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캘리포니아 제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캘리포니아 제퍼는 1949년 시카고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를 잇는 기차로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 덴버 앤 리오 그란데 웨스턴 철도, 웨스턴 퍼시픽 철도 등이 운영했으며, 전망 돔 차량, 개인실 침대칸 등을 갖춰 인기를 끌었다. 1970년 운행이 중단되었지만, 이후 암트랙에서 샌프란시스코 제퍼, 리오그란데 제퍼 등의 이름으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현재는 시카고와 캘리포니아 에머리빌을 연결하며, 슈퍼라이너 차량을 사용하고, 33개 역에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로라도주의 여객 철도 - 사우스웨스트 치프
    사우스웨스트 치프는 1936년 슈퍼 치프로 운행을 시작한 암트랙의 장거리 여객열차로, 디젤 기관차 최초 사용, 고급 서비스, 스테인리스강 경량 차량 도입 등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름 변경과 노선 변경, 운행 중단 위기 등을 거쳐 현재까지 운행 중이고 지선 운행 연구 및 중간 정차역 설립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아이오와주의 여객 철도 - 사우스웨스트 치프
    사우스웨스트 치프는 1936년 슈퍼 치프로 운행을 시작한 암트랙의 장거리 여객열차로, 디젤 기관차 최초 사용, 고급 서비스, 스테인리스강 경량 차량 도입 등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름 변경과 노선 변경, 운행 중단 위기 등을 거쳐 현재까지 운행 중이고 지선 운행 연구 및 중간 정차역 설립 계획이 추진 중이다.
캘리포니아 제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열차 이름캘리포니아 제퍼
영어 이름California Zephyr
열차 종류장거리 열차
운행 지역미국 서부
운행 시작일1983년 7월 16일
운행 회사암트랙
이전 노선시티 오브 샌프란시스코(1936–1971)
캘리포니아 제퍼(1949–1970)
샌프란시스코 치프(1954–1971)
리오 그란데 제퍼(1970–1983)
덴버 제퍼(1971–1973)
샌프란시스코 제퍼(1972–1983)
출발역시카고
도착역에머리빌
정차역 수33
총 운행 거리3924 km
소요 시간51시간 40분 (동쪽 방향)
52시간 10분 (서쪽 방향)
운행 빈도매일
열차 번호5 (서쪽 방향)
6 (동쪽 방향)
이용 등급일반석
침대차
접근성대부분 역에서 하부 승강장 이용 가능
침대차 종류룸메트 (2인용)
침실 (2인용)
침실 스위트 (4인용)
장애인 침실 (2인용)
가족 침실 (4인용)
식당 시설식당차, 카페
전망 시설전망 라운지차
수하물선반, 일부 역에서 위탁 수하물 가능
사용 차량GE 제네시스
슈퍼라이너
지멘스 차저
궤간1,435 mm
평균 속도89 km/h (55 mph)
최고 속도127 km/h (79 mph)
선로 소유자UP, BNSF
운행 정보
평균 속도89 km/h (55 mph)
최고 속도127 km/h (79 mph)
선로 소유자시카고 - 덴버: BNSF, 덴버 - 에머리빌: UP
이미지
유타주 내를 서쪽으로 향하는 "캘리포니아 제퍼"
2023년 그린 리버 북쪽의 캘리포니아 제퍼 6번 열차
기타
2023년 수송량479,295명
2022년 수송량432,254명
2016년 수송량407,848명

2. 역사

캘리포니아 제퍼는 1949년부터 1970년까지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CB&Q), 덴버 앤 리오 그란데 웨스턴 철도(D&RGW), 웨스턴 퍼시픽 철도(WP)가 공동으로 운영한 시카고-오클랜드 간 여객 열차였다.[27] 이 열차는 로키 산맥과 페더 강 협곡 등 뛰어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비스타돔(Vista-Dome|비스타돔영어) 객차와 차별화된 서비스로 명성을 얻었다.

