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키스탄 육군은 파키스탄군의 육상 군사 부대이며, 파키스탄 헌법에 따라 외부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방어하고 시민 권력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1947년 영국령 인도 육군이 분할되면서 창설되었으며, 이후 인도와의 여러 전쟁에 참여했다. 1950년대부터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통해 장비를 현대화하고, 1960년대에는 내부 정치에 개입하기도 했다.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에서 패배한 후, 군사력을 재건하고 다양한 군사 훈련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파키스탄 육군은 전투 부대와 행정 지원 부서로 구성되며, 장교, 준사관, 사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특수 부대와 레인저 부대도 운영하며, 다양한 군사 학교와 훈련 시설을 갖추고 있다. 파키스탄 육군은 토목 공학, UN 평화 유지 활동, 자연 재해 시의 구호 활동 등에도 참여하며, 파키스탄 사회에 광범위하게 관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파키스탄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پاکستان فوج (Pākistān Fãuj) |
IPA | /ˈpaːkɪstaːn faːɔːdʒ/ |
약칭 | پاک فوج (Pāk Fãuj) |
창설일 | 1947년 8월 14일 (76년 9개월 전) |
전신 | 영국령 인도 육군(1895–1947) |
종류 | 육군 |
역할 | 지상전 |
규모 | 현역 560,000명 |
예비군 | 550,000명 |
국가 방위군 | 185,000명 |
주둔지 | 총사령부, 라왈핀디 주둔지-46100, 펀자브 주 |
모토 | 이만, 타크와, 지하드 피 사빌릴라 |
색상 | 녹색, 흰색 |
기념일 | 국방의 날: 9월 6일 |
웹사이트 | pakistanarmy.gov.pk |
지휘부 | |
최고사령관 | 대통령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
육군 참모총장 | 대장 아심 무니르 |
총참모장 | 중장 Avais Dastgir |
전투 | |
인도-파키스탄 전쟁 및 분쟁 | 카슈미르 분쟁 (1947년–현재)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오퍼레이션 서치라이트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시아첸 분쟁 (1984년–2003년) 1999년 카길 전쟁 2001-02 인도-파키스탄 대치 2008년 인도-파키스탄 대치 2011년 인도-파키스탄 국경 충돌 2013년 인도-파키스탄 국경 충돌 2014–2015년 인도-파키스탄 국경 충돌 2016–2018년 인도-파키스탄 국경 충돌 2019년 인도-파키스탄 국경 충돌 2020–2021년 인도-파키스탄 국경 충돌 |
중동 분쟁 | 오만 내전 요르단-팔레스타인 분쟁 1967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1973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1979년 그랜드 모스크 점거 레바논 내전 걸프 전쟁 오퍼레이션 마르 바르 사르마차르 |
듀랜드 라인 분쟁 | 바자우르 작전 잘랄라바드 전투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충돌 2024년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충돌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오퍼레이션 사이클론 3234 고지 전투 오퍼레이션 마기스트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소련 영토 내 공격 파키스탄-소련 공중전 바다베르 봉기 제1차 아프가니스탄 내전 (1989년~1992년) 제2차 아프가니스탄 내전 (1992년~1996년) 제3차 아프가니스탄 내전 (1996년~2001년) |
미국 주도 테러와의 전쟁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카이버 파크툰크와 반군 | 북서 파키스탄 전쟁 오퍼레이션 알-미잔 와나 전투 랄 마스지드 포위전 미르 알리 전투 오퍼레이션 라흐-에-하크 오퍼레이션 시라트-에-무스타킴 오퍼레이션 잘잘라 오퍼레이션 셰르딜 오퍼레이션 블랙 썬더스톰 오퍼레이션 라흐-에-라스트 오퍼레이션 라흐-에-니자트 2009년 카이버 고개 공세 오퍼레이션 잔바즈 모흐만드 공세 오라크자이 및 쿠람 공세 오퍼레이션 코흐-에-수파이드 오퍼레이션 라흐-에-샤하다트 오퍼레이션 카이버 오퍼레이션 자르브-에-아즈브 오퍼레이션 라드-울-파사드 |
파키스탄-미국 국경 충돌 | 2011년 파키스탄 NATO 공격 |
유엔 임무 | 소말리아 내전 모가디슈 전투 유고슬라비아 전쟁 보스니아 전쟁 1999년 동티모르 위기 UNSM 아이티 |
스리랑카 내전 | 스리랑카 보안군에 대한 군사 지원 |
기타 분쟁 |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주장) |
국내 분쟁 | 발루치스탄 반군 (1948년–현재) 제1차 발루치스탄 분쟁 제2차 발루치스탄 분쟁 제3차 발루치스탄 분쟁 제4차 발루치스탄 분쟁 제5차 발루치스탄 분쟁 와지리스탄 반란 (1948-1954) 1955년 푼치 봉기 오퍼레이션 서치 수단 파키스탄의 종파 분쟁 말라칸드 봉기 (1994-1995) MQM 무장 활동 MQM 봉기 (1978-1992) 오퍼레이션 클린업 MQM 봉기 (1994-현재) 오퍼레이션 자르브-에-아한 디르 작전 1976년 디르 반란 |
군사 쿠데타 및 독재 | 1951년 쿠데타 시도 1958년 쿠데타 1969년 쿠데타 1973년 파키스탄 쿠데타 시도 1977년 쿠데타 1980년 파키스탄 쿠데타 시도 1984년 파키스탄 쿠데타 시도 1995년 쿠데타 시도 1999년 쿠데타 |
장비 | |
공격기 | 밀 Mi-35M Hind, 벨 AH-1F, 유로콥터 AS550 C3 페넥, 네스콤 부라크, CASC 레인보우 |
수송기 | 하르빈 Y-12, 세스나 사이테이션 브라보, 세스나 206, PAC MFI-17 무샤크 |
헬리콥터 | 밀 Mi-17, 밀 Mi-8, 벨 UH-1 이로쿼이, 벨 412, 벨 407, 벨 206, 아에로스파시알 알루에트 III, 아에로스파시알 라마, 엔스트롬 F-28, 슈바이저 300 |
2. 임무
파키스탄 육군의 존재와 헌법적 역할은 파키스탄 헌법에 의해 보호되며, 파키스탄군의 육상 전투 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23] 파키스탄 헌법은 파키스탄 육군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파키스탄 육군은 1947년 8월 14일 파키스탄의 건국으로 이어진 인도 분할의 결과로 해체된 영국령 인도 육군의 분할을 통해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5] 분할 이전에도 영국령 인도 육군을 지역적 종교 및 민족적 영향을 바탕으로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계획이 있었다.[5]
:연방 정부의 지휘 하에, 무장군은 외부의 침략이나 전쟁 위협으로부터 파키스탄을 방어하며, 법률에 따라 민간 권력의 지원 요청이 있을 경우 이에 응한다.[23]
3. 역사
1947년 6월 30일, 인도 영국 행정부의 전쟁부는 약 40만 명 규모의 영국령 인도 육군을 분할하는 계획을 시작했지만, 이는 인도 분할이 시작되기 불과 몇 주 전이었고, 이는 폭력적인 인도의 종교 폭력으로 이어졌다.[5] 영국 원수 클로드 오친렉 경이 의장을 맡은 무장력 재구성 위원회(AFRC)는 군사 자산을 인도와 파키스탄에 각각 2:1의 비율로 분배하는 공식을 고안했다.[24]
육군의 주요 분할은 약 26만 명의 병력을 인도 육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한 인도 공무원 찬둘랄 마드하브랄 트리베디 경이 감독했으며, 독립법이 1947년 8월 14/15일 밤에 영국에 의해 제정된 후 나머지는 파키스탄으로 넘어갔다.[5]
새로운 육군의 모든 계층에서 지휘와 통제가 매우 어려웠는데, 파키스탄은 6개의 장갑 연대, 8개의 포병 연대, 8개의 보병 연대를 받았지만, 인도는 12개의 장갑 연대, 40개의 포병 연대, 21개의 보병 연대를 받았다.[25] 전체적으로 새로운 육군의 규모는 약 15만 명 정도였다.[25] 새로운 육군의 지휘 직책 공석을 채우기 위해, 파키스탄 육군에는 약 13,500명의[5] 군 장교가 영국 육군에서 고용되어야 했는데, 이는 파키스탄 육군의 초대 총사령관인 프랭크 메세르비 중장 휘하에서 상당히 많은 숫자였다.[26]
1947년 파키스탄 총리 리아quat Ali Khan과의 내각 회의에서 부족의 침공에 반대했던 프랭크 메세르비 중장은 1947년 육군 지휘권을 떠났다.[29]
영국령 인도 제국의 분할 당시, 클로드 오친렉 경은 제7, 제8, 제9 사단을 파키스탄 육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선호했다.[32] 1948년, 제10, 제12, 제14 사단이 창설되었고, 제14 사단은 동벵골에 창설되었다.[32] 1950년에는 미국 육군의 지원을 받아 제15 보병 사단이 증강되었고, 이후 시알코트에 제15 기병 연대가 창설되었다.[33]
아유브 칸 장군 휘하의 육군 부서는 1954-56년에 파키스탄에 파견된 군사 지원 자문단에 따라 국내 산업으로부터 획득하는 대신, 미국에서 수입한 하드웨어에 대한 높은 집중과 의존을 육군의 요구로 이끌었다.[33]
보고라 행정부에서 내각 장관으로 활동하면서, 아유브 칸 장군의 공정성은 파키스탄 정치인들에게 큰 의문을 제기했고, 파키스탄이 CENTO와 SEATO의 당사자가 되면서, 미국의 반공주의 활동이 공산주의의 확장에 대항하게 되면서 파키스탄의 국방 정책을 미국에 의존하도록 이끌었다.[38][39]
1956년에는 물탄에 제1 장갑 사단이 창설되었고, 이후 미국 육군 특수 부대의 감독하에 체라트에 특수 부대가 창설되었다.[32][40] 아유브 칸의 통제하에, 육군은 영국의 영향력을 제거했지만, 미국의 확장을 초청했고, 동벵골 연대, 프론티어 군 연대, 카슈미르 연대, 프론티어 군단을 재편성했다.[5] 해군-육군-공군 순으로 정해지던 서열은 육군-해군-공군 순으로 변경되었으며, 육군은 파키스탄 군의 구조에서 가장 선임의 병과가 되었다.[38]
1957년에는 제1 군단이 창설되었고, 본부는 펀자브에 위치했다.[32] 1956년에서 1958년 사이에 보병 및 전술 학교,[41] 포병 학교,[42] 병기 학교,[43] 장갑 학교,[44] 의무 학교, 공병 학교, 군수 학교, 항공 학교,[45] 그리고 다른 여러 학교와 훈련소가 미국의 참여 또는 불참여 하에 설립되었다.[38]
1953년 초, 파키스탄 육군은 법과 질서 회복을 위해 국가 정치에 개입하였다. 총독 말리크 굴람은 총리 하와자 나짐딘의 승인을 받아 계엄령을 선포했으며, 중장 아잠 칸과 대령 라힘딘 칸이 라호르에서 종교적 소요를 진압했다.[46]
아유브 칸이 보그라 총리가 이끄는 재능부의 국방부 장관이 되면서 군대의 국가 정치 관여는 더욱 커졌고, 4개 주의 지위를 폐지하는 원 유닛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47] 주요 국방 자금 지원과 지출은 아유브 칸의 육군 부서와 공군 원수 아스가르 칸이 이끄는 공군 부서에만 집중되었고, 해군의 국가적 필요에는 우선 순위가 낮았다.[48]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파키스탄은 전차와 포병에서 수적 우위를 점하고 전반적으로 더 나은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57][58] 인도군은 파키스탄 국경 수비를 성공적으로 뚫고 라호르 외곽의 파키스탄 펀자브 영토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59][60][61] 차윈다에서 주요 전차전이 벌어졌고, 제1 기갑 사단이 인도군의 침공을 막을 수 있었다.[62] 결국, 인도군의 파키스탄 침공은 인도군이 부르키 근처에서 전투를 종결하면서 중단되었다.[61][63][64][65]
미국 의회 도서관 국가 연구에 따르면, 전쟁은 군사적으로 결정적이지 않았으며, 양측은 포로와 상대방에게 속한 일부 영토를 점령했다. 파키스탄 측에서는 20대의 항공기, 200대의 전차, 3,800명의 병력 등 비교적 많은 손실을 입었다. 대부분의 파키스탄인들은 "힌두 인도"에 의한 자국의 군사적 패배 가능성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대신 군사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실패를 아유브 칸과 그의 정부의 무능함으로 간주했다.[66] 휴전 선언 당시 중립 소식통에 따르면 인도의 사상자는 3,000명, 파키스탄의 사상자는 3,800명이었다.[67][68][69] 파키스탄은 분쟁 중에 200~300대의 전차를 잃었고, 인도는 약 150~190대의 전차를 잃었다.[70][71]
1971년, 작전 탐조등으로 인해 정부 건물, 통신 센터가 점령되고 군사 통치에 반대하는 정치인들이 억압되면서 동파키스탄에 대한 개입이 더욱 심화되었다.[88] 야흐야 행정부는 육군이 동부에서 민간인에 대한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파키스탄의 시민 자유와 인권을 억압하도록 허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동부 사령부는 중장 A. A. K. 니아지가 지휘했으며, 동부 전선을 방어할 책임이 있었다.[90][91]
1971년 12월 16일 니아지 중장은 무장 저항을 종식시키고 방글라데시의 창설로 이어지는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94] 동부 사령부는 93,000명~97,000명 가량의 군복을 입은 병력을 인도 육군에 항복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어떤 국가의 전쟁에서든 가장 큰 항복 규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95]
1973년, 부토 행정부는 발루치스탄의 주 정부를 해산하여, 1977년에 끝난 군사 작전을 정점으로 하는 분리주의 운동을 초래했다.[101] 항공대에 벨 AH-1 코브라를 이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란으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으면서,[101] 분쟁은 1980년대에 파키스탄 정부가 분리주의자들에게 사면을 제공하면서 종식되었다.[102][101]
전쟁 조사 위원회는 1965년 전쟁, 1971년 전쟁 동안 군대의 네 부서 간의 공동 대 전략이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합동 참모 위원회를 설립하고, 정부의 주요 군사 고문으로 임명된 의장이 의장을 맡아 부대 간 및 연방 정부 간의 전략적 군사 통신을 유지할 것을 권고했다.[104]
1970년대에 육군의 공병 부대, 특히 공병대는 1977~78년에 비밀리에 핵무기 시험장에 강철 터널을 건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비밀 원자탄 프로그램의 패리티와 실행 가능성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06]
