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아티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의 총리는 크로아티아 정부의 수반으로, 1990년 헌법 개정 이후 의원 내각제에 가까운 정치 체제에서 대통령보다 더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이었으며, 1991년 독립 이후 현재까지 12명의 총리가 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총리 - 티호미르 오레슈코비치
    티호미르 오레슈코비치는 크로아티아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2016년 크로아티아 총리를 역임했으며, 의회 불신임으로 퇴출된 최초의 총리이다.
  • 크로아티아의 총리 - 이보 사나데르
    이보 사나데르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 당수 출신으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크로아티아 총리를 역임하며 EU 및 NATO 가입을 추진하고 국제형사재판소 협력을 이끌었으나, 이해 상충 및 부정부패 의혹으로 사임 후 유죄 판결을 받았다.
크로아티아의 총리
직위 개요
2024년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사진 (일부 잘림)
2024년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일부 잘림)
직책정부 수반
소속 국가크로아티아 공화국
직위 공식 명칭Predsjednik Vlade Republike Hrvatske (크로아티아어)
칭호각하 (국제 서신 및 해외에서만 사용)
총리 (공식)
임명권자크로아티아 의회
지명권자크로아티아 대통령
임기의회 다수당의 신임에 따름. 총선은 4년 임기 만료 후 60일 이내에 실시해야 하지만, 현 총리는 새 정부가 의회에서 확정되고 의장의 선서를 받을 때까지 직무를 대행함.
첫 취임스티에판 메시치 (헌법 수정안 LXXIII 채택 후)
요시프 마놀리치 (현행 크로아티아 헌법 하)
창설일1990년 7월 25일 (헌법 수정안 LXXIII)
1990년 12월 22일 (현행 크로아티아 헌법 하)
관저반스키 드보리, Trg sv. Marka 2,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부총리크로아티아 부총리 (정부 구성원 중 한 명 이상이 겸임)
소속 부처크로아티아 정부, 총리실
웹사이트크로아티아 정부 공식 웹사이트
급여
연간 급여€55752
현직
현직 총리안드레이 플렌코비치
취임일2016년 10월 19일
역할 및 권한
소속 기관크로아티아 정부
유럽연합 각료이사회
북대서양 이사회
약칭
크로아티아어 약칭Predsjednik Vlade RH
구글 지도

2. 역사

1990년 12월 22일 크로아티아 헌법 제정 이후 크로아티아는 반 대통령제를 채택하여 대통령이 총리 지명 및 정부 해산 등 행정 집행에 관한 광범위한 권한을 가졌다.[7][8] 그러나 2000년 총선에서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주도의 정부가 탄생하면서 헌법이 개정되어 내각, 정부, 총리의 권한이 강화되고 대통령 권한은 축소되었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는 의원내각제에 가까운 체제가 되었고, 총리의 권한은 대통령보다 더 강해졌다.

2. 1.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5년 ~ 1991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으로서 크로아티아의 초대 정부 수반은 1945년 4월 14일에 직책을 맡은 블라디미르 바카리치였다.[2] 당시에는 단일 정당 체제가 존재했기 때문에 이 자리는 국가에서 가장 강력한 공직이었으며,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서기의 직책도 겸했다.[3] 1952년에는 정부 수반의 직함이 행정 평의회 의장으로 변경되었다.[4] 사브카 다브체비치-쿠차르는 크로아티아뿐만 아니라 유럽 전체에서 정부 수반에 해당하는 직책을 맡은 최초의 여성으로, 1967년부터 1969년까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행정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5]

1990년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거를 통해 크로아티아에서 다당제 선거가 허용된 이후에도, 크로아티아는 여전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 Yugoslavia)의 구성 공화국이었다. 1990년 5월 30일 스테판 메시치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행정위원회 위원장 직을 맡았다(제14차 행정위원회).[6]

2. 1. 1. 크로아티아 총리 (유고슬라비아 연방 각료)