철도 여객 수송의 전반적인 쇠퇴와 운영사 간의 문제로 인해 캘리포니아 제퍼는 1970년 운행을 중단했다.[7] 1971년 암트랙 출범 이후, D&RGW는 암트랙 참여를 거부하고 덴버-솔트레이크시티 구간에서 독자적으로 '리오그란데 제퍼'를 운행했으며,[7] 암트랙은 오버랜드 노선을 경유하는 '샌프란시스코 제퍼'를 운행했다.[7]

1983년, D&RGW가 암트랙에 합류하면서 '샌프란시스코 제퍼'는 D&RGW의 모팻 터널 경유 노선으로 경로를 변경하고, 열차 이름도 다시 캘리포니아 제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9] 과거에는 로스앤젤레스행 '데저트 윈드'와 일부 구간에서 병결 운행하기도 했으나, 이 열차는 1997년 폐지되었다.[7]

2. 1. 캘리포니아 제퍼의 등장 (1949년~1970년)

캘리포니아 제퍼(California Zephyr영어)는 1949년 3월 20일부터 1970년 3월 22일까지[27] 시카고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오클랜드) 사이를 운행했던 유명 여객 열차이다.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CB&Q), 덴버 앤 리오 그란데 웨스턴 철도(D&RGW), 웨스턴 퍼시픽 철도(WP) 세 회사가 공동으로 운영했다. 이 열차는 오늘날 중앙 회랑과 페더 강 노선으로 알려진 경로를 따라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콜로라도주 덴버,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 캘리포니아주 오로빌 등을 경유했다. '서풍'을 의미하는 제퍼(Zephyr|제퍼영어)라는 이름은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가 운행했던 여러 유선형 열차 시리즈에서 유래했다.[27]

시카고샌프란시스코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은 1869년 유니언 퍼시픽 철도와 센트럴 퍼시픽 철도에 의한 최초의 대륙 횡단 철도 개통으로 시작되었으며, 1890년대에는 '오버랜드 플라이어'와 같은 고급 침대 열차도 운행되었다. 오랫동안 덴버 서쪽 로키 산맥 구간은 두 회사의 독점 상태였으나, 덴버 & 리오그란데 웨스턴 철도가 1930년대에 모팻 터널을 개통하면서 덴버를 경유하는 경쟁 노선 운영이 가능해졌다. 이 노선은 기존 오버랜드 루트가 지나지 않는 대도시 덴버를 통과한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 노선을 처음 활용한 주요 열차는 샌프란시스코 만국박람회 수송을 목적으로 운행되어 성공을 거둔 '엑스포지션 플라이어(Exposition Flyer|엑스포지션 플라이어영어)'였으며, 캘리포니아 제퍼는 이를 계승하여 더욱 발전된 형태로 등장했다.

1970년 알타몬트 패스를 지나는 캘리포니아 제퍼


캘리포니아 제퍼는 이전의 제퍼 열차들처럼 버드 사에서 제작한 스테인리스강 객차를 사용했으며, 특히 경치가 뛰어난 로키 산맥과 페더 강 협곡 등을 통과하는 노선의 장점을 살려 전망을 즐길 수 있는 비스타돔(Vista-Dome|비스타돔영어) 객차를 여러 량 연결하고 개인 침실의 비율을 높인 것이 특징이었다. 또한, '제퍼렛(Zephyrette|제퍼렛영어)'이라 불리는 여성 승무원이 안내 및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로 높은 인기를 누렸다.