1977년 보수 연합이 총선에서 파키스탄 인민당(PPP)을 지지하는 투표율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면서 파키스탄의 정치적 불안정성은 심화되었다.[105] 지아울하크 장군 지휘 하의 육군은 줄피카르 부토 총리의 쿠데타를 계획, 쿠데타를 일으켜 헌법의 효력을 정지시켰다.[105]
1999년 5월, 길기트 주둔 북부 경보병 부대가 카르길로 침투, 인도 육군과의 국경 전투로 이어져 양측에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했다.[123] 인도와의 국경 전쟁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이 계획으로, 합동 참모 의장 페르베즈 무샤라프 장군(당시 육군 참모총장) 휘하 육군은 전투 수행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1965년 이전 계획과 유사한 결과를 겪었다. 미국 군사 참관인들은 "카르길은 파키스탄의 (부족한) 그랜드 전략의 또 다른 예시이며, 인도와의 이전 전쟁의 어리석음을 반복했다"고 언급했다.[124][125][126]
3. 1. 영국령 인도 육군 분할과 인도와의 첫 번째 전쟁 (1947~1952)
파키스탄 육군은 1947년 8월 14일 파키스탄의 건국으로 이어진 인도 분할의 결과로 해체된 영국령 인도 육군의 분할을 통해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5] 분할 이전에도 영국령 인도 육군을 지역적 종교 및 민족적 영향을 바탕으로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계획이 있었다.[5]
1947년 6월 30일, 인도 영국 행정부의 전쟁부는 약 40만 명 규모의 영국령 인도 육군을 분할하는 계획을 시작했지만, 이는 인도 분할이 시작되기 불과 몇 주 전이었고, 이는 폭력적인 인도의 종교 폭력으로 이어졌다.[5] 영국 원수 클로드 오친렉 경이 의장을 맡은 무장력 재구성 위원회(AFRC)는 군사 자산을 인도와 파키스탄에 각각 2:1의 비율로 분배하는 공식을 고안했다.[24]
육군의 주요 분할은 약 26만 명의 병력을 인도 육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한 인도 공무원 찬둘랄 마드하브랄 트리베디 경이 감독했으며, 독립법이 1947년 8월 14/15일 밤에 영국에 의해 제정된 후 나머지는 파키스탄으로 넘어갔다.[5]
새로운 육군의 모든 계층에서 지휘와 통제가 매우 어려웠는데, 파키스탄은 6개의 장갑 연대, 8개의 포병 연대, 8개의 보병 연대를 받았지만, 인도는 12개의 장갑 연대, 40개의 포병 연대, 21개의 보병 연대를 받았다.[25] 전체적으로 새로운 육군의 규모는 약 15만 명 정도였다.[25] 새로운 육군의 지휘 직책 공석을 채우기 위해, 파키스탄 육군에는 약 13,500명의[5] 군 장교가 영국 육군에서 고용되어야 했는데, 이는 파키스탄 육군의 초대 총사령관인 프랭크 메세르비 중장 휘하에서 상당히 많은 숫자였다.[26]
1947년 10월, 인도가 카슈미르 주를 장악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무장한 부족과 비정규 민병대가 무슬림이 다수인 카슈미르 계곡에 진입하여 힌두교 신자이자 통치자인 하리 싱 카슈미르 마하라자의 통치에 반대했다.[27] 번왕국에 대한 통제를 유지하려던 하리 싱은 부족의 진격을 막기 위해 군대를 배치했지만, 그의 군대는 계곡으로 진격하는 부족을 막지 못했다.[28] 결국 하리 싱은 인도 총독 루이 마운트배튼에게 인도군을 배치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인도 정부는 하리 싱이 인도에 합의할 경우에만 군대를 투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8] 하리 싱은 결국 인도 정부의 조건에 동의했고, 이는 인도 육군의 카슈미르 배치로 이어졌지만, 이 합의는 카슈미르 주민의 국민 투표가 포함되지 않아 파키스탄 측에서 이의를 제기했다.[28] 민병대와 인도 육군 사이에 산발적인 교전이 발생했고, 아크바르 칸 소장 휘하의 파키스탄 육군 부대가 결국 인도 육군에 맞서 싸우는 민병대에 합류했다.[28]
1947년 파키스탄 총리 리아quat Ali Khan과의 내각 회의에서 부족의 침공에 반대했던 프랭크 메세르비 중장은 1947년 육군 지휘권을 떠났는데[29], 이는 인도와 파키스탄 육군의 영국 장교들이 전선에서 서로 싸울 것이라는 관점이었다.[31] 더글러스 그레이시 중장은 파키스탄 총독 무함마드 알리 진나의 육군 부대 배치에 대한 직접적인 명령을 어기고, 파키스탄 육군 부대가 분쟁에 더 이상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상시 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30]
1948년까지 인도 측이 파키스탄에 대규모 작전을 수행하려 한다는 것이 파키스탄 측에 절실해지자, 더글러스 그레이시 장군은 인도 육군에 맞선 분쟁에 육군 부대 배치를 반대하지 않았다.[30]
이러한 더글러스 그레이시 장군의 이전의 불복종은 결국 인도와 파키스탄이 국제 연합의 중재를 통해 타협에 이르도록 강요했으며, 파키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를, 인도는 동부 카슈미르를 통제하게 되었다.[31]
3. 2. 미국의 지원과 재편성 (1952~1958)
영국령 인도 제국의 분할 당시, 영국의 야전 원수 클로드 오친렉 경은 보병 사단을 파키스탄 육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선호했다. 여기에는 제7, 제8, 제9 사단이 포함되었다.[32] 1948년, 파키스탄 육군의 영국 육군 장교들은 제10, 제12 및 제14 보병 사단을 창설 및 증강했으며, 제14 사단은 동벵골에 창설되었다.[32] 1950년에는 미국 육군의 지원을 받아 제15 보병 사단이 증강되었고, 이후 시알코트에 제15 기병 연대가 창설되었다.[33] 파키스탄 육군은 파키스탄 정치인들에게 우려를 안겨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더욱 높였다.[33] 1950년부터 1954년까지 파키스탄 육군은 미국 육군의 지침에 따라 4기병, 제12 기병, 제15 기병 연대, 제20 기병 연대를 포함하여 6개의 장갑 연대를 더 증강했다.[33]
그레이시의 불복종 사건 이후, 파키스탄 육군의 국적 사령관을 임명해야 한다는 강력한 믿음이 있었고, 그 결과 파키스탄 정부는 1951년 그레이시 장군의 교체를 위해 영국 육군 위원회가 제시한 대안을 거부했다.[34] 결국, 총리 리아카트 알리 칸은 영국 제국 국방 대학을 졸업한 최초의 국적 참모총장으로 마지-겐. 이프티카르 칸의 승진을 승인했지만, 영국에서 파키스탄으로 가는 도중 항공 사고로 사망했다.[35]
마지-겐. 이프티카르가 사망한 후, 육군에는 4명의 선임 소장들이 승진 경쟁을 벌였지만, 승진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던 가장 후배인 마지-겐. 아유브 칸은 알리 칸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인 이스칸다르 미르자의 로비에 힘입어 승진했다.[36] 이는 파키스탄의 민간 총리가 여전히 실행하고 있는 편애와 자격에 기반한 임명의 전통이다.[36]
아유브 칸 장군 휘하의 육군 부서는 1954-56년에 파키스탄에 파견된 군사 지원 자문단에 따라 국내 산업으로부터 획득하는 대신, 미국에서 수입한 하드웨어에 대한 높은 집중과 의존을 육군의 요구로 이끌었다.[33] 1953년에는 제6 보병 사단이 증강되었고, 1956년에는 제6 사단이 해체되었으며, 미국 지원은 1개의 장갑 사단과 6개의 보병 사단에만 제공되었기 때문에 제9 보병 사단도 해체되었다.[33] 이 기간 동안 아유브 칸 장군은 한국 전쟁에서 미국 육군의 전투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육군 전투 여단을 기꺼이 제공했다.[37]
보고라 행정부에서 내각 장관으로 활동하면서, 아유브 칸 장군의 공정성은 파키스탄 정치인들에게 큰 의문을 제기했고, 파키스탄이 CENTO와 SEATO의 당사자가 되면서, 미국의 반공주의 활동이 공산주의의 확장에 대항하게 되면서 파키스탄의 국방 정책을 미국에 의존하도록 이끌었다.[38][39]
1956년에는 물탄에 제1 장갑 사단이 창설되었고, 이후 미국 육군 특수 부대의 감독하에 체라트에 특수 부대가 창설되었다.[32][40] 아유브 칸의 통제하에, 육군은 영국의 영향력을 제거했지만, 미국의 확장을 초청했고, 동벵골 연대를 동벵골, 프론티어 군 연대를 북부 파키스탄, 카슈미르 연대를 카슈미르, 프론티어 군단을 서부 파키스탄에서 재편성했다.[5] 해군-육군-공군 순으로 정해지던 서열은 육군-해군-공군 순으로 변경되었으며, 육군은 파키스탄 군의 구조에서 가장 선임의 병과가 되었다.[38]
1957년에는 제1 군단이 창설되었고, 본부는 펀자브에 위치했다.[32] 1956년에서 1958년 사이에 보병 및 전술 학교,[41] 포병 학교,[42] 병기 학교,[43] 장갑 학교,[44] 의무 학교, 공병 학교, 군수 학교, 항공 학교,[45] 그리고 다른 여러 학교와 훈련소가 미국의 참여 또는 불참여 하에 설립되었다.[38]
3. 3. 파키스탄의 군사 쿠데타와 인도와의 두 번째 전쟁 (1958~1969)
1953년 초, 파키스탄 육군은 법과 질서 회복을 위해 국가 정치에 개입하였다. 총독 말리크 굴람은 총리 하와자 나짐딘의 승인을 받아 펀자브 주지사 뭄타즈 다울타나를 해임하고 계엄령을 선포했으며, 중장 아잠 칸과 대령 라힘딘 칸이 라호르에서 종교적 소요를 진압했다.[46] 1954년, 군사 정보 부대는 입법 선거 기간 동안 동파키스탄에서 공산주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 보고서를 보냈다.[47] 선거 후, 총리 모하마드 알리 보그라는 총독 말리크 굴람의 승인을 받아 주지사 A. K. 파즐룰 하크를 해임하고 총독 통치를 선포했으며, 이스칸다르 미르자는 파키스탄 육군에 의존하여 동벵골의 통제와 안전을 관리했다.[47]
아유브 칸이 보그라 총리가 이끄는 재능부의 국방부 장관이 되면서 군대의 국가 정치 관여는 더욱 커졌고, 4개 주의 지위를 폐지하는 원 유닛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47] 주요 국방 자금 지원과 지출은 아유브 칸의 육군 부서와 공군 원수 아스가르 칸이 이끄는 공군 부서에만 집중되었고, 해군의 국가적 필요에는 우선 순위가 낮았다.[48]
1954년부터 1958년까지 아유브 칸은 여러 차례 복무 연장을 받았다.[49][50] 아유브 칸 휘하의 파키스탄 육군은 헌법 시행을 덜 지지했으며, 군대의 민간 통제가 확립되었고, 육군은 첫 번째 계엄령을 지지했다. 이스칸다르 미르자 대통령이 계엄령을 부과했지만, 육군은 2주 만에 미르자 대통령으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아유브 칸을 두 번째 대통령으로 임명했다.[47] 그 결과 무사 칸이 육군 사령관이 되었고, 아유브 칸은 원수 계급으로 승진했다.[51] 1969년, 대법원은 1958년의 계엄령의 유효성을 인정한 유죄 판결을 번복했다.[84]
육군은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정보국을 통해 정치 상황을 엄격하게 통제했으며, 국내 정치 활동을 금지했다.[52]
1961년부터 1962년까지 미국으로부터 파키스탄에 대한 군사 원조가 계속되었고, 제25 기병대를 창설한 데 이어 제24 기병대, 제22 기병대, 제23 기병대가 창설되었다.[33] 1960–61년, 육군 특수 부대는 디르 행정부의 통제권을 장악하는 데 관여했다.[53] 1964–65년, 국경 전투와 인도군과의 긴장이 카치 란 근처에서 고조되었고, 은밀한 작전이 실패하여 인도령 카슈미르를 장악하려 했으나, 1965년 8월 5일 인도군의 대규모 보복을 초래했다.[54] 1965년 9월 6일 밤, 인도는 파키스탄을 상대로 전선을 열었고, 인도군의 기갑 부대가 전진하여 파키스탄령 펀자브를 장악하여 라호르에 거의 도달했다.[59]
1965년 분쟁 당시, 파키스탄의 기계화 부대는 M4 셔먼, M24 채피, M36 잭슨, M47 및 M48 패튼 전차를 포함하여 미국에서 수입되었으며, 90mm포를 장착했다.[55] 반대로, 인도군의 장갑차는 M4 셔먼과 영국 센추리온 전차와 같은 구식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프랑스제 CN-75 포를 장착했다.[56]
파키스탄은 전차와 포병에서 수적 우위를 점하고 전반적으로 더 나은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57][58] 인도군은 파키스탄 국경 수비를 성공적으로 뚫고 라호르 외곽의 파키스탄 펀자브 영토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59][60][61] 차윈다에서 주요 전차전이 벌어졌고, 제1 기갑 사단이 인도군의 침공을 막을 수 있었다.[62] 결국, 인도군의 파키스탄 침공은 인도군이 부르키 근처에서 전투를 종결하면서 중단되었다.[61][63][64][65] 외교적 노력과 소련의 개입으로 아유브 행정부는 인도의 샤스트리 내각과 합의에 도달하여 타슈켄트 선언에 서명했다.[64][65]
미국 연방 연구 부서가 실시한 미국 의회 도서관 국가 연구에 따르면, 전쟁은 군사적으로 결정적이지 않았으며, 양측은 포로와 상대방에게 속한 일부 영토를 점령했다. 파키스탄 측에서는 20대의 항공기, 200대의 전차, 3,800명의 병력 등 비교적 많은 손실을 입었다. 대부분의 파키스탄인들은 "힌두 인도"에 의한 자국의 군사적 패배 가능성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대신 군사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실패를 아유브 칸과 그의 정부의 무능함으로 간주했다.[66]
휴전 선언 당시 중립 소식통에 따르면 인도의 사상자는 3,000명, 파키스탄의 사상자는 3,800명이었다.[67][68][69] 파키스탄은 분쟁 중에 200~300대의 전차를 잃었고, 인도는 약 150~190대의 전차를 잃었다.[70][71]
그러나 대부분의 중립적 평가에서는 휴전이 선언되었을 때 인도가 파키스탄보다 우세했다는 데 동의하지만,[72][73][74][75][76] 파키스탄에서는 전쟁에 대한 선전이 파키스탄 육군에 유리하게 계속되었다.[77] 인도군의 작전은 양측의 펀자브 지역으로 제한되었으며, 인도군은 주로 시알코트, 라호르 및 카슈미르 지역에 집중했고,[79][80] 파키스탄의 영토 획득은 주로 신드 맞은편 남부 사막과 북부 카슈미르 인근 춤 지역에서 이루어졌다.[79]
미국의 전쟁 관련 파키스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로 인해, 육군은 소련과 중국으로 눈을 돌려 하드웨어를 획득했으며, 보병 부족이 주요 역할을 했다고 정확하게 평가했다.[81] 1966–68년에 제9, 제16, 제17 보병 사단이 설립되었다.[81] 1966년, IV 군단이 창설되어 파키스탄 펀자브의 라호르에 본부를 두었다.[82]
육군은 국가의 시민 문제에 계속 관여했으며, 1969년 당시 육군 사령관이었던 야히아 칸 장군이 헌법의 명령을 폐지했을 때 두 번째 계엄령을 시행했고, 아유브 칸 대통령의 사임 후 국가의 시민 문제를 장악하여 서의 파키스탄 인민당과 동의 아와미 연맹에 의해 촉발된 대규모 노동 파업을 초래했다.[83]
