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식민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냐 식민지는 1920년 동아프리카 보호령이 영국에 병합되면서 설립되었으며, 1963년 케냐 독립법에 따라 엘리자베스 2세를 국가 원수로 하는 케냐라는 독립적인 연방 왕국이 수립되기 전까지 존속했다. 식민지 시대 동안, 원주민들은 화이트 하이랜즈 예약에 반발했고, 마우마우 반란과 같은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영국은 1950년대 강제 수용소를 운영하여 키쿠유족을 가두고 고문, 살해하여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케냐는 1963년 12월 12일 독립하여 케냐 공화국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케냐 식민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일반 명칭 | 케냐 |
공식 명칭 | 케냐 식민지 및 보호령 |
국기 | 케냐 식민지 및 보호령의 기 |
국장 | 케냐 식민지 배지 |
국가 |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1920년–1952년) |
국가 |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1952년–1963년) |
수도 | 나이로비 |
공용어 | 영어 (공식) |
사용 언어 | 스와힐리어, 키쿠유어, 캄바어, 루히야어, 루오어, 구시어, 메루어, 난디-마르크웨타어군 |
정치 | |
정치 체제 | 영국 식민지 |
입법부 | 입법 회의 |
군주 | 군주 |
군주 (1) | 조지 5세 |
군주 (1) 재위 기간 | 1920년–1936년 |
군주 (2) | 에드워드 8세 |
군주 (2) 재위 기간 | 1936년 |
군주 (3) | 조지 6세 |
군주 (3) 재위 기간 | 1936년–1952년 |
군주 (4) | 엘리자베스 2세 |
군주 (4) 재위 기간 | 1952년–1963년 |
총독 | 총독 또는 고등판무관 |
총독 (1) | 에드워드 노시 |
총독 (1) 재임 기간 | 1920년–1922년 (최초) |
총독 (2) | 말콤 맥도널드 |
총독 (2) 재임 기간 | 1963년 (마지막) |
역사 | |
식민지 설립 | 1920년 7월 23일 |
보호령 설립 | 1920년 11월 29일 |
자치 | 1963년 6월 1일 |
독립 | 1963년 12월 12일 |
이전 국가 | 동아프리카 보호령 |
다음 국가 (1) | 트란스-주바 (1924년) |
다음 국가 (2) | 케냐 (1963년) |
면적 및 인구 | |
면적 (1) | 639,200 km² (1924년) |
인구 (1) | 2,807,000명 (1924년) |
인구 (2) | 3,040,940명 (1931년) |
인구 (3) | 6,979,931명 (1955년) |
인구 (4) | 8,105,440명 (1960년) |
통화 | |
통화 (1) | 동아프리카 플로린 (1920년–1921년) |
통화 (2) | 동아프리카 실링 (1921년–1960년) |
기타 | |
현재 국가 | 케냐, 소말리아 |
2. 역사
채찍질, 매질, 회초리와 같은 체벌은 케냐 식민지에서 어린 범죄자들에게 주로 사용된 법적 처벌이었다. 식민지 사무소는 이러한 형벌에 회의적이었지만, 지역 당국은 이를 적극적으로 시행했다. 당시 판사들은 감옥이 죄수들의 도덕성을 해치고 범죄의 악순환을 야기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체벌을 선호했다. 또한, 체벌은 불복종하는 부족장들에게도 사용되었는데, 키쿠유족 족장이 거짓말을 한 후 알제논 E. 카펠 대령에게 채찍질을 당한 사례가 있다.[37]
1920년대 원주민들은 화이트 하이랜즈의 예약에 반발했다. W. E. B. 두보이스는 1925년 당시 할렘 르네상스 시기의 주요 저서 ''더 뉴 니그로''에서 케냐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10][11]
2. 1. 케냐 식민지 및 보호령 성립 (1920년)
1920년 7월 23일, 이전의 동아프리카 보호령(술탄의 주권이 미치는 지역 제외)이 영국에 병합되면서 케냐 식민지가 설립되었다.[5] 1920년 11월 29일, 영국에 병합되지 않은 이전 동아프리카 보호령의 영토는 영국의 보호령으로 설정되어 케냐 보호령이 수립되었다.[1] 케냐 보호령은 1895년 12월 14일 영국과 술탄 간의 협정에 따라 케냐 식민지의 일부로 통치되었다.[1][6][7][8]1920년대 원주민들은 특히 영국 참전 용사들을 위한 화이트 하이랜즈 예약에 반발했고, 원주민과 유럽인 간의 불화가 커졌다.[9] 1921년 최대 도시인 몸바사의 인구는 32,000명이었으며, 당시 케냐 전체 인구는 2,376,000명으로 추산되었는데, 그중 유럽인은 9,651명, 인도인은 22,822명, 아랍인은 10,102명이었다.[12][13]

2. 2. 식민 통치와 원주민의 저항
1920년대, 원주민들은 영국 참전 용사들을 위해 화이트 하이랜즈를 예약하는 것에 반발했고, 원주민과 유럽인 간의 불화가 커졌다.[9] W. E. B. 두보이스는 할렘 르네상스 저서인 ''더 뉴 니그로''에 실릴 기사에서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10][11]1921년 인구는 2,376,000명으로 추산되었는데, 그중 유럽인은 9,651명, 인도인은 22,822명, 아랍인은 10,102명이었다.[12][13] 당시 최대 도시인 몸바사의 인구는 32,000명이었다.
