법을 가지고 있으며, 발음이 현대 용법과 일치하는 경우 역사적 철자를 사용한다. 자음 음소와 글자 사이의 대응은 대부분 고유하지만, 여러 모음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기될 수 있다.[19] 따라서 읽기는 쉽지만 철자는 어렵다.[20]
1982년까지 여러 구분 부호가 사용되었지만, 현대 언어의 발음과 더 이상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리스어 철자에서 공식적으로 삭제되었다. 단성 철자법은 오늘날 그리스에서 공식적인 용도, 학교, 그리고 일상적인 글쓰기의 대부분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성 철자법은 고대 그리스어의 여러 변종에 사용되는 것 외에도, 특히 학술적이고 순수 문학적 목적으로 책 인쇄에 여전히 사용되며, 일부 보수적인 작가와 노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한다. 그리스 정교회는 계속해서 다성 철자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고인이 된 아테네의 크리스토둘로스[21]와 그리스 교회의 성직회의[22]는 다성 철자법을 공식적인 문자로 재도입할 것을 요청했다.
3. 1. 모음
고대 그리스어부터 시작된 일련의 급격한 음운 변화는 현대 그리스어의 음운 체계를 고대 그리스어와는 상당히 다르게 만들었다. 네 가지 모음 높이, 길이 구분, 그리고 다양한 이중모음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의 복잡한 모음 체계와는 달리, 현대 그리스어는 다섯 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특히 (요타화)로의 여러 모음의 합병을 통해 이루어졌다.현대 그리스어 모음 문자와 이중모음, 그리고 그 발음은 다음과 같다: , , , , . 이중모음 , 그리고 는 모음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각각 , , 로 발음되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각각 , , 로 발음된다.[19]
3. 2. 자음
현대 그리스어 자음은 무성 무기음 파열음, 유성 파열 자음, 또는 유성 및 무성 마찰음이다. 현대 그리스어는 모음이나 자음의 길이를 유지하지 않았다.그리스 문자 φel, βel, θel, 그리고 δel는 각각 , , , 그리고 로 발음된다. 문자 γel과 χel는 각각 과 로 발음된다. 이 문자들은 현대 그리스어에서 마찰음을 나타내지만,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같은 (또는 유사한) 조음 위치를 가진 파열음에 사용되었다. 중간 또는 높은 앞 모음 (와 ) 앞에서 γel와 χel는 앞으로 이동하여 각각 와 가 되며, 크레타와 마니의 방언과 같이 일부 방언에서는 더 앞으로 이동하여 각각 또는 와 또는 가 된다. 게다가, 중간 또는 높은 뒤 모음 (와 ) 앞에서 γel는 전형적인 연구개음보다 더 뒤쪽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으며, 연구개음 과 연구개음 사이에 위치한다 (로 표기). 문자 ξel는 서열을, ψel는 를 나타낸다.
이중모음 γγel와 γκel는 일반적으로 로 발음되지만, 앞 모음 (와 ) 앞에서는 로 앞으로 이동하고, 뒤 모음 (와 ) 앞에서는 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이 이중모음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오는 경우에는 앞 모음 (와 ) 앞에서는 와 로, 뒤 모음 (와 ) 앞에서는 로 발음된다. 이중모음 γγel는 일부 단어에서 로 발음될 수 있다 (앞 모음 앞에서는 , 뒤 모음 앞에서는 ). 이중모음 γκel의 발음은 매우 드물지만, 문학적이고 학술적인 단어나 고대 텍스트를 읽을 때 (소수의 독자에 의해)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삼중자음 γκτel에서만 "원래" 발음 을 유지하는데, 여기서 τel는 γel에 의한 κel의 유성화를 막는다 (따라서 ).
3. 3. 표기
현대 그리스어는 24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그리스 알파벳으로 쓰이며, 각 문자는 대문자와 소문자 형태를 가지고 있다. 시그마 문자는 추가적으로 특별한 어말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강세를 나타내는 예각 악센트와 모음 문자를 이중모음의 일부가 아니라고 표시하는 구분 부호 두 가지 부호가 있다.[19] 그리스어는 역사적 철자와 음소적 철자를 혼합한 철자법을 가지고 있으며, 발음이 현대 용법과 일치하는 경우 역사적 철자를 사용한다. 자음 음소와 글자 사이의 대응은 대부분 고유하지만, 여러 모음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기될 수 있다.[19] 따라서 읽기는 쉽지만 철자는 어렵다.[20]1982년까지 여러 구분 부호가 사용되었지만, 현대 언어의 발음과 더 이상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리스어 철자에서 공식적으로 삭제되었다. 단성 철자법은 오늘날 그리스에서 공식적인 용도, 학교, 그리고 일상적인 글쓰기의 대부분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성 철자법은 고대 그리스어의 여러 변종에 사용되는 것 외에도, 특히 학술적이고 순수 문학적 목적으로 책 인쇄에 여전히 사용되며, 일부 보수적인 작가와 노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한다. 그리스 정교회는 계속해서 다성 철자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고인이 된 아테네의 크리스토둘로스[21]와 그리스 교회의 성직회의[22]는 다성 철자법을 공식적인 문자로 재도입할 것을 요청했다.