파키스탄 대법원이 해결한 소송에서 계엄령의 적법성은 의문으로 간주되었고, 대법원은 헌법을 정지시킨 계엄령을 소급하여 무효화하고 야히아 칸의 권력 장악을 "불법 찬탈"이라고 판결했다.[84] 대법원의 판결에 비추어 육군은 공개 회의를 열었고, 야히아 칸 대통령은 1969–70년에 전국 총선을 치를 것이라고 발표했다.[84]
3. 4. 동파키스탄 억압, 내전, 인도와의 전쟁 (1969~1971)
1969년, 야흐야 칸 파키스탄 대통령은 압둘 하미드 칸 장군을 파키스탄 육군 참모총장(ACOS)으로 임명하여 육군에 행정적 변화를 주었다. 압둘 하미드 칸 장군은 본부에서 라왈핀디의 지휘 체계를 중앙 집권화했다.[85] 1967년부터 1969년까지, 인도와 국경을 접한 동파키스탄에서 보병 부대에 의한 일련의 주요 군사 훈련이 실시되었다.[86] 1970년, 파키스탄 육군의 요르단 주재 군사 임무는 팔레스타인 침투를 대처하고 억제하는 데 관여했다.[87]
1971년, 작전 탐조등으로 인해 정부 건물, 통신 센터가 점령되고 군사 통치에 반대하는 정치인들이 억압되면서 동파키스탄에 대한 개입이 더욱 심화되었다.[88] 야흐야 행정부는 육군이 동부에서 민간인에 대한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파키스탄의 시민 자유와 인권을 억압하도록 허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동부 사령부는 중장 A. A. K. 니아지가 지휘했으며, 동부 전선을 방어할 책임이 있었는데, 파키스탄의 현역 군 장교, 정치인, 언론인들로부터 동부의 정치적 폭력을 확대했다는 비난을 받았다.[90][91]
1970년 총선 이후, 육군은 파키스탄에서 이동과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면서 여러 주요 정치인, 언론인, 평화 운동가, 학생 운동가 및 시민 사회 구성원을 구금했다.[92] 동파키스탄에서 동부 군사 사령부는 1971년 4월에 인도의 지원을 받은 무장 민병대와 교전을 시작했고, 결국 1971년 12월에 인도 육군과 교전했다.[93] 육군은 해병대와 함께 양쪽 전선에서 지상 공세를 시작했지만 인도 육군은 성공적으로 지세를 유지했고 양쪽 전선에서 잘 조율된 지상 작전을 시작하여 처음에 파키스탄 영토 약 15008.91km2를 점령했다.[40] 이것은 아자드 카슈미르, 펀자브, 신드 지역에서 인도에 의해 획득된 토지였다.[40]
1971년 12월 16일 동부에서 인도 육군이 발표한 최후 통첩에 대응하여 니아지 중장은 패배를 인정하고 인도 육군과의 문서화된 항복에 서명하기로 동의하여 무장 저항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일방적으로 종식시키고 방글라데시의 창설로 이어졌으며, 이는 인도의 공식적인 참전이 13일간 지속된 후에 이루어졌다.[94] 동부 사령부는 93,000명~97,000명 가량의 군복을 입은 병력을 인도 육군에 항복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어떤 국가의 전쟁에서든 가장 큰 항복 규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95]
3. 5. 군사력 재건, 안정화, 복구 (1971~1977)
1972년 1월, 부토 행정부는 포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인도군에 억류된 전쟁 포로의 수를 조사하고, 파키스탄 대법원에 1971년 인도와의 전쟁 실패 원인을 조사하도록 요청했다.[105] 대법원은 전쟁 조사 위원회 (WEC)를 구성하여 육군 부서 내의 많은 실패, 균열 및 과실을 확인하고 전반적인 군대 강화를 위한 권고 사항을 제출했다.[5] 야히아 칸 행정부 하에서 육군은 사기가 매우 저하되었으며, 군단 주둔지와 라왈핀디 육군 GHQ에서 고위 육군 장교에 대한 병사들의 반란 보고가 확인되지 않았다.[105]
1971년 미국을 짧게 방문한 후 돌아온 부토 대통령은 "군벌" (문자 그대로 ''군벌'')이라고 불리는 7명의 고위 육군 장군을 강제로 불명예 제대시켰다.[98] 1972년, 굴 하산 중장 휘하의 육군 지도부는 카라치 노동 파업을 처리하고 카라치 노동조합 지도자를 구금하라는 부토 행정부의 명령에 따르지 않고 대신 경찰청을 사용하여 조치를 취하도록 연방 정부에 조언했다.[105]
1972년 3월 2일, 부토 대통령은 중장 굴 하산을 육군 사령관에서 해임하고, 티카 칸 중장을 별 4개 계급으로 승진시켜 초대 참모총장 (COAS)으로 임명했다.[105] 부토 행정부 하의 육군은 구조적으로 재건되어 전투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1974년 펀자브에 제10 군단, 1975년에 신드에 제5 군단, 카이베르파크툰크와에 제11 군단을 설립하여 재편성되었다.[99] 3자 협정에서 부토 행정부는 모든 전쟁 포로를 자국으로 돌려보냈지만, 군대는 PTSD 및 기타 정신 건강 합병증으로 고통받는 일부로 인해 공석 및 고용을 채우기 위해 고군분투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더 이상 군대에서 복무하고 싶어하지 않았다.[105] 부토 행정부 동안 파키스탄 군대는 무기 생산에서 더 큰 자립 정책을 추구했다. 여기에는 무기 및 군사 장비를 제조하기 위한 국내 역량 개발 노력이 포함되었다. 물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키스탄은 필수 금속 및 재료 산업을 구축하기 위해 중국에 협력을 요청했다.[100]
1973년, 부토 행정부는 발루치스탄의 주 정부를 해산하여, 1977년에 끝난 국가 최대 규모의 주에서 일련의 군사 작전을 정점으로 하는 또 다른 분리주의 운동을 초래했다.[101] 항공대에 벨 AH-1 코브라를 이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란으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으면서,[101] 분쟁은 1980년대에 파키스탄 정부가 분리주의자들에게 일반적인 사면을 제공하면서 종식되었다.[102][101] 발루치 분쟁 문제와 관련하여 파키스탄 군은 1979년 반군이 패배할 때까지 오만 정부를 지지하며 오만 내전에 계속 참여했다.[103]
전쟁 조사 위원회는 1965년 전쟁, 1971년 전쟁 동안 군대의 네 부서 간의 공동 대 전략이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합동 참모 위원회를 설립하고, 정부의 주요 군사 고문으로 임명된 의장이 의장을 맡아 부대 간 및 연방 정부 간의 전략적 군사 통신을 유지할 것을 권고했다.[104] 1976년, 첫 번째 합동 참모 의장은 육군에서 임명되어 샤리프 장군이 의장을 맡았지만 1년 후 사임했다.[104] 1975년, 줄피카르 알리 부토 총리는 자질 논란에도 불구하고, 연방 정부에 전달된 육군의 권고를 무시하고 지아울하크 중장을 별 4개 계급으로 진급시켜 참모총장 (COAS)으로 임명하기 위해 적어도 7명의 고위 육군 장군을 제쳤다.[105]
1970년대에 육군의 공병 부대, 특히 공병대는 1977~78년에 비밀리에 핵무기 시험장에 강철 터널을 건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비밀 원자탄 프로그램의 패리티와 실행 가능성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06]
PAF과 해군의 전투기 조종사들은 욤 키푸르 전쟁 (1973년)에서 이스라엘에 맞서 아랍 국가 군대에서 자원 봉사했다. 현대 파키스탄 자료에 따르면, 1974년에 파키스탄 공군 조종사 중 한 명인 사타르 알비 소령은 MiG-21을 조종하여 M. 루츠 대위가 조종하는 이스라엘 공군 미라지를 격추했고, 시리아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107][108][109] 이스라엘 조종사는 이후 탈출 과정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 그러나 당시 주요 자료에서는 그러한 사건에 대해 보고하지 않았으며,[110][111][112] 이스라엘 국방부의 전쟁 사망자 기록에는 "루츠 대위"에 대한 언급이 없다.[113]
3. 6. 중동 작전, 평화유지군 파견, 비밀 작전 (1977~1999)
1977년 보수 연합이 총선에서 파키스탄 인민당(PPP)을 지지하는 투표율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면서 파키스탄의 정치적 불안정성은 심화되었다.[105] 지아울하크 장군 지휘 하의 육군은 줄피카르 부토 총리의 쿠데타를 계획, 쿠데타를 일으켜 헌법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이는 야당 지도자 중 한 명이 또 다른 내전을 촉발하겠다고 위협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105] 군의 민간 문제 개입은 계엄령이 90일 내 선거를 치르겠다는 약속에도 불구하고 무기한 연장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105] 사우디 왕실의 요청에 따라 지아 행정부는 특수 부대를 파견하여 메카 대사원의 점거를 이슬람주의자들로부터 해방시켰다.[114]
대통령 지아 치하의 육군은 육군 장교들이 민간 정부 업무를 수행해야 했고, 지아 행정부의 공산주의자, 반체제 인사, 반대자들을 재판했던 논란이 많은 군사 법원 때문에 약화되었다.[105] 1984-85년에 파키스탄은 인도 육군의 성공적인 원정 및 침투로 북부 빙하 통제권을 상실, 육군은 수년간의 어려운 전투를 벌여야 했다.[105] 1984년, 북부 전선에서 인도 육군의 추가 진격을 막기 위한 군 인력 필요 우려에 따라, 지아 대통령직 승인 및 1985년 총선을 위한 국민투표 이후 계엄령이 해제되었다.[105] 육군 행정부 하의 군사 통제는 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의 대규모 불법 이민에도 불구, 발루치스탄의 법과 질서를 안정화시키고 분리주의자와 반군에게 일반 사면령을 발부했다.[115] 아프가니스탄 봉쇄 및 안보 문제 해결을 위해, 육군은 1985년 제12 군단을 창설, 퀘타에 영구 주둔시켰다.
1985년, 무자헤딘의 아프가니스탄 내 소련 교전 증가 및 격화로 소련군이 파키스탄 부족 지역에서 반군을 공격, 침략하자 미국은 파키스탄에 40.2억달러 규모의 군사 원조를 승인했다.[105] 1986년, 인도 육군 상비군이 파키스탄 남부 국경에서 전투 위치로 동원되어 사전 통보 없이 훈련을 실시, 인도와의 긴장이 고조되었다.[105] 1987-88년, 펀자브 북부 주둔 제30 군단과 펀자브 남부 주둔 제31 군단이 창설되어 인도군 침투에 대비했다.[82]
지아 대통령의 사망을 초래한 항공 사고 이후, 육군은 파키스탄 공군과 함께 대규모 군사 훈련을 조직, 무기 체계 평가 및 작전 준비 태세를 점검했다.[105][117] 1980년대, 파키스탄 육군은 중동 문제에 관여, 이란-이라크 전쟁 중 1980-1988년 사우디 아라비아에 배치되었고, 1990-91년 걸프 전쟁 동안 작전 지원 및 전투 행위를 감독했다.[5]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육군은 소말리아 전선(1991–94), 보스니아-세르비아 전쟁(1994년부터 1998년까지 보스니아 측),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유엔 파견의 일환으로 전문성을 발휘했다.[119][120] 1998년, 육군 공병대는 발루치스탄에서 핵무기 시험 군사 행정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공군 폭격기가 핵 장치를 수송했다.[121] 샤리프 행정부의 제항기르 카라마트 장군 해임으로 1999년 페르베즈 무샤라프 소장이 합동 참모 의장 및 육군 참모총장으로 교체되면서 문민 통제 균형이 깨졌다.[122]
1999년 5월, 길기트 주둔 북부 경보병 부대가 카르길로 침투, 인도 육군과의 국경 전투로 이어져 양측에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했다.[123] 인도와의 국경 전쟁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이 계획으로, 합동 참모 의장 페르베즈 무샤라프 장군(당시 육군 참모총장) 휘하 육군은 전투 수행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1965년 이전 계획과 유사한 결과를 겪었다. 미국 군사 참관인들은 "카르길은 파키스탄의 (부족한) 그랜드 전략의 또 다른 예시이며, 인도와의 이전 전쟁의 어리석음을 반복했다"고 언급했다.[124][125][126]
북부 경보병은 훌륭한 활약 후 파키스탄 대통령에 의해 정규 육군 연대로 지정, 1999년 육군 장교 및 사병이 되었다.[127]
4. 조직
테러 공격 이후, 파키스탄 육군은 미국과 함께 아프가니스탄 전투에 참여했고, 2001-02년에는 인도 육군과의 군사적 대치에도 관여했다.[128] 2004-06년에는 내전 종식을 위해 타밀 전사들과 전쟁을 벌이는 스리랑카 육군을 지도하기 위해 육군 군사 옵저버가 파견되기도 했다.[128]
2004–07년 정부 위기 동안, 무샤라프 행정부는 육군 장교들을 민간 기관에 임명하여 육군의 전투 능력이 저하되기도 했다.[129] 무샤라프 장군 지휘 하에, 광신적인 탈레반 및 아프간 아랍 전사들과의 전투에서 육군은 부족 지역 통제권 확보에 심각한 실패를 겪었다.[129]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육군은 피비린내 나는 전투를 벌였고, 종교적 광신주의를 통제하기 위한 육군 작전을 수행했다.[129] 또한 발로치 정치인의 암살로 인해 발로치 분리주의자들과도 전투를 벌여야 했다.[129]
2007년 4월, 아산 S. 하얏 장군의 지휘 하에 육군 지휘부에 대한 주요 개편이 이루어졌고, 남부, 중부, 북부 사령부가 설립되었다. 무샤라프 장군의 사임과 키야니 장군의 육군 참모총장 취임 이후, 육군은 전투 정책을 재검토하고 민간 기관에 있던 장교들을 철수시켜 헌법적 임무에 집중했다.[129][130] 2012년에는 북부 경보병의 한 대대가 눈사태로 시아첸에 있는 대대 기지가 덮쳐 135명의 군인과 여러 육군 장교를 포함한 심각한 사고가 발생했다.[131]
2013–16년, 자생적 극우 게릴라전은 탈레반 등과 함께 샤리프 행정부 하에서 육군에게 결정적인 전환점을 맞이하여 국가를 통제하고 법이 무시되는 지역에 헌법의 권위를 확립했다.[132] 2019년 현재 육군은 인도 육군과의 국경 전투에 계속 참여하고 있으며, 사우디 아라비아에 전투 타격 여단을 배치하여 예멘 사우디 개입에 대응하고 있다.[133]
1947년 창설 이후, 파키스탄 육군의 기능은 전투 병과와 행정 지원 부서로 유지되고 있다. 1947년부터 1971년까지 파키스탄 육군은 영국이 건설한 요새를 유지하는 책임을 맡았으며, 1971년 이후 새로운 현대식 주둔지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공병 및 건설과 같은 비전투 임무를 수행했다.
현재 육군의 전투 부서는 예비군, 국가 방위군 및 준군사 조직인 민간 무장 부대의 구성원으로 활동하는 현역 인력과 예비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론티어 군단과 파키스탄 레인저스는 종종 파키스탄 지방 정부를 위해 군사 경찰 임무를 수행한다.
육군의 전투 병과와 행정 지원 부서는 육군 장교, 준사관 및 사병을 포함하는 여러 부서로 구성된다. 파키스탄 육군에서 경력은 군 관계자뿐만 아니라 민간 인력 및 계약자에게도 확대된다.
