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퀴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즈는 질문과 답변을 통해 지식, 기술, 또는 정보를 평가하는 활동이다.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178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와 목적으로 활용된다. 퀴즈는 OX 퀴즈, 객관식 퀴즈 등 문제 형식에 따라, 상식, 수수께끼 등 내용에 따라, 교육, 오락 등 목적에 따라 분류된다. 퀴즈는 개인 또는 단체 간의 경쟁 형태로도 진행되며, 국제 및 국가별 퀴즈 대회가 개최된다. 퀴즈 이벤트, 게임, 세계 기록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대중들에게 즐거움과 지적 자극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퀴즈 게임 - 스무고개
    스무고개는 한 사람이 정답을 정하면 다른 사람들이 예/아니오 질문을 최대 20번 하여 맞히는 놀이로,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퀴즈 쇼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 퀴즈 게임 - 땡기지
    땡기지는 온라인 기업 연수, 디지털 타운홀 미팅, 양방향 방송, 퀴즈 앱 등의 서비스와 자체 제작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정치적 의견 교환을 위한 '동의율 게임' 도입 등 서비스 개편을 했다.
  • 학교 시험 - 고입선발고사
    대한민국에서 중학교 졸업생의 고등학교 입학을 위해 시행되었던 고입선발고사는 전국적으로 시행되다가 1998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되어 2019년 제주를 끝으로 모든 지역에서 폐지되었으며, 9과목으로 구성되어 중학교 전 과정을 범위로 객관식으로 출제되었고, 폐지 후에는 내신 성적만으로 입학이 결정된다.
  • 학교 시험 - 학력고사
    학력고사는 1982년부터 1993년까지 시행된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시험으로, 필기시험과 체력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문·이과, 계열별 과목, 시험 시기 등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퀴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게임 또는 마음 스포츠
설명질문에 올바르게 답변하는 것을 목표로 함
특징
주요 구성 요소질문
답변
참여자개인
매체구두
서면
전자
사용 목적
교육지식 평가 및 학습 도구
오락재미와 경쟁을 제공
정보 전달특정 주제에 대한 지식 공유
역사
기원고대 시대부터 존재
현대적 형태19세기 후반 서양에서 발전
대중화20세기 라디오와 텔레비전으로 확산
유형
일반 상식 퀴즈다양한 주제에 대한 질문
주제별 퀴즈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 질문
퍼즐 퀴즈추론과 문제 해결 능력 요구
그림 퀴즈시각적 자료를 사용
음악 퀴즈음악 관련 질문
스피드 퀴즈제한 시간 내에 많은 질문에 답변
관련 용어
퀴즈 쇼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에서 진행되는 퀴즈 프로그램
퀴즈 게임퀴즈 형식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퀴즈 대회퀴즈 실력을 겨루는 경쟁
퀴즈 마스터퀴즈를 진행하는 사람
퀴즈 문제퀴즈에서 사용되는 질문
참고 자료
관련 문서퀴즈 (동음이의)
외부 링크북의 "알아맞추기 경연"

2. 어원

"퀴즈(Quiz)"라는 단어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8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원은 알 수 없지만, 학생들의 속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초기에는 "특이하거나 별난 사람" 또는 "농담, 장난"을 의미했다. 나중에는 ("호기심 많은"과 같은 단어와의 연관성으로 추측) "세심하게 관찰하다, 연구하다"는 의미가 되었고, 그 후(19세기 중반부터) "시험, 검사"를 의미하게 되었다.[2][3]

"퀴즈"라는 단어에 대해 널리 알려진 잘못된 어원설이 있다. 1791년 더블린의 극장 주인 리처드 댈리가 24시간 안에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언어에 도입하는 내기를 했다는 것이다. 그는 거리 아이들을 고용하여 "quiz"라는 단어(당시에는 의미 없는 단어였음)를 더블린 시내 벽에 적게 했다. 하루 만에 이 단어는 널리 퍼졌고 의미를 갖게 되었다(아무도 그 의미를 몰랐기 때문에 모두가 일종의 시험이라고 생각했다). 댈리는 내기에서 이겨 돈을 벌었다.[4] 하지만 이 이야기를 뒷받침할 증거는 없으며, 이 용어는 1791년의 추정 내기 이전부터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3. 역사

세계의 퀴즈 역사에 대한 내용은 현재 보강이 필요하다.