그리스 모음 문자와 이중모음과 그 발음은 다음과 같다: α|아el, ε, αι|에el, η, ι, υ, ει, οι, υι|이el, ο, ω|오el, ου|우el. 이중모음 αυ|아우el, ευ|에우el, ηυ|이우el는 모음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각각 /av/, /ev/, /iv/로 발음되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각각 /af/, /ef/, /if/로 발음된다.
그리스 문자 φ|프el, β|브el, θ|스el, δ|드el는 각각 /f/, /v/, /θ/, /ð/로 발음된다. 문자 γ|그el와 χ|흐el는 각각 /ɣ/와 /x/로 발음된다. 이 문자들은 현대 그리스어에서 마찰음을 나타내지만,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같은 (또는 유사한) 조음 위치를 가진 파열음에 사용되었다. 중간 또는 높은 앞 모음 (/e/와 /i/) 앞에서 γ|그el와 χ|흐el는 앞으로 이동하여 각각 /ʝ/와 /ç/가 되며, 크레타와 마니의 방언과 같이 일부 방언에서는 더 앞으로 이동하여 각각 /ʑ/ 또는 /ʒ/와 /ɕ/ 또는 /ʃ/가 된다. 게다가, 중간 또는 높은 뒤 모음 (/o/와 /u/) 앞에서 γ|그el는 전형적인 연구개음보다 더 뒤쪽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으며, 연구개음 /ɣ/과 연구개음 /ʁ/ 사이에 위치한다 (/ɣ̄/로 표기). 문자 ξ|크스el는 /ks/ 서열을, ψ|프스el는 /ps/를 나타낸다.
이중모음 γγ|응그el와 γκ|응그el는 일반적으로 /ɡ/로 발음되지만, 앞 모음 (/e/와 /i/) 앞에서는 /ɟ/로 앞으로 이동하고, 뒤 모음 (/o/와 /u/) 앞에서는 /ɡ̄/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이 이중모음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오는 경우에는 앞 모음 (/e/와 /i/) 앞에서는 /ŋɡ/와 /ɲɟ/로, 뒤 모음 (/o/와 /u/) 앞에서는 /ŋ̄ɡ̄/로 발음된다. 이중모음 γγ|응그el는 일부 단어에서 /ŋɣ/로 발음될 수 있다 (앞 모음 앞에서는 /ɲʝ/, 뒤 모음 앞에서는 /ŋ̄ɣ̄/). 이중모음 γκ|응크el의 /ŋk/ 발음은 매우 드물지만, 문학적이고 학술적인 단어나 고대 텍스트를 읽을 때 (소수의 독자에 의해)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삼중자음 γκτ|응크트el에서만 "원래" 발음 /ŋk/를 유지하는데, 여기서 τ|트el는 γ|그el에 의한 κ|크el의 유성화를 막는다 (따라서 /ŋkt/).
4. 문법
현대 그리스어는 대체로 종합어이다. 현대 그리스어와 알바니아어는 종합적인 수동태를 유지하는 유일한 두 개의 현대 인도유럽어이다 (북게르만어 수동태는 문법화된 재귀 대명사를 기반으로 한 최근의 혁신이다).
현대 그리스어는 어형론과 통사론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변화하였으며, 일부 특징은 사라지고 다른 특징은 새로 생겨났다. 현대 그리스어는 증강과 재귀적과 같은 동사의 시제와 상을 표시하는 더 단순한 문법적 접두사 체계를 발전시켰고, 명사 어미 변화의 일부 패턴과 어미 변화의 일부 독특한 형태를 잃었다.