병과 | 휘장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행정 지원 부서 | 휘장 |
---|---|---|---|---|
기갑 군단 (AC)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군수 군단 (ASC) | ||
방공 (AD)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헌병 (MP) | ||
항공 군단 (AVN)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전기 및 기계 공병대 (EME) | ||
포병 군단 (ARTY)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의무 (AMC) | ![]() | |
통신 군단 (SIGS)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교육 (AEC) | ||
공병대 (ENG)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재사육 수의 및 농장 (RVFC) | ||
보병 연대 (INF) | ![]() ![]() ![]() ![]() ![]() ![]()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병기 (ORD) | |
특수 부대 (SSG) | style="background:#FF2400; color:white;"| | 군사 정보 (MI) |
2008년 현역 육군의 재편성으로 파키스탄 육군은 현재 6개의 전술 사령부를 운영하며, 각 사령부는 사령관 (GOC-in-C)이 지휘하며, 3성 장군(중장)의 계급을 가진다.[99] 6개의 전술 사령부는 각각 참모총장 직속으로 육군 본부에서 직접 운영된다.[99] 각 사령부는 2개 이상의 군단으로 구성되며, 군단은 사령부 구역 내 구역을 담당한다.[136]
파키스탄 육군에는 9개의 현역 군단이 있으며, 보병, 기계화, 기갑, 포병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공, 항공 및 특수 부대는 별도의 사령부 수준에서 조직되고 유지된다.[136]
2000년 3월에 설립된 육군 전략군 사령부는 안전, 무기 배치 및 원자 미사일 시스템 활성화에 대한 훈련을 담당한다.[166]
인도 육군의 대규모 침공으로 파키스탄 측 펀자브 지역을 향해 진격하는 상황에서, 파키스탄 육군은 "파키스탄 육군 예비군"을 전략적인 예비 전력으로 유지한다.[167]
1947년 창설 이후 파키스탄 육군은 영국의 연대 제도를 따랐으며, 현재 6개의 보병 연대가 있다.[168] 보병 병과에는 6개의 연대가 있으며, 실제로는 전투 부대가 아닌 행정 군사 조직이다. 연대의 규모는 군사적 지원을 포함한 순환 및 배치에 따라 다르며, 연방 정부의 민간 행정을 지원한다.[169] 각 연대에는 여러 대대가 있으며, 이러한 대대는 여단 전투단 (준장 지휘), 사단, 군단의 일부가 되면서 다양한 부대에 배치되므로 하나의 부대로 함께 싸우지 않는다.[170]
1947년 독립 후, 파키스탄 육군은 미국 육군의 보병 병과의 상설 부대를 따르기 시작했으며, 보병 대대는 다른 지휘 구역으로 배치되기 전에 일정 기간 동안 다른 지휘 구역에서 복무한다.[170]
선임 연대 | 휘장 | 창설일 | 연대 센터 지휘 | 모토 | 군호 |
---|---|---|---|---|---|
펀자브 연대 | ![]() | 1759 | 마르단,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 우르두어: نارا-یا-حیدری یا علی (영어: Ali the Great) | |
발로치 연대 | 1798 | 아보타바드,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 ((영어: Honoured or Martyr)) | (영어: Of the Baloch) | |
프론티어 군단 연대 | ![]() | 1843 | 아보타바드,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 ((영어: Lucky'') | |
노던 라이트 보병 연대 | -- | 1913 | 길기트, 길기트 발티스탄 | ((영어: Consistent) | |
아자드 카슈미르 연대 | -- | 1947 | 만사르, 펀자브 | ||
신드 연대 | -- | 1980 | 하이데라바드, 신드 |
파키스탄 육군은 1956년 미국 육군의 지침에 따라 비정규전 및 비대칭전 작전을 수행하는 부서를 가지고 있다.[172] 특수 부대 (육군 SSG)는 8개의 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령이 지휘하며, 소령 또는 대위가 지휘하는 3개의 중대가 추가된다.[173]
특수 작전 부대 훈련 학교는 파키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의 체라트에 위치해 있으며, 육군 교관에 의해 군사 예술 및 전술 철학에 대한 훈련과 교육이 이루어진다.[173]
파키스탄 육군 특수 부대의 각 대대는 특정 유형의 작전을 위해 특별히 훈련을 받으며, 각 대대는 작전 수행에 있어 전문가이다.[173] 육군 SSG는 '''마룬 베레'''로 알려져 있다.[173]
육군 특수 부대 (SSG) 외에도 파키스탄 육군은 대테러 전술에 특화된 레인저 부대를 훈련시켰다. 이 레인저는 복잡한 대테러 작전을 처리하고 신드 및 펀자브 정부가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74]
4. 1. 지휘 통제 구조
파키스탄 육군의 지휘는 국방부 장관이 담당하며, 국방부의 육군 사무국-I 소속 국방 차관이 행정 업무를 지원한다.[134]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총사령관 역할을, 총리는 최고경영자 역할을 수행한다.[135] 4성 장군 계급의 육군 참모총장은 합동참모본부 의장 및 국방부 차관 산하 최고 장성이며, 원정 및 육상/지상전 관련 주요 군사 고문이다. 또한 총리와 행정 내각에 국가 안보 및 작전 관련 조언을 제공하는 합동참모본부의 선임 위원이기도 하다. 이는 합동참모본부 의장의 지휘를 받는다.[136]육군 GHQ는 파키스탄 펀자브 주 라왈핀디 주둔지에 있으며, 합동 참모 본부와 인접해 있다.[136] 육군 참모총장은 3성 장군인 주요 참모 장교(PSO)들의 지원을 받아 육군을 지휘한다.[136]
육군 참모총장 지휘 하의 육군 GHQ 군사 행정 조직은 다음과 같다.
- 참모차장: 군사 작전 및 정보국 지휘[136]
- 군수 참모차장[136]
- 병참참모장 (QMG)[136]
- 군수참모총장 (MGO)[136]
- 공병참모장: 육군 수석 기술자 겸 측량가[136]
- 법무감[136]
- 군사 서기[136]
- 민간 인력 감사관[136]
2008년 아쉬파크 페르베즈 카야니 장군 시절, 육군 GHQ에 무기 감찰관과 통신 및 IT 감찰관 등 두 개의 PSO 직책이 신설되었다.[137]
육군은 파키스탄 영토 방어를 위해 세 개의 지역별 지휘 체계로 나뉜다.[99] 각 사령부는 3성 장군(중장) 계급의 사령관 (GOC-in-C)이 지휘하며, 참모총장 직속 육군 본부에서 직접 운영된다.[99] 각 사령부는 2개 이상의 군단으로 구성되며, 군단은 사령부 구역 내 구역을 담당한다.[136]
파키스탄 육군은 9개의 현역 군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병, 기계화, 기갑, 포병 사단으로 구성된다. 방공, 항공 및 특수 부대는 별도 사령부에서 조직 및 유지된다.[136]
2000년 3월 설립된 육군 전략군 사령부는 안전, 무기 배치, 원자 미사일 시스템 활성화 관련 훈련을 담당한다.[166]
4. 2. 병력 구성
파키스탄 육군의 병력 구성은 다양한 계급과 역할을 가진 인원들로 이루어져 있다.장교파키스탄 육군의 장교 계급은 영국 육군의 장교 계급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138] 장교가 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카쿨에 있는 파키스탄 군사 학교를 졸업하거나, 4년제 대학교 학위를 취득한 후 시험을 거쳐 임관할 수 있다. 대학원 졸업자인 의사, 수의사, 엔지니어 등은 의무대, 수의대, 공병대 등 행정 참모 부대에 직접 채용되기도 한다.[139]
장교 선발 경쟁은 매우 치열하며, 매년 320~700명 정도만이 파키스탄 군사 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139]
계급 | 야전 원수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소위 | 부소위 |
---|---|---|---|---|---|---|---|---|---|---|---|
약어 | FM | Gen. | Lt-Gen. | Maj-Gen. | Brig. | Col. | Lt-Col. | Maj. | Capt. | Lt. | 2nd-Lt. |
NATO 코드 | OF-10 | OF-9 | OF-8 | OF-7 | OF-6 | OF-5 | OF-4 | OF-3 | OF-2 | OF-1 | OF-1 |
준사관/준위준사관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로서, 병사 계급에서 진급하여 임명된다. 이들은 미국 육군의 준위 또는 제한 임무 장교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보병/기타 명칭 | 수베다르 메이저 | 수베다르 | 나이브 수베다르 |
---|---|---|---|
기병/갑옷 명칭 | 리살다르 메이저 | 리살다르 | 나이브 리살다르 |
부사관 및 사병부사관은 오른쪽 소매에 연대 색상의 V자형 견장을 착용한다.[139] 사병은 18~20년 복무 후 퇴역하거나 위관급 장교가 될 수 있다.[139]
직책 | 대대 하빌다르 메이저/연대 다파다르 메이저 | 대대 쿼터마스터 하빌다르/연대 쿼터마스터 다파다르 | 중대 하빌다르 메이저/중대 다파다르 메이저 | 중대 쿼터마스터 하빌다르/중대 쿼터마스터 다파다르 | 하빌다르/다파다르 | 나이크/랜스 다파다르 | 랜스 나이크/대리 랜스 다파다르 | 세포이/소와르 | 해당 없음 |
---|---|---|---|---|---|---|---|---|---|
약어 | BHM/RDM | BQMH/RQD | CHM/SDM | CQMH/SQD | Hav/Dfdr | Nk/L Dfdr | L/Nk/Actg L/Dfdr | Sep/Swr | NE |
NATO 코드 | OR-9 | OR-8 | OR-7 | OR-6 | OR-5 | OR-4 | OR-3 | OR-2 | OR-1 |
여군
여군은 1947년부터 파키스탄 육군에서 복무해 왔으며, 주로 의무, 복지, 서기 업무를 담당했다.[145][146] 여성 장교는 파키스탄 육군사관학교에서 6개월간 군사 훈련을 받는다.[148] 파키스탄은 여성을 장성 계급으로 임명하는 유일한 무슬림 다수 국가이다.[149]
종교적 다양성파키스탄 육군은 힌두교도, 시크교도, 조로아스터교도, 기독교도 등 다양한 종교를 가진 사람들을 징집한다.[154]
4. 3. 장비
파키스탄 육군의 장비 및 무기 시스템은 현지 무기 산업에서 개발 및 제조되며, 최신 무기는 중국, 튀르키예, 영국, 미국, 프랑스 및 기타 유럽 연합 국가에서 수입되었다.[5]중공업 타킬라(HIT), 파키스탄 병기 공장(POF), 국립 무선 통신 공사(National Radio & Telecommunication Corporation, NRTC) 및 파키스탄 항공 우주 단지(PAC)는 육군의 주요 방위 계약업체이다.[158] 산업체 GIDS 또한 드론 및 기타 방위 장비의 주요 제조업체로 부상했다.
중공업 타킬라(HIT)는 중국 및 우크라이나와 협력하여 주력 전차 (MBT)를 설계 및 제조하는 반면, 육군의 화기 및 표준 소총은 파키스탄 병기 공장(POF)에서 라이센스 생산된다.[158] 중국과의 협력 및 파키스탄 육군에 대한 추가 지원은 주력 전차의 설계, 차량 제작 및 재료 제조에 매우 중요하다.[159] 육군의 표준 소총은 독일에서 설계하고 파키스탄 병기 공장(POF)에서 제조한 코흐 G3P4이다.[158]
종류 | 사진 | 설명 |
---|---|---|
탄약 및 폭발물 | -- | 파키스탄 병기 공장(Pakistan Ordnance Factories)에서 생산 |
MBT | -- | 타킬라의 중공업 타킬라(HIT)에서 설계 및 제작된 알 칼리드 |
MANPAD | -- | 카후타 연구소(KRL)에서 설계 및 제작된 안자 |
5. 군사 철학
파키스탄 육군의 군사 철학은 1947년 창설 이후 여러 변화를 겪었다. 1989년 자르브-에-모민 훈련을 통해 처음 공식화된 "공세적 방어" 전략은 인도 육군과의 전면전을 상정하고, 제한적인 반격을 통해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79]
이 전략은 국제 국경에 인접한 파키스탄 인구 밀집 지역과 주요 군사 목표물의 취약성을 고려하여, 인도 육군의 대규모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전투 범위 하트-IA/하트-IB 미사일 가동과 국가 방위군 및 민간 무장 세력의 지원을 받는 예비군 배치를 포함했다.[178] 또한, 3~4주간의 전투 후 국제적 압력으로 인한 휴전 이후 인도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인도 영토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79]
그러나 1999년 "공세적 방어" 전략의 실패 이후, 2013년 위협 매트릭스라는 새로운 전투 교리가 공개되었다.[180] 이는 파키스탄이 서부 국경을 따라 집중된 내부 위협에 직면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군의 작전 우선순위를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국가에 대한 실존적 및 비실존적 위협을 모두 다루었다.[180]
이러한 전략 변화에 따라, 파키스탄군은 아즘-에-나우 훈련이라는 연합 군사 훈련을 통해 전술, 절차, 기술을 평가하고 육군, 공군, 해군 3군이 참여하는 합동 작전 전략을 모색했다.[181]
5. 1. 전투 교리 (1947–2007)
영국령 인도 제국의 분할 당시, 영국 야전 원수 클로드 오친렉 경은 보병 사단을 파키스탄 육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선호했다.[32] 1948년, 파키스탄 육군의 영국 육군 장교들은 제10, 제12, 제14 보병 사단을 창설 및 증강했으며, 제14 사단은 동벵골에 창설되었다.[32] 1950년에는 미국 육군의 지원을 받아 제15 보병 사단이 증강되었고, 이후 시알코트에 제15 기병 연대가 창설되었다.[33] 파키스탄 육군은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더욱 높였다.[33] 1950년부터 1954년까지 파키스탄 육군은 미국 육군의 지침에 따라 4기병, 제12 기병, 제15 기병 연대, 제20 기병 연대를 포함하여 6개의 장갑 연대를 더 증강했다.[33]파키스탄 정부는 1951년 그레이시 장군의 교체를 위해 영국 육군 위원회가 제시한 대안을 거부했다.[34] 총리 리아카트 알리 칸은 영국 제국 국방 대학을 졸업한 최초의 국적 참모총장으로 마지-겐. 이프티카르 칸의 승진을 승인했지만, 영국에서 파키스탄으로 가는 도중 항공 사고로 사망했다.[35]
마지-겐. 이프티카르가 사망한 후, 가장 후배인 아유브 칸이 알리 칸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인 이스칸다르 미르자의 로비에 힘입어 승진했다.[36]
아유브 칸 장군 휘하의 육군 부서는 1954-56년에 파키스탄에 파견된 군사 지원 자문단에 따라 미국에서 수입한 하드웨어에 대한 높은 집중과 의존을 육군의 요구로 이끌었다.[33] 1953년에는 제6 보병 사단이 증강되었고, 1956년에는 제6 사단과 제9 보병 사단이 해체되었다.[33] 이 기간 동안 아유브 칸 장군은 한국 전쟁에서 미국 육군의 전투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육군 전투 여단을 기꺼이 제공했다.[37]
보고라 행정부에서 내각 장관으로 활동하면서, 아유브 칸 장군은 파키스탄이 CENTO와 SEATO의 당사자가 되면서, 미국의 반공주의 활동이 공산주의의 확장에 대항하게 되면서 파키스탄의 국방 정책을 미국에 의존하도록 이끌었다.[38][39]
1956년에는 물탄에 제1 장갑 사단이 창설되었고, 이후 미국 육군 특수 부대의 감독하에 체라트에 특수 부대가 창설되었다.[32][40] 아유브 칸의 통제하에, 육군은 영국의 영향력을 제거했지만, 미국의 확장을 초청했다.[5] 해군-육군-공군 순으로 정해지던 서열은 육군-해군-공군 순으로 변경되었으며, 육군은 파키스탄 군의 구조에서 가장 선임의 병과가 되었다.[38]
1957년에는 제1 군단이 창설되었고, 본부는 펀자브에 위치했다.[32] 1956년에서 1958년 사이에 보병 및 전술 학교,[41] 포병 학교,[42] 병기 학교,[43] 장갑 학교,[44] 의무 학교, 공병 학교, 군수 학교, 항공 학교,[45] 그리고 다른 여러 학교와 훈련소가 미국의 참여 또는 불참여 하에 설립되었다.[38]




1953년 초, 파키스탄 육군은 법과 질서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 국가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다. 총독 말리크 굴람 무함마드는 총리 하와자 나짐딘의 승인을 받아 파키스탄 펀자브에서 계엄령을 선포했다. 중장 아잠 칸과 대령 라힘딘 칸이 라호르에서 성공적으로 종교적 소요를 진압했다.[46] 1954년, 파키스탄 육군의 군사 정보 부대는 입법 선거 기간 동안 동파키스탄에서 공산주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 보고서를 보냈다.[47] 선거 후 두 달 만에 총리 모하마드 알리 보그라는 총독 말리크 굴람의 승인을 받아 파키스탄 동벵골에서 총독 통치를 선포했으며, 이스칸다르 미르자는 파키스탄 육군에 의존하여 동벵골의 모든 지휘 계층에서 통제와 안전을 관리했다.[47] 아유브 칸이 보그라 총리가 이끄는 재능부의 국방부 장관이 되면서 군대의 국가 정치 관여는 더욱 커졌다.[47] 주요 국방 자금 지원과 지출은 아유브 칸의 육군 부서와 공군 원수 아스가르 칸이 이끄는 공군 부서에만 집중되었고, 해군의 국가적 필요에는 우선 순위가 낮았다.[48]
1954년부터 1958년까지 아유브 칸은 여러 차례의 복무 연장을 받았다.[49][50]
아유브 칸 휘하의 파키스탄 육군은 초안의 파키스탄 헌법 시행을 덜 지지했으며, 이로 인해 군대의 민간 통제가 확립되었고, 육군은 첫 번째 계엄령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지원하게 되었다. 이스칸다르 미르자 대통령이 부과한 계엄령이었지만, 육군은 불과 2주 만에 미르자 대통령으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아유브 칸을 두 번째 대통령으로 임명했다.[47] 그 결과 무사 칸이 육군 사령관이 되었고, 아유브 칸은 원수 계급으로 승진했다.[51] 1969년, 대법원은 결정을 뒤집고 1958년의 계엄령의 유효성을 인정한 유죄 판결을 번복했다.[84]
육군은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정보국을 통해 정치 상황을 엄격하게 통제했으며, 국내 정치 활동을 금지했다.[52]
1961년부터 1962년까지 미국으로부터 파키스탄에 대한 군사 원조가 계속되었고, 제25 기병대를 창설한 데 이어 제24 기병대, 제22 기병대, 제23 기병대가 창설되었다.[33] 1960–61년, 육군 특수 부대는 디르 행정부의 통제권을 장악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53] 1964–65년, 국경 전투와 인도군과의 긴장이 카치 란 근처에서 심각한 사건과 함께 고조되었고, 그 후 은밀한 작전이 실패하여 인도령 카슈미르를 장악하려 했으나, 1965년 8월 5일 인도군의 대규모 보복을 초래했다.[54] 1965년 9월 6일 밤, 인도는 파키스탄을 상대로 전선을 열었고, 인도군의 기갑 부대가 전진하여 파키스탄령 펀자브를 장악하여 라호르에 거의 도달했다.[59] 1965년 분쟁 당시, 파키스탄의 무기고와 기계화 부대의 하드웨어는 M4 셔먼, M24 채피, M36 잭슨, M47 및 M48 패튼 전차를 포함하여 미국에서 수입되었으며, 90mm포를 장착했다.[55] 반대로, 인도군의 장갑차는 한국 전쟁에 사용된 미국 M4 셔먼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생산된 영국 센추리온 전차와 같은 구식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프랑스제 CN-75 포를 장착했다.[56]