1971년 앰트랙 출범 직전까지 시카고-샌프란시스코 만 지역 간에는 캘리포니아 제퍼 외에도 두 개의 경쟁 열차가 있었다.[7]

그러나 철도 여객 수송의 쇠퇴와 함께 캘리포니아 제퍼는 1970년 3월 22일 운행을 중단했다. 이는 앰트랙 출범(1971년 5월 1일)을 앞두고 각 철도 회사들이 여객 영업 지속 여부를 결정하던 시기와 맞물린다. 웨스턴 퍼시픽 철도는 이미 여객 운송에서 손을 떼 앰트랙에 참여할 자격이 없었고,[7] 덴버 앤 리오그란데 웨스턴 철도는 앰트랙 합류를 거부하고 덴버-오그덴 구간에서 독자적으로 리오 그란데 제퍼 운행을 결정했기 때문이다.[7] 이로 인해 3개 철도 회사가 공동으로 운행하던 기존의 캘리포니아 제퍼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었다.

1949년 등장 당시 편성[29]
차량 종류세부 구성
수하물차
돔 코치전망 돔, 리클라이닝 좌석
돔 코치전망 돔, 리클라이닝 좌석
돔 코치전망 돔, 리클라이닝 좌석
돔 뷔페 라운지전망 돔, 뷔페, 라운지 공간
침대차10 루멧(Roomette|루멧영어), 6 더블 베드룸(Double Bedroom|더블 베드룸영어)
침대차10 루멧, 6 더블 베드룸
식당차정원 48명
침대차16 섹션(Section|섹션영어)
침대차10 루멧, 6 더블 베드룸 (뉴욕 직통 운행 차량)
돔 라운지 전망차전망 돔, 라운지, 1 드로잉 룸(Drawing Room|드로잉 룸영어), 3 더블 베드룸



주1: 섹션(Section|섹션영어)은 풀먼식 개방형 침대로, 낮에는 마주보는 좌석, 밤에는 상하단 침대로 변형되는 구조이다.

2. 2. 암트랙 시대 (1971년~현재)

1971년 암트랙 출범 당시, 운영사들의 참여 거부로 기존 캘리포니아 제퍼 노선은 즉시 부활하지 못했다.[7] 대신 암트랙은 시카고-오클랜드 구간을 오버랜드 노선을 경유하는 '샌프란시스코 제퍼'로 운행했으며, 덴버 앤 리오 그란데 웨스턴 철도(D&RGW)는 덴버-솔트레이크시티 구간에서 독자적으로 '리오그란데 제퍼'를 운행했다.[7]

1983년, D&RGW가 암트랙에 합류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암트랙은 '샌프란시스코 제퍼'의 덴버-솔트레이크시티 구간 노선을 D&RGW의 모팻 터널 경유 노선으로 변경했는데, 이는 콜로라도 로키 산맥의 아름다운 경치를 통과하는 경로로 암트랙이 초기부터 선호했던 노선이었다. 이 변경은 1983년 7월 16일에 이루어졌으며(원래 4월 25일 예정이었으나 유타주 시슬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인해 지연됨[8]), 열차 이름도 다시 캘리포니아 제퍼로 변경되었다.[9] 이로써 현재 운행되는 캘리포니아 제퍼의 기본 노선이 확립되었다.

2016년, 콜로라도 강을 따라 콜로라도주 매코이 근처를 통과하는 ''캘리포니아 제퍼''


현대의 캘리포니아 제퍼는 네바다주 위네무카 동쪽 대부분 구간에서 원래 1949년부터 1970년까지 운행했던 캘리포니아 제퍼와 거의 동일한 경로를 따른다. 하지만 네바다주 엘코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사이는 오버랜드 노선을 따라 운행하며, 이는 과거 '시티 오브 샌프란시스코'가 이용했던 경로이다. 네바다 중부 구간에서는 두 철도 노선이 쌍방향 운행을 위해 결합되어 있어, 열차의 운행 방향에 따라 정확한 통과 지점이 달라질 수 있다.[10] 최근에는 2층 구조의 슈퍼라이너 객차를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캘리포니아 제퍼는 시애틀행 ''파이오니어''와 로스앤젤레스행 ''데저트 윈드'' 열차와 일부 구간에서 객차를 병결하여 운행했다. 이 두 열차는 1997년 예산 문제 등으로 모두 운행이 중단되었다.[7]