2. 3. 마우마우 반란 (1952년 ~ 1960년)
마우마우 반란은 1952년부터 1960년까지 케냐에서 영국의 식민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봉기였다. 이 반란은 양측 모두가 저지른 전쟁 범죄와 학살로 특징지어진다.[14][15] 1920년대부터 원주민들은 영국 참전 용사들을 위한 화이트 하이랜즈 예약에 반발했고, 원주민과 유럽인 간의 불화가 커졌다.[9]캐롤라인 엘킨스의 2005년 저서 ''영국의 굴락''은 영국이 1950년대 케냐에 강제 수용소와 "봉쇄 마을"을 운영하여 거의 모든 키쿠유족이 수감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수천 명이 고문당하거나 살해당했거나 굶주림과 질병으로 사망했다. 영국 정부는 이러한 범죄에 대한 거의 모든 기록을 체계적으로 파괴하여 불태우거나 무게를 단 상자에 담아 바다에 버리고, 가짜 파일로 대체했다. 그러나 엘킨스의 책은 나중에 마우마우 수감자들이 수용소에서 저질러진 범죄에 대해 영국 정부를 상대로 한 성공적인 법적 청구의 기초가 되었다.[16][17]
2. 4. 독립과 공화국 수립 (1963년 ~ 1964년)
1963년 12월 12일, 케냐 식민지와 보호령이 모두 종식되었다. 영국은 1963년 10월 8일자 협정에 따라 케냐 식민지에 대한 주권을 포기했고, 술탄은 케냐 독립과 동시에 케냐 보호령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합의했다.[6] 이에 따라 케냐는 1963년 케냐 독립법에 의거, 엘리자베스 2세를 국가 원수로 하는 케냐라는 독립 연방 왕국으로 탄생했다. 조모 케냐타가 초대 총리로 취임했다.[18]1963년 5월 26일, 케냐는 첫 번째 선거를 치렀고 새로운 적색, 녹색, 검정색, 백색의 깃발이 도입되었다.[19] 독립 12개월 후인 1964년 12월 12일, 케냐는 "케냐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공화국이 되었다.[6]
3. 통치 구조
채찍질, 매질, 회초리와 같은 체벌은 케냐 식민지에서 흔히 사용된 법적 처벌이었다. 특히 어린 범죄자들에게 많이 사용되었다. 비록 대도시 식민지 사무소는 이러한 형벌에 회의적이었지만, 지역 당국은 이를 적극적으로 시행했다. 당시 판사들은 죄수들의 도덕성을 해치고 범죄의 악순환을 야기한다는 이유로 감옥을 기피했다. 체벌은 부족장들에게도 사용되었는데, 일례로 알제논 E. 카펠 대령이 키쿠유 족장을 채찍질한 사건이 있다.[37]
1948년 케냐 정부는 총독, 행정평의회, 입법평의회로 구성되었다.[20] 1954년에는 장관회의가 "정부의 주요 수단"으로 설립되었다.[22] 행정평의회는 사형 선고 승인 및 법안 초안 검토 등 특정 권한을 계속 유지했다.[22]
1956년 입법평의회는 의장인 총독, 부의장, 그리고 56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22]
포스트 식민 시대를 거치면서 케냐는 1960년대 중반에 만들어진 헌법에 따라 양원제 의회로 구성된 공화국으로 이행했다.[29] 이후 개정을 통해 단원제 의회로 전환되었고, 장관들이 의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3. 1. 행정부
1948년 케냐 정부는 총독, 총독을 자문하는 행정평의회, 그리고 입법평의회로 구성되었다. 행정평의회는 당연직 위원 7명, 임명된 유럽인 2명, 아프리카계의 이익을 대표하는 임명된 유럽인 1명, 임명된 아시아계(인도계)인 아말랄 바일랄바이 파텔(Ambalal Bhailalbhai Patel) 1명으로 구성되었다.[20]1954년, 정부는 "정부의 주요 수단"으로 장관회의를 설립하기 위해 개혁되었다. 장관회의는 공무원 출신의 관직 위원 6명, 총독이 임명한 추천 위원 2명, 입법평의회 위원 중에서 총독이 임명한 비관직 위원 6명으로 구성되었다. 비관직 위원은 유럽인 3명, 아시아인 2명, 아프리카인 1명이었다.[22]
