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 베르나도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베르나도테는 스웨덴 국왕 오스카르 2세의 손자이자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의 아들로,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귀족 신분으로 생을 마감했다. 1937년 왕족이 아닌 엘사 폰 로젠과 결혼하면서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고, 벨기에 국왕 레오폴 3세로부터 베르나도테 공작 칭호를 받았다. 1950년대 후반에는 후스비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과 연합국 간의 평화 공작을 담당하기도 했다. 칼은 2003년 스페인 말라가에서 사망했으며, 세 번의 결혼을 통해 한 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계 스웨덴인 - 칼 16세 구스타프
    칼 16세 구스타프는 1973년 즉위한 스웨덴 국왕으로, 1974년 헌법 개정 이후 의례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스웨덴 사회의 변화와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보수적인 성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논란 및 사생활 의혹도 존재한다.
  • 프랑스계 스웨덴인 - 칼 14세 요한
    칼 14세 요한은 프랑스 출신 군인으로 스웨덴 왕세자가 되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동군 연합을 이루고 중립 외교와 근대화를 추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스웨덴의 왕자 - 칼 16세 구스타프
    칼 16세 구스타프는 1973년 즉위한 스웨덴 국왕으로, 1974년 헌법 개정 이후 의례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스웨덴 사회의 변화와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보수적인 성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논란 및 사생활 의혹도 존재한다.
  • 스웨덴의 왕자 - 칼 14세 요한
    칼 14세 요한은 프랑스 출신 군인으로 스웨덴 왕세자가 되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동군 연합을 이루고 중립 외교와 근대화를 추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스웨덴의 루터교도 - 페르 알빈 한손
    스웨덴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페르 알빈 한손은 1936년부터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며 "폴크헴메트" 비전을 제시, 스웨덴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중립 정책을 유지했다.
  • 스웨덴의 루터교도 - 돌프 룬드그렌
    돌프 룬드그렌은 스웨덴 출신의 배우, 영화감독, 무술가로, 영화 《록키 4》에서 이반 드라고 역으로 데뷔하여 액션 영화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으며, 《디펜더》 등의 영화를 감독하고, 무술 실력과 화학 공학 학위를 갖춘 인물이다.
칼 베르나도테
기본 정보
에스테르예틀란드 공 카를, 1930년
에스테르예틀란드 공 카를, 1930년
칭호프린스 베르나도테
에스테르예틀란드 공
베르나도테 공
본명카를 구스타프 오스카르 프레드리크 크리스티안 베르나도테
출생일1911년 1월 10일
출생지스톡홀름, 스웨덴
사망일2003년 6월 27일
사망지말라가, 스페인
아버지베스테르예틀란드 공 카를
어머니잉에보르 아 덴마르크
가문베르나도테
배우자로젠 백작부인 엘사 (1937년 결혼, 1951년 이혼)
안 라르손 (1954년 결혼, 1961년 이혼)
크리스티네 리벨스루드 (1978년 결혼)
자녀마델렌 베르나도테

2. 생애

스웨덴 국왕 오스카 2세의 손자이자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누이들은 각각 노르웨이벨기에의 왕가와 혼인하여 유럽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1937년, 왕족이 아닌 엘사 폰 로젠(Elsa von Rosensv)과 결혼하면서 스웨덴 왕위 계승권과 왕족 신분을 포기했다. 이는 당시 귀천상혼 규정에 따른 것이었다. 대신 매형인 벨기에 국왕 레오폴 3세로부터 벨기에 귀족 작위인 베르나도테 공작(Prince Bernadotte프랑스어) 칭호를 받았다. 이후 두 번의 결혼과 이혼을 더 겪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후스비 사건(Husebyaffärensv)에 연루되어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고령의 부유한 여성 플로렌스 스티븐스(Florence Stephenssv)의 재산을 부적절하게 이전받았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정신 이상 상태로 판단되어 처벌받지 않았다. 이 사건 이후 스웨덴을 떠나 스페인에서 여생을 보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웨덴 왕실을 중재자로 하여 일본연합국 간의 평화 공작에 관여하기도 했다. 그는 2003년 스페인 말라가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칼 베르나도테는 스웨덴 국왕 오스카 2세의 셋째 아들인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과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의 딸인 잉에보르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에게는 세 명의 누나가 있었는데, 둘째 누나인 마르타는 노르웨이 왕세자였던 올라프 5세와 결혼했고, 셋째 누나 아스트리드는 벨기에 국왕 레오폴 3세와 결혼하여 유럽 왕가와 깊은 인연을 맺었다.

