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쿠유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쿠유족은 케냐에 거주하는 반투족의 일파로, 키쿠유어를 사용하며 케냐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 중 하나이다. 역사를 통해 키쿠유족은 영국 식민 통치에 저항하며 민족주의 운동을 이끌었고, 독립 이후 케냐 정치와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전통적으로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며, 씨족 사회와 독특한 사회 조직, 종교, 문화를 유지해왔다. 키쿠유족은 기독교를 주로 믿지만, 전통적인 신앙도 일부 존재하며, 문학,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들을 배출했다.
키쿠유족은 케냐 산 주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민족으로, 그들의 언어는 엠부와 음베레의 언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키쿠유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그들은 3세기경 케냐 산 북쪽에 도착했으며, 6세기에는 니에리의 가퉁'강가에 정착했다. 13세기경에는 현재의 케냐 산 지역에 정착했다.[6][7]
키쿠유족은 반투어군에 속하는 키쿠유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케냐의 두 공용어인 스와힐리어와 영어를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한다.
2. 역사
1895년 동아프리카 보호령이 설립되기 전까지 키쿠유족은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지리적, 정치적 권력을 유지했으며, 정복된 적도 없었다.[8] 인도양 노예 무역에 관여한 아랍인들이 키쿠유족 영토 남쪽 가장자리를 지나갔지만, 키쿠유족 사이에는 노예 제도가 없었고 노예를 잡기 위한 습격도 하지 않았다.[9] 키쿠유족 땅에 진출하려던 아랍인들은 즉사했다.[10] 키쿠유족은 토지 구매, 혈맹, 통혼, 입양 및 동화를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며,[11] 농업과 사업에 능숙했다.[12][13] 또한 다리 건설,[14] 끈 제조,[15] 철사 드로잉,[16] 쇠사슬 제조[17]와 같은 소규모 산업에도 종사했다.
1888년경 영국인들과 접촉하면서 키쿠유족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은 혼란을 겪었다. 제국 동아프리카 회사의 프레더릭 루가드와 조약을 맺었던 다고레티의 와이아키 와 힝가는 1890년에 루가드의 요새를 불태웠고, 2년 후 체포되어 산 채로 매장되었다.[31]
1895년 영국 정부는 왕령 식민지를 통해 직접 통치를 수립하고, 1902년에는 비옥한 고지대를 유럽 이민자들에게 개방했다.[31] 이민자들에 분노한 키쿠유족은 식민 정부와 협력하는 자국민을 죽이는 정책을 시행했다.[32] 백인 정착민과의 분쟁에서 키쿠유족은 열악한 무기로 인해 패배했고,[45] 이후 정치적 수단을 통해 불만을 해결하려 했다.[3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해리 투쿠는 1921년에 "영 키쿠유 협회"를 조직하여 민족주의 감각을 부여하고 시민 불복종을 옹호했다. 투쿠는 추방되었지만, 1924년에 조모 케냐타를 사무총장으로 하는 키쿠유 중앙 협회(KCA)가 결성되어 그의 캠페인을 이어갔다.[33] KCA는 키쿠유족을 하나의 정치체로 통합하려 했지만, 여러 논란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케냐타는 1924년과 1931년에 영국으로 건너가 식민 정부에 대한 불만을 표명했다.[34]
1930년대에는 약 3만 명의 백인 정착민이 키쿠유족 땅에 살면서 정치적 발언권을 얻었다. 100만 명이 넘는 키쿠유족은 땅에서 쫓겨나 유랑 농부로 살거나 도시로 탈출했다.[34]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KAR)의 일원으로 참전한 키쿠유족 병사들은 아프리카 민족주의를 자극받았다. 1944년 투쿠는 케냐 아프리카 연구 연합(KASU)을 창설했고, 1946년에는 케냐 아프리카 연합(KAU)으로 개명되었다. KAU는 백인 소유 토지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는 민족주의 단체였다. 1947년 조모 케냐타가 KAU의 회장이 되면서 더욱 공격적인 요구를 하기 시작했다. KAU가 식민 당국으로부터 실질적인 개혁을 얻지 못하자, 정치적 주도권은 더 과격한 인물들에게 넘어갔다.[35]
1952년 데단 키마티 지휘하에 케냐 토지 및 자유군 (마우마우)은 식민 정부, 정착민 및 그들의 케냐 동맹에 대한 전면적인 반란을 시작했다. 마우마우는 케냐의 완전한 독립을 위해 싸웠다. 1956년 키마티의 체포는 마우마우 봉기의 패배를 알렸지만, 이 갈등은 1963년 케냐 독립의 발판을 마련했다.
1960년 케냐의 민족주의자들은 케냐 아프리카 민족 동맹 (KANU)에 결집했다. 1963년 독립 이후 조모 케냐타 대통령은 신식민지 정책을 추진했고, 이에 대한 급진파의 반발이 있었다. 1978년 케냐타 사후 다니엘 아랍 모이가 대통령이 되었지만, 그는 강권 통치를 추진했다. 오늘날 키쿠유족 일부는 불우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58]
2002년 이후 무아이 키바키 대통령은 키쿠유족 출신으로, 그의 정책은 타 부족에게 키쿠유족 우대 정책으로 여겨졌다. 2007년 케냐 위기 (2007년-2008년)는 부정 선거 의혹으로 시작되어 민족 간 학살로 번졌고,[59] 타 부족이 키쿠유족에게 적대 행위를 보이게 되었다.
1963년 케냐 식민지에서 케냐 공화국으로 독립한 이후, 키쿠유족은 케냐 국민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조국 건설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케냐인들은 키쿠유족의 경제적 우위와 정치적 권력에 대한 인식에 불만을 품고 있으며, 이는 1992년, 1997년, 2007년 선거에서 발생한 정치적 폭력으로 표출되기도 했다.[58]
2. 1. 기원과 초기 역사
키쿠유족은 북동 반투어 계열에 속한다. 그들의 언어는 엠부와 음베레의 언어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지리적으로 그들은 케냐 산 부근에 집중되어 있다.