열차의 서쪽 종착역은 1994년 오클랜드 중앙역 폐쇄 후 에머리빌 역으로 변경되었다. 1995년 잭 런던 스퀘어 역 개통으로 잠시 오클랜드 시내까지 연장 운행되었으나, 도로 주행 선로를 이용한 복잡한 역주행 문제로 1997년 다시 에머리빌 역으로 종착역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1]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봄에는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고, 같은 해 10월부터는 주 3회로 운행 횟수가 감축되었다.[12][13][14] 하지만 2021년 5월 24일부터 다시 매일 운행으로 복구되었다.[15] 이후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인력 및 장비 부족 문제로 2022년 1월부터 5월까지 잠시 주 5회 운행으로 축소되었으나,[16] 2022년 6월부터는 다시 매일 운행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17]

2. 2. 1. 리오그란데 제퍼 (1970년~1983년)

1970년, 여러 운영 회사의 이해관계 충돌과 철도 산업 전반의 쇠퇴로 인해 기존의 캘리포니아 제퍼는 운행을 중단했다. 이용객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폐지가 결정되었다.

하지만 운영사 중 하나였던 덴버 & 리오그란데 웨스턴 철도(D&RGW)는 자신의 담당 구간에 대한 여객 운송을 포기하지 않았다. D&RGW는 기존 캘리포니아 제퍼에 사용되던 차량을 그대로 활용하여, 'Denver & Rio Grande Zephyr|덴버 & 리오그란데 제퍼영어'(일반적으로 '리오그란데 제퍼'로 불림)라는 이름으로 덴버솔트레이크시티 사이에서 주 3회 왕복 운행을 개시했다.

1971년 국영 여객철도공사인 암트랙이 출범하면서 미국의 대부분 장거리 여객열차가 통합 운영되기 시작했지만, D&RGW는 암트랙 참여를 거부하고 리오그란데 제퍼의 독자적인 운영을 고수했다. 이 때문에 암트랙의 '샌프란시스코 제퍼'는 시카고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를 연결할 때, 경치가 빼어난 D&RGW의 모팻 터널 경유 노선 대신 와이오밍주를 거쳐 유니온 퍼시픽 철도 선로를 이용하는 우회 경로를 택해야 했다.

리오그란데 제퍼는 재정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D&RGW의 노력으로 1983년 4월까지 운행을 지속했으며, 미국에서 민간 회사가 운영한 마지막 장거리 여객 열차 중 하나로 역사에 남았다.

2. 2. 2. 샌프란시스코 제퍼 (1972년~1983년)

1971년 암트랙 출범 당시, 시카고-샌프란시스코 노선은 여러 난관에 부딪혔다. 암트랙은 원래 기존 캘리포니아 제퍼의 경로(CB&Q, D&RGW, WP 경유)를 부활시키려 했으나, 웨스턴 퍼시픽 철도(WP)는 여객 서비스에서 완전히 철수하여 암트랙 참여 자격이 없었고 협조를 거부했다.[7] 암트랙은 대안으로 유타주 오그덴 서쪽 구간에 서던 퍼시픽 철도(SP)의 선로를 이용하기로 했다.[7]

또한, 덴버 앤 리오 그란데 웨스턴 철도(D&RGW) 역시 1971년 4월 26일, 자신들의 단선 노선 혼잡을 우려하며 암트랙 합류를 거부하고 덴버-오그덴 구간에서 독자적으로 'Rio Grande Zephyr|리오 그란데 제퍼영어'를 운행하기로 결정했다.[7] -- 이로 인해 암트랙은 덴버-와이오밍주 샤이엔-오그덴 구간을 유니온 퍼시픽 철도(UP) 노선으로 급히 연결해야 했다.[7]