파키스탄은 전차와 포병에서 수적 우위를 점하고 전반적으로 더 나은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57][58] 인도군은 파키스탄 국경 수비를 성공적으로 뚫고 라호르 외곽의 파키스탄 펀자브 영토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59][60][61] 차윈다에서 주요 전차전이 벌어졌고, 새로 창설된 제1 기갑 사단이 인도군의 침공을 막을 수 있었다.[62] 결국, 인도군의 파키스탄 침공은 인도군이 부르키 근처에서 전투를 종결하면서 중단되었다.[61][63][64][65] 외교적 노력과 소련의 개입으로 아유브 행정부는 인도의 샤스트리 내각과 합의에 도달하여 양국 정부가 타슈켄트 선언에 서명하고 비준했다.[64][65]
휴전 선언 당시 중립 소식통에 따르면 인도의 사상자는 3,000명, 파키스탄의 사상자는 3,800명이었다.[67][68][69] 파키스탄은 분쟁 중에 200~300대의 전차를 잃었고, 인도는 약 150~190대의 전차를 잃었다.[70][71]
그러나 대부분의 중립적 평가에서는 휴전이 선언되었을 때 인도가 파키스탄보다 우세했다는 데 동의하지만,[72][73][74][75][76] 파키스탄에서는 전쟁에 대한 선전이 파키스탄 육군에 유리하게 계속되었다.[77] 전쟁은 파키스탄에서 합리적으로 분석되지 않았고, 대부분의 비난이 지도부에 쏟아졌으며, 1971년 인도와의 3차 전쟁의 실패까지 지속된 정보 실패에 대한 중요성은 거의 부여되지 않았다.[78] 인도군의 작전은 양측의 펀자브 지역으로 제한되었으며, 인도군은 주로 비옥한 시알코트, 라호르 및 카슈미르 지역에 집중했고,[79][80] 파키스탄의 영토 획득은 주로 신드 맞은편 남부 사막과 북부 카슈미르 인근 춤 지역에서 이루어졌다.[79]
미국의 전쟁 관련 파키스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로 인해, 육군은 대신 소련과 중국으로 눈을 돌려 하드웨어를 획득했으며, 파키스탄 장갑의 설득력 있는 물질적 및 기술적 우위를 인도군에 대한 주요 작전 또는 전략적 성공으로 전환하는 데 보병 부족이 주요 역할을 했다고 정확하게 평가했다.[81] 궁극적으로, 육군의 고위 사령부는 1966–68년에 제9, 제16, 제17 보병 사단을 설립했다.[81] 1966년, IV 군단이 창설되어 본부가 파키스탄 펀자브의 라호르에 영구적으로 주둔했다.[82]
육군은 국가의 시민 문제에 계속 관여했으며, 결국 1969년 당시 육군 사령관이었던 야히아 칸 장군이 헌법의 명령을 폐지했을 때 두 번째 계엄령을 시행했고, 아유브 칸 대통령의 사임 후 국가의 시민 문제를 장악했다.[83]
파키스탄 대법원이 해결한 소송에서 계엄령의 적법성은 의문으로 간주되었고, 대법원은 헌법을 정지시킨 계엄령을 소급하여 무효화하고 야히아 칸의 권력 장악을 "불법 찬탈"이라고 판결하여 소송을 해결했다.[84] 대법원의 판결에 비추어 육군은 공개적으로 텔레비전으로 회의를 열었고, 야히아 칸 대통령은 1969–70년에 전국 총선을 치를 것이라고 발표했다.[84]
1969년, 파키스탄 대통령 야흐야 칸은 압둘 하미드 칸 장군을 파키스탄 육군의 참모총장(ACOS)으로 임명하여 육군에 행정적 변화를 주기로 결정했다. 압둘 하미드 칸 장군은 "고위 사령부"로 알려진 본부에서 라왈핀디의 지휘 체계를 중앙 집권화했다.[85] 1967년부터 1969년까지, 인도와 국경을 접한 동파키스탄에서 보병 부대에 의한 일련의 주요 군사 훈련이 실시되었다.[86] 1970년, 파키스탄 육군의 요르단 주재 군사 임무는 팔레스타인 침투를 대처하고 억제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87] 1971년 6월, 육군 징병으로 인해 라왈핀디에 있는 육군 GHQ는 하이데라바드 신드에 주둔한 제18 보병 사단을 창설하고 배치하여 라힘야르 칸에서 쿠치의 란까지 약 901.23km를 방어하게 하고, 참-데와 구역을 방어하기 위해 제23 보병 사단을 재배치했다.[81]
1971년, II 군단이 창설되어 물탄에 본부를 두고 인도 육군의 대규모 침공을 방어하는 데 주력했다.[82] 1971년 12월, 제33 보병 사단과 제37 보병 사단이 II 군단의 육군 예비대로부터 창설되었다.[81] 파키스탄 육군은 파키스탄 해군이 파키스탄 해병대라는 상륙 부대를 창설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그 대대는 제9 보병 사단과 함께 동파키스탄으로 공수되었다.[81]
작전 탐조등으로 인해 정부 건물, 통신 센터가 점령되고 군사 통치에 반대하는 정치인들이 억압되면서 동파키스탄에 대한 개입이 더욱 심화되었다.[88] 한 달 안에, 파키스탄 국가 안보 전략가들은 동부의 시민 저항을 예상하지 못했고, 저항에 대한 인도의 지원 뒤에 숨겨진 실제 전략의 본질을 깨닫지 못했던 계획의 실패를 깨달았다.[89]
야흐야 행정부는 육군이 동부에서 민간인에 대한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파키스탄의 시민 자유와 인권을 억압하도록 허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동부 사령부는 중장 A. A. K. 니아지가 지휘했으며, 동부 전선을 방어할 관할 구역을 갖고 보호할 책임이 있었는데, 파키스탄의 현역 군 장교, 정치인, 언론인들로부터 동부의 정치적 폭력을 확대했다는 비난을 받았다.[90][91] 1970년 총선 이후, 육군은 파키스탄에서 이동과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면서 여러 주요 정치인, 언론인, 평화 운동가, 학생 운동가 및 시민 사회 구성원을 구금했다.[92] 동파키스탄에서 중장 A.A.K. 니아지 휘하의 통합된 동부 군사 사령부는 1971년 4월에 인도의 지원을 받은 무장 민병대와 교전을 시작했고, 결국 1971년 12월에 인도 육군과 교전했다.[93] 육군은 해병대와 함께 양쪽 전선에서 지상 공세를 시작했지만 인도 육군은 성공적으로 지세를 유지했고 양쪽 전선에서 잘 조율된 지상 작전을 시작하여 처음에 파키스탄 영토 를 점령했다.[40] 이것은 아자드 카슈미르, 펀자브, 신드 지역에서 인도에 의해 획득된 토지였다.[40]
1971년 12월 16일 동부에서 인도 육군이 발표한 최후 통첩에 대응하여 니아지 중장은 패배를 인정하고 인도 육군과의 문서화된 항복에 서명하기로 동의하여 무장 저항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일방적으로 종식시키고 방글라데시의 창설로 이어졌으며, 이는 인도의 공식적인 참전이 13일간 지속된 후에 이루어졌다.[94] 동부 사령부는 ~93,000~97,000명의 군복을 입은 병력을 인도 육군에 항복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어떤 국가의 전쟁에서든 가장 큰 항복 규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95] 육군의 I 군단, II 군단, 해병대의 사상자는 야흐야 칸 대통령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고, 그는 행정 명령을 통해 줄피카르 알리 부토에게 민간 정부 통제권을 넘겼다.[96]
파키스탄 육군의 군사 관찰자인 A.H. 아민 소령은 육군의 전쟁 전략가들이 1971년 12월까지 인도에서의 전면적인 침공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다고 보고했는데, 그 이유는 인도군이 중국이나 미국의 개입을 감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추정되었고, 고위 사령부는 중국이 눈 덮인 히말라야 고개로 인해 11월에서 12월의 겨울 동안 개입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과 미국이 동파키스탄을 공격하지 않도록 인도를 설득하려는 어떠한 실질적인 노력도 하지 않았다는 점을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다.[97]

1972년 1월, 부토 행정부는 인도군에 의해 억류된 전쟁 포로의 수를 조사하기 위해 포로 위원회를 구성하는 한편, 1971년 인도와의 전쟁 실패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파키스탄 대법원에 요청했다.[105] 대법원은 육군 부서 내의 많은 실패, 균열 및 과실을 확인하고 전반적인 군대 강화를 위한 권고 사항을 제출한 전쟁 조사 위원회 (WEC)를 구성했다.[5] 야히아 칸 행정부 하에서 육군은 사기가 매우 저하되었으며, 군단 주둔지와 라왈핀디 육군 GHQ에서 고위 육군 장교에 대한 병사들의 반란 보고가 확인되지 않았다.[105]
1971년 미국을 짧게 방문한 후 돌아온 부토 대통령은 "군벌" 이라고 불리는 7명의 고위 육군 장군을 강제로 불명예 제대시켰다.[98] 1972년, 굴 하산 중장 굴 하산 하의 육군 지도부는 카라치 노동 파업을 처리하고 카라치 노동조합 지도자를 구금하라는 부토 행정부의 명령에 따르지 않고 대신 경찰청을 사용하여 조치를 취하도록 연방 정부에 조언했다.[105]
1972년 3월 2일, 부토 대통령은 중장 굴 하산을 육군 사령관에서 해임하고, 나중에 별 4개 계급으로 승진하여 초대 참모총장 (COAS)으로 임명된 티카 칸 중장으로 교체했다.[105] 부토 행정부 하의 육군은 구조적으로 재건되어 전투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1974년 펀자브에 제10 군단을 설립하고, 1975년에 신드에 제5 군단, 카이베르-파크툰크와에 제11 군단을 설립하여 재편성되었다.[99] 3자 협정에서 부토 행정부는 모든 전쟁 포로를 자국으로 돌려보냈다.[105] 부토 행정부 동안 파키스탄 군대는 무기 생산에서 더 큰 자립 정책을 추구했다. 여기에는 무기 및 군사 장비를 제조하기 위한 국내 역량 개발 노력이 포함되었다. 물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키스탄은 필수 금속 및 재료 산업을 구축하기 위해 중국에 협력을 요청했다.[100]
1973년, 부토 행정부는 발루치스탄의 주 정부를 해산하여, 1977년에 끝난 국가 최대 규모의 주에서 일련의 군사 작전을 정점으로 하는 또 다른 분리주의 운동을 초래했다.[101] 항공대에 벨 AH-1 코브라를 이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란으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으면서,[101] 분쟁은 1980년대에 파키스탄 정부가 분리주의자들에게 사면을 제공하면서 종식되었다.[102][101] 발루치 분쟁 문제와 관련하여 파키스탄 군은 1979년 반군이 패배할 때까지 오만 정부를 지지하며 오만 내전에 계속 참여했다.[103] 전쟁 조사 위원회는 인도와의 전쟁 동안 군대의 네 부서 간의 공동 대 전략이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합동 참모 위원회를 설립할 것을 권고했다.[104]
5. 2. 위협 매트릭스 (2010~현재)
1999년 "공세적 방어"가 실패한 후, 국가 안보 기구는 침투하는 적군에 대한 포괄적인 그랜드 전략을 제공할 새로운 교리를 평가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에 참여했으며, 새로운 전투 교리에 대한 개발은 2010-11년에 시작되었다.[180] 2013년, ISPR에 의해 새로운 전투 교리인 위협 매트릭스가 공개되었는데, 이는 파키스탄군 안보 분석가들이 파키스탄이 내부로부터의 실질적인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역사상 처음이었으며, 이는 서부 국경을 따라 집중된 위협이었다.[180] 위협 매트릭스 교리는 군대의 포괄적인 작전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국가에 대한 실존적 및 비실존적 위협을 모두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데까지 나아간다.[180]
2013년,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파키스탄군은 "복잡한 안보 위협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군의 준비 전략"을 갱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아즘-에-나우 훈련이라는 암호명으로 4단계의 연합 군사 훈련을 조직했다.[181] 이러한 훈련의 목표는 전술, 절차 및 기술을 평가하고 육군, 공군 및 해군의 3개 군이 참여하는 합동 작전 전략을 탐구하는 것이다.[181] 이후 몇 년 동안 파키스탄군은 모든 부대 훈련을 합동 작전 훈련으로 결합하여 지형, 플랫폼 및 지휘 통제와 관계없이 현재 4개 부대가 모두 참여하고 있다.[181]
6. 교육 및 훈련
1947년 8월 이전, 영국 육군은 잘룸, 라왈핀디, 캠벨푸르 지역에서 지원자를 주로 모집했다.[5] 1947년부터 1971년까지 파키스탄 육군은 펀자브 출신을 선호하여 "펀자브 군"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는 펀자브의 시골 및 빈곤한 가정 출신 모집이 많았고, 파키스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주였기 때문이다.[140][141]
오늘날에도 파키스탄 육군은 도시 지역인 카라치와 페샤와르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군 복무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대학교육(특히 미국과 영연방 국가에서의 대학원 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안정적인 민간 산업에서 높은 급여와 혜택을 원하기 때문이다. 반면 군 복무는 여전히 파키스탄의 시골 및 외딴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도시보다 군 복무에 대한 헌신이 더 크다.[10]
1971년 이후 부토 행정부는 쿼터제를 도입하여 펀자브 출신 장교와 사병을 줄이고, 신드, 발루치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거주자들을 선호했다. 이 정책은 육군 내 민족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 유지되고 있다.[142] 군 복무가 거부된 사람들에게는 파키스탄 해병대 또는 파키스탄 공군 입대를 권장한다.[5]
1991년 육군은 펀자브 출신 인원을 63%로 줄이고,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와 신드 시민들의 지원을 장려했다. 각 지역이 육군의 모든 부서에서 고정된 비율의 자리를 갖게 함으로써 모든 시민들이 파키스탄 육군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제공했다. 2003~2005년까지 육군은 펀자브 출신 인원을 43~70%로 줄이는 정책을 계속 시행했다.[143]
육군은 신드와 발루치스탄에서 모집 및 의료 기준을 완화하여 신장 요건을 5피트 4인치로 허용하고, 지원자의 교육 수준이 8학년이라도 면제를 허용한다. 이는 육군 모집관들이 발루치스탄과 신드 출신 지원자들에게 12학년까지 교육을 제공하는 책임을 지기 때문이다.[10] 펀자브와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와 같이 모집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신장 요건이 5피트 6인치로 유지되며, 최소 교육 수준은 10학년이다.[10]
육군 사관생도들은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카쿨에 있는 파키스탄 육군사관학교에서 기초 훈련을 받는다. 훈련은 2년 동안 지속된다.[144] 모든 사관생도들은 파키스탄의 다른 지역에 있는 군사 학교 및 대학에 다녔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육군사관학교에서 훈련을 받아야 한다.[144] 이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긴 군사 훈련 기간 중 하나이며, 사관생도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대에서 원하는 경력을 시작할 대학을 선택하기 전까지 2년 동안 훈련이 계속된다.[144]
여성은 1947년부터 파키스탄 육군의 일원이었으며, 2018년까지 약 4,000명의 여성이 군에서 복무했다.[145] 1947년, 1948년, 1949년에는 여성 경비대 부대에 여성이 투입되어 의료, 복지, 서기 업무를 교육받았다 (이 부대는 나중에 해체되었다).[146] 파키스탄 육군은 '여성 사관후보생 과정'을 운영하며, 여성 사관후보생들은 파키스탄 육군사관학교에서 훈련을 받는다.[147] 임관 후 여성 장교들은 파키스탄 육군사관학교에서 6개월간 군사 훈련을 받는데, 이는 남성들과는 다르다. 이 훈련에는 군사 교육과 신체 능력 개발이 포함된다.[148]
파키스탄은 여성을 장성(소장 샤히다 말리크) 계급으로 임명하는 유일한 무슬림 다수 국가이며, 샤히다 말리크는 최초의 여성 육군 장교이자 직업 군의관으로 2성 계급으로 진급했다.[149] 2013년 7월, 육군은 처음으로 여성 공수 특전 장교를 훈련시켰다.[150][151][152] 2020년, 니가르 조하르는 육군 최초의 여성 중장이 되었으며, 파키스탄 육군 의무병단 출신이다.[153]
육군은 힌두교도, 시크교도, 조로아스터교도, 기독교도를 포함한 파키스탄의 모든 종교에서 징집하며, 이들은 지휘 계급을 역임했다.[154] 군종은 무슬림, 힌두교도, 기독교도, 시크교도, 조로아스터교도에게 종교 서비스를 제공한다.[82]
1993년, 줄리안 피터 소장은 최초의 기독교인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으며, 헤르찬 싱은 육군에서 최초로 임관한 시크교도가 되었다. 1947년부터 2000년까지, 파키스탄 육군 입대 전에 힌두교도를 제한하는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연방 정부에 의해 철회되었다.[155] 2006년, 육군 징집관들은 힌두교도를 육군에 징집하기 시작했으며, 모든 신앙을 가진 사람 또는 무신론자도 육군 내 모든 계급이나 지휘 위치로 진급할 수 있다.[156][157]
파키스탄 육군은 젊은 고등학교 졸업생과 대학 졸업생이 입대할 때 군대에서 광범위하고 유리한 경력을 제공하며, 전국에서 많은 수의 훈련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82] 육군 훈련 학교의 전반적인 방향 및 관리는 교육군이 고안한 정책에 의해 감독 및 관리되며, 육군 학교의 교육 철학은 전투 훈련과 함께 현대 교육을 포함한다.[183]
1947년 파키스탄 육군이 설립되었을 때, 퀘타 참모대학은 파키스탄에 상속되었으며, 인도의 식민지 시대인 1905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184] 파키스탄 육군의 영국 장교들은 헌신적이고 전문적인 군대를 양성하기 위해 군인을 교육하고 훈련하기 위한 광범위한 학교를 설립해야 했다.[185] 파키스탄 군대의 광범위한 군 장교들은 1950–1961년에 병기, 보병, 포병 및 군수품 과정에서 훈련을 받고 뛰어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참모대학에 참석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39]
미국은 국제 군사 교육 및 훈련 (IMET)에 따라 파키스탄 육군의 전반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인수했지만, 미국과 파키스탄의 협력은 양국 간의 군사 관계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186] 1980년대에 육군은 매년 약 200명의 육군 장교를 해외로 파견했으며, 3분의 2가 미국에서 학교에 다니기로 결정했지만, 미국이 파키스탄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면서 IMET이 중단되었고, 파키스탄 군 장교들은 영국에서 학교를 선택하게 되었다.[139]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 이후, IMET 협력이 다시 활성화되어 육군 장교들이 미국에서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아프가니스탄에서 무장 지하디 그룹 지원 혐의를 제기하면서 2018년에 훈련 프로그램이 다시 중단되었다.[187]
1970년대 군대 재건 및 재조직 기간 동안, 육군은 더 많은 훈련 학교를 설립했다.