북동 반투어 화자들이 최초의 반투족 확장 이후 어디에서 이주해 왔는지는 불확실하다. 일부 학자들은 키쿠유족이 북쪽과 동쪽의 초기 정착지에서 현재의 케냐 산 지역으로 왔다고 주장하는 반면,[3] 다른 학자들은 키쿠유족이 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부 반투족 이웃인 엠부, 메루, 음베레, 그리고 캄바와 함께 더 북쪽에서 케냐로 이동했다고 주장한다.[4][5]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그들이 케냐 산 북쪽에 도착한 시기는 약 3세기 경으로, 타기쿠로 알려진 더 큰 집단의 일원으로서이다. 6세기에는 니에리의 가퉁'강가에 새롭게 정착한 아기쿠유 공동체가 있었다. 아기쿠유족은 13세기 경에 케냐 산 지역의 현재 고향에 정착했다.[6][7]
2. 2. 1888년 이전
1895년 동아프리카 보호령이 설립되기 전, 키쿠유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거의 모든 외부 영향으로부터 지리적, 정치적 권력을 유지했으며 정복된 적이 없었다.[8] 영국이 도착하기 전, 아랍인들은 인도양 노예 무역에 관여했고, 그들의 대상들은 키쿠유족의 영토 남쪽 가장자리를 지나갔다. 키쿠유족 사이에는 노예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노예를 잡기 위한 습격도 하지 않았다.[9] 키쿠유족의 땅에 진출하려던 아랍인들은 즉사했다.[10] 키쿠유족은 토지 구매, 혈맹(파트너십), 다른 민족과의 통혼, 입양 및 동화를 통해 끊임없이 영토를 확장했다.[11] 경제적으로 키쿠유족은 훌륭한 농부였으며[12] 약삭빠른 사업가였다.[13] 농업과 사업 외에도 키쿠유족은 다리 건설,[14] 끈 제조,[15] 철사 드로잉,[16] 쇠사슬 제조[17]와 같은 직업을 가진 소규모 산업에 종사했다. 키쿠유족은 훌륭한 정의감(''kĩhooto'')을 가지고 있었다.[14]
2. 3. 식민지 시대 (1888-1963)
아기쿠유족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은 1888년경 영국인과 접촉하면서 혼란을 겪었다. 영국 탐험가들은 "아프리카 분할" 이전에 이 지역을 방문했고, 이후 여러 사람들이 풍부하고 비옥한 농지를 주목하며 이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이동했다. 처음에는 적대적이지 않았지만, 아기쿠유족과 유럽인 사이의 관계는 곧 폭력적으로 변했다. 다고레티를 다스린 남부 아기쿠유족의 지도자 와이아키 와 힝가는 제국 동아프리카 회사의 프레더릭 루가드와 조약을 맺었는데, 1890년에 루가드의 요새를 불태웠다. 와이아키는 2년 후 회사에 의해 체포되어 복수를 위해 산 채로 매장되었다.[31]
영국 동아프리카 회사의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따라, 영국 정부는 1895년 7월 1일 왕령 식민지를 통해 직접 왕실 통치를 수립하고, 1902년에는 비옥한 고지대를 유럽 이민자들에게 개방했다.[31] 이민자들의 파도에 분노한 아기쿠유족은 식민 정부와 협력하는 자국민을 모두 죽이는 정책을 시행했다.[32] 백인 정착민과 아기쿠유족 간의 분쟁이 폭력적으로 변했을 때 (보통 토지 문제), 정착민들은 그들을 위해 싸우기 위해 마사이족과 일부 식민군을 고용했다. 마사이족은 역사적으로 아기쿠유족과 부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상대로 기꺼이 무기를 들었다. 정착민과 아기쿠유족 사이의 다양한 갈등은 열악한 무기 때문에 후자가 패배하는 결과를 초래했다.[45] 아기쿠유족은 유럽 정착민 및 식민 정부와의 갈등에서 성공하지 못하자 그들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치적 수단을 사용했다.[33]
케냐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이 남쪽에 있는 독일 식민 제국을 점령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기지가 되었는데, 처음에는 좌절되었다. 1914년 8월 전쟁 발발 당시, 영국령 동아프리카 (일반적으로 보호령으로 알려짐)와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총독들은 젊은 식민지를 직접적인 적대 행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휴전 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파울 폰 레토우-포르베크 중령은 독일 군대의 지휘권을 잡고 가능한 한 많은 영국 자원을 묶어두기로 결심했다. 독일 제국으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폰 레토우는 땅에서 생존하고, 영국 보급품을 탈취하며, 패배하지 않는 효과적인 게릴라전 캠페인을 수행했다. 그는 결국 1918년 휴전 조약이 서명된 지 11일 만에 잠비아에서 항복했다. 폰 레토우-포르베크를 추격하기 위해 영국은 영국령 인도 육군 병력을 영국령 인도에서 파견했고, 보급품을 발로 내륙 깊숙이 수송하는 엄청난 물류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수의 운반인이 필요했다. 운반인 군단이 창설되었고 결국 40만 명 이상의 아프리카인을 동원하여 그들의 장기적인 정치화에 기여했다.
아프리카인들이 전쟁에서 얻은 경험은 백인이 지배하는 케냐 왕령 식민지의 창설과 결합되어 1920년대에 상당한 정치 활동을 일으켰고, 아치데컨 오웬의 "피니 오와초"(국민의 목소리) 운동과 해리 투쿠(1895–1970)가 1921년에 시작한 "영 키쿠유 협회"( "동아프리카 협회"로 개명)로 절정에 달했다. 이 협회는 많은 키쿠유족에게 민족주의 감각을 부여하고 시민 불복종을 옹호했다. 투쿠의 식민 정부에 대한 캠페인은 오래가지 못했다. 그는 이듬해 키스마유로 추방되었고, 1924년에야 키쿠유 중앙 협회(KCA)가 투쿠의 캠페인을 이어가기 위해 결성되었다.[33] 1924년부터 키쿠유 중앙 협회(KCA)는 조모 케냐타를 사무총장으로 하여 키쿠유족을 하나의 지리적 정치체로 통합하는 데 집중했지만, 의례적 조공, 토지 할당, 여성 할례 금지, 투쿠 지지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이 프로젝트는 약화되었다. KCA는 1924년과 1931년에 케냐타를 영국으로 보내 식민 정부와 그 정책에 대한 그들의 불만을 표명했다.[34]
1930년대에는 약 3만 명의 백인 정착민이 아기쿠유족의 땅에 살았고, 시장 경제에 대한 기여로 인해 정치적 발언권을 얻었다. 이 지역에는 이미 100만 명이 넘는 키쿠유족이 살고 있었고, 그들 대부분은 침범하는 유럽 정착민에 의해 땅에서 쫓겨나 유랑 농부로 살았다. 그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정착민들은 커피 생산을 금지하고, 오두막세를 도입했으며, 토지가 없는 노동자들은 노동의 대가로 점점 더 적은 토지를 받았다. 땅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능력이 줄어들면서 도시로의 대규모 탈출이 뒤따랐다.[34]
제2차 세계 대전 (1939–45)에서 케냐는 중요한 군사 기지가 되었다.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KAR)의 일원으로 전쟁에 참여한 아기쿠유족 병사들에게 전쟁은 아프리카 민족주의를 자극하고 유럽인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산산조각냈다. 한편, 정치 전선에서 1944년 투쿠는 다민족 케냐 아프리카 연구 연합(KASU)을 창설했고 초대 의장이 되었다.
