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커머번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머번드는 허리를 감싸는 넓은 띠 형태의 의류로, 힌두스탄어 '카마르반드'에서 유래되었으며, 1616년 영어 어휘로 유입되었다. 터키의 허리 장식에서 기원하여, 15세기부터 유럽 군대에서 장식, 신분, 식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20세기에는 턱시도와 함께 블랙 타이 복장에 도입되었고, 현대에는 셔츠와 허리 밴드 사이의 시각적 연결을 제공하는 미적 요소로 활용된다. 검은색이 일반적이나, 군복에서는 다양한 색상으로 사용되며, 스포츠, 스쿠버 다이빙, 여성 이브닝 드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형되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리띠 - 천인침
    천인침은 일본에서 전쟁에 나서는 군인의 무운장구와 생환을 기원하며 천 개의 바늘땀을 수놓아 만든 것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일본 정부에 의해 장려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한국인 강제 동원에 이용되기도 했다.
  • 허리띠 - 금관총 금제 허리띠
    금관총 금제 허리띠는 신라 시대의 금제 허리띠로, 과대와 요패로 구성되어 국보 제88호로 지정되었으며, 신라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하는 유물로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예복 - 연미복
    연미복은 제비 꼬리처럼 갈라진 뒷자락이 특징인 서양 남성 정장으로, 검은색 드레스 코트와 바지, 흰색 조끼와 나비 넥타이 조합으로 19세기 저녁 정장으로 자리 잡았으나, 20세기 초 턱시도에 밀려 현재는 격식 있는 행사에서 착용된다.
  • 예복 - 나비 넥타이
    나비넥타이는 17세기 크로아티아 용병의 목 스카프에서 유래하여 프랑스에서 유행한 넥타이의 한 종류로, 다양한 형태, 소재, 매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역사적으로 귀족의 전유물에서 대중적인 아이템으로 변화했고 사회적, 문화적 상징으로 해석된다.
  • 장신구 - 선글라스
    선글라스는 눈부심 감소와 자외선 차단을 주 목적으로 하는 안경으로, 과거 눈부심 방지 및 표정 은폐 용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패션 아이템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발전해 왔지만, 저가 제품의 성능 미흡이나 과도한 자외선 차단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장신구 - 견장
    견장은 군복의 어깨 장식으로,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장식적 기능과 실용적 기능을 겸비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계급 및 병과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된다.
커머번드
개요
검은색 커머번드를 착용한 남성
검은색 커머번드를 착용한 남성
종류허리띠
용도정장 액세서리
착용 부위허리
관련 의상턱시도, 연미복
상세 정보
정의주름이 잡힌 넓은 허리띠
재료실크, 새틴
착용 목적셔츠가 바지에서 삐져나오는 것을 가리고 깔끔한 인상을 주기 위해 착용
착용 방법주름이 위로 향하게 착용 (전통적인 착용법)
색상검은색 (가장 일반적), 다양한 색상과 패턴 존재
역사기원: 인도의 허리띠에서 유래
유럽 전파: 영국 군인들이 인도에서 가져와 유럽에 소개
착용 시기: 19세기 후반부터 남성 정장 착용
용어영어: Cummerbund
일본어: カマーバンド (Kamābando)
한국어: 커머번드
기타턱시도와 함께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끼를 입는 대신 커머번드를 착용한다.
커머번드와 함께 나비 넥타이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의사항벨트와 함께 착용하지 않는다.

2. 어원

"커머번드"라는 단어는 힌두스탄어 "카마르반드" (힌두스탄어)의 영어식 표기이며, 이는 페르시아어(کمربند|kamarbandfa)에서 유래되었다.[3] 1616년 인도에서 영어 어휘로 유입된 이 단어는 '허리'를 의미하는 ''카마르''와 '닫다' 또는 '고정하다'를 의미하는 ''반드''의 합성어이다. '허리띠'는 인도 남성들이 여러 경우에 착용하는 허리 장식이었다.[3][4]

"커머번드"(아래 참조), 그리고 덜 일반적으로 독일어 철자 Kummerbundde (영단어의 독일어식 변형 철자)는 영어에서 "커머번드"와 동의어로 자주 사용된다.

3. 역사

허리에 띠를 두른 예니체리


"커머번드(cummerbund)"라는 단어는 1616년인도에서 영어 어휘로 들어와 영어 사전에 게재되었다.[10][11] 페르시아어 "카말반드(کمربند)"가 힌두스탄어 "카마르반드(कमरबंद; کمربند)"로 채택되었고, 로마자 표기 "카마르반드(kamarband)"가 영어화되어 "커머번드(cummerbund)"가 되었다.[12]

이는 "허리(waist영어)"를 의미하는 "카마르(kamar)"와 "끈, 띠" 등을 의미하는 "밴드(band)"의 조합으로, 인도 남성들이 흔히 착용하는 허리 장식 천을 나타내는 "허리띠(waist-band영어)"를 뜻한다.

