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 함수 방정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시 함수 방정식은 함수 f(x+y) = f(x) + f(y)를 만족하는 함수를 다루며, 가법적, 지수적, 로그적, 멱 함수 방정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방정식들은 코시의 『해석 강의』에서 다루어졌으며, 가법적 함수 방정식의 해는 Q-선형이며, 지수적, 로그적, 멱 함수 방정식은 각각 지수 함수, 로그 함수, 멱 함수 형태로 표현된다. 실수 해의 경우, 연속성이나 단조성과 같은 추가 조건이 없으면 복잡한 형태의 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선택 공리를 가정하면 비선형 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수 방정식 - 이차 함수
이차 함수는 () 꼴의 차수가 2인 다항함수로서 포물선 형태의 그래프를 가지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함수 방정식 - 일차 함수
일차 함수는 실수 집합을 정의역과 공역으로 하는 함수로, f(x) = ax + b 꼴로 표현되며, 기울기와 y절편을 가지는 직선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리만 방정식
코시-리만 방정식은 복소해석학에서 함수가 미분 가능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며, 복소 평면에서 정의된 함수가 정칙 함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과 관련된다.
| 코시 함수 방정식 | |
|---|---|
| 개요 | |
| 이름 | 코시 함수 방정식 |
| 분야 | 함수 방정식 |
| 유형 | 함수 방정식 |
| 정의 | 임의의 x와 y에 대해 f(x + y) = f(x) + f(y)를 만족하는 함수 f |
| 해 | f: x ↦ cx, 여기서 c는 ℚ에 속한다. (ℚ에서 정의된 함수) f: x ↦ cx, 여기서 c는 ℝ에 속한다. (ℝ에서 정의된 함수) |
| 일반해 | ℝ에서 정의된 함수 f: ℝ → ℝ 중에서 코시 함수 방정식을 만족하는 모든 함수 |
| 발견자 | 오귀스탱 루이 코시(1821) |
| 상세 정보 | |
| 해의 형태 | ℚ에 대한 해: f(x) = cx (c는 상수) ℝ에 대한 해: 연속 함수, 단조 함수, 국소적으로 유계인 함수, 가측 함수 등은 f(x) = cx 형태를 가진다. |
| 비선형 해의 존재 | 하멜 기저를 사용하여 ℝ을 ℚ-벡터 공간으로 취급하면 비선형 해를 구성할 수 있다. 비선형 해는 매우 병적인(pathological) 성질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직접 구성하기 어렵다. |
| 일반화 | f(x + y) = f(x) + f(y) 형태 외에도, f(x + y) = f(x)f(y), f(xy) = f(x) + f(y), f(xy) = f(x)f(y) 형태의 함수 방정식도 코시 함수 방정식의 변형으로 간주된다. |
| 관련 문제 | 힐베르트의 다섯 번째 문제와 관련이 있다. |
| 주의사항 | ℝ에서 f(cx) ≠ cf(x)인 함수 f가 존재할 수 있다. |
| 응용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해결에 응용될 수 있다. |
2. 코시 함수 방정식의 기본 형태와 해
임의의 실수 , 에 대해 구간 에서 유계인 함수 가 를 만족하면, 가 성립한다. (n은 정수)[8] 이는 식을 이용해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8]
가 에서 아래로 유계이고 라 가정하고, 함수 를 로 정의하면, 가 성립한다. 에 를 대입하면 를 얻어 가 주기가 인 주기함수임을 알 수 있다.
와 가 일정구간 안에서 아래로 유계이므로 또한 유계이다. 는 주기함수이므로 실수전체에서 유계이다.
0이 아닌 실수 m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g(x)도 f(x)와 동일한 함수방정식을 만족하므로 자연수 n에 대해 g(nm)=ng(m)이다. n을 충분히 크거나 작은 수로 설정하면 무한히 크거나 작은 수를 만들 수 있고, 이는 g(x)가 실수전체에서 유계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따라서 모든 실수에 대해 g(x)=0이고, f(x)=(f(d)/d)x가 성립한다. f(d)/d=k라고 설정하면 f(x)=kx가 성립한다.
선택 공리가 참이라면 상수배함수가 아닌 해가 존재한다.[8] 단순 논증을 통해, 가 의 확장체 위의 벡터 공간일 때, 덧셈 사상 의 집합이 에서 로의 -선형 사상의 집합과 동일함을 보일 수 있다.