1946년, KASU는 케냐 아프리카 연합(KAU)이 되었다. KAU는 백인 소유의 토지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는 민족주의 단체였다. KAU는 1944년 현지 반투/닐로트족 엘리트와 상의한 후 총독에 의해 임명된 케냐 입법 의회의 첫 흑인 의원인 엘리우드 마투를 위한 지역구 협회 역할을 했다. KAU는 키쿠유족이 계속 지배했다. 1947년 온건한 키쿠유 중앙 협회의 전 회장이었던 조모 케냐타는 원주민의 더 큰 정치적 발언권을 요구하기 위해 더 공격적인 KAU의 회장이 되었다. KAU가 식민 당국으로부터 어떠한 실질적인 개혁이나 불만 사항 해결을 얻지 못하자, 정치적 주도권은 아프리카 노동 조합 운동 내의 더 젊고 더 과격한 인물들, 리프트 밸리의 정착지 토지 점유자들, 그리고 나이로비와 중앙 주 키쿠유 지역의 KAU 지부로 넘어갔다.[35]
1952년 데단 키마티 야전사령관 지휘하에 케냐 토지 및 자유군 (마우마우)은 식민 정부, 정착민 및 그들의 케냐 동맹에 대한 전면적인 반란을 시작했다. 이 무렵 마우마우는 케냐의 완전한 독립을 위해 싸웠다. 이 전쟁은 일부 사람들에게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가장 심각한 위기로 여겨진다.[36] 1956년 10월 21일 반군 지도자 데단 키마티의 체포는 마우마우 봉기의 최종적인 패배를 알렸고, 비상사태가 1959년까지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 작전은 사실상 종료되었다. 이 갈등은 1963년 12월 케냐 독립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케냐에 이주한 덴마크 작가 카렌 블릭센은 자신의 커피 농장에서 고용한 키쿠유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아프리카의 나날』에서).
> 반항심을 품지 않고 양처럼 끈기 있는 토착민들은 권력도 보호자도 없이 자신들의 운명에 굴복해 왔다. 위대한 체념의 재능으로, 그들은 지금도 견디고 있다. 키쿠유족은 마사이족처럼 노예 상태를 견디지 못하고 죽음을 선택하지도 않고, 소말리족처럼 상처 입고, 속고, 경시당했을 때 운명에 도전하지도 않는다. 이국의 신과도 친밀하며, 갇힌 상황도 견뎌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1919년 키쿠유족 Harry Thuku|해리 투쿠영어가 나이로비에서 동아프리카 협회 (EAA)를 조직했고, 이것이 케냐의 민족주의적 정치 운동의 시작이 되었다. 1924년에는 청년층을 중핵으로 하는 키쿠유 중앙 협회 (KCA)가 결성되어 식민지 정부에 동조하는 족장 세력과 대립했다. KCA는 노동 문제나 아프리카인에게 토지 반환 등을 추진했고, 근연 민족뿐만 아니라 루오인과 루이아인과도 초민족적 연대를 달성했다. 평화적인 수단에 만족하지 못한 KCA 급진파가 일으킨 것이 1952년부터의 마우마우 전쟁이며, 이것이 백인 이주민 철수의 계기가 되었다.
1960년에 케냐의 민족주의자들은 케냐 아프리카 민족 동맹 (KANU)에 결집했지만, 1963년 독립 후 온건파 키쿠유족인 조모 케냐타 (Jomo Kenyatta)가 보수 세력을 끌어들여 신식민지 정책을 취하자, 급진파는 사회주의를 내세우며 대립했다. 1978년 케냐타가 사망하자, 차기 대통령 자리를 노리고 있던 케냐타 정권의 법무장관인 키쿠유족은 당시 부통령이었던 Tugen|label=투겐영어의 다니엘 아랍 모이 (Daniel arap Moi)를 옹립하려 했고, 처음에는 키쿠유족에게 가볍게 여겨졌던 모이가 취임했지만, 그는 이내 강권 통치를 추진하게 된다.[58]。 오늘날에도 키쿠유족의 일부는 불우한 감정이 강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
2002년 이후 제3대 케냐 대통령 무아이 키바키 (Mwai Kibaki)는 키쿠유족 출신이며, 그의 정책은 타 부족에게 노골적인 키쿠유족 우대 정책으로 여겨지고 있다. 2007년 12월 선거에서 키바키 진영은 경쟁 후보인 루오족의 라일라 오딩가 (Raila Odinga)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이겨 재선에 성공했지만, 부정 선거가 아니냐는 의혹을 품은 젊은이들과 치안 부대의 충돌을 시작으로, 민족 간의 학살이 일어날 정도로 사태가 심각해진 폭동 (케냐 위기 (2007년-2008년))이 발생[59], 타 부족이 키쿠유족에게 노골적인 적대 행위를 보이게 되었다.
2. 4. 독립 이후 (1963-현재)
케냐 식민 통치가 1963년 케냐 식민지에서 끝나고 케냐 공화국이 선포된 이후, 아기쿠유족은 케냐 국민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그들은 케냐 시민으로서 조국 건설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케냐인들은 아기쿠유족의 경제적 우위와 정치적 권력 및 단결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 불만을 품고 있으며, 이러한 불만은 1992년, 1997년, 2007년 케냐 선거에서 발생했던 정치적 폭력으로 표출되기도 했다.[58]
1960년에 케냐의 민족주의자들은 케냐 아프리카 민족 동맹 (KANU)에 결집했지만, 1963년 독립 후 온건파 키쿠유족인 조모 케냐타 (Jomo Kenyatta)가 보수 세력을 끌어들여 신식민지 정책을 취하자, 급진파는 사회주의를 내세우며 대립했다. 1978년 케냐타가 사망하자, 차기 대통령 자리를 노리고 있던 케냐타 정권의 법무장관인 키쿠유족은 당시 부통령이었던 투겐|투겐kal의 다니엘 아랍 모이 (Daniel arap Moi)를 옹립하려 했고, 처음에는 키쿠유족에게 가볍게 여겨졌던 모이가 취임했지만, 그는 이내 강권 통치를 추진하게 된다. 오늘날에도 키쿠유족의 일부는 불우한 감정이 강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58]
2002년 이후 제3대 케냐 대통령 무아이 키바키 (Mwai Kibaki)는 키쿠유족 출신이며, 그의 정책은 타 부족에게 노골적인 키쿠유족 우대 정책으로 여겨지고 있다. 2007년 12월 선거에서 키바키 진영은 경쟁 후보인 루오족의 라일라 오딩가 (Raila Odinga)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이겨 재선에 성공했지만, 부정 선거가 아니냐는 의혹을 품은 젊은이들과 치안 부대의 충돌을 시작으로, 민족 간의 학살이 일어날 정도로 사태가 심각해진 폭동 (케냐 위기 (2007년-2008년))이 발생[59], 타 부족이 키쿠유족에게 노골적인 적대 행위를 보이게 되었다.