해방 이후, 미 군정의 영향으로 퀴즈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20] 1946년 NHK 라디오(현 KBS 라디오)에서 '화(話)의 천(泉)' (오늘날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퀴즈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고,[18] 1947년에는 '스무고개'('二十の扉')라는 퀴즈 프로그램이 등장하여 인기를 끌었다.[19] 1951년경부터 '퀴즈'라는 외래어 표기가 정착되었다.[17] 이후, TV 방송에서 다양한 퀴즈 프로그램들이 제작, 방영되었다. 1990년대에는 PC통신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퀴즈 게임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 스마트폰 앱을 통해 다양한 퀴즈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3. 1. 세계의 퀴즈 역사

세계의 퀴즈 역사에 대한 내용은 현재 보강이 필요하다.

3. 2. 한국의 퀴즈 역사

해방 이후, 미 군정의 영향으로 퀴즈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20] 1946년 NHK 라디오(현 KBS 라디오)에서 '화(話)의 천(泉)' (오늘날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퀴즈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고,[18] 1947년에는 '스무고개'('二十の扉')라는 퀴즈 프로그램이 등장하여 인기를 끌었다.[19] 1951년경부터 '퀴즈'라는 외래어 표기가 정착되었다.[17] 이후, TV 방송에서 다양한 퀴즈 프로그램들이 제작, 방영되었다. 1990년대에는 PC통신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퀴즈 게임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 스마트폰 앱을 통해 다양한 퀴즈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4. 종류

수수께끼는 제시된 문장이 참인지 거짓인지(옳은지 그른지)를 답하게 하는 OX퀴즈, 여러 개의 선택지를 제시하고 응답자는 그중 하나만 선택하는 객관식 퀴즈가 있다. 문제 문장의 길이에 따라 장문 퀴즈 / 단문 퀴즈로 분류하는 방법도 있다. 여러 요소를 열거해야 하는 것은 다지선다형 퀴즈로 분류된다. 그 외에도 보드 게임 퀴즈, 시추에이션 퍼즐, 여러 요소에 숨겨진 공통점 등을 찾아내는 있다/없다 퀴즈 등이 있다. 또한 문제가 출제될 때마다 응답자 모두가 답을 적을 수 있는 방식도 있지만, 응답자들 중에서 빨리 답변 버튼을 누른 사람만 답할 권리를 얻고 다른 사람은 답할 수 없는 방식은 특히 속도 퀴즈로 분류한다.

4. 1. 문제 형식에 따른 분류

OX퀴즈는 제시된 문장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형식이다. 객관식 퀴즈는 여러 개의 보기 중 정답을 고르는 형식이다. 여러 요소를 열거해야 하는 퀴즈는 다지선다형 퀴즈로 분류된다. 정답을 빨리 맞히는 사람이 점수를 얻는 형식은 속도 퀴즈(조기 획득 퀴즈)라고 한다.

4. 2. 내용에 따른 분류

상식 퀴즈는 일반적인 지식을 묻는 퀴즈이다. 수수께끼는 사고력, 추리력을 요하는 퀴즈이다. 넌센스 퀴즈는 유머, 재치를 묻는 퀴즈이다. 시사 퀴즈는 최신 뉴스, 사건 등을 다루는 퀴즈이다. 전문 분야 퀴즈는 특정 분야의 지식을 묻는 퀴즈이다. (예: 역사 퀴즈, 과학 퀴즈, 스포츠 퀴즈) 있다/없다 퀴즈는 여러 요소에 숨겨진 공통점 등을 찾아내는 퀴즈이다.

4. 3. 목적에 따른 분류

퀴즈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교육용 퀴즈는 학습 내용 이해도를 평가하고 복습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시험보다 문항 수가 적고 난이도가 낮다.[5] 수학 문제 유형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거나, 다음 수업 전 복습을 위해 매일 혹은 매주 퀴즈를 실시하기도 한다.