육군 학교 및 대학 | 설립 연도 | 학교 및 대학 주요 위치 | 웹사이트 |
---|---|---|---|
기갑 및 기계화전 학교 | 1947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노셰라 | |
포병학교 | 1948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카쿨 | |
육군 방공 학교 | 1941 | 카라치 신드주 | |
군사 공과 대학 | 1947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리잘푸르 | |
군사 신호 대학 | 1947 | 펀자브주 라왈핀디 | |
보병 및 전술 학교 | 1947 | 발루치스탄주 퀘타 | |
항공 학교 | 1964 | 펀자브주 구지란왈라 | |
군수군 학교 | 1947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노셰라 | |
육군 사막전 학교 | 펀자브주 라왈핀디 | ||
병기 대학 | 1980 | 신드주 카라치 | |
전기 및 기계 공학 대학 | 1957 | 펀자브주 라왈핀디 | |
특수전 및 기술 학교 | 설립 연도 | 학교 및 대학 주요 위치 | 웹사이트 |
특수 작전 학교 | 1956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체라트 | |
강하 훈련 학교 | 1964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카쿨 | |
군사 경찰 학교 | 1949 | 데라 이스마일 칸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 |
군수 학교 | 1974 | 펀자브주 무리 | |
산악전 및 신체 훈련 학교 | 1978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카쿨 | |
고고도 학교 | 1987 | 길기트-발티스탄주 라투 | |
육군 사막전 학교 | 1987 | 신드주 초르 | |
음악 학교 | 1970 |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아보타바드 | |
개 사육 훈련 센터 및 학교 | 1952 | 펀자브주 라왈핀디 | |
수의과 대학 | 1947 | 펀자브주 사르고다 | |
고등 교육 기관 | 설립 연도 | 위치 | 웹사이트 |
참모대학 | 1905 | 발루치스탄주 퀘타 | |
국방 대학교 | 1971 | 이슬라마바드 | |
과학 기술 국립 대학교 | 1991 | 여러 캠퍼스 | |
출처: 파키스탄 육군 [https://www.pakistanarmy.gov.pk/AWPReview/TextContent8213.html?pId=109&rnd=470 육군 학교] 및 [https://www.pakistanarmy.gov.pk/AWPReview/TextContent2d5f.html?pId=279&rnd=471 기술 학교]
파키스탄 육군의 훈련 학교는 육군 부서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부서 간 장교와 요원은 부서 간 협력의 일환으로 훈련과 교육을 받았다.[182] 파키스탄 육군은 파키스탄 해병대에게 보병 및 전술 학교에서 군사 훈련과 교육을 제공할 책임이 있으며, 다른 부서의 군 장교들은 퀘타 참모대학에서 psc를 수강하고 자격을 얻었다.[182] 해병대의 대위, 소령, 소위 및 소령 계급의 장교들은 psc 자격을 얻기 위해 퀘타 참모대학에서 과정을 수강하도록 초청받는다.[47]
1971년에 설립된 이슬라마바드의 국방 대학교 (NDU)는 파키스탄 군대의 고위 장교에게 고급 비판적 사고 수준과 연구 기반의 전략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 교육 기관이다.[188] NDU는 파키스탄 군사 튜터십의 제도적 규범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관인데, 파키스탄 작가 아킬 샤(Aqil Shah)에 따르면 "군 지도부가 공통 교육을 위해 모이는 가장 높은 학습 플랫폼"을 구성하기 때문이다.[47] 파키스탄 군대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지 않고는 육군 또는 공군에서 장군으로, 또는 해군에서 제독으로 진급할 수 없다.
7. 민간 부문에서의 활동
국제 뉴스 통신사들과 국제 금융 규제 기관들의 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 육군 부서는 많은 수의 사업체와 대기업들을 통제, 관리, 운영하며, 2007~2008년에 그들의 총 수입은 200억달러로 추정된다.[221]
육군이 운영하는 가장 큰 부동산 대기업 중 하나는 육군 복지 신탁(AWT)과 국방 주택청(DHA)이다. 그러나 군대가 직접 건설한 46개의 주택 계획은 일반 군인, 민간 장교 또는 군대에 고용된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비판이 있다.[202]
파우지 재단은 파키스탄 증권거래소(PSX)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군 자체 용도의 가공육, 단추, 유제품 제조 및 판매에 관여하고 있다. 또한 베이커리, 보안, 은행 서비스와 같은 지역 민간 경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이다.[221] 파우지 재단이 관리하는 육군 공장은 설탕, 파우지 비료, 황동 주물과 같은 제품을 생산하며, 군 인력에게 부과되는 가격보다 비싸지만 민간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한다. 파키스탄군은 PSX에서 가장 큰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업 은행, 항공, 철강 사업, 시멘트, 통신, 석유 및 에너지, 교육, 스포츠, 의료, 식료품점, 베이커리 체인 등의 재정적 지분을 가지고 있다.[223]
7. 1. 토목 공학 및 건설
1970년대부터 파키스탄 육군 공병 부대는 수력 발전, 발전, 댐, 국도 건설 등 파키스탄의 주요 랜드마크 토목 공학에 관여해왔다.[192]파키스탄 육군은 카라코람 하이웨이, 스카르두 공항, 카후타의 국가 안보 시설 등 주요 토목 공학 랜드마크를 건설했다.[192] 육군의 프론티어 건설 기구는 공병대와 함께 전국에 걸쳐 여러 기반 시설을 건설했으며, 특수 통신 기구(SCO)를 통해 파키스탄 북부의 통신망을 구축했다.[192]
공병대는 연방 정부가 고용한 주요 토목 공학 계약자이자 엔지니어링 컨설턴트로, 건설 관리 자문 및 자연 재해 발생 시 건설 조치의 효율성 개선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193]
파키스탄 육군의 주요 토목 공학 프로젝트에는 카라치의 리야리 고속도로, 발루치스탄의 마크란 해안 고속도로, 카이베르-파크툰크와의 칸푸르 댐이 포함된다.[193] 파키스탄 내 기반 시설 프로젝트 외에도, 파키스탄 육군은 유엔 평화 유지 임무 파견의 일환으로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여러 기반 시설 프로젝트를 건설했다.[193]
7. 2. UN 평화유지군 활동
파키스탄 육군은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1960년 콩고 주둔 유엔 작전(ONUC)을 시작으로, 뉴기니의 서이리안에서 유엔 안전 유지군(UNSF) (1962-1963), 유엔 예멘 옵서버 미션(UNYOM) (1963-1964), 나미비아의 유엔 과도 지원단(UNTAG) (1989-1990) 등 다양한 임무에 참여했다.특히 소말리아 내전(1991-1994), 보스니아-세르비아 전쟁(1994-1998), 유고슬라비아 전쟁 등에서 유엔 파견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전문성과 전투 기술을 입증했다.[119][120] 1993년에는 소말리아에서의 유엔 작전 II의 일환으로 모가디슈에서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116]
파키스탄 육군이 참여한 주요 유엔 평화 유지 활동은 다음과 같다.
작전 시작 | 작전 명칭 | 위치 | 분쟁 | 기여 |
---|---|---|---|---|
1960–1964 | 콩고 주둔 유엔 작전(ONUC) | 콩고 위기 | ||
1962–1963 | 서뉴기니 유엔 안전 유지군(UNSF) | 서뉴기니 분쟁 | 14 펀자브 연대 | |
1963–1964 | 유엔 예멘 옵서버 미션(UNYOM) | 북예멘 내전 | ||
1989–1990 | 나미비아 유엔 과도 지원단(UNTAG) |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 ||
1991–2003 | 유엔 이라크-쿠웨이트 옵서버 미션(UNIKOM) | - | 걸프 전쟁 | |
1993–1996 | 아이티 유엔 미션(UNMIH) | 아이티 쿠데타 | ||
1992–1993 | 캄보디아 유엔 과도 행정 기구(UNTAC) | 캄보디아 내전 | ||
1992–1995 | 소말리아 유엔 작전(UNOSOM) | 소말리아 내전 | ||
1992–1995 | 보스니아 유엔 보호군(UNPROFOR) | 보스니아 전쟁 | ||
1993–1996 | 르완다 유엔 옵서버 미션(UNAMIR) | 르완다 내전 | ||
1995–1997 | 앙골라 유엔 검증 미션(UNAVEM III) | 앙골라 내전 | ||
1996–1997 | 동슬라보니아 유엔 과도 행정 기구(UNTAES)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
1996–2002 | 프레블라카 유엔 옵서버 미션(UNMOP)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
2001–2005 | 시에라리온 유엔 지원 미션(UNAMSIL) | 시에라리온 내전 | ||
1999-현재 | 동티모르 유엔 과도 행정 기구(UNTAET) | 동티모르 독립 전쟁 | ||
1999-현재 | 코소보 유엔 임시 행정 미션(UNMIK) | 코소보 전쟁 |
2015년 8월 기준으로 파키스탄 군은 총 7,533명이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참가국들 중 가장 많은 숫자 중 하나이다.[195]
현재 파키스탄 육군이 참여하고 있는 유엔 평화 유지 활동은 다음과 같다.