이러한 상황 때문에 1971년 봄부터 1972년 여름까지 시카고-오클랜드 구간 승객은 시카고-덴버 간 매일 운행하는 ''덴버 제퍼''와 덴버-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간 주 3회 운행하는 ''시티 오브 샌프란시스코''라는 두 개의 열차를 갈아타야 했다.[7]

1972년 여름, 암트랙은 이 두 열차를 하나로 통합하여 시카고-오클랜드 간 직통 운행을 시작했으며, 열차 이름은 과거의 캘리포니아 제퍼와 샌프란시스코 치프를 기리는 의미에서 San Francisco Zephyr|샌프란시스코 제퍼영어로 명명되었다.[7] 이 열차는 덴버 서쪽 구간에서 D&RGW 노선 대신 UP와 SP의 오버랜드 노선을 따라 운행했다. 한편, D&RGW는 1983년까지 덴버-오그덴 구간에서 리오 그란데 제퍼를 계속 운행했다.[7]

1975년 유바 갭(Yuba Gap)을 통과하는 동행 샌프란시스코 제퍼를 견인하는 EMD FP7 1대와 EMD SDP40F 2대


1983년, D&RGW는 결국 승객 운송 사업의 손실 증가를 이유로 암트랙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암트랙은 ''샌프란시스코 제퍼''의 덴버-솔트레이크시티 구간 노선을 D&RGW의 모팻 터널 경유 노선으로 변경했으며, 이는 암트랙이 1971년부터 선호했던 경로였다. 노선 변경은 유타주 시슬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인해 예정보다 늦어진 7월 16일에 이루어졌으며, 이와 함께 열차 이름도 다시 캘리포니아 제퍼로 변경되었다.[8][9]

2. 2. 3. 데저트 윈드 (1980년대~1997년)

과거 캘리포니아 제퍼는 시카고~솔트레이크시티 구간에서 라스베이거스를 경유하여 로스앤젤레스로 향하는 데저트 윈드(Desert Wind영어) 열차와 병결 운행한 적이 있다. 그러나 데저트 윈드는 암트랙의 열차 운행 계획 재편에 따라 1997년에 폐지되었으며, 폐지 이후 해당 구간은 대체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3. 운행 노선

암트랙이 운영하는 장거리 여객 열차 노선으로, 1949년부터 1970년까지 거의 같은 구간을 운행했던 동명의 열차에서 이름을 따왔다.[27] '제퍼(Zephyr)'는 '서풍'을 의미하며, 과거 시카고, 벌링턴 앤 퀸시 철도가 운행했던 열차들의 애칭을 계승한 것이다.

동쪽 출발역은 시카고 유니온역이며, 서쪽 종착역은 샌프란시스코 만 건너편의 에머리빌 역이다. 초기에는 오클랜드까지 운행했으나, 1989년 로마 프리에타 지진으로 오클랜드 역(16th Street Station)이 큰 피해를 입자, 대체역으로 인근에 에머리빌 역이 신설되어 1994년부터 종착역이 되었다.[28] 샌프란시스코 시내와 에머리빌 역 사이는 암트랙 쓰루웨이 전용 버스가 연결 운행한다.

3. 1. 주요 경유지

캘리포니아 제퍼 노선도


서행 열차는 암트랙 5호(동행은 6호)이다. 시카고 유니온역에서 출발하여 메트라 BNSF 철도 노선을 따라 이동하며, 네이퍼빌(일리노이주)에서 중간 정차한다.

일리노이주 오로라를 지나면 일리노이주 대초원을 통과하며, 버링턴 철교를 이용하여 버링턴(아이오와주)에서 미시시피 강을 건넌다. 아이오와주 남부를 지나면 제퍼는 아이오와주 카운슬 블러프와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사이의 미주리 강에 도착한다. 오마하에서 열차는 네브래스카주 남부와 네브래스카주 북동부를 야간으로 통과하여 덴버에 아침에 도착한다.