파블레 그레고리치는 1945년 3월 7일부터 1945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크로아티아 총리직을 맡았다.[1]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으로서 크로아티아의 초대 정부 수반은 1945년 4월 14일에 직책을 맡은 블라디미르 바카리치였다.[2] 당시에는 단일 정당 체제가 존재했기 때문에 이 자리는 국가에서 가장 강력한 공직이었으며,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서기의 직책도 겸했다.[3] 1952년에는 정부 수반의 직함이 행정 평의회 의장으로 변경되었다.[4] 사브카 다브체비치-쿠차르는 크로아티아뿐만 아니라 유럽 전체에서 정부 수반에 해당하는 직책을 맡은 최초의 여성으로, 1967년부터 1969년까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행정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5]

2. 1. 2. 총리

공식 직함은 직역하면 "정부 대통령"(''Predsjednik / Predsjednica Vlade'')이며, "총리"(''Prvi Ministar'')를 직역한 것은 아니다. 크로아티아어에서는 더 짧은 용어인 Premijer / Premijerkahr (총리)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 1. 3. 행정위원회 의장

재임 기간이름
1953년 2월 6일 ~ 1953년 12월블라디미르 바카리치
1953년 12월 ~ 1962년 6월야코브 블라제비치
1962년 6월 ~ 1963년 6월즈본코 브르키치
1963년 6월 ~ 1967년 5월미카 슈필랴크
1967년 5월 ~ 1969년 5월사브카 다브체비치쿠차르
1969년 5월 ~ 1971년 12월드라구틴 하라미야
1971년 12월 ~ 1974년 4월이보 페리신
1974년 4월 ~ 1978년 5월 9일야코브 시로트코비치
1978년 5월 9일 ~ 1980년 6월페타르 플레코비치
1980년 6월 ~ 1985년 11월 20일안테 마르코비치
1985년 11월 20일 ~ 1986년 5월 10일에마 데로시비옐라츠
1986년 5월 10일 ~ 1990년 5월 30일안툰 밀로비치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으로서 크로아티아의 초대 정부 수반은 1945년 4월 14일에 직책을 맡은 블라디미르 바카리치였다. 당시 단일 정당 체제였기 때문에 이 자리는 국가에서 가장 강력한 공직이었으며,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서기 직책도 겸했다. 1952년 정부 수반 직함이 행정 평의회 의장으로 변경되었다. 사브카 다브체비치쿠차르는 크로아티아뿐만 아니라 유럽 전체에서 정부 수반에 해당하는 직책을 맡은 최초의 여성으로, 1967년부터 1969년까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행정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2. 2. 크로아티아 공화국 (1991년 ~ 현재)

1990년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거를 통해 다당제 선거가 도입된 이후,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 Yugoslavia)의 구성 공화국 중 하나였다. 1990년 5월 30일 스테판 메시치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행정위원회 위원장직을 맡았다.

1990년 선거에서 새로 선출된 크로아티아 의회는 1990년 7월 25일 헌법 수정안을 통해 사회주의 관련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운 국가 상징을 채택했다. 수정안 LXXIII에 따라 크로아티아 공화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6]

1990년 12월 22일, 크리스마스 헌법이라 불리는 새 크로아티아 헌법이 제정되면서 크로아티아는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이 되었다. 크로아티아 대통령은 총리 및 정부 관리를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는 광범위한 행정 권한을 갖게 되었다.

1991년 5월 독립 국민투표에서 유권자의 93%가 독립에 찬성함에 따라, 크로아티아는 1991년 6월 25일 유고슬라비아로부터 공식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요시프 마노리치는 독립 크로아티아의 총리직을 계속 수행했다. 그러나 크로아티아는 1991년 7월 브리유니 협정을 통해 유고슬라비아와의 관계 단절을 위한 추가 활동을 연기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발발했고, 프란요 그레구리치가 국민 통합 정부를 이끌도록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 크로아티아는 유고 연방과의 모든 남은 법적 관계를 공식적으로 단절했다.