'''정리:''' ''를 덧셈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는 -선형이다.''
'''증명:''' 코시 함수 방정식 의 모든 해 가 모든 와 에 대해 를 만족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증명 과정은 원문 소스 참조)
다른 해는 매우 병적인 함수이며, 그 그래프 가 에서 조밀하다는 속성을 가진다. (보조정리 및 증명은 원문 소스 참조)
위에 제시된 선형성 증명은 에도 적용되며, 여기서 는 유리수의 크기 조정 복사본이다. 이는 의 정의역이 그러한 집합으로 제한될 때 선형 해만 허용됨을 보여준다.
실수 에 대한 매우 병적인 해를 찾기 위해, 실수를 유리수의 체에 대한 벡터 공간으로 보고, (하멜) 기저의 존재에 의존하는 비구성적 방법을 사용한다. 모든 실수 집합이 측정 가능한 모델이 있으며 ZF + DC와 일치하며, 여기서 모든 해는 선형이다.[3][4]
로 정의된 것 이외의 해가 존재함을 보이기 위해, 먼저 모든 벡터 공간에는 기저가 있으므로, 체 에 대한 에 대한 기저가 존재함을 이용한다. (자세한 설명은 원문 소스 참조)
2. 1. 가법적 함수 방정식
가법적 함수(Additive function)란, f(x + y) = f(x) + f(y)라는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이 방정식을 코시 함수 방정식이라고도 부른다.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는 모든 유리수 q와 실수 x에 대해 f(qx) = qf(x)가 성립한다.[8]이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f(0) = 0 임을 보일 수 있다. f(0) = f(0+0) = f(0) + f(0) 이므로 f(0) = 0 이다.
또한, f(-x) = -f(x) 가 성립한다. 0 = f(0) = f(x + (-x)) = f(x) + f(-x) 이므로 f(-x) = -f(x) 이다.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모든 자연수 m에 대해 f(mx) = mf(x) 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음의 정수 m에 대해서도 f(mx) = mf(x) 가 성립한다. -m은 자연수 이므로 f(mx) = f((-m)(-x)) = (-m)f(-x) = (-m)(-f(x)) = mf(x) 이다.
따라서, 모든 정수 m에 대해 f(mx) = mf(x) 가 성립한다.
n이 자연수 일때, f(x) = f(n*(x/n)) = nf(x/n) 이므로 f(x/n) = (1/n)f(x) 이다.
따라서, 모든 유리수 q = m/n (m은 정수, n은 자연수)에 대해 f(qx) = f((m/n)x) = f(m * (x/n)) = m f(x/n) = (m/n)f(x) = qf(x) 가 성립한다.
결론적으로, 모든 유리수 q와 실수 x에 대해 f(qx) = qf(x)가 성립한다.
2. 2. 지수적 함수 방정식
코시의 『해석 강의』 제5장에서는 함수 방정식 를 만족하는 연속 함수를 찾는 문제를 다룬다.[1] 이 방정식의 해는 지수 함수 형태를 가진다.[1]이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므로,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를 얻는다.[1] 이는 코시 함수 방정식의 첫 번째 형태()와 유사하며, 해는 형태가 된다.[1] 따라서, 를 얻는다.[1] 여기서 를 다시 로 쓰면, 최종적으로 형태의 해를 얻게 된다.[1]
2. 3. 로그적 함수 방정식
f(xy) = f(x) + f(y)영어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를 로그적 함수라고 한다. f(x) = logax영어 (a > 0, a ≠ 1) 형태의 해를 갖는다.코시의 『해석 강의』에 따르면, 이 방정식의 비자명한 연속 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u영어 Log(x)영어, v영어 Log(y)영어에 의해 x영어 Au영어, y영어 Av영어 (여기서 A영어는 Log영어의 밑)라고 쓰면, Φ(Au+v) = Φ(Au) + Φ(Av)영어가 되어 Φ∘A영어에 관해 코시 함수 방정식의 형태가 된다. 따라서 Φ(Au) = au영어이고, Φ(x) = aLog(x)영어를 얻는다.
2. 4. 멱 함수 방정식
코시의 『해석 강의』 제5장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일변수 연속 함수를 결정하는 것"의 §1에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나온다:[1]#Φ(''xy'') = Φ(''x'') × Φ(''y''): 해는 멱 함수 Φ(''x'') = ''x''''a''이다. (여기서 ''x'', ''y''는 양의 실수이다.)