칼은 아버지와 이름이 같았기 때문에 스웨덴 왕실에서는 그를 '물레'(Mullesv)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어머니 잉에보르는 아들에게 "사무엘(Samuelsv)"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싶어 했지만, 당시 왕족의 이름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에 따라 포기해야 했다.

2. 2. 결혼과 왕족 지위 상실

칼 베르나도테는 1937년 7월 6일, 스웨덴 킬링게에서 왕족이 아닌 엘사 폰 로젠(Elsa von Rosensv; 1904년–1991년)과 결혼하면서 스웨덴 왕위 계승권과 왕족 신분을 포기해야 했다. 엘사 폰 로젠은 폰 로젠 백작의 딸이었으며, 결혼 당시 다른 백작의 전 부인이었다. 이 결혼은 당시 왕족과 평민 간의 결혼(귀천상혼) 규정에 어긋나는 것이었다.

결혼과 동시에 칼의 매형이었던 벨기에의 레오폴 3세 국왕은 그에게 벨기에 귀족 작위인 베르나도테 공작(Prince Bernadotte프랑스어) 칭호를 부여했으며, 그의 직계 남성 후손에게는 백작 작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칼과 엘사 사이에는 딸 마들렌 베르나도테 백작부인(1938년 스톡홀름 출생)이 태어났으나, 두 사람은 1951년에 이혼했다.

칼 베르나도테의 결혼
배우자결혼 기간자녀비고
엘사 폰 로젠 Elsa von Rosensv (1904–1991)1937년 7월 6일 ~ 1951년 (이혼)마들렌 베르나도테 백작부인 (1938년생)귀천상혼으로 왕족 지위 상실, 베르나도테 공작(벨기에) 작위 받음
안나 마가레타 라르손 (1921–1975)1954년 11월 1일 ~ 1961년 (이혼)자녀 없음스웨덴 단데뤼드 시에서 재혼
크리스틴 리벨스루드 Kristine Rivelsrudsv (1932–2014)1978년 6월 8일 ~ 2003년 (본인 사망)자녀 없음모로코 라바트의 스웨덴 대사관에서 세 번째 결혼



왕족 지위를 잃은 후, 칼은 1950년대 후반 스웨덴 사회의 큰 관심을 끈 후스비 사건(Husebyaffärensv)에 연루되었다. 그는 스웨덴 남부 벡셰 인근에 넓은 영지를 소유한 고령의 영국계 여성 플로렌스 스티븐스(Florence Stephenssv)로부터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이전받았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 사건으로 스티븐스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칼은 법정에 서게 되었다. 재판 과정에서 칼은 혐의를 인정했으나, 법원은 그를 정신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형사 책임을 묻지 않았다. 이 사건 이후 칼은 스웨덴을 떠나 스페인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