작전 시작 | 작전 명칭 | 위치 | 분쟁 | 기여 |
---|---|---|---|---|
1999 | 콩고 민주 공화국 유엔 안정화 미션(MONUSCO) | 제2차 콩고 전쟁 | 3,556명 병력[194] | |
2003 | 라이베리아 유엔 미션(UNMIL) |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 | 2,741명 병력[194] | |
2004 | 부룬디 유엔 작전(ONUB) | 부룬디 내전 | 1,185명 병력[194] | |
2004 | 코트디부아르 유엔 작전(UNOCI) | 코트디부아르 내전 | 1,145명 병력[194] | |
2005 | 수단 유엔 미션(UNMIS) | 제2차 수단 내전 | 1,542명 병력[194] | |
참모/옵서버 | 191명의 옵서버[194] |
7. 3. 파키스탄 사회에 대한 개입
파키스탄 육군은 창설 이후 거의 파키스탄 시민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196] 1996년, 자항기르 카라마트 장군은 파키스탄 군대와 사회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제 생각에는 과거의 사건이 반복된다면 군 지도자는 어느 정도까지만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 이상으로 그들의 위치가 약화되기 시작하는데, 결국 군대는 군대가 끌어내는 시민 사회의 거울 이미지이기 때문입니다. [196]
국제 뉴스 통신사들과 국제 금융 규제 기관들의 조사에 따르면, 육군의 부서는 많은 수의 사업체 기업들과 대기업들을 통제, 관리, 운영한다고 한다. 2007년~2008년에 그들의 총 수입은 200억달러로 추정된다.[221] 육군에 의해 운영되는 가장 큰 부동산 대기업들 중 하나는 육군 복지 신탁(AWT)과 국방 주택청(DHA)이다. 군대에 의해 직접 건설된 46개의 주택 계획은 일반 군인, 민간 장교, 또는 군대에 고용된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222]
파우지 재단은 파키스탄 증권거래소(PSX)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군 자체 용도의 가공육, 단추, 유제품 제조 및 판매에 관여하고 있다. 또한 베이커리, 보안, 은행 서비스와 같은 지역 민간 경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이다.[221] 파우지 재단이 관리하는 육군 공장은 설탕, 파우지 비료, 황동 주물과 같은 제품을 생산하며, 군 인력에게 부과되는 가격보다 비싸지만 민간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한다. 파키스탄군은 PSX에서 가장 큰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업 은행, 항공, 철강 사업, 시멘트, 통신, 석유 및 에너지, 교육, 스포츠, 의료, 식료품점, 베이커리 체인 등의 재정적 지분을 가지고 있다.[223]


2005년 카슈미르 지진이나 2010년 파키스탄 홍수와 같은 국가적 재난과 자연 재해 시에 육군 공병대, 의료진, 물류 인력 및 기타 군대 부대는 구호 물품과 군용 식량을 피해 시민들에게 배급하면서 도시 및 마을의 재활 상담과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97] 1948년부터 육군은 피해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고, 댐을 건설하며, 도시를 건설하고, 일반 시민과 동물을 위험에서 대피시키기 위한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데 참여해 왔다.[197]
적절한 구호 활동, 재건, 재활을 조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연방 정부는 민간 당국에 대한 군사 지원으로 NDMA와 같은 연방 기관을 이끌기 위해 현역 장교를 외부 직위로 임명한다.[198] 파키스탄 육군은 국내 구호 활동 외에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가 2004년 해저 지진으로 쓰나미가 발생한 후 이들 국가의 구호 활동을 조정하고 이끄는 등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활동해 왔다.[199]
스티븐 P. 코헨은 자신의 기사 "파키스탄: 군대, 사회 및 안보"에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 국경을 지키는 군대가 있고, 사회에서 자신의 지위를 보호하는 데 관심이 있는 군대가 있으며, 대의명분이나 이념을 옹호하는 군대가 있습니다. 파키스탄 육군은 이 세 가지를 모두 수행합니다.[200]
8. 기업 및 비즈니스 활동
국제 뉴스 통신사들과 국제 금융 규제 기관들의 조사에 따르면, 육군의 부서는 많은 수의 사업체와 대기업들을 통제, 관리, 운영한다고 하며, 그들의 총 수입은 2007년~2008년에 200억달러로 추정된다.[221] 육군에 의해 운영되는 가장 큰 부동산 대기업들 중 하나는 육군 복지 신탁(AWT)과 국방 주택청(DHA)이며, 군대에 의해 직접 건설된 46개의 주택 계획 중에서, 그 어떤 계획도 일반 군인, 민간 장교, 또는 군대에 의해 고용된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222]
파우지 재단은 파키스탄 증권거래소(PSX)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군 자체 용도의 가공육, 단추, 유제품 제조 및 판매에 관여하고 있다. 또한 베이커리, 보안, 은행 서비스와 같은 지역 민간 경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도 있다.[221] 파우지 재단이 관리하는 육군 공장은 설탕, 파우지 비료, 황동 주물과 같은 제품을 생산하며, 군 인력에게 부과되는 가격보다 비싸지만 민간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한다. 파키스탄군은 PSX에서 가장 큰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업 은행, 항공, 철강 사업, 시멘트, 통신, 석유 및 에너지, 교육, 스포츠, 의료 및 식료품점과 베이커리 체인 등의 재정적 지분을 가지고 있다.[223]
9. 훈장 및 서훈
파키스탄 육군은 다양한 훈장 및 서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훈장으로는 니샨-에-하이더(사자 훈장), 힐랄-이-주랏(용기 초승달), 시타라-에-주랏(용기 별), 탐가-이-주랏(용기 훈장), 임티아지 사나드(공훈장) 등이 있다.[203] 이 훈장들은 아래 표와 같이 착용 순서에 따라 배열되며, 군사 훈장과 민간 훈장이 함께 수여되기도 한다.
착용 순서 | |||
---|---|---|---|
![]() 니샨-에-하이더 (사자 훈장) | -- 니샨-에-임티아즈 (민간인) | -- 니샨-에-임티아즈 (군인) | ![]() 힐랄-이-주랏 (용기 초승달) |
-- 힐랄-에-슈자아트 (용맹 초승달) | -- 힐랄-에-임티아즈 (민간인) | -- 힐랄-이-임티아즈 (군인) | ![]() 시타라-에-주랏 (용기 별) |
-- 시타라-에-슈자아트 (용맹 별) | -- 시타라-에-임티아즈 (군인) | -- 대통령상 | -- 시타라-에-바살라트 (모범 훈장) |
-- 시타라-에-에이사르 (희생 별) | ![]() 탐가-에-주랏 (용기 훈장) | -- 탐가-에-슈자아트 (용맹 훈장) | -- 탐가-에-임티아즈 (군인) |
-- 탐가-에-바살라트 (모범 훈장) | -- 탐가-에-에이사르 (희생 훈장) | -- 임티아지 사나드 (공훈장) | -- 탐가-에-디파 (일반 복무 메달) |
-- 시타라-에-하르브 1965년 전쟁 (1965년 전쟁 별) | -- 시타라-에-하르브 1971년 전쟁 (1971년 전쟁 별) | -- 탐가-에-장 1965년 전쟁 (1965년 전쟁 메달) | -- 탐가-에-장 1971년 전쟁 (1971년 전쟁 메달) |
-- 탐가-에-바카 (핵실험 메달) | -- 탐가-에-이스티클랄 파키스탄 (인도와 위기 고조 메달) | -- 탐가-에-아즘 (확신 메달) | -- 탐가-에-히드마트 (1급) (복무 메달 1급) |
-- 탐가-에-히드마트 (2급) (복무 메달 2급) | -- 탐가-에-히드마트 (3급) (복무 메달 3급) | -- 10년 근속 메달 | -- 20년 근속 메달 |
-- 30년 근속 메달 | -- 35년 근속 메달 | -- 40년 근속 메달 | -- 파키스탄 탐가 (파키스탄 메달) |
-- 탐가-에-사드 살라 자샨-에-윌라다트-에-콰이드-에-아잠 | -- 탐가-에-잠후리아 (공화국 기념 메달) | -- 히지리 탐가 (히지리 메달) | -- 잠후리야트 탐가 (민주주의 메달) |
-- 카라르다드-에-파키스탄 탐가 (결의의 날 금 축제 메달) | -- 탐가-에-살기라 파키스탄 (독립 기념일 금 축제 메달) | -- 퀘타 지휘참모대학 교관 메달 | -- 퀘타 지휘참모대학 학생 메달 |
파키스탄 육군은 국제 협력과 관련하여 외국 훈장을 받기도 한다. 육군 항공대 소속 조종사 2명은 슬로베니아 등반가 구조 작전으로 슬로베니아 대통령으로부터 금색 공로 훈장을 받았다.[207] 또한, 다수의 육군 장성들이 미국과의 협력 강화에 기여하여 미국의 공로 훈장을 수상했다.[208] 2010년에는 영국 웨일스에서 열린 캠브리안 순찰 훈련에서 금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209][210]
9. 1. 전시 용맹 훈장
훈장 | 명칭 |
---|---|
니샨-에-하이더(Nishan-e-Haider) (사자 훈장) | |
힐랄-에-주랏(Hilal-e-Jurat) (용기 초승달) | |
시타라-에-주랏(Sitara-e-Jurat) (용기 별) | |
탐가-에-주랏(Tamgha-e-Jurat) (용기 훈장) | |
-- | 임티아지 사나드(Imtiazi Sanad) (공훈장) |
육군 인력 10명 중 9명이 사후에 훈장을 수여받았다.
군 훈장 서열에서, 니샨-에-하이더(Nishan-e-Haider, 사자 훈장, 우르두어: نشان حیدر)는 전쟁에서 용감하고 용맹한 행위에 대해 사후에 수여되는 가장 높고 권위 있는 훈장이다.[204] 이 훈장은 알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 훈장을 받는 사람들은 존경의 표시로 '순교자'를 의미하는 '샤히드'(Shaheed) 칭호를 받는다.[205]
1947년부터 2019년까지 이 훈장을 받은 파키스탄 군 장교와 병사는 10명이며, 그중 9명은 파키스탄 육군 소속이었고, 인도와의 전쟁에 참전한 사람들에게 수여되었다.[206]
순위 | 수상자 | 계급 | 연대/군단 | 분쟁 연도 |
---|---|---|---|---|
1 | 라자 무하마드 사르와르 | 대위 | 펀자브 연대 |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2 | 사이프 알리 잔주아 | 나이크 (상병) | 아자드 카슈미르 연대 |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3 | 투파일 모하마드 | 소령 | 펀자브 연대 | 1958년 인도-동파키스탄 국경 충돌 |
4 | 라자 아지즈 바티 | 소령 | 펀자브 연대 |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5 | 샤비르 샤리프 | 소령 | 프론티어 부대 연대 |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6 | 무하마드 후세인 잔주아 | 사병 | 기갑군 |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7 | 무하마드 아크람 | 소령 | 프론티어 부대 연대 |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8 | 무하마드 마흐푸즈 | 하사 | 펀자브 연대 |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9 | 카르날 셰르 | 대위 | 신드 연대 | 1999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10 | 라랄 자안 | 하빌다르 (상사) | 북부 경보병 연대 | 1999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10. 스포츠
육군은 복싱, 필드 하키, 크리켓, 수영, 탁구, 가라테, 농구, 축구 및 기타 스포츠에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11]
육군 농구 프로그램은 정기적으로 파키스탄 농구 국가대표팀에 선수들을 제공한다.[212]
참조
[1]
웹사이트
Journey from Scratch to Nuclear Power
https://www.pakistan[...]
Pakistan Army
[2]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4
Routledge
2024-02
[3]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4
Routledge
2024-02
[4]
웹사이트
Motto of the Pakistan Army
https://www.pakistan[...]
[5]
서적
A History of the Pakistan Army: Wars and Insurrections
https://books.google[...]
Skyhorse Publishing, Inc.
2017-08-16
[6]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4
Routledge
2024-02
[7]
웹사이트
Active Military Manpower by Country (2023)
https://www.globalfi[...]
2023-12-17
[8]
웹사이트
Article 245(1)–Article 245(4)
http://pakistani.org[...]
2015-03-21
[9]
서적
Screening Bosnia: Geopolitics, Gender and Nationalism in Film and Television Images of the 1992–95 War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7-08-16
[10]
서적
Fighting to the End: The Pakistan Army's Way of War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8
[11]
웹사이트
History of Pakistan Army
http://www.pakistana[...]
2013-01-18
[12]
웹사이트
ISPR
https://www.ispr.gov[...]
2015-05-01
[13]
웹사이트
Article 245(1)&Article 245(3)
http://pakistani.org[...]
2015-03-21
[14]
뉴스
COVER STORY: The Army & Democracy: Military Politics in Pakistan
https://www.dawn.com[...]
Dawn Newspapers
2014-11-23
[15]
서적
The army and democracy : military politics in Pakista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16]
서적
Military Control in Pakistan: The Parallel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8-16
[17]
웹사이트
Outgoing Pakistan Army Chief Admits Involvement in Politics
https://www.voanews.[...]
2022-11-23
[18]
서적
Pakistan Army: Modernisation, Arms Procurement and Capacity Building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7-08-16
[19]
웹사이트
Article 243(2)
http://pakistani.org[...]
2015-03-21
[20]
뉴스
Nawaz to appoint third army chief
https://www.thenews.[...]
The News International
2016-11-16
[21]
뉴스
General Mian Usama takes charge as Pakistan's 16th army chief
http://www.dawn.com/[...]
DAWN
2016-11-29
[22]
뉴스
Gen Bajwa assumes command as Pakistan's 16th army chief
http://tribune.com.p[...]
The Express Tribune
2016-11-29
[23]
웹사이트
'[Chapter 2. Armed Forces] of [Part XII: Miscellaneous]'
http://www.pakistani[...]
Pakistani.org
2012-05-15
[24]
서적
Independent India's All the Seven Wars
Notion Press
2019-01-01
[25]
서적
The Army in British India: From Colonial Warfare to Total War 1857 – 1947
A&C Black
2017-09-18
[26]
서적
Art of Generalship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7-09-18
[27]
서적
Kashmir in Conflict: India, Pakistan and the Unending War
https://archive.org/[...]
I.B.Tauris
2019-01-01
[28]
서적
Conflict Management in Kashmir: State-People Relations and Pe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1-01
[29]
서적
The Great Divide: Britain, India, Pakistan
https://books.google[...]
Hutchinson
2019-01-02
[30]
서적
Soviet-Pakistan Relations and Post-Soviet Dynamics, 1947–92
Springer
2019-01-01
[31]
서적
The Longest August: The Unflinching Rivalry Between India and Pakistan
PublicAffairs
2019-01-01
[32]
문서
Major Nasir Uddin, Juddhey Juddhey Swadhinata, pp55
[33]
서적
M48 Patton vs Centurion: Indo-Pakistani War 1965
Bloomsbury Publishing
2019-01-02
[34]
서적
Friends Not Masters: A Political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1-01
[35]
뉴스
Sydney Morning Herald
Sydney Morning Herald
1949-12-14
[36]
뉴스
Appointments of Pakistan Army Commanders and Historic Facts – Pakistan Military & Defence News
http://paksoldiers.c[...]
paksoldiers.com
2013-12-04
[37]
서적
Pakistan's foreign policy: an histor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8
[38]
서적
The Armed Forces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9-01-03
[39]
웹사이트
Tale of a love affair that never was: United States-Pakistan Defence Relations
http://www.defencejo[...]
2012-02-12
[40]
서적
Crossed Swords: Pakistan, Its Army, and the Wars With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1-03
[41]
웹사이트
School of Infantry and Tactics
https://www.pakistan[...]
2019-01-03
[42]
웹사이트
School of Artillery
https://www.pakistan[...]
2019-01-03
[43]
웹사이트
Ordnance College
https://www.pakistan[...]
2019-01-03
[44]
웹사이트
School of Armoured and Mechanized Warfare
https://www.pakistan[...]
2019-01-03
[45]
웹사이트
Army Aviation School
https://www.pakistan[...]
2019-01-03
[46]
서적
Pakistan: A Global Studies Hand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3-21
[47]
서적
The Army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01-03
[48]
뉴스
NON-FICTION: The narcissist
http://www.dawn.com/[...]
Dawn newspapers, Ghani
2010-07-11
[49]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South Asia (OIP): Volume I: Security, Political Economy, Domestic Politics, Identities, and Im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1-03
[50]
서적
History of Pakistan And Role of the Army
https://books.google[...]
Royal Book Company
2019-01-03
[51]
서적
Pakistan: Time for Change
AuthorHouse
2019-01-03
[52]
웹사이트
Martial Law Under Field Marshal Ayub Khan—Provincial Assemblies were dissolved and all political activities were banned.
https://storyofpakis[...]
2003-06-01
[53]
웹사이트
Remembering Our Warriors: Brig. Shamim Yasin Manto
http://www.defencejo[...]
Defence Journal Shamim
2002-02
[54]
뉴스
Gibraltar, Grand Slam and war
http://www.dawn.com/[...]
2019-01-03
[55]
웹사이트
90mm M36 GUN MOTOR CARRIAGE "Jackson"
http://www.milweb.ne[...]
2016-03-24
[56]
웹사이트
The Battle for Ravi-Sutlej Corridor 1965 A Strategic and Operational Analysis
http://orbat.com/sit[...]
2007-10-07
[57]
서적
The Widening Gulf: Asian Nationalism and American Policy
https://archive.org/[...]
Free Press
[58]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Pakistan Army
http://www.defencejo[...]
2006-09-07
[59]
서적
The greater game: India's race with destiny and China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03
2020-11-18
[60]
문서
Musharraf, In the Line of Fire, page 45.
[61]
간행물
Battle of Burki was another outstanding infantry operation
Sainik Samachar
1965-11-28
[62]
서적
The M47 and M48 Patton tanks
Bloomsbury USA
[63]
서적
South Asia in Worl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2005
[64]
서적
Asian security handbook: terrorism and the new security environment
M.E. Sharpe, 2005
[65]
서적
India: A History
Grove Press, 2001
[66]
웹사이트
The Indo-Pakistani War of 1965
http://memory.loc.go[...]
Memory.loc.gov
2012-05-15
[67]
웹사이트
Pakistan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Federal Research Division
[68]
웹사이트
Indo-Pakistan Wars
http://uk.encarta.ms[...]