영 함수는 이 방정식의 자명한 해이다. 코시의 저서에 따르면, 이 방정식의 자명하지 않은 연속해는 3번 방정식, 즉 Φ(''xy'') = Φ(''x'') + Φ(''y'')으로 변환하여 얻을 수 있다. 3번 식에서 ''u'' Log(''x''), ''v'' Log(''y'')에 의해 ''x'' = ''A''''u'', ''y'' = ''A''''v'' (즉, 이 ''A''는 Log의 밑)라고 쓰면, Φ(''A''''u''+''v'') = Φ(''A''''u'') + Φ(''A''''v'')가 되어 Φ∘''A''에 관해 2번 방정식, 즉 Φ(''x'' + ''y'') = Φ(''x'') × Φ(''y'')의 형태가 된다. 2번 방정식의 해는 지수 함수 Φ(''x'') = ''A''''x''이다. 이 해를 다시 정리하면 Φ(''A''''u'') = ''A''''au''가 되고, 변수를 되돌리면 Φ(''x'') = ''x''''a''가 된다.
3. 유리수 해
가법적 함수 방정식의 경우, 초등 대수만을 사용하여 f(x) = kx (k는 상수) 형태의 해를 얻을 수 있다.
모든 정수 n에 대해 f(nx) = nf(x)가 성립한다. 이는 f(nx + x) = f(nx) + f(x)라는 식을 이용하여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유리수 변수, 유리수 값의 덧셈 함수는 상의 -선형 사상과 동일하다. 즉, 함수 가 가법적이라면, 는 -선형이다.
(자세한 증명은 하위 섹션 "증명" 참조)
3. 1. 증명
우선, 모든 정수 n에 대해 f(nx) = nf(x)가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보일 수 있다. f(nx + x) = f(nx) + f(x)라는 식을 이용한다.f(x)가 특정 구간 [a, b]에서 유계라고 가정하고, g(x) = f(x) - (f(d)/d)x (여기서 d = b - a)라는 새로운 함수를 정의한다. 그러면 g(x + y) = g(x) + g(y)가 성립한다. y에 d를 대입하면 g(x + d) = g(x)를 얻어, g(x)가 주기가 d인 주기 함수임을 알 수 있다.
f(x)와 -(f(d)/d)x가 일정 구간 안에서 유계이므로 g(x) 또한 유계이다. g(x)는 주기 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에서 유계이다.
만약 0이 아닌 실수 m에 대해 g(m) ≠ 0 이라면, g(nm) = ng(m) (n은 자연수)에서 n을 충분히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무한히 크거나 작은 수를 만들 수 있다. 이는 g(x)가 실수 전체에서 유계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해 g(x) = 0 이다. 즉, f(x) = (f(d)/d)x 이고, f(d)/d = k (상수)로 놓으면 f(x) = kx 가 성립한다.
를 덧셈 함수라고 할 때, 는 -선형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코시 함수 방정식 의 모든 해 가 모든 와 에 대해 를 만족한다는 것을 보인다.
먼저, f(0) = 0 이고 f(-v) = -f(v)이다.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모든 에 대해 임을 보일 수 있다.
음의 정수 m에 대해서도 f(mv) = mf(v)가 성립한다.
에 대해, f(v) = f(n n^{-1} v) = n f(n^{-1} v) 이므로, 이다.
마지막으로, 모든 는 (, )으로 표현 가능하므로, 가 성립한다.
유리수 변수, 유리수 값의 덧셈 함수는 상의 -선형 사상과 동일하다. 가법성으로부터 f(0) = 0 이고, 자연수 n에 대해 f(nx) = n⋅f(x)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f((-1)⋅x) = (-1)⋅f(x) 및 f((1/d)⋅x) = (1/d)⋅f(x) (d는 자연수)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유리수 q = ±n/d (n, d는 자연수)에 대해 f(qx) = q⋅f(x)가 성립한다.
실수체 을 유리수체 상의 벡터 공간으로 보면, -선형해에 기반하여 병적인 해 를 찾을 수 있다.