행정평의회는 계속 존재했으며, 장관회의의 모든 위원은 행정평의회의 위원이기도 했다. 행정평의회에는 아랍인 1명과 임명된 아프리카인 2명도 포함되었다. 행정평의회는 사형 선고 승인 및 법안 초안 검토를 포함한 특정 권한을 유지했다.[22]
3. 2. 입법부
1956년 입법평의회는 의장인 총독과 부의장, 그리고 56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56명의 위원 구성은 다음과 같다.[22]구분 | 상세 |
---|---|
당연직 위원 | 8명 |
총독 임명, 정부측 대표 위원 | 18명 |
선출된 유럽인 | 14명 |
선출된 아시아인 | 6명 |
선출된 아랍인 | 1명 |
비정부 측, 임명된 아프리카인 | 8명 |
비정부 측, 임명된 아랍인 | 1명 |
3. 3. 군대
1880년대부터 식민지와 보호령에 설립된 군대는 다음과 같다.군대 조직 | 설명 |
---|---|
왕립 아프리카 보병대 (King's African Rifles) | 동아프리카 연대(East African Regiment)가 개편됨 |
동아프리카 군사 노무 서비스(East African Military Labour Service) | 1915~1918년 |
동아프리카 기마 보병대(East African Mounted Rifles) |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4~1917)[23] |
동아프리카 병기대(East African Ordnance Corps)[24] | |
동아프리카 급여대(East African Pay Corps) | |
동아프리카 개척대(East African Pioneer Corps)[25] | |
3개의 동아프리카 정찰 연대 | |
동아프리카 포병[26] | |
동아프리카 도로 건설대(East African Road Construction Corps) | |
동아프리카 스카우트 | 1943년 3월부터 제81(서아프리카)사단의 정찰 부대로 버마에서 복무 |
동아프리카 신호대(East African Signal Corps) | |
동아프리카 군수대(East African Army Service Corps) | 1941년 이탈리아에 대한 작전 개시와 함께 300명에서 4,600명으로 급속히 확장[27] |
동아프리카 수송대(East African Transport Corps) | |
케냐 장갑차 연대(Kenya Armoured Car Regiment) | |
케냐 연대(Kenya Regiment) | 백인 정착민으로 구성 |
케냐 방위군(Kenya Defence Force) | |
키쿠유 경비대(Kikuyu Guard) | 마우마우 반란(Mau Mau Uprising) 당시[28] |
4. 법
채찍질, 매질, 회초리와 같은 체벌은 케냐 식민지에서 많은 범죄에 대한 주요한 법적 처벌이었다. 영국 본토의 식민청은 그러한 형벌 사용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현지 당국은 체벌을 적용했다. 대부분의 판사들은 수감 대신 체벌을 선호했다.[37]
4. 1. 체벌
채찍질, 매질, 회초리와 같은 체벌은 케냐 식민지에서, 특히 어린 범죄자들에게 많이 사용된 주요 법적 처벌이었다. 영국 본토의 식민청은 그러한 형벌의 사용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현지 당국은 체벌을 광범위하게 적용했다.[37] 대부분의 판사들은 수감이 죄수들의 도덕성을 훼손하고 범죄의 악순환에 빠뜨릴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감옥에 보내는 대신 체벌을 선호했다. 체벌은 또한 불복종하는 부족장들에게도 사용되었는데, 그 예로 알제논 E. 카펠 대령이 키쿠유 족 족장을 채찍질한 사건이 있다. 이 부족장은 카펠 대령에게 거짓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37]참조
[1]
간행물
Kenya Protectorate Order in Council 1920
S.R.O. & S.I. Rev. VIII
1920-08-13
[2]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in 1924
http://www.britishem[...]