3. 문화
키쿠유족은 반투계 농경민으로, 키쿠유어(Gĩkũyũki)를 사용하며, 케냐 인구의 22%[55]를 차지하는 케냐 최대의 민족이다.
아기쿠유족은 1년에 4계절과 2번의 수확기를 가졌다.[22]
시간은 할례 의식을 통해 기록되었으며, 각 입회 집단은 특별한 이름을 받았다.[23] 고드프리 무리우키(Godfrey Mũriũki) 교수에 따르면, 개별 입회 집단은 9년 주기로 연대(군대)로 묶였으며, 연대 구성 전에는 소년들의 입회가 이루어지지 않는 4년 반(9계절, ''imera'') 동안의 ''mũhingo'' 기간이 있었다.[23] 메투미(무랑가)에서는 5년째부터 9년 동안 매년 입회가 진행되었다. 연대 집단 이름은 인기 있는 남성 이름으로 굳어지기도 했다.
가키(니에리)에서는 입회가 4년 동안 매년 진행된 후 9년 동안 소년 입회가 없는 ''mũhingo'' 기간이 이어지는 시스템이 사용되었다.[23] 소녀들은 매년 입회했다. 여러 연대가 통치 세대를 구성하며, 통치 세대는 평균 35년 지속되었다.
입회 및 연대 집단 이름은 키쿠유족 내에서 다양하지만, 통치 세대는 균일하며 중요한 연대기적 데이터를 제공한다. 입회 집단은 키쿠유족 국가 내 사건(천연두, 매독 발생 등)을 기록하는 방법이었으며,[23] 소녀들의 입회 집단 이름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리우키는 ''Rũharo'' [1894], ''Kibiri/Ndũrĩrĩ'' [1895], ''Kagica'' [1896], ''Ndutu/Nuthi'' [1897] 등의 이름을 발굴했다.[23]
과거 남성 통치 세대 이름은 다음과 같다:
''Maina''와 ''Mwangi''는 인기 있는 남성 키쿠유족 이름이며, ''Waciira''는 ''ciira''(사건)에서 파생된 인기 있는 남성 이름이다.
''Ituĩka''는 옛 세대가 다음 세대에게 권력을 넘겨주는 중요한 의식으로,[25] 독재를 피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898-9년에 ''Maina'' 세대가 ''Mwangi'' 세대에게 권력을 넘겨준 것이 마지막 ''Ituĩka'' 의식이었으며,[29] 1925-1928년에 예정되었던 다음 의식은 식민 정부에 의해 좌절되었다.[25]
3. 1. 사회 조직
아기쿠유족은 9개의 씨족으로 나뉘었다. 각 씨족은 단일 ''여성 조상''과 뭄비의 딸에게서 그 계보를 추적했다.[18] 씨족은 특정 지역에 제한되지 않고 함께 살았다. 어떤 씨족은 공인된 지도자를 두었지만, 다른 씨족은 그렇지 않았다.[19] 그러나 어느 경우든 실제 정치 권력은 각 씨족의 원로 회의에서 행사했다. 각 씨족은 다음으로 전체 공동체의 최고 원로 회의에 그들의 회의 지도자를 보냈다. 모든 씨족을 대표하는 전체 원로 회의는 '족장' 또는 국가 대변인이 이끌었다.
통치 세대인 리이카(rĩĩka) 시스템은 서기 1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5] 세대는 다음과 같다.
마이나(Maina) 세대가 므왕기(Mwangi) 세대에게 권력을 이양하는 마지막 이투이카(Ituĩka) 의식은 1898~1899년에 거행되었다.[29] 다음 의식은 1925~1928년에 열릴 예정이었으나[28] 식민 정부에 의해 좌절되었다. 아기쿠유족(Agikuyu) 국가의 전통적인 권력 상징은 지도력을 의미하는 무티기(Muthĩgi, 지팡이)와 전쟁을 소집하는 권력을 의미하는 이티무(Itimũ, 창)이다.[30]
키쿠유족의 가족적 단위는 부계 씨족 또는 클랜(clan|클랜영어; mũhĩrĩga|무히리가ki) 아래에 서브클랜(sub-clan|서브클랜영어; mbarĩ|바리ki), 더 나아가 그 아래에 리니지(lineage|리니지영어; nyũmba|뇸바ki[60])와 같이 혈연에 의한 종적인 연결이 중층적으로 나타난다. 여기에 리이카(참조: #할례)라는 바리 간을 횡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집단이 더해져, 민족 전체의 일체성이 강고하게 유지되어 왔다.[61] 모헤레가에 관해서는 신화 속 시조 기쿠유(Gĩkũyũ|기쿠유ki)와 그의 아내 Mũmbi|뭄비ki 사이에서 태어난 딸들의 자손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3. 2. 종교
키쿠유족은 역사적으로 토착 신앙을 따랐지만, 오늘날에는 다양한 종파의 기독교와 다양한 혼합 형태의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소수의 키쿠유족은 동아프리카 지역과의 교역을 통해 아랍, 인도, 페르시아 선교사들을 통해 이슬람교를 실천하고 있다.[49]2015년경 약 60명으로 추산되는 소규모 키쿠유족은 쿠수쿠 마을에서 유대교를 믿는다. 이들은 보수 유대교와 유사한 규범적인 형태의 유대교를 실천하지만, 어떠한 대규모 유대교 단체의 공식적인 일원은 아니다.[50]
키쿠유족은 역사적으로는 "전통 신앙"을 믿어 왔지만, 현재는 대부분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키쿠유족의 전통 신앙은 케냐 산의 정상에 좌하는 신 Ngai|응가이영어(Ngai|응가이ki)를 숭배하는 일신교이다. 응가이는 마사이족에게는 엔카이(마사이어: Enkai)라고 불리며, 같은 신을 가리킨다.