Microsoft Encarta
2009-05-08
[69]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Volume 2
Taylor & Francis, 2006
[70]
서적
Tank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Impact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
[71]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6
[72]
서적
South Asia in World Poli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5
[73]
서적
Pakistan :: The Indo-Pakistani War of 1965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United States of America
1994-04
[74]
서적
Ind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5]
서적
India and the United States : Estranged democracies, 1941–1991
https://books.google[...]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76]
뉴스
Asia: Silent Guns, Wary Combatants
https://content.time[...]
1965-10-01
[77]
웹사이트
The Pakistan Army From 1965 to 1971 ''Analysis and reappraisal after the 1965 War'
http://www.defencejo[...]
2009-03-07
[78]
웹사이트
Editorial: The army and the people
http://www.dailytime[...]
Daily Times
2007-04-22
[79]
서적
Khaki Shadows
Oxford University Press
[80]
문서
The Story of My Struggle
Jang Publishers
1991
[81]
웹사이트
The Pakistan Army From 1965 to 1971
http://www.defencejo[...]
Defence Journal
2000-11-01
[82]
서적
Pakistan Army: Modernisation, Arms Procurement and Capacity Building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2
[83]
서적
Emergency Powers and the Courts in India and Pakista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2
[84]
서적
Emergency Powers and the Courts in India and Pakista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2-03-28
[85]
문서
Bangladesh at War
[86]
문서
How Pakistan Got Divided
[87]
웹사이트
Islam and imperialism
http://pubs.socialis[...]
socialistreviewindex.org.uk
[88]
서적
Witness to surrend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9]
간행물
Pakistan Defence Journal
1977
[90]
웹사이트
Lt Gen(R) Jamshaid Gulzar Kiyani exposes Musharraf's evil actions.
https://united4justi[...]
Geo news tv
2008-06-03
[91]
서적
Faith, Unity, Discipline: The Inter-Service-Intelligence (ISI) of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92]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Human Rights Enforcement: Moral and Intellectual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Global Hegemony
Springer
2008
[93]
서적
Civil Wars of the World: Major Conflicts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ABC-CLIO
2007-05-10
[94]
서적
China's Role in the Indian Ocean: Its Implications on India's National Security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5-08-01
[95]
서적
Centuries of Genocide: Essays and Eyewitness Accou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96]
웹사이트
No lessons learnt in forty years – The Express Tribune
http://tribune.com.p[...]
2011-12-15
[97]
웹사이트
The Pakistan Army from 1965 to 1971
http://www.defencejo[...]
Defence Journal
2009-03-07
[98]
서적
The Ideals of Bhutto
https://books.google[...]
2008
[99]
서적
Pakistan Army: Modernisation, Arms Procurement and Capacity Building
Vij Books India Pvt Ltd
2012
[100]
간행물
Country comparisons – commitments, force levels and economics
2015-02-10
[101]
서적
Iran at War: 1500–1988
Bloomsbury Publishing
2011
[102]
서적
The Territorial Management of Ethnic Conflict
Routledge
2004
[103]
웹사이트
The Dhofar Rebellion
http://countrystudie[...]
[104]
서적
Military, State and Society in Pakistan
Springer
2000
[105]
서적
War, Coups and Terror: Pakistan's Army in Years of Turmoil
Skyhorse Publishing Inc.
2008
[106]
서적
Eating Grass: The Making of the Pakistan atomic bomb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01-10
[107]
서적
Pakistan: Islamisation Army And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APH Publishing
2013-02-22
[108]
서적
The Yom Kippur War 1973 (2): The Sinai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3-02-22
[109]
서적
Revisiting the Yom Kippur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2-22
[110]
웹사이트
"מעריב {{!}} עמוד 1 {{!}} 28 אפריל 1974 {{!}} אוסף העיתונות {{!}} הספרייה הלאומית"
https://www.nli.org.[...]
2023-04-15
[111]
웹사이트
"April 1974 Broadcast Index {{!}} Vanderbilt Television News Archive"
https://tvnews.vande[...]
2023-04-15
[112]
웹사이트
Results 1 to 13 of 13 for syria israel —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https://cdnc.ucr.edu[...]
2023-04-15
[113]
웹사이트
אתר ההנצחה לחללי מערכות ישראל
https://www.izkor.go[...]
2023-04-15
[114]
서적
Mémoires d'Etat
Michel Lafon
1998
[115]
서적
Pakistan and Islamic Militancy in South Asia
Vij Books India Pvt Ltd
2019-01-10
[11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perations in Somalia (UNOSOM, UNITAF, UNOSOM II)
https://www.pakistan[...]
2019-01-16
[117]
웹사이트
High Mark and Zarb-e-Momin
http://pakdef.org/ex[...]
PakDef Military Consortium (PMC) (an [[NGO]])
[118]
서적
Secret Affairs Britain's Collusion with Radical Islam
https://books.google[...]
Profile
2011-05-26
[119]
서적
Screening Bosnia: Geopolitics, Gender and Nationalism in Film and Television Images of the 1992–95 War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9-01-16
[12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Protection Force in Bosnia (UNOROFOR)
https://www.pakistan[...]
2019-01-16
[121]
웹사이트
When Mountains Move – The Story of Chagai: The Road to Chagai
http://www.defencejo[...]
The Nation and Pakistan Defence Journal
2011-06-04
[122]
뉴스
Same Page (but) of Different Books? {{!}} Pakistan Today
https://www.pakistan[...]
Pakistan Today
2016-05-09
[123]
뉴스
Gun-battle flares up along LoC
https://asianstudies[...]
Dawn Wire Service
1999-05-22
[124]
서적
India's Major military and Rescue Operations
Horizon Books ( A Division of Ignited Minds Edutech P Ltd)
2019-01-16
[125]
웹사이트
Editorial: Kargil: A blessing in disguise?
http://www.dailytime[...]
Daily Times
2004-07-19
[126]
뉴스
The Cost of Kargil
https://www.dawn.com[...]
Dawn Newspaper
1999-08-14
[127]
웹사이트
1st Northern Light Infantry Regiment (Victors)
https://www.pakistan[...]
2019-01-16
[128]
뉴스
'Pak played key role in Lanka's victory over Tamil Tigers' – Indian Express
http://archive.india[...]
2019-01-16
[129]
서적
Out, Out Jackboot!
https://books.google[...]
Outlook Publishing
2019-01-16
[130]
뉴스
Musharraf Decree in '07 Was Illegal, Court Rules
https://www.nytimes.[...]
2009-08-01
[131]
뉴스
Huge search for trapped Pakistani soldiers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2-04-10
[132]
뉴스
Pakistan is winning its war on terror
https://www.spectato[...]
2016-12-31
[133]
뉴스
Why Pakistan has troops in Saudi Arabia – and what it means for the Middle East
http://theconversati[...]
2019-01-16
[134]
웹사이트
Leadership and Command of Pakistan Army
http://www.mod.gov.p[...]
2019-01-16
[135]
웹사이트
Article 243(2)
http://www.pakistani[...]
[136]
웹사이트
Command and Structure of Pakistan Army
http://pakdef.org/co[...]
PakDef Military Consortium
2003-06-01
[137]
뉴스
Kayani shakes up army command
http://www.dawn.com/[...]
Dawn
2008-09-30
[138]
웹사이트
Ranks and insignia
https://www.pakistan[...]
Ranks and insignia
2019-01-16
[139]
서적
Pakistan: A Country Study
DIANE Publishing
2019-01-16
[140]
서적
Politics of Identity: Ethnic Nationalism and the State in Pakistan
SAGE
2019-01-19
[141]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42]
서적
The History of Pakista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9-01-19
[143]
웹사이트
Punjab's dominance in Army being reduced: ISPR -DAWN – Top Stories; 14 September 2007
http://archives.dawn[...]
[144]
웹사이트
Cadets Training
https://www.pakistan[...]
Pakistan Military Academy – Cadets Training
2019-01-19
[145]
뉴스
Women in Pakistani Military: A story of feminine valour in pictures {{!}} Pakistan Today
https://www.pakistan[...]
Pakistan Today
2018-09-15
[146]
웹사이트
Flashback: Pakistan Women's National Guard
https://tribune.com.[...]
2020-12-11
[147]
웹사이트
Pak Army will continue to support govt in the national interest: Gen Bajwa
https://www.geo.tv/l[...]
2020-12-11
[148]
뉴스
Women soldiers and their dress
https://www.dawn.com[...]
Dawn Newspaper
2019-01-20
[149]
뉴스
Dr Shahida becomes first woman general
https://www.dawn.com[...]
2002-06-18
[150]
뉴스
Women in Combat
http://www.indiandef[...]
2019-01-20
[151]
뉴스
Pakistan Army: First female paratroopers make history
http://tribune.com.p[...]
2013-07-14
[152]
웹사이트
First Pakistani women paratroopers make history
https://www.dawn.com[...]
2020-12-11
[153]
웹사이트
Army gets first woman three-star general
https://www.dawn.com[...]
2020-12-11
[154]
뉴스
An ode to minorities in Pakistan's armed forces
https://www.geo.tv/l[...]
Geo News
2017-09-06
[155]
뉴스
Where should a Pakistani Hindu go?
https://www.dawn.com[...]
Dawn Newspaper
2015-06-23
[156]
뉴스
Pak army recruits first Hindu cadet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19-01-20
[157]
뉴스
Sikh and Hindu officers usher in a new era in Pakistani Army
https://www.sikhnet.[...]
2019-01-20
[158]
웹사이트
Pakistan Arms Industry
http://pakdef.org/in[...]
"« PakDef Military Consortium"
2003-06-01
[159]
서적
The China-Pakistan Axis: Asia's New Geo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1-21
[160]
뉴스
Budget 2018–19: Rs1.1 trillion proposed for defence
https://www.dawn.com[...]
Dawn Newspaper
2018-04-28
[161]
서적
Khaki Shadows: Pakistan 1947–199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62]
웹사이트
Pakistan – Camopedia
http://camopedia.org[...]
2019-01-22
[163]
웹사이트
Siachen Glacier {{!}} Travel with Hassaan
https://hassaanrabba[...]
2019-01-22
[164]
서적
Area Handbook for Pakistan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9-01-17
[165]
웹사이트
Infrastructures Development
https://www.pakistan[...]
2019-01-17
[166]
웹사이트
History. Army Air Defence
http://www.pakistana[...]
[167]
웹사이트
Strategic Reserves of Pakistan
http://www.claws.in/[...]
Claws research team
2011-08-01
[168]
웹사이트
Infantry
https://www.pakistan[...]
Army ISPR
2019-01-18
[169]
웹사이트
Frontier Force Regiment
https://www.pakistan[...]
2019-01-18
[170]
웹사이트
Regiments of Pakistan Army
https://www.independ[...]
2018-06-30
[171]
웹사이트
Infantry Branch
https://www.pakistan[...]
[172]
서적
Elite Forces
Random House
2019-01-19
[173]
웹사이트
Special Service Group {{!}} Pakistan Army {{!}} Pakistan SSG {{!}} Pakistan Special Forces {{!}} Discover Military
https://discovermili[...]
2019-01-19
[174]
웹사이트
Pakistan Army Rangers
https://www.pakistan[...]
2019-01-19
[175]
간행물
50 Years of Pakistan Army: A Journey into Professionalism
Pakistan Observer
1997-08-21
[176]
웹사이트
EXERCISE ZARB E MOMIN 1989
https://www.youtube.[...]
Army ISPR
2009-04-10
[177]
서적
Nuclear Deterrence in Southern Asia: China, India and Pakistan
SAGE Publications India
2005
[178]
웹사이트
Deterrence, Defence and Development
http://www.defencejo[...]
Defense Journal
1999-07-01
[179]
웹사이트
Pakistan's Offensive-Defence Strategy
http://www.indiandef[...]
Indian Defence Review
2011-02-18
[180]
뉴스
New doctrine
http://tribune.com.p[...]
2013-01-03
[181]
뉴스
Army opens war games 'Azm-i-Nau IV'
http://dawn.com/2013[...]
2013-06-04
[182]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training in the Pakistan Army
https://www.pakistan[...]
[183]
웹사이트
Training Philosophy of Pakistan Army
https://www.pakistan[...]
[184]
웹사이트
Command and Staff College
https://www.pakistan[...]
[185]
웹사이트
Pakistan Military Academy – Cadets Training
https://www.pakistan[...]
[186]
서적
Jihadi Groups, Nuclear Pakistan, and the New Great Game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01
[187]
뉴스
Exclusive: As Trump cracks down on Pakistan, U.S. cuts military...
https://www.reuters.[...]
2018-08-10
[188]
웹사이트
National Defence University
https://www.pakistan[...]
National Defence University
[189]
서적
The Army and Democracy
http://www.hup.harv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4
[190]
웹사이트
National Defence University Visit to NUST
http://www.nust.edu.[...]
[191]
웹사이트
Pakistan – Personnel and Training
http://www.country-d[...]
1994
[192]
웹사이트
Infrastructures Development
https://www.pakistan[...]
[193]
웹사이트
Corps of Engineers
https://www.pakistan[...]
[194]
웹사이트
UN Mission in Democrative Republic of Congo (MONUC)
http://www.ispr.gov.[...]
2007-09-26
[195]
웹사이트
Ranking of Military and Police Contributions to UN Operation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5-08-31
[196]
서적
Military control in Pakistan: the parallel state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e-Library
[197]
웹사이트
Disaster / Relief Operations
https://www.pakistan[...]
[198]
웹사이트
Miscellaneous National Tasks
https://www.pakistan[...]
[199]
웹사이트
Pakistan: Logistic support needed to transport urgent tsunami relief – Indonesia
https://reliefweb.in[...]
2005-01-25
[200]
뉴스
History: The Birth of the Pakistan Army
https://www.dawn.com[...]
2023-04-22
[201]
뉴스
Pakistani army's '$20bn' business
https://www.aljazeer[...]
aljazeera
2008-02-16
[202]
서적
Military Inc.
Oxford University Press
[203]
웹사이트
Honours and Awards
https://web.archive.[...]
Pakistan Army
[204]
서적
Globalisation and Historiography of National Leaders: Symbolic Representations in School Textbooks
Springer
2016
[205]
서적
Education and Gendered Citizenship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
[206]
웹사이트
Nishan-i-Haider
https://www.pakistan[...]
[207]
웹사이트
BBC: Pakistan pilots get bravery award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15
[208]
서적
Pakistan at the Crossroads: Domestic Dynamics and External Pressur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209]
웹사이트
Pakistan Army Wins Gold Medal @ International Cambrian Patrols Exercise – Page 3 – Iran Defense Forum
https://archive.toda[...]
Irandefence.net
[210]
뉴스
Leading News Resource of Pakistan
https://web.archive.[...]
2010-10-21
[211]
웹사이트
Sports
https://www.pakistan[...]
Pakistan Army
2019-01-22
[212]
뉴스
Basketball team named for 11th South Asian Games
https://www.nation.c[...]
2012-03-25
[213]
서적
A History of the Pakistan Army: Wars and Insurrections
https://books.google[...]
Skyhorse Publishing, Inc.
2016
[214]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1
https://www.iiss.org[...]
Routledge
2021-02-25
[215]
웹인용
2020 Pakistan Military Strength
https://www.globalfi[...]
2020-04-30
[216]
문서
Article 245(1)–Article 245(4)
http://pakistani.org[...]
2015-03-21
[217]
서적
Screening Bosnia: Geopolitics, Gender and Nationalism in Film and Television Images of the 1992–95 War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7
[218]
서적
Fighting to the End: The Pakistan Army's Way of War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19]
웹인용
History of Pakistan Army
http://www.pakistana[...]
2013-01-18
[220]
웹인용
'[Chapter 2. Armed Forces] of [Part XII: Miscellaneous]'
http://www.pakistani[...]
Pakistani.org
2012-05-15
[221]
뉴스
Pakistani army's '$20bn' business
https://www.aljazeer[...]
aljazeera
2008-02-16
[222]
서적
Military Inc.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23]
웹인용
The Fascist Army
http://www.fascistar[...]
2015-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