이러한 특징 대부분은 발칸 반도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와 공유하지만( 발칸어연합 참조), 그리스어는 후치 관사와 같이 전형적인 발칸 지역적 특징을 모두 보여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카타레부사의 영향으로 데모틱은 가장 순수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고어는 특히 글쓰기와 보다 형식적인 말투에서 그리고 여격 εντάξει|엔닥시grc('괜찮아', 문자 그대로 '순서대로') 또는 3인칭 명령법 ζήτω|지토grc!('만세!')와 같은 일상적인 표현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4. 1. 고대 그리스어와의 차이점
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는 19세기 현대 그리스 국가 건설 당시,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데모틱어 사이의 타협안으로 제시된 사회언어이다. 1976년까지 현대 그리스의 공식 언어였다.[1] 카타레부사는 다양한 악센트를 사용하는 그리스 문자로 쓰여졌으며,[1] 데모틱 그리스어에 포함된 터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등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는 대부분 제거되었다.[1] 그리스어 논쟁 문서 참조.[1]현대 그리스어는 대체로 종합어이다.[2] 현대 그리스어와 알바니아어는 종합적인 수동태를 유지하는 유일한 두 개의 현대 인도유럽어이다 (북게르만어 수동태는 문법화된 재귀 대명사를 기반으로 한 최근의 혁신이다).[2]
현대 그리스어는 어형론과 통사론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변화하였으며, 일부 특징은 사라지고 다른 특징은 새로 생겨났다.[2]
사라진 특징:[2]
새로 생긴 특징:[2]
- 동명사
- 조동사 어미 θα|타grc (ἐθέλω ἵνα|엘텔로 이나grc → θέλω να|텔로 나grc → θε' να|테 나grc → θα|타grc의 축약형)은 미래 시제와 조건법을 나타낸다.
- 특정 동사 형태(특히 완료 시제)에 대한 조동사 형태
- 미래 시제에서 불완료(현재)와 완료(대과거) 사이의 문법적 상 구분
현대 그리스어는 증강과 재귀적과 같은 동사의 시제와 상을 표시하는 더 단순한 문법적 접두사 체계를 발전시켰고, 명사 어미 변화의 일부 패턴과 어미 변화의 일부 독특한 형태를 잃었다.[2]
이러한 특징 대부분은 발칸 반도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와 공유하지만( 발칸어연합 참조), 그리스어는 후치 관사와 같이 전형적인 발칸 지역적 특징을 모두 보여주지는 않는다.[2]
그러나 카타레부사의 영향으로 데모틱은 가장 순수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2] 고어는 특히 글쓰기와 보다 형식적인 말투에서 그리고 여격 εντάξει|엔닥시grc('괜찮아', 문자 그대로 '순서대로') 또는 3인칭 명령법 ζήτω|지토grc!('만세!')와 같은 일상적인 표현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2]
5. 예문
Άρθρο 1|아르트로 에나el: Όλοι οι άνθρωποι γεννιούνται ελεύθεροι και ίσοι στην αξιοπρέπεια και τα δικαιώματα|올리 이 안트로피 예니운데 엘레프테리 케 이시 스틴 악시오프레피아 케 타 디케오마타el. Είναι προικισμένοι με λογική και συνείδηση, και οφείλουν να συμπεριφέρονται μεταξύ τους με πνεύμα αδελφοσύνης|이네 프리키즈메니 메 로이기키 케 시니디시, 케 오필룬 나 심베리페론데 메타크시 투스 메 프네브마 아델포시니스el.[1]
'''제1조:'''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난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타고났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1]
참조
[1]
논문
Greek
https://www.ethnolog[...]
2015-01-01
[2]
서적
Eastern Europe at the Tur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 Guide to the Economies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웹사이트
Reservations and Declarations for Treaty No.148 -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s://www.coe.int/[...]
Council of Europe
2020-04-05
[4]
웹사이트
Greek in Hungary
https://web.archive.[...]
Public Foundation for European Comparative Minority Research
2013-05-31
[5]
웹사이트
Italy: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3-07-09
[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http://www.gov.za/do[...]
2014-12-06
[7]
서적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Right to Identity of Minorities and their Socio-economic Participation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8]
서적
The Generative Interpretation of Dialect. A Study of Modern Greek Phonology
Cambridge
[9]
서적
Studies in Greek Syntax
https://books.google[...]
Springer
[10]
서적
Modern Greek in Asia Minor. A study of dialect of Silli, Cappadocia and Pharas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6-01-01
[11]
논문
Ποιήματα του Μαυλανά Ρουμή
[12]
논문
Die griechischen Verse in Rabâbnâma
[13]
웹사이트
Greek Verses of Rumi & Sultan Walad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The Greek Poetry of Jalaluddin Rumi
http://www.khamush.c[...]
[15]
논문
The Pontic dialect of Modern Greek in Asia Minor and Russia
[16]
뉴스
Greeks of the Steppe
https://www.washingt[...]
2012-11-10
[17]
문서
Kontosopoulos (2008)
[18]
웹사이트
Tongues of Greek Australia: An Anglicised Hellenic language
https://neoskosmos.c[...]
2020-06-29
[19]
문서
Iotacism
[20]
서적
Literacy Acquisition: The Role of Phonology, Morphology and Orthography
Washington
[21]
웹사이트
"Φιλιππικός" Χριστόδουλου κατά του μονοτονικού συστήματος
http://www.in.gr/new[...]
2007-02-23
[22]
웹사이트
Την επαναφορά του πολυτονικού ζητά η Διαρκής Ιερά Σύνοδος
http://www.in.gr/new[...]
2007-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