덴버에서 제퍼는 BNSF에서 유니온 퍼시픽 선로로 갈아탄다. 서행 열차는 터널 지구를 통과하는 여정을 위해 중앙 회랑을 따라 운행된다. 이 노선은 제임스 피크 아래 약 9.98km 길이의 모팻 터널을 통해 대륙 분수령을 넘어간다.

암트랙의 새로운 7단계 도색을 한 GE 제네시스 P42 #174가 제퍼를 이끌고 있다. 모팻 터널


모팻 터널을 나와서 선로는 윈터 파크 리조트에서 그랜드 정션 서쪽의 루비 캐니언까지 콜로라도 강을 따라간다. 그랜드 정션 또한 열차가 유타주에 진입하는 곳이기도 하다. 콜로라도 강 구간의 여행은 비공식적으로 "문 리버(Moon River)"라고 불리는데, 급류 래프터들이 바지를 내리고 승객들에게 엉덩이를 보여주는 행동(문잉)을 하기 때문이다.[21][22]

콜로라도주 글렌우드 스프링스에 정차한 서행 제퍼


덴버와 윈터 파크 리조트 사이에서 제퍼는 피크 겨울 시즌(12월 중순부터 3월까지)에만 운행되는 서비스인 윈터 파크 익스프레스와 노선을 공유하며, 주로 윈터 파크에 있는 스키 리조트로 향하는 관광객들이 이용한다.[23] 또한 덴버와 유타주 크레센트 정션 사이에서 제퍼는 로키 마운티니어의 "록키스 투 더 레드 록스(Rockies to the Red Rocks)" 승객 서비스와 노선을 공유한다.[24]

유타주에서는 열차가 북 클리프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헬퍼 근처까지 이어진다. 제퍼는 와사치 산맥을 넘어 솔저 서밋에서 정점에 도달한 후 와사치 프런트로 내려와 솔트레이크시티에 도착한다.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에머리빌까지 제퍼 노선은 주간 고속도로 80호선을 따라 대략적으로 이어지며, 그레이트솔트호의 남쪽 해안과 보네빌 솔트 플랫을 건너 네바다주로 향한다. 유타주 웬도버/네바다주 웨스트 웬도버에서 네바다주로 진입한 후, 노선은 토아노 산맥(실버 존 패스 경유), 고슈트 계곡, 페쿠옵 산맥 아래 터널을 지나 루비 산맥의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간다.

이 노선은 웰스 근처에서 험볼트 강에 처음 도착하며, 러벌록 근처의 험볼트 싱크에서 강이 끝날 때까지 대략적으로 따라간다. 여기서 선로는 포티마일 사막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이 사막 계곡의 반대편에는 트러키 강이 있어 리노와 캘리포니아의 시에라네바다 산맥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제공한다.

콜팩스에 있는 서행 캘리포니아 제퍼


캘리포니아에서는 선로가 도너 호를 돌아 도너 패스에서 시에라네바다 산맥 정상에 도달하고, 아메리칸 강과 유바 강 사이의 높은 능선을 따라 에미그란트 갭을 통과한다. 이 노선은 캘리포니아 중앙 계곡으로 이어지고, 샌파블로 만을 따라 새크라멘토와 데이비스에 정차한다. 베니시아 교량을 건너 마티네즈와 리치몬드에 정차하며, BART가 버클리와 오클랜드로 연결된다. 여정은 에머리빌에서 끝나며, 암트랙 쓰루웨이 서비스가 샌프란시스코로 연결된다.