3. 1. 기원

커머번드의 기원은 터키에서 복장에 사용되던 허리에 두르는 장식 띠(사시)이다. 15세기경부터 유럽의 군대에서 장식이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 혹은 적과 아군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 당시의 사시는 겉옷 위에 멜빵처럼 걸치거나 허리에 두르고 착용했다.

3. 2. 서양 복식 도입

커머번드의 기원은 터키 복식에 사용되던 허리에 두르는 장식 띠(사시)이다. 15세기경부터 유럽 군대에서 장식이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 혹은 적군과 아군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당시 사시는 겉옷 위에 멜빵처럼 걸치거나 허리에 둘러 착용했다.

20세기에 들어 블랙 타이가 야간 준예장으로 여겨지면서, 정장 시의 웨스트코트를 간략화한 것으로 커머번드가 도입되었다.

3. 3. 군복에서의 사용

프랑스 아프리카 육군의 대부분 부대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상의 커머번드를 착용했다. 주아브와 샤쇠르 다프리크 소속 유럽 병사들은 파란색, 원주민 스파히와 티레일러는 빨간색을 착용했다.[8] 일부 현대 프랑스 연대(특히 프랑스 외인 부대와 스파히)는 식민지 역사를 가진 정복의 일환으로 커머번드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인도 육군, 파키스탄 육군, 방글라데시 육군 등 여러 현대 남아시아 육군에서도 정복의 부속품으로 커머번드를 사용했다. 주로 의장대 행사와 만찬 때 착용하며, 색상은 연대 또는 군단에 따라 다양하다.[9] 민간용 커머번드와 달리 가죽 벨트를 이 천 조각 위에 착용하며 한쪽 끝은 장식용 술을 드러내며 자유롭게 매달려 있다.

미 해군 금색 커머번드


커머번드는 터키 복장에 사용되던 허리에 두르는 장식 띠(사시)에서 기원했으며, 15세기경부터 유럽 군대에서 장식, 신분 표시, 또는 아군 식별을 위해 사용되었다. 당시의 사시는 겉옷 위에 멜빵처럼 걸치거나 허리에 둘러 착용했다.

드레스 코드가 블랙 타이로 지정된 경우 상의 안에 착용한다. 정식적인 것은 검은색이지만, 군복에서는 빨간색(예: 미국 해병대)이나 오렌지색(예: 육상자위대) 등도 사용된다. 최근 군복에서는 드레스 코드가 화이트 타이인 경우에는 웨스트코트를, 블랙 타이(턱시도)인 경우에는 커머번드를 같은 메스 재킷 아래에 착용하도록 규정하기도 한다. 지휘자나 연주자의 복장도 군복처럼 연미복 아래에 커머번드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4. 형태 및 착용

커머번드는 허리 부분을 감싸는 넓은 띠 모양으로, 뒷부분은 리본, 버클, 또는 벨크로로 여민다. 현대에는 주로 셔츠와 허리 밴드 사이를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미적인 용도로 사용된다.[5] 격식을 덜 갖춘 자리에서는 흰색 커머번드를 피케 조끼 대신 착용하여 화이트 타이에 사용하기도 한다.[6]

드레스 코드가 블랙 타이인 경우 턱시도나 메스 재킷 안에 착용하며, 정식으로는 검은색이 사용된다. 군복에서는 빨간색(미국 해병대), 오렌지색(육상자위대) 등 다양한 색상이 사용된다. 최근 군복에서는 드레스 코드에 따라 화이트 타이(연미복)에는 웨스트코트, 블랙 타이(턱시도)에는 커머번드를 착용하도록 규정하기도 한다(웨스트코트#착용하는 의복 참조). 지휘자나 연주자도 군복처럼 연미복 아래에 커머번드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나비 넥타이와 세트로 판매되기도 하며, 이 경우 같은 색상이나 무늬로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래는 티켓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주름을 위로 향하게 착용한다.