오락용 퀴즈는 재미와 흥미를 위해 사용된다. 성격 검사 퀴즈는 개인의 성격이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퀴즈로, 코스모폴리탄과 같은 여성 잡지를 통해 대중화되었고, 인터넷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6] 온라인 퀴즈 결과는 가볍게 받아들여야 하는데, 진정한 성격이나 관계를 반영하지 않고 심리측정학적으로 타당성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6]

5. 대회

퀴즈는 개인 또는 단체 간의 경쟁 형태로도 진행된다.

;국제 대회

(World Quizzing Championship)와 유럽 퀴즈 챔피언십/European Quizzing Championships영어이 있다.

;단일 국가 대회

이 있다.

;학교 대항 또는 학생 대항 형식의 퀴즈 대회


  • 유니버시티 챌린지(영국의 대학 대항 퀴즈 대회 TV 프로그램)
  • (미국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년별 학교 대항 퀴즈 대회)
  • 칼리지 볼(미국의 대학 대항 퀴즈 대회. 초기(1953년부터)에는 라디오로 진행되었으나, 이후(1959년 이후) TV 프로그램이 되었다.)
  • 리치 포 더 톱(en, 캐나다의 고등학생 대항 퀴즈 프로그램)
  • 전국고등학교퀴즈선수권대회(일본의 TV 프로그램)
  • abc(일본의 학생 대상 퀴즈 대회)
  • AQL(일본의 전국 리그 및 지역 리그)

5. 1. 국제 대회

(World Quizzing Championship)와 유럽 퀴즈 선수권 대회/European Quizzing Championships영어가 있다.

5. 2. 한국의 퀴즈 대회

한국에서 열리는 퀴즈 대회는 다음과 같다.

  • 방송 퀴즈 프로그램
  • 기타 퀴즈 대회


(World Quizzing Championship)과 같은 국제 대회도 있다. 유럽 퀴즈 챔피언십도 열리고 있다.

단일 국가 대회로는 영국 퀴즈 챔피언십이 있다.

학교 대항 또는 학생 대항 형식의 퀴즈 대회는 다음과 같다.

  • 유니버시티 챌린지 (영국의 대학 대항 퀴즈 대회 TV 프로그램)
  • 전국 학술 퀴즈 토너먼트/National Academic Quiz Tournaments영어 (미국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년별 학교 대항 퀴즈 대회)
  • 칼리지 볼 (미국의 대학 대항 퀴즈 대회. 초기(1953년부터)에는 라디오로 진행되었으나, 이후(1959년 이후) TV 프로그램이 되었다.)
  • 리치 포 더 톱/Reach for the Top영어 (en, 캐나다의 고등학생 대항 퀴즈 프로그램)
  • 전국고등학교퀴즈선수권대회 (일본의 TV 프로그램)
  • abc (일본의 학생 대상 퀴즈 대회)
  • AQL (일본의 전국 리그 및 지역 리그)

5. 3. 기타 국가의 퀴즈 대회

(World Quizzing Championship)과 유럽 퀴즈 챔피언십/European Quizzing Championships영어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퀴즈 대회가 열린다.

  • 영국 퀴즈 챔피언십/British Quizzing Championships영어
  • 유니버시티 챌린지 (영국의 대학 대항 퀴즈 대회)
  • 전국 학술 퀴즈 토너먼트/National Academic Quiz Tournaments영어 (미국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년별 학교 대항 퀴즈 대회)
  • 칼리지 볼 (미국의 대학 대항 퀴즈 대회. 초기(1953년부터)에는 라디오로 진행되었으나, 이후(1959년 이후) TV 프로그램이 되었다.)
  • 리치 포 더 톱 (en, 캐나다의 고등학생 대항 퀴즈 프로그램)
  • 전국고등학교퀴즈선수권대회 (일본의 TV 프로그램)
  • abc (일본의 학생 대상 퀴즈 대회)
  • AQL (일본의 전국 리그 및 지역 리그)

6. 기타

6. 1. 퀴즈 이벤트

퍼브 퀴즈(Pub quiz, 다른 이름: quiz nights[12], trivia nights[13])는 영국의 일반적인 퍼브에서 손님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는 퀴즈 이벤트이다. 1970년대에 퀴즈 기획 회사 Burns and Porter가 개최했으며, 현재는 연중 내내 전국의 퍼브에서 개최되고[14], 영국의 문화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15] 퀴즈 볼/Quiz bowl영어은 1953년경부터 개최되고 있는 퀴즈 형식으로, 두 팀 간의 속도 퀴즈 형식이며, 많은 국가에서 개최되고 학교 간의 전국 대회도 열린다.