3. 3. 문학
1888년까지 키쿠유족의 문학은 순전히 민속으로 표현되었다.[45] 유명한 이야기로는 "친족에게 희생된 처녀", "잃어버린 자매", "네 명의 젊은 전사", "N'jenge의 머리카락을 자른 소녀" 등이 있다.1888년 유럽 선교사들이 키쿠유족 지역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키쿠유어를 배우고 수정된 로마자를 사용하여 글을 쓰기 시작했다. 키쿠유족은 선교사와 유럽의 교육에 강력하게 반응했다. 그들은 더 나은 교육 접근성과 새로운 화폐 경제 및 자국 내 정치 변화에 참여할 기회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응구기 와 시옹오와 메자 므왕기와 같은 주목할 만한 키쿠유 문학 아이콘이 있다. 응구기 와 시옹오의 문학 작품으로는 ''Caitani Mutharabaini'' (1981), ''Matigari'' (1986) 및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가장 큰 키쿠유어 소설인 ''Murogi wa Kagogo'' (''마법사(소설)'' (2006))가 있다.[46]
- 키린야가 - 마이크 레즈닉이 저술한 키쿠유족을 소재로 한 SF 소설.
3. 4. 음악
전통적인 키쿠유족 음악은 식민주의가 그들의 삶을 파괴하기 전인 1888년까지 여러 세대에 걸쳐 존재해 왔다. 1888년 이전과 1920년대까지 키쿠유족 음악에는 키바아타(Kibaata), 은두우모(Nduumo), 무퉁구치(Muthunguci)가 포함되었다. 도시화와 현대화가 mũtũrĩrũ영어 (사선 나무 껍질 플루트)를 연주하는 능력 등 토착 지식에 영향을 미치면서 문화적 손실이 증가했다.[47] 오늘날 음악과 춤은 키쿠유족 문화의 강력한 구성 요소이다. 세속 음악과 복음 음악 모두를 위한 활발한 키쿠유족 음반 산업이 있으며, 5음 음계와 "Mathwiti Maigi Ngai!"와 같은 서양 음악 스타일을 따른다.3. 5. 영화
키쿠유족의 영화와 영화 제작은 아기쿠유족 사이에서 매우 최근의 현상으로, 21세기에 들어서야 대중화되었다. 20세기에는 대부분의 아기쿠유족이 서양에서 제작된 영화를 소비했다. 인기 있는 키쿠유 영화 제작물로는 코미디 시리즈인 《마창기》와 《키헨조》 등이 있다. 최근 케냐의 텔레비전 채널이 크게 증가했으며, 키쿠유어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도 있다.3. 6. 음식
전형적인 키쿠유족 음식에는 기테리(옥수수와 콩, 옥수수가 아프리카에 도입된 이후), 무키모(으깬 완두콩과 감자), 키미투(으깬 콩과 감자), 이리오(으깬 마른 콩, 옥수수, 감자), 무투라(염소 내장, 고기, 피로 만든 소시지), 우추루(옥수수, 기장 또는 수수 가루로 만든 발효 죽), 구운 염소, 쇠고기, 닭고기, 콜라드, 시금치, 당근과 같은 익힌 녹색 채소가 있다.3. 7. 할례
과거에는 남녀 모두 공동체의 큰 행사로서 성인 의례인 할례가 행해졌으며[65], 남자는 할례를 받기 전에는 kĩhĩĩki〈소년〉, 받은 후에는 mwanakeki〈청년〉, 여자는 받기 전에는 kĩrĩgũki〈소녀〉, 받은 후에는 mũirĩtuki〈처녀〉와 같이 호칭이 구분되었다.[66] 동시에 할례를 받은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은 리이카(riikaki 또는 rikaki)라고 불리는데, 집단명에는 할례를 받은 당시의 사건이 붙여져, 민족에게 일어난 역사를 전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61] 예를 들어 1891년의 리이카는 Mũtũng’ũki 라는 명칭으로, 이는 일반 명사로서는 〈천연두〉를 의미하지만, 1891년에 키쿠유족이 사는 땅에 천연두가 나타나게 된 것을 전하고 있다.[61]2012년 이전 단계에서 여성 할례는 법적으로 금지되었으며[67], 남자도 도시 지역에서는 대부분 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등, 공동체의 의례로서의 의미는 옅어지고 있다.[68]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출현하여, 90년대 후반부터 케냐 사회에서 뭉기키(Mungiki, 키쿠유어로는 mũngĩkĩki로 표기되며 엄밀히는 "몽게케"와 같이 발음되며, 일반 명사로서는 〈집단, 패거리〉를 의미한다[69])라고 불리게 된 키쿠유의 전통적인 가치관의 부활을 표방하는 집단이 존재하는데, 이는 민족 정체성의 요건으로 여성 할례를 여성에게 강요하고, 여성에게 습격을 가하는 등의 폭행을 저질러 왔다.[67]
3. 8. 결혼
전통적으로 결혼 시에는 남성이 여성의 친가에 신부값(bride price|브라이드 프라이스영어 또는 bridewealth|브라이드웰스영어; rũraacio|루라치오ki)를 지불하는 관습이 존재한다. 지불은 여러 개의 사탕수수나 호리병 몇 개 분량의 꿀술, 염소나 양 수십 마리 등으로 이루어진다[70]。 따라서 재산이 없는 남성은 결혼할 수 없었으며, Mwarĩ mwega ahĩtũkĩra thome wa ngĩa.|므와리 므웨가 아히투키라 토메 와 응기아ki〈좋은 딸은 가난한 사람의 문을 지나쳐 갔다〉라는 속담이 생겨났다. 과거에는 남성이 신부값을 지불한 후에 딸이 시집을 갔지만, 현대에는 먼저 딸이 시집을 간 후 남성이 장기적으로 신부값을 지불하는 경우가 많다[70]。또한 전통적으로 일부다처제가 존재하며, 민속학자이기도 했던 조모 케냐타는 "키쿠유는 어릴 때부터 남자가 된다는 것은 가능한 한 많은 아내들과 가정을 사랑하고 유지하는 것이라고 배웠다"고 말했다[72]。 따라서 한 명의 남자에게 아내가 여러 명 있는 것을 전제로 한 Aka erĩ nĩ nyũngũ igĩrĩ cia ũrogi.|아카 에리 니 늉구 이기리 치아 우로기ki〈아내 둘은 독의 단지 둘〉이라는 속담이 존재한다.