2018-07-23
[3]
웹사이트
Annual Report of the Colonies, Kenya, 1931
https://libsysdigi.l[...]
University of Illinois
2023-09-22
[4]
웹사이트
Kenya Population
http://www.worldomet[...]
2018-07-23
[5]
간행물
Kenya (Annexation) Order in Council 1920
1920-06-11
[6]
서적
Commonwealth and Colonial Law
Stevens
[7]
웹사이트
Kenya Annexation Order, Kenya Gazette 7 Sep 1921
https://books.google[...]
1921-09-07
[8]
논문
Lowering the Sultan's Flag: Sovereignty and Decolonization in Coastal Kenya
[9]
논문
The'white highlands' of Kenya
https://www.jstor.or[...]
[10]
간행물
Worlds of Color
https://www.foreigna[...]
1925-04-01
[11]
서적
The New Negro: An Interpretation
Albert and Charles Boni
[12]
웹사이트
Historic Mombasa – British Empire in East Africa
http://www.friendsof[...]
2020-05-23
[13]
웹사이트
Kenya Colony – Kenyans247
https://www.kenyans2[...]
2020-05-25
[14]
뉴스
In Africa, the queen's death renews a debate about the legacy of the British Empire
https://www.nytimes.[...]
2022-09-09
[15]
뉴스
Cloud of colonialism hangs over Queen Elizabeth's legacy in Africa
https://edition.cnn.[...]
2022-09-10
[16]
뉴스
Putin exploits the lie machine but didn’t invent it. British history is also full of untruths
https://www.theguard[...]
2022-03-30
[17]
뉴스
Uncovering the brutal truth about the British empire
https://www.theguard[...]
2016-08-18
[18]
웹사이트
History of Kenya government webpage
http://www.brandkeny[...]
[19]
뉴스
Kenya is granted independence
http://www.sahistory[...]
2011-11-23
[20]
웹사이트
Page 3834 Issue 38341, 2 July 1948 London Gazette The Gazette
https://www.thegazet[...]
2024-07-14
[21]
서적
Annual report on the Colony and Protectorate of Kenya
http://archive.org/d[...]
London : H.M.S.O.
1948
[22]
서적
Annual report on the Colony and Protectorate of Kenya
http://archive.org/d[...]
London : H.M.S.O.
1956
[23]
서적
The Story of the East African Mounted Rifles
East Africa Standard Ltd
[24]
간행물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1953-11-17
[25]
논문
The impact of Kenya African soldiers on the creation and evolution of the Pioneer Corp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26]
웹사이트
East African Artillery
https://discovery.na[...]
[27]
논문
The East African Forces in the War and their Future
https://www.proquest[...]
1948-02-01
[28]
웹사이트
[29]
서적
Kenya a country study
[30]
논문
Spare the Rod, Spoil the Colony: Corporal Punishment, Colonial Violence, and Generational Authority in Kenya, 1897—1952
https://www.jstor.or[...]
[31]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in 1924
http://www.britishem[...]
2018-07-23
[32]
웹사이트
Annual Report of the Colonies, Kenya, 1931
https://libsysdigi.l[...]
University of Illinois
2023-09-22
[33]
웹사이트
Kenya Population
http://www.worldomet[...]
2018-07-23
[34]
간행물
Kenya Protectorate Order in Council 1920
S.R.O. & S.I. Rev. VIII
1920-08-13
[35]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in 1924
http://www.britishem[...]
2018-07-23
[36]
웹인용
Kenya Population
http://www.worldomet[...]
2018-07-23
[37]
저널
Spare the Rod, Spoil the Colony: Corporal Punishment, Colonial Violence, and Generational Authority in Kenya, 1897—1952
https://www.jstor.or[...]
2023-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