드레스 셔츠와 함께 착용한 커머번드


검은색 커머번드


무늬가 있는 커머번드를 착용한 남성

4. 1. 착용



커머번드는 허리 부분을 감싸는 넓은 띠 모양이다. 뒷부분은 리본으로 묶거나 버클 또는 벨크로로 여민다. 현대에 커머번드는 순전히 미적인 용도로 사용되며, 셔츠와 허리 밴드 사이의 시각적인 연결을 제공한다.[5] 격식을 덜 갖춘 상황, 특히 음악가들이 흰색 커머번드를 전통적인 피케 조끼 대신 착용하면서 화이트 타이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6]

드레스 코드가 블랙 타이로 지정된 경우 상의(턱시도나 메스 재킷) 안에 착용한다. 정식적인 것은 검은색이지만, 군복에서는 빨간색(예: 미국 해병대)이나 오렌지색(예: 육상자위대) 등의 색상도 보인다. 최근 군복에서는 드레스 코드가 화이트 타이(연미복)인 경우에는 웨스트코트, 블랙 타이(턱시도)인 경우에는 커머번드를 같은 메스 재킷 아래에 착용하도록 규정하는 경우도 있다(웨스트코트#착용하는 의복 참조). 지휘자나 연주자의 복장도 군복처럼 연미복 아래에 커머번드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나비 넥타이와 세트로 판매되는 경우도 있으며, 같은 색상이나 무늬로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원래는 티켓을 넣어두는 포켓과 같은 역할을 했기 때문에 주름을 위로 향하게(주름에 손이 들어가도록) 착용한다.

4. 2. 주름

원래 커머번드는 티켓 스텁이나 비슷한 물건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주름이 위를 향했다.[7] 이 때문에 속어인 '부스러기 받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미국 육군의 블루 메스 및 블루 이브닝 메스 제복의 일부로 착용하는 커머번드는 육군 규정 670–1 24장 10(b)절에 따라 주름을 아래로 향하게 착용한다. 미 해군 제복 규정 NAVPERS 15665는 해군 디너 드레스 재킷의 경우 커머번드를 주름이 위로 향하게 착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원래는 티켓을 넣어두는 포켓과 같은 역할을 했기 때문에 주름을 위로 향하게(주름에 손이 들어가도록) 착용한다.

5. 현대적 응용

드레스 코드가 블랙 타이로 지정된 경우 턱시도나 메스 재킷 안에 커머번드를 착용한다. 정식으로는 검은색이지만, 군복에서는 미국 해병대의 빨간색이나 육상자위대의 오렌지색처럼 다른 색상도 사용된다. 최근 군복에서는 드레스 코드가 화이트 타이(연미복)인 경우 웨스트코트를, 블랙 타이(턱시도)인 경우 커머번드를 착용하도록 규정하기도 한다. 지휘자나 연주자도 군복처럼 연미복 아래에 커머번드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나비 넥타이와 세트로 판매되기도 하며, 이 경우 같은 색상이나 무늬로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래 커머번드는 티켓을 넣어두는 주머니 역할을 했기 때문에 주름을 위로 향하게 착용한다.

5. 1. 스포츠

19세기와 20세기 초, 체조격투 스포츠 훈련이나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은 면 커머번드를 흔히 착용했다.

5. 2. 스쿠버 다이빙

커머번드는 스쿠버 다이빙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는 표준 허리띠보다 착용자에게 더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부력 조절 장치의 넓은 허리띠를 의미한다. 커머번드는 일반적으로 벨크로 잠금 장치가 있는 튼튼한 천으로 만들어진다. 또는 재킷과 수트 바지 사이의 방수 밀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연한 고무 허리띠가 있는 투피스 드라이 수트에도 사용된다.

5. 3. 여성 복식

경우에 따라 커머번드는 이브닝 드레스의 한 요소로 착용될 수 있다.

루시, 레이디 더프-고든 제작 이브닝 드레스 (1913년 봄)

참조

[1] 간행물 The Elegant Man: How to Construct the Ideal Wardrobe
[2] 웹사이트 Black Tie Guide: Vintage Evening Waistcoats & Cummerbunds https://www.gentlema[...] n.d.
[3] 사전 Cummerbund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cummerbund https://www.thefreed[...]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016
[5] 간행물 Dressing the Man
[6] 뉴스 Behind http://thewholenote.[...] 2001-03
[7] 서적 How to be a Gentleman: A Timely Guide to Timeless Manners Thomas Nelson 2008
[8] 서적 The French Army in 1914
[9] 서적 Sons of John Company – the Indian and Pakistan Armies
[10] 서적 The Persian Contributions to the English Language: An Historical Dictionary Otto Harrassowitz 2001-12-31
[11] 웹사이트 cummerbund - UK English|Lexico.com https://www.lexico.c[...]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2022-09-05
[12] 웹사이트 cummerbund - Thefreedictionary.com https://www.thefreed[...] Farlex,Inc. 2022-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