4. 주요 인물
이름 | 분야 | 기타 |
---|---|---|
왕가리 마타이 | 노벨 평화상 수상자, 환경 운동가 | 아프리카 여성 최초, 환경 운동가 최초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 케냐 여성 최초의 박사 학위 취득자.[52] |
응구기 와 시옹오 | 작가 | 키쿠유어 작가.[52] |
마이나 와 키냐티 | 역사학자 | 마우마우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자 |
미세레 기타이 무고 | 작가, 활동가, 문학 평론가 | 시라큐스 대학교 문학 교수 |
완지루 키호로 | 경제학자, 페미니스트, 정치 운동가 | |
은조키 와이나이나 | 아프리카 여성 개발 및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FEMNET)의 창립자이자 초대 전무이사 | |
왕구이 와 고로 | 학자, 사회 비평가 | |
조셉 마이나 문가이 | 의학 연구자 | 동아프리카의 선구적인 의학 연구자 |
응겐도 므완기 | 의사 | 케냐 최초의 여성 의사. 매사추세츠주의 스미스 칼리지에 있는 므완기 문화 센터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캐롤 와무유 와이나이나 | 유엔 인적 자원 관리 담당 사무차장 | |
헬렌 기초히 | 생태학자 | 아프리카 야생 동물 재단 회장 |
올리브 무겐다 |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의 공립 대학교를 이끈 최초의 여성 | |
플로렌스 왐부구 | 식물 병리학자, 바이러스학자 | |
툼비 응둥구 | HIV/AIDS 연구자 | HIV 아형 C를 최초로 복제한 사람. 하워드 휴스 의학 연구소의 국제 초기 경력 과학자 상 수상자 |
도로시 완자 냐잉기 | 어류학자 | 아카데믹 팜 기사단 훈장 수훈자 |
키마니 마루게 | 84세에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세계 최고령 초등학생이 됨 | |
데이비드 무초키 칸자 | 유엔 내 감시실 최초의 사무차장 | |
무토니 와네키 | 정치학자, 인권 운동가 | |
사이먼 기칸디 | 프린스턴 대학교 영어 교수 | |
깁슨 카마우 쿠리아 | 변호사 | 로버트 F. 케네디 인권상 수상자 |
폴 무이테 | 변호사, 정치인, 다당제 운동가 | 전 대통령 후보 |
주디 통고리 | 변호사, 여성 권리 운동가 | |
마이나 키아이 | 변호사, 인권 운동가 | 유엔 평화로운 집회 및 결사의 자유에 대한 특별 보고관 |
마이클 은두루모 | 청각 장애 교육자 | 아프리카 출신 세 번째 청각 장애 박사 학위 취득자 |
응구기 와 미리 | 극작가 | |
코이기 와 왐웨레 | 작가, 정치인, 인권 운동가 | |
메자 므완기 | 작가 | |
레베카 은자우 | 작가, 극작가 | 그녀의 단막극 The Scar (1965)는 여성 할례를 비난하는 케냐 여성의 첫 번째 희곡으로 간주됨 |
보니파스 므완기 | 포토 저널리스트, 사회 정치 운동가 | |
앤 은조구 | 인권 및 헌법 개혁 운동가 | |
존 기통고 | 반부패 운동가 | |
기투라 므와우라 | 작가, 시인 | |
왕게치 무투 | 예술가, 조각가 | |
잉그리드 므완기 | 예술가 | 케냐-독일 출신 |
와누리 카히우 | 영화 감독 | |
와호메 무타히 | 유머 작가 | 풍자 칼럼 Whispers로 유명 |
제프 코이난게 | 저널리스트 | 에미상 수상 |
줄리 지추루 | 뉴스 앵커, 사업가 | |
리자 무체루-위스너 | 어프렌티스 시즌 10 준결승 진출자 | |
에디 가테기 | 배우 | 연극, 영화, 텔레비전 |
톰 모렐로 | 기타리스트 | 그래미상 수상, 응게테 조로제의 아들 |
에릭 와이나이나 | 음악가 | |
자넷 음부구아 | 뉴스 앵커 | |
데이비드 마텡게 | 음악가 | "Nameless"로 유명 |
스텔라 므완기 | 음악가 | STL이라는 예명으로 알려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1에서 노르웨이 대표로 참가 |
와후 | 음악가 | |
아브릴 | 음악가, 배우 | |
아마니 | 음악가 | |
재규어 | 음악가 | |
조셉 카마루 | 음악가 | |
다니엘 카마우 므와이 "DK" | 음악가 | |
퀸 제인 | 음악가 | |
아바스 쿠바프 | 힙합 아티스트 | |
왕게치 | 래퍼 | |
빅토리아 키마니 | 음악가, 배우 | |
패트리샤 키호로 | 음악가, 배우, 라디오 방송인 | |
사이즈 8 | 음악가, 배우 | 어머니: 에스더 은제리 무냐리 (키쿠유족), 아버지: 사무엘 키루이 무냐리 (우간다, 음발레 출신) |
무스타파 올팍 | 작가, 인권 운동가 | 크레테 섬의 키쿠유족 노예 후손인 터키 인권 운동가 |
패트릭 은조로게(Patrick Njoroge) | 케냐 중앙은행 총재 | |
피터 은데그와(Peter Ndegwa (business executive)) | 동아프리카 최대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인 사파리콤 PLC의 현 CEO | |
은주구나 은둥구(Njuguna Ndung'u) | 경제학 교수 | 전 케냐 중앙은행 총재 |
사무엘 카마우 마차리아(Samuel Kamau Macharia) | 동아프리카 최대의 민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네트워크인 로열 미디어 서비스의 설립자 겸 회장 | |
필립 은데그와(Philip Ndegwa) | 기업가, 경제학자 | 전 케냐 중앙은행 총재 |
피터 문가(Peter Munga) | 이쿼티 그룹 홀딩스 리미티드(Equity Group Holdings Limited)의 설립자 겸 회장, 에티오피아 상업은행(Commercial Bank of Ethiopia) 다음으로 동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은행 | |
제임스 므왕기(James Mwangi) | 이쿼티 그룹 홀딩스 리미티드의 그룹 CEO이자 최대 개인 주주 | |
유니스 마투(Eunice Mathu) | Parents Africa Magazine의 설립자 겸 편집장 | |
넬슨 무구쿠(Nelson Muguku Njoroge) | 기업가 | |
피우스 응구기(Pius Ngugi Mbugua) | 기업가 | 세계 최대의 마카다미아 너트 수출업체 중 하나인 케냐 너트 컴퍼니의 소유주 |
크리스 키루비(Chris Kirubi) | 실업가 | 동아프리카 최대의 상장 사모펀드 회사인 센텀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리미티드(Centum Investment Company Limited)의 최대 개인 주주 |
제인 완지루 미추키(Jane Wanjiru Michuki) | 변호사, 투자자 | |
덩컨 은데그와(Duncan Nderitu Ndegwa) | 전 케냐 중앙은행 총재 | |
베티 기코뇨(Betty Muthoni Gikonyo) | 카렌 병원의 공동 설립자 겸 그룹 CEO | |
사이먼 기차루(Simon Gicharu) | 동부 및 중부 아프리카 최대의 사립 대학교인 마운트 케냐 대학교(Mount Kenya University)의 설립자 | |
타비타 카란자(Tabitha Karanja) | 현 나쿠루 상원의원, 케냐에서 두 번째로 큰 양조장인 케로체 브루어리의 설립자 겸 CEO | |
게리숀 키리마(Gerishon Kamau Kirima) | 부동산 재벌 | |