4. 실수 해
코시 함수 방정식의 실수 해는 추가적인 조건(연속성, 단조성 등)이 없을 경우 매우 복잡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일반적인 함수 형태: \(f(x)\)가 임의의 실수 \(a\), \(b\)에 대해 구간 \([a,b]\)에서 유계일 때, \(f(nx)=nf(x)\)가 성립한다. (n은 정수)[8] 이는 \(f(nx+x)=f(nx)+f(x)\)(n은 정수) 식을 이용한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 새로운 함수 g(x) 정의: \(f(x)\)가 \([a,b]\)에서 아래로 유계이고 \(b-a=d\) 라 가정하고, \(g(x)=f(x)-(f(d)/d)x\)로 정의한다. 원 식을 이용하면 \(g(x+y)=g(x)+g(y)\)임을 알 수 있다. \(y=d\)를 대입하면, \(g(x+d)=g(x)\)를 얻어, \(g(x)\)가 주기가 \(d\)인 주기함수임을 알 수 있다.
- g(x)의 유계성: \(f(x)\)와 \( -(f(d)/d)x \)가 일정 구간 안에서 아래로 유계이므로 \(g(x)\) 또한 유계이다. \(g(x)\)는 주기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에서 유계이다.
- 모순 유도: 0이 아닌 실수 m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g(x)도 f(x)와 동일한 함수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자연수 n에 대해 \(g(nm)=ng(m)\)이다. n을 충분히 크거나 작은 수로 설정하면 무한히 크거나 작은 수를 만들 수 있어, \(g(x)\)가 실수 전체에서 유계라는 가정에 모순이 발생한다.
- 결론: 따라서 \(g(m)\)이 0이 아닌 m은 존재할 수 없고 모든 실수에 대해 \(g(x)=0\)이다. 결론적으로, \(f(x)=(f(d)/d)x\)가 성립하며, \(f(d)/d=k\) (k는 상수)로 설정하면 \(f(x)=kx\)가 성립한다.
- 선택 공리와 비선형 해: 선택 공리가 참이라면 상수배 함수가 아닌, 매우 병적인 해가 존재한다.[3][4]
- 병적인 해의 특징: 이 해들의 그래프 \(\{(x, f(x)) \vert x \in \R\}\)는 \(\R^2\)에서 조밀하다. 즉, 평면의 아무리 작은 원판이라도 그 그래프의 점을 포함한다.
- 선형성 증명과 일반화: 위에 제시된 선형성 증명은 \(f \colon \alpha \Q\to\R\)에도 적용된다. 여기서 \(\alpha\Q\)는 유리수를 \(\alpha\)배 한 집합이다. 이는 \(f\)의 정의역이 그러한 집합으로 제한될 때 선형 해만 허용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모든 \(\alpha \in \R\) 및 \(q \in \Q\)에 대해 \(f(\alpha q)=f(\alpha)q\)가 성립한다.
4. 1. 연속 해
함수 f(x)가 연속 함수인 경우, 유리수 해와 동일한 형태의 해를 가지며, 이는 f(x) = kx (k는 상수) 형태로만 표현된다.가 임의의 실수 , 에 대해 구간 에서 유계라고 가정하면, 가 성립한다. (n은 정수) 이는 (n은 정수) 식을 이용한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가 에서 아래로 유계이고 라 가정하고, 로 정의하면, 가 성립한다. 여기에 y=d를 대입하면, 를 얻어, 가 주기가 인 주기함수임을 알 수 있다.
와 가 일정 구간 안에서 아래로 유계이므로 또한 유계이다. 는 주기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에서 유계이다.
0이 아닌 실수 m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g(x)도 f(x)와 동일한 함수방정식을 만족하므로 자연수 n에 대해 g(nm)=ng(m)이다. n을 충분히 크거나 작은 수로 설정하면 무한히 크거나 작은 수를 만들 수 있어, g(x)가 실수 전체에서 유계라는 가정에 모순이 발생한다. 따라서 g(m)이 0이 아닌 m은 존재할 수 없고 모든 실수에 대해 g(x)=0이다. 결론적으로, f(x)=(f(d)/d)x가 성립하며, f(d)/d=k (k는 상수)로 설정하면 f(x)=kx가 성립한다.