2. 3. 후세비 스캔들

칼 베르나도테는 1950년대 후반 스웨덴에서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킨 후세비 사건( Husebyaffärensv )의 중심 인물이었다. 베르나도테와 다른 관련자들은 스웨덴 남부 벡셰 인근에 위치한 대규모 저택의 부유한 고령 소유주인 플로렌스 스티븐스( Florence Stephenssv )의 신뢰를 얻었다. 이후 복잡한 거래 과정에서 스티븐스는 재산을 잃고 파산했으며, 이 사건으로 베르나도테 등은 법정에 서게 되었다. 베르나도테는 혐의 사실을 인정했으나, 법원은 그에게 범죄 의도가 없었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다. 이 재판 직후 베르나도테는 스웨덴을 떠나 스페인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동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스웨덴 왕실을 중재자로 하여 일본연합국 간의 평화 공작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스웨덴 주재 일본 공사관의 무관이었던 오노데라 마코토와 협력했다. 이러한 활동 내용은 1985년 12월 8일 방영된 NHK 스페셜 "미일 개전 불가 - 스톡홀름 오노데라 대좌 발 긴급 전보 -"에서 다루어졌으며, 해당 프로그램에는 칼 베르나도테 본인의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

2. 5. 사망

후스비 사건(Husebyaffärensv) 재판 직후 스웨덴을 떠나 스페인에서 남은 생을 보냈다. 2003년, 스페인 남부 말라가에서 사망했다.

3. 자녀

칼 베르나도테는 첫 번째 아내 엘자 폰 로젠Elsa von Rosenswe과의 사이에서 딸 한 명을 두었으며, 딸은 베르나도테 백작부인(Countess Bernadotteeng)의 성을 따랐다.


  • '''마들렌''' 잉에보르 에라 아스트리드 엘자(Madeleine Ingeborg Ella Astrid Elsaswe) (1938년 ~ ) - 1962년, 샤를 알베르 울렌 드 스코텐 웨트널(Charles Albert Ullens de Schooten Whettnallfra)과 결혼했다.

4. 훈장 및 문장

(내용 없음)

4. 1. 훈장


  • '''스웨덴''':[5]
  • * 세라핌 훈장 기사단장 (1911년 1월 10일)
  • * 카를 13세 훈장 기사 (1911년 1월 10일)
  • '''벨기에''':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코르동[6]
  • '''덴마크''': 코끼리 훈장 기사 (1933년 12월 5일)[7]
  • '''일본''': 욱일대수장 그랜드 코르동[6]
  • '''노르웨이''': 성 올라브 훈장 대십자장 (목걸이 포함, 1929년 3월 19일)[8]

4. 2. 문장

wikitext

외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의 문장 (1911년–1937년)


5. 가계

wikitext

'''칼 베르나도테의 가계'''
세대관계이름
부모아버지베스트예틀란드 공작 칼
어머니덴마크의 잉게보르 공주
조부모친할아버지스웨덴의 오스카르 2세
친할머니나사우의 조피아 공주
외할아버지덴마크의 프레데리크 8세
외할머니스웨덴의 루이즈 공주
증조부모친증조할아버지 (부계)스웨덴의 오스카르 1세
친증조할머니 (부계)로이히텐베르크의 조세핀 공주
친증조할아버지 (모계)나사우 공작 빌헬름
친증조할머니 (모계)뷔르템베르크의 파울린 공주
외증조할아버지 (부계)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
외증조할머니 (부계)헤센카셀의 루이즈 공주
외증조할아버지 (모계)스웨덴의 칼 15세
외증조할머니 (모계)네덜란드의 루이즈 공주


참조

[1] 뉴스 Prince Carl Bernadotte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4-12-06
[2] 뉴스 Swedish and Norwegian royals at funeral of Princess Kristine http://royalista.com[...] Royalista 2014-12-06
[3] 뉴스 Una princesa en Málaga: Fue la tercera esposa de Carlos, con quien siempre vivió en Villa Capricornio, en Benalmádena http://www.lavanguar[...] La Vanguardia 2014-12-06
[4] 뉴스 Nekrolog: Prinsesse Kristine Bernadott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14-12-06
[5]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6]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7]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63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19-09-16
[8]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for Aaret 1930 Forlagt av H. Aschehoug & Co. (w. Nygaard)
[9] 서적 Kungliga Serafimerorden: 1748-1998 Kungl. Maj:ts orden
[10] 서적 Dynastien Bernadottes vapen och det svenska riksvapnet Svensk litterat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