에다 가추키아(Eddah Waceke Gachukia) | 교육자, 기업가 | 리아라 그룹 학교의 공동 설립자 |
에스더 파사리스(Esther Muthoni Passaris) | 사업가, 정치인 | |
완지쿠 무가네(Wanjiku Mugane) | 사업가, 투자 은행가 | 나중에 스탠다드 차타드에 인수된 퍼스트 아프리카 그룹의 공동 설립자 |
도르카스 무토니(Dorcas Muthoni) | 인터넷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벤슨 와이레기(Benson Wairegi) | 브리탐 홀딩스(Britam Holdings plc)의 그룹 CEO | |
존 가초라(John Gachora) | NIC 은행 그룹(NIC Bank Group)의 그룹 CEO | |
윌프레드 키보로(Wilfred Kiboro) | 동아프리카 최대의 미디어 기업인 네이션 미디어 그룹(Nation Media Group)의 이사회 의장. 전 그룹 CEO | |
무고 키바티(Mugo Kibati) | 산람 케냐(Sanlam Kenya Plc)의 그룹 CEO이자 투르카나 호 풍력 발전소(Lake Turkana Wind Power)의 회장 | |
조셉 무체루(Joseph Mucheru) | 전 구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리더이자 현 케냐 ICT 내각 비서 | |
도미닉 키아리에(Dominic Kiarie) | 전 그룹 CEO, UAP 홀딩스(UAP Holdings) | |
리가티 가차구아 | 2022년 9월부터 케냐 부통령 | |
응딘디 뇨로 | 현 키하루 국회의원 | |
존 키아리에 와웨루 | 현 다게레티 사우스 국회의원. | |
앨리스 와호메 | 현 수자원, 위생 및 관개부 장관. | |
이룽구 강가타 | 현 무랑가 주지사. | |
수잔 키히카 | 현 나쿠루 카운티 주지사. | |
존 기체루 | 전 케냐 대법원장 | |
스탠리 문가 기퉁구리 | 정치인, 사업가 | |
와이아키 와 힝가 | 19세기 지도자 | |
와루히우 이토테 | 일명 중국 장군. 마우마우 저항 지도자 | |
빌다드 카기아 | 독립 투사, 정치인 | 마우마우 중앙 위원회 및 카펭구리아 6인의 일원 |
무타히 카그웨 | 정치인 | |
줄리어스 와웨루 카랑기 | 퇴역 장군 겸 전 케냐 참모총장 | |
조세파트 카란자 | 전 부통령 | |
고드프리 기타히 카리우키 | 정치인 | |
조시아 음왕기 카리우키 | 사업가, 사회주의 정치인 | |
무투이 카리우키 | 전 케냐 정부 대변인 | |
마르타 왕가리 카루아 | 정치인 | 전 대통령 후보 |
루시 무링고 기추히 | 호주 의회에 선출된 최초의 흑인 아프리카계 인물 | |
쿵구 카룸바 | 독립 투사 겸 카펭구리아 6인 일원 | |
젱가 카루메 | 정치인, 사업가 | |
피터 케네스 | 정치인, 사업가 | 전 대통령 후보 |
조모 케냐타 | 케냐 초대 대통령, 우후루 케냐타의 아버지 | |
마가렛 케냐타 | 케냐의 제4대 영부인, 우후루 케냐타의 아내 | |
우후루 케냐타 | 케냐 제4대 대통령, 전 부총리 | |
응이나 케냐타 (마마 응이나) | 전 영부인, 조모 케냐타의 아내, 우후루 케냐타의 어머니 | |
루시 키바키 | 전 영부인, 음와이 키바키의 아내 | |
음와이 키바키 | 케냐 제3대 대통령 | |
데단 키마티 | 마우마우 저항 지도자 | |
음비유 코이난게 | 전 국무 장관, 조모 케냐타의 매형, 최초의 케냐 석사 학위 소지자 | |
모세스 쿠리아 | 통상부 장관.[53] | |
아서 마구구 | 정치인 | |
왕구 와 마케리 | 여성 수장 | |
엘리우드 마투 | 케냐 입법 위원회(LegCo)의 최초 아프리카인 의원 | |
케네스 마티바 | 사업가, 정치인, 다당제 운동가 | 전 대통령 후보 |
존 뇨로게 미추키 | 정치인, 사업가 | |
기투 무이가이 | 전 법무 장관 | |
뇨로게 문가이 | 정치인, 사업가 | 조모 케냐타의 개인 주치의이자 사촌 |
크리스 무룽가루 | 정치인 | |
존 마이클 은젠가 무투토 | 정치인 겸 반알코올 남용 운동가 | |
데이비드 음와리아 | 전 재무 장관 겸 국회의원 | |
뇨키 수산나 은둥구 | 케냐 대법원 판사 | |
찰스 뇨노 | 전 법무 장관 겸 헌법 문제부 장관 | |
왐부이 오티에노 | 독립 투사 겸 랜드마크 매장 사건의 주역 | |
찰스 루비아 | 전 국회의원 겸 다당제 정치 운동가 | |
조지 사이토티 | 전 부통령 | |
해리 투쿠 | 독립 투사 겸 독립 영웅 | |
앤 와이구루 | 현 키리냐가 카운티 주지사. | |
가카라 와 완자우 | 독립 투사, 작가 겸 역사가 | |
카이사르 가티무 | 전 니에리 로마 가톨릭 주교 | |
무고 와 키비루 | 19세기 전통 치료사이자 예언자 | |
니코데무스 키리마 | 니에리 교구 주교 | |
마나세스 쿠리아 | 두 번째 아프리카인 성공회 대주교. | |
존 넨가 | 로마 가톨릭 교회 대주교 | |
주디 음부구아 | 범아프리카 기독교 여성 연합(PACWA) 의장 | |
데이비드 기타리 박사 | 케냐 성공회의 세 번째 대주교이자 수장 | |
마가렛 완지루 | 복음주의 주교 | |
앤서니 무헤리아 | 기술자 | 니에리 가톨릭 대교구를 담당하는 로마 가톨릭 대주교, 케냐 중앙 은행 총재인 패트릭 응구기 은조로게의 형 |
폴 카리우키 니루 | 워테 로마 가톨릭 교구 주교 | |
사무엘 완지루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마라톤 챔피언이자 2009년 런던 마라톤, 뉴욕 마라톤 챔피언, 2009년 로테르담 하프 마라톤 챔피언으로, 케냐인 최초로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을 획득했다. | |
존 응구기 | 1986년부터 1989년까지 4회 연속, 총 5회의 세계 크로스 컨트리 챔피언. 1988년 올림픽 5000미터 챔피언 | |
캐서린 은데레바 | 보스턴 마라톤 4회 챔피언, 2004년과 2008년 올림픽 마라톤 은메달리스트 | |
헨리 와뇨이케 | 5,000미터 패럴림픽 금메달리스트, 다양한 마라톤 및 하프 마라톤 기록 보유자 | |
더글러스 와키이후리 |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마라톤 챔피언, 1988년 올림픽 마라톤 은메달리스트, 1990년 런던 마라톤 및 뉴욕 마라톤 챔피언 | |
패트릭 니루 | 스바루 월드 랠리 팀의 랠리 드라이버 | |
조셉 기코뇨 | 1990년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100m 및 200m 스프린트 금메달리스트 | |
보니파스 투무티 | 2016년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400미터 허들 금메달리스트, 2016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
퀸애로우 | e스포츠 선수, 동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프로 e스포츠 팀 입단 선수 | |
클리프 냐케야 | 이집트 클럽 ZED FC와 케냐 국가대표팀의 공격형 미드필더/윙어 축구 선수 | |
스티븐 키아마 | 교수 | 나이로비 대학교 총장, 2020년 - 현재 |
완지쿠 카비라 | 문학 교수 | 성 평등 운동가 |
참조
[1]
웹사이트
2019 Keny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Volume IV: Distribution of Population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ttps://www.knbs.or.[...]