2. 2. 1. 총리

이름취임퇴임정당
스체판 메시치1990.5.301990.8.24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요시프 마놀리치1990.8.241991.7.17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프라뇨 그레구리치1991.7.171992.8.12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주도에 의한 거국일치내각
흐르보예 샤리니치1992.8.121993.4.3크로아티아 민주연합
니키차 발렌티치1993.4.3.1995.11.7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즐라트코 마테샤1995.11.72000.1.27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이비차 라찬2000.1.272003.12.23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이보 사나데르2003.12.232009.6.9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야드란카 코소르2009.6.92011.11.23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조란 밀라노비치2011.11.232016.1.22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티호미르 오레슈코비치2016.1.222016.10.19무소속
안드레이 플렌코비치2016.10.192020.7.5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안드레이 플렌코비치2020.7.5크로아티아 민주연합



1990년부터 2000년 말 헌법 개정 전까지 크로아티아에는 7명의 총리가 있었다.[7][8]

2000년 1월 총선에서 승리한 사회민주당이 이끄는 중도 좌파 연합은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의 행정 권한 대부분을 박탈하고 의회와 총리의 역할을 강화하여 크로아티아를 의원 내각제로 만들었다. 이에 따라 총리는 1990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크로아티아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직책이 되었다.

2022년 기준으로 다당제 선거 이후 총 12명의 총리가 14개의 정부를 이끌었다. 이 중 9명은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소속이었고, 2명은 사회민주당 소속이었으며, 1명은 무소속이었다. 독립 이후 여성 총리는 야드란카 코소르 1명이었다.

3. 역대 총리 목록 (표)

(출생-사망)선거임기정당내각구성대통령
(임기)임기 시작임기 종료재임 기간1

스테판 메시치
(1934–)1990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1990년 5월 30일1990년 8월 24일HDZ메시치 내각HDZ프라뇨 투지만

(1990–1999)2
요시프 마노리치
(1920–2024)-1990년 8월 24일1991년 7월 17일HDZ마노리치 내각HDZ3
프라뇨 그레구리치
(1939–)-1991년 7월 17일1992년 8월 12일HDZ그레구리치 내각프라뇨 투지만
--
(1990–1999)4
흐르보예 샤리니치
(1935–2017)1992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1992년 8월 12일1993년 4월 3일HDZ샤리니치 내각HDZ5
니키차 발렌티치
(1950–2023)-1993년 4월 3일1995년 11월 7일HDZ발렌티치 내각6
즐라트코 마테샤
(1949–)1995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1995년 11월 7일2000년 1월 27일HDZ마테샤 내각HDZ7
이비차 라찬
(1944–2007)2000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2000년 1월 27일2003년 12월 23일SDP라찬 1기 내각
라찬 2기 내각스테판 메시치
--
(2000–2010)8
이보 사나데르
(1953–)2003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 2007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2003년 12월 23일2009년 7월 6일HDZ사나데르 1기 내각
사나데르 2기 내각9
야드란카 코소르
(1953–)-2009년 7월 6일2011년 12월 23일HDZ코소르 내각10
조란 밀라노비치
(1966–)2011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2011년 12월 23일2016년 1월 22일SDP밀라노비치 내각이보 요시포비치
--
(2010–2015)11
티호미르 오레슈코비치
(1966–)2015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2016년 1월 22일2016년 10월 19일무소속오레슈코비치 내각콜린다 그라바르 키타로비치
--
(2015–2020)12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1970–)2016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 2020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 2024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2016년 10월 19일현직HDZ플렌코비치 1기 내각
플렌코비치 2기 내각
플렌코비치 3기 내각조란 밀라노비치
--
(2020–현재)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n.int/pr[...] 2012-11-16
[2] 웹사이트 Odluka o proglašenju Amandmana LXIV. Do LXXV. Na Ustav Socijalističke Republike Hrvatske https://narodne-novi[...]
[3] 웹사이트 Croatian political salaries - how much do Croatia's leading political figures earn - The Dubrovnik Times https://www.thedubro[...]
[4] 웹사이트 Odluka o proglašenju Amandmana LXIV. Do LXXV. Na Ustav Socijalističke Republike Hrvatske https://narodne-novi[...]
[5]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Croatia (consolidated text) http://www.sabor.hr/[...] Croatian Parliament 2011-02-16
[6] 웹사이트 Odluka o proglašenju Amandmana LXIV. Do LXXV. Na Ustav Socijalističke Republike Hrvatske https://narodne-novi[...]
[7] 웹사이트 Chronology of Croatian governments http://www.hidra.hr/[...] Croatian Information-Documentation Referral Agency 2011-05-13
[8] 웹사이트 Prethodne Vlade RH http://www.vlada.hr/[...] Croatian Government 2010-12-13
[9] 문서 Protocol and Liaison Service, United Nations http://www.un.int/p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