3. 2. 철도 구간

(중앙 회랑)그릴리 구간덴버 브로드웨이(Broadway) 서쪽의 이스트 덴버 벨트 라인(East Denver Belt Line)까지모팻 터널 구간덴버 (브로드웨이 서쪽) ~ 본드(콜로라도주) 남남동쪽 ([MP-128]과 [MP-129] 사이)글렌우드 스프링스 구간본드 ~ 그랜드 정션(콜로라도주)그린 리버 구간그랜드 정션 ~ 헬퍼(유타주)프로보 구간헬퍼 ~ 솔트레이크시티린딜 구간솔트레이크시티 ~ 솔트레이크시티 서쪽 케네콧 굴뚝(Kennecott Smokestack) [MP-767]섀프터 구간[MP-911] 케네콧 굴뚝 ~ 엘코(네바다주)엘코 구간엘코 ~ 위네무카(네바다주) 동쪽의 분기점인 웨소(Weso)네바다 구간웨소 ~ 스파크스(네바다주)로즈빌 구간스파크스 ~ 로즈빌(캘리포니아주)마티네즈 구간로즈빌 ~ 에머리빌계: 11개 구간


4. 차량

2층 차량인 슈퍼라이너.


캘리포니아 제퍼는 미국 서부의 다른 장거리 열차들과 마찬가지로 2층 차량인 슈퍼라이너 차량을 사용한다.[18]

일반적인 캘리포니아 제퍼 열차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운행된다.[18]

일반적인 캘리포니아 제퍼 열차 구성
종류수량비고
GE 제네시스 / 지멘스 ALC-42 기관차2대[19]
뷰라이너 II 수하물차1량
슈퍼라이너 전환 수면차1량승무원용 침대차, 일부 객실은 승객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
슈퍼라이너 침대차 (슬리퍼)2량
슈퍼라이너 식당차 (다이너)1량1층은 주방
슈퍼라이너 전망 라운지1량1층은 화장실, 세면장, 카페
슈퍼라이너 일반좌석차 (코치)1량
슈퍼라이너 일반좌석/수하물 겸용차1량



차량의 수는 계절에 따라 다르며, 시카고 - 덴버 구간에만 연결되는 차량도 있다. 예를 들어, 코치(좌석차)나 슬리퍼(침대차)는 2~3량으로 운행될 수 있다.

슬리퍼(침대차)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다.



다른 장거리 노선과 마찬가지로 암트랙은 2027년까지 P42DC 기관차를 ALC-42 기관차로 완전히 교체하고, 2032년까지 슈퍼라이너 차량을 새로운 장거리 차량으로 교체할 계획이다.[20]

13개 역에서 수하물 취급이 가능하다. Wifi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5. 정차역

캘리포니아 제퍼(eng)는 총 33개의 역에 정차한다.[30]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정차역
시카고 유니온 역 (eng)일리노이주
네이퍼빌 (eng)
프린스턴 (eng)
게일즈버그 (eng)
버링턴 (eng)아이오와주
마운트 플레전트 (eng)
오툼와 (eng)
오세올라 (eng) (데모인 (eng))
크레스턴 (eng)
오마하 (eng)네브래스카주
링컨 (eng)
헤이스팅스 (eng)
홀드리 (eng)
맥쿡 (eng)
포트모건 (eng)콜로라도주
덴버 유니온 역 (eng)
프레이저 (eng)
그랜비 (eng)
글렌우드스프링스 (eng)
그랜드 정션 (eng)
그린리버 (eng)유타주
헬퍼 (eng)
프로보 (eng)
솔트레이크시티 (eng)
엘코 (eng)네바다주
위너머카 (eng)
리노 역 (eng)
트러키 (eng)캘리포니아주
콜팩스 (eng)
로즈빌 (eng)
새크라멘토 밸리 역 (eng)
데이비스 (eng)
마티네즈 (eng)
리치먼드 (eng)
에머리빌 역 (eng)