코시의 『해석 강의』 제5장에는 다음 방정식 및 그 실연속 함수해가 고찰되고 있다.[8]
# 해는 선형 함수이다.
# 해는 지수 함수이다.
# 해는 로그 함수이다.
# 해는 멱 함수이다.
4. 2. 비선형 해의 존재성
선택 공리가 참이라면 상수배 함수가 아닌 해, 즉 비선형 해가 존재한다. 이러한 비선형 해는 매우 병적인 함수 형태를 띤다. 특히, 이 해들의 그래프 \(\{(x, f(x)) \vert x \in \R\}\)는 \(\R^2\)에서 조밀하다. 즉, 평면의 아무리 작은 원판이라도 그 그래프의 점을 포함한다.위에 제시된 선형성 증명은 \(f \colon \alpha \Q\to\R\)에도 적용된다. 여기서 \(\alpha\Q\)는 유리수를 \(\alpha\)배 한 집합이다. 이는 \(f\)의 정의역이 이러한 집합으로 제한될 때 선형 해만 허용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모든 \(\alpha \in \R\) 및 \(q \in \Q\)에 대해 \(f(\alpha q)=f(\alpha)q\)가 성립한다.
4. 2. 1. 비선형 해의 구성 (선택 공리 이용)
선택 공리가 참이면 코시 함수 방정식에는 상수배 함수가 아닌 해, 즉 비선형 해가 존재한다. 이러한 비선형 해는 매우 병적인 함수 형태를 띤다.실수 집합을 유리수체 \(\mathbb{Q}\) 위의 벡터 공간으로 간주하면, 선택 공리에 의해 하멜 기저 \(\mathcal{B} \sub \R\)가 존재한다. 이는 모든 실수 \(x\)를 \(\mathcal{B}\)의 유한 부분집합 \(\{x_i\}_{i \in I}\)에 속하는 원소들의 선형 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x = \sum_{i \in I} \lambda_i x_i\)로 표현되며, 여기서 \(\lambda_i\)는 \(\mathbb{Q}\)의 원소이다.
이러한 하멜 기저는 명시적으로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기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비선형 해도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함수 \(f\)를 하멜 기저의 각 원소 \(x_i\)에 대해 \(x_i\mathbb{Q}\)로 제한하면, 이는 \(\mathbb{Q}\)-선형 사상이 된다. 즉, \(f(x_i q) = f(x_i)q\) (\(q \in \mathbb{Q}\))가 성립한다. 따라서, \(f(x_i)/x_i\)는 비례 상수가 되며, \(f : x_i\mathbb{Q} \to \mathbb{R}\)은 \(\xi \mapsto [f(x_i)/x_i]\xi\) 형태의 사상으로 정의된다.
모든 실수 \(x\)는 하멜 기저 원소들의 유일한 유한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고, \(f\)는 가법적이므로, \(f(x)\)는 다음과 같이 잘 정의된다.
\( f(x) = f\Big(\sum_{i \in I} \lambda_i x_i\Big) = \sum_{i \in I} f(x_i\lambda_i) = \sum_{i \in I} f(x_i) \lambda_i \)
이와 같이 정의된 \(f\)는 코시 함수 방정식의 해가 되며, 모든 해는 이러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특히, \(f(x_i) / x_i\)가 모든 \(x_i \in \mathcal{B}\)에 대해 상수일 때, 그리고 그때에만 해는 선형이 된다.
비록 비선형 해를 명시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코시 함수 방정식의 해는 "대부분" (기수의 의미에서) 비선형적이고 병적이다.[5]
5. 관련 방정식
코시의 『해석 강의』에서는 위에 제시된 네 가지 방정식 외에도 다음과 같은 함수 방정식이 다루어졌다.:103
- '''옌센 방정식'''(Jensen's equation영어):
- : f((x+y)/2) = (f(x) + f(y))/2
- '''다르부 방정식''':
- : f(x+y) + f(0) = f(x) + f(y)
참조
[1]
서적
2009
[2]
서적
"Hilbert's third problem"
Halsted Press
1978
[3]
논문
A Model of Set-Theory in Which Every Set of Reals is Lebesgue Measurable
https://www.jstor.or[...]
1970
[4]
웹사이트
Are there any non-linear solutions of Cauchy's equation $f(x+y)=f(x)+f(y)$ without assuming the Axiom of Choice?
https://mathoverflow[...]
2024-02-21
[5]
문서
[6]
웹사이트
Hamel Basis
[7]
서적
"Hilbert's third problem"
Halsted Press
1978
[8]
서적
한국수학올림피아드 모의고사 및 풀이집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