6. 2. 퀴즈와 게임

퀴즈는 아케이드 게임으로도 출시되었으며, 가정용 게임기용 소프트웨어나 PC용 응용 소프트웨어, 안드로이드 및 iOS용 퀴즈 앱 등으로도 제공되어 왔다. 게임센터에 퀴즈를 즐길 수 있는 아케이드 기기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구글 플레이에서 "퀴즈"를 검색하면 수많은 퀴즈용 앱을 찾아 설치하고 즐길 수 있으며, 대부분 무료로 제공된다.

일본에서는 1991년에 『고타쿠』라는 프리웨어 방식의 5지선다식 퀴즈 소프트웨어가 출시되어 다양한 기종으로 이식되었다.

6. 3. 퀴즈 세계 기록

기네스 세계 기록에는 최대 규모의 퀴즈 대회 등이 등재되어 있다. 기록이 갱신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는 기네스 세계 기록 공식 페이지를 참조해야 한다. 2010년 12월 11일 벨기에 겐트의 플랜더스 엑스포 홀에서 열린 "삶을 위한 퀴즈(Quiz for Life)"는 2,280명이 참가하여 최대 규모 퀴즈로 기록되었다. 우승팀은 뢰번의 "카페 드 카스타르(Café De Kastaar)"로, 마르닉 바이스(Marnix Baes), 에릭 데리케(Erik Derycke), 에릭 헤멜라어스(Eric Hemelaers), 바르트 퍼멘티어(Bart Permentier), 톰 트로흐(Tom Trogh)로 구성되었다.

7. 같이 보기

참조

[1] OED quoz, n. (and int.)
[2] OED quiz, n.
[3] OED quiz, v.1
[4] 웹사이트 World Wide Words: Quiz http://www.worldwide[...]
[5] 웹사이트 Quiz: How much do you know about China and Turkey? http://edition.cnn.c[...]
[6] 웹사이트 Types of Quizzes https://www.opinions[...] 2024-11-24
[7] 문서 (출처 필요) 2021-04-00
[8] Oxford Dictionaries Quizzes 2020-03-10
[9] 웹사이트 quiz https://www.lexico.c[...]
[10] 서적 뇌에 効く!大人のパズル&クイズ PHP 연구소 2015-09-11
[11] 문서 (출처 필요) 2021-04-00
[12] 웹사이트 Australia Day Fun Stuff https://web.archive.[...] Australiadaynt.com.au
[13] 웹사이트 World Trivia Night 2009 http://www.champions[...] Championsforchildrenfoundation.ca
[14] 웹사이트 Pub quiz Statistics http://dpquiz.co.uk/[...] dpquiz.co.uk
[15] 뉴스 Q: What is one of Britain’s fast-growing pastimes? A: The pub quizzes that are seeing big screens switched for answer sheet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5-12-10
[16] 서적 퀴즈 문화의 사회학 2003
[17] 간행물 辛口クイズ甘口クイズ 1984-02-00
[18] 웹사이트 話の泉 -NHK名作選(動画・静止画)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2.nhk.or.[...]
[19] 웹사이트 二十の扉 -NHK名作選(動画・静止画)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2.nhk.or.[...]
[20] 서적 (출처 필요)
[21] 문서 (출처 필요) 2021-04-00
[22] 웹사이트 江戸名所判じ物クイズ https://www.ndl.go.j[...]
[23] 웹인용 북의 "알아맞추기 경연" http://www.hani.co.k[...] 2011-04-09
[24] 웹사이트 알아맞추다 - 네이버 어학사전 http://dic.search.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