참조

[1] 웹사이트 Amtrak Timetable Results https://www.amtrak.c[...] 2021-12-20
[2] 웹사이트 California Zephyr Timetable https://www.amtrak.c[...] Amtrak 2018-02-06
[3] 웹사이트 California Zephyr Route Guide https://www.amtrak.c[...] Amtrak 2018-02-06
[4] 웹사이트 Amtrak FY23 Ridership https://media.amtrak[...]
[5] 웹사이트 Amtrak Route Ridership: FY22 vs. FY21 https://media.amtrak[...]
[6] 웹사이트 Amtrak FY16 Ridership & Revenue Fact Sheet https://media.amtrak[...] Amtrak 2018-02-06
[7] 서적 Amtrak in the Heartland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8] 뉴스 Scenic route to be taken by Amtrak https://news.google.[...] 2010-09-12
[9] 뉴스 Last passenger trains rolling across Wyoming https://news.google.[...] 2010-09-12
[10] 지도 Nevada Road and Recreation Atlas http://www.benchmark[...] Benchmark Maps
[11] 간행물 Vurek-Capitol Corridor
[12] 보도자료 Service Adjustments Due to Coronavirus https://www.amtrak.c[...] Amtrak 2020-04-06
[13] 웹사이트 Amtrak Advisory {{!}} Amtrak to Operate on Modified Schedules https://www.amtrak.c[...] 2020-05-21
[14] 뉴스 Coronavirus Service Cuts For Amtrak Trains Are Hurting The Local Economy And Traditions In Southern Colorado https://www.cpr.org/[...] 2020-10-09
[15] 웹사이트 With Increased Demand and Congressional Funding, Amtrak Restores 12 Long Distance Routes to Daily Service https://media.amtrak[...] Amtrak 2021-03-10
[16] 뉴스 Amtrak to restore four long-distance trains to daily service in late May https://www.trains.c[...] 2022-04-19
[17] 뉴스 Long distance trains back on track seven days a week in Colorado https://www.cpr.org/[...] KRCC 2023-01-16
[18] 뉴스 Amtrak adds to Texas Eagle capacity with dedicated Sunset through cars: Special report https://www.trains.c[...] 2024-11-21
[19] 웹사이트 Update on Acquisitions And Capital Programs https://ngec.org/wp-[...] Next Generation Corridor Equipment Pool Committee 2023-02-03
[20] 웹사이트 FY 2022-2027 Service and Asset Line Plans https://www.amtrak.c[...] Amtrak
[21] 뉴스 For views of the Rockies you can't see any other way, ride Amtrak's Zephyr https://www.latimes.[...] 2023-12-26
[22] 비디오 I Took A 52-Hour Sleeper Train From San Francisco To Chicago https://www.youtube.[...] 2023-12-17
[23] 뉴스 The Winter Park Express expands service, cuts prices for 2025 season https://www.rmpbs.or[...] 2024-11-04
[24] 웹사이트 Canadian luxury scenic train line debuts its first US route https://www.cnn.com/[...] CNN 2021-08-16
[25] 서적 今すぐ乗りたい!「世界名列車」の旅 新潮社
[26] 웹사이트 Amtrak sets new ridership record http://www.amtrak.co[...] Amtrak 2014-06-23
[27] 문서 아무트랙의 캘리포니아 제퍼는 1970년까지 운전되던 같은 이름의 열차의 직접적인 후계자가 아니며, 경로도 네바다주 이서에서는 완전히 다르다.
[28] 문서 원래 오클랜드 역은 1994년에 폐지되었고, 1995년에 오클랜드 - 잭 런던 스퀘어(en:Oakland – Jack London Square (Amtrak station)|Oakland - Jack London Square)역이 개설되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잭 런던 스퀘어역까지 캘리포니아 제퍼가 운행된 적이 있다.
[29] 웹사이트 California Zephyr Consists http://www.wplives.c[...]
[30] 웹사이트 California-Zephyr-Schedule-011314 http://www.amtrak.co[...] Amtrak 2014-01-13
[31] 웹인용 Amtrak sets new ridership record http://www.amtrak.co[...] 암트랙 2013-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