2020-03-24
[2]
웹사이트
2019 Keny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Volume IV: Distribution of Population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ttps://www.knbs.or.[...]
2020-03-24
[3]
서적
Lonely Planet Kenya
Lonely Planet
[4]
웹사이트
http://www.kenyacomm[...]
[5]
서적
Kenya: a visitor's guide
Evans Brothers
[6]
서적
Peak Revision K.C.S.E. History & Government
https://books.google[...]
East African Publishers
[7]
웹사이트
Iron Working In The Upper Tana pg 3, July 2013
http://humanities.ku[...]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웹사이트
Agikuyu Clans
https://mukuyu.wordp[...]
2008-11-29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서적
Bantu Beliefs and Magic: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Gĩkũyũ and Kamba Tribes of Kenya Colony
https://books.google[...]
Frank Cass and Company
[31]
웹사이트
History of Kenya
http://www.kenya-afr[...]
Kenya-africa.com
2013-03-22
[32]
간행물
[33]
웹사이트
African Tribalism, African Socialism and the Goal of Political Democracy in Kenya pg 60
https://digitalcommo[...]
2018-11-18
[34]
웹사이트
African Tribalism, African Socialism and the Goal of Political Democracy in Kenya pg 61
https://digitalcommo[...]
2018-11-18
[35]
논문
Nationalism, ethnicity, and modernity: The paradox of Mau Mau
[36]
서적
Global Problems and the Culture of Capitalism
Pearson Education, Inc.
2008
[37]
논문
Y-chromosomal variation in Sub-Saharan Africa: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Niger-Congo group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011-03
[38]
웹사이트
Research
http://www.genlingin[...]
[39]
논문
Phylogeographic Refinement and Large Scale Genotyping of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E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Dispersal of Early Pastoralists in the African Continent
2015-06-24
[40]
논문
Contrasting patterns of Y chromosome and mtDNA variation in Africa: evidence for sex-biased demographic processes
[41]
논문
mtDNA variability in two Bantu-speaking populations (Shona and Hutu) from Eastern Africa: implications for peopling and migration patterns in sub-Saharan Africa
[42]
논문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Accounts for Contemporary Ecogeographic Patterns in Tropic and Subtropic-Dwelling Humans
2015-03-27
[43]
웹사이트
Molecular Perspectives on the Bantu Expansion
http://www.africamus[...]
2018-05-02
[44]
웹사이트
Y chromosome variation
http://pubman.mpdl.m[...]
[45]
서적
1910
[46]
웹사이트
Ngugi Wa Thiong'o: A Profile of a Literary and Social Activist
http://www.ngugiwath[...]
Ngugiwathiongo.com
2015-11-13
[47]
논문
Preservation and revitalisation of the endangered GĨKŨYŨ flute
2016
[48]
웹사이트
Kikuyu Tribe – the Largest Tribe in Kenya: History and Culture
http://www.kenya-inf[...]
Kenya-information-guide.com
2013-02-19
[49]
웹사이트
Islam and sexuality in kenya
https://africanargum[...]
[50]
뉴스
'In Kenya''s highlands, a Jewish community struggles for recognition,'
http://www.timesofis[...]
The Times of Israel
2015-03-10
[51]
웹사이트
PCEA ban on Kikuyu rite sparks big storm
https://www.nation.c[...]
2020-06-28
[52]
웹사이트
HOME
http://www.mukomawan[...]
Mukoma Wa Ngugi
2015-11-13
[53]
웹사이트
Moses Kuria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c[...]
[54]
문서
1964
[5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Kenya
https://www.cia.gov/[...]
CIA
2008
[56]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kik Gikuyu
http://www.ethnologu[...]
エスノローグ
[57]
문서
Tugen
[58]
문서
2012
[59]
문서
2012a
[60]
문서
この語は〈家屋、家〉の意味も持つ。
[61]
문서
2013
[62]
문서
2015
[63]
문서
1998
[64]
문서
1982
[65]
문서
2015
[66]
문서
1964
[67]
문서
2012b
[68]
문서
2015
[69]
문서
1964
[70]
문서
2015
[71]
서적
椎野
2012
[72]
서적
Park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