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산토스 (역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산토스는 고대 리디아의 역사가로, 주요 저작으로는 《리디아카》와 《마기카》가 있다. 《리디아카》는 아스칼론 건국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일화 중심의 서술 방식을 사용했다. 《마기카》는 조로아스터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저작은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크산토스를 높게 평가하며 그의 저작에 신뢰를 부여했다. 반면, 단편적인 자료와 인용문 간의 충돌로 인해 역사적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가 - 헤로도토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세기 소아시아 출신으로, 페르시아 전쟁을 중심으로 그리스 및 주변 지역의 역사, 문화, 풍습을 다룬 서양 최초의 역사서인 『역사』를 저술하여 '역사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이다.
  •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가 - 크테시아스
    크테시아스는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출신 의사이자 역사가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시의로 쿠낙사 전투에 참전했으며, 아시리아와 페르시아 역사를 다룬 《페르시카》와 《인디카》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페르시카》의 역사적 신뢰성은 논쟁 중이다.
  • 기원전 5세기 역사가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5세기 역사가 - 헤로도토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세기 소아시아 출신으로, 페르시아 전쟁을 중심으로 그리스 및 주변 지역의 역사, 문화, 풍습을 다룬 서양 최초의 역사서인 『역사』를 저술하여 '역사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이다.
크산토스 (역사가)
기본 정보
이름크산토스
출생기원전 5세기
사망기원전 5세기
직업역사가, 로고그래퍼
국적리디아
활동 시기페르시아 전쟁 이후
출신지사르디스
저술
리디아사 (Λυδιακά/Lydiaka)리디아의 역사에 대한 저술. 3권으로 구성됨.
내용크산토스의 '리디아사'는 헤로도토스와 헬라니코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리디아의 역사와 문화, 전설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 칸다울레스 왕의 이야기와 기게스의 반란, 그리고 크로이소스 왕의 이야기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특징로고스 작가들의 스타일을 따랐으며, 신화와 전설을 역사적 사실과 혼합하여 서술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단편적인 인용구만이 현존함. 니콜라우스 다마스케누스와 아테나이오스와 같은 후대의 작가들의 기록을 통해 일부 내용이 전해짐.

2. 주요 저작

크산토스의 주요 저작으로는 《리디아카(Lydiaca)》(Λυδιακά|Ludiakael)와 《마기카》(Mαγικά|Magikael)가 있다. 《리디아카》는 리디아의 역사를 다룬 책으로, 4권으로 구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크산토스를 “초창기 역사에 대한 예외적으로 건전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고 평가하며 신뢰를 보였다.[4] 반면 《마기카》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한 번 언급했지만, 이 언급의 신뢰성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타소스 건국 연도에 대해 크산토스를 신뢰할 수 없는 방식으로 언급했기 때문에 의문을 받는다.[6]

2. 1. 《리디아카》(Lydiaca)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에 따르면, 《리디아카(Lydiaca)》(Λυδιακά|Ludiakael)는 총 4권으로 구성되었다고 한다. 크산토스가 각 권에서 자료를 어떻게 배치했는지, 메르므나드 왕조 이전 시대(기원전 700년 이전)를 얼마나 다루었는지는 알 수 없다.

크산토스는 일화(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헤로도토스와 유사한 방식이다.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의 언급에 따르면, 《리디아카》 4권의 일부는 림나이오스(티메나이오스)의 아들인 리디아인 아스칼루스의 관점에서 아스칼론의 건국을 묘사한다. 아스칼론은 아타르가티스 숭배의 중심지였다고 한다.[4]

《리디아카》의 신뢰성은 상충되는 인용문과 단편적인 자료 때문에 여러 차례 의문을 받아왔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크산토스를 높게 평가하며 그의 저작에 신뢰를 부여했다. 그는 투키디데스에 관한 논문에서 헤로도토스 이전의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신화적 경향”을 가졌다고 언급하면서도, 크산토스를 “초창기 역사에 대한 예외적으로 건전한 지식을 가진 사람으로, 자신의 조국의 역사를 확립하는 데 있어서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인물"이라고 칭찬했다.[4]

스트라본에 따르면, 《리디아카》 1권에서 크산토스는 아르메니아, 마티에네, 하부 프리기아 등 내륙 지역에서 발견된 조개껍데기 모양의 바위를 언급하며, 이를 통해 아나톨리아 반도 전체가 한때 물속에 잠겼었다고 추측했다.[5]

2. 2. 《마기카》(Magica)

Mαγικά|마기카el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한 번 언급했지만, 이 언급의 신뢰성은 종종 의문을 받는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타소스 건국 연도에 대해 크산토스를 신뢰할 수 없는 방식으로 언급했기 때문이다.[6] 또한, 클레멘스는 타르수스 건설 날짜를 위해 크산토스를 신뢰하지 않았다.[11]

3. 크산토스에 대한 평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투키디데스에 관한 논문에서 헤로도토스 이전의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신화적 경향"을 가졌다고 언급했지만, 크산토스는 예외적으로 훌륭한 초기 역사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조국의 역사를 확립하는 데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인물이라고 칭찬했다.[4]

디오니시오스와 같은 지적인 작가가 크산토스와 그의 저작에 대해 강력하게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은, 그가 《리디아카》 원본 또는 적어도 메니푸스의 요약본을 연구하여 결론을 내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크산토스의 저작이 실질적이고 정당하며, 스키토브라키온과 같이 사실이 아닌 내용을 크산토스의 저작이라고 주장하는 다른 작가들에 의해 날조되지 않았다는 증거로 해석된다.[4]

스트라본에 따르면, 크산토스는 《리디아카》 1권에서 아르메니아, 마티에네, 하부 프리기아 등 내륙 지역에서 조개껍데기 모양의 바위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아나톨리아 반도 전체가 한때 물속에 잠겼었다고 추측했다.[5]

하지만 크산토스의 저작은 일화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헤로도토스와 마찬가지로 역사적 배열이 느슨했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리디아카》의 신뢰성은 상충하는 인용문과 단편적인 자료 때문에 여러 차례 의문을 받아왔다.[4]

3. 1. 긍정적 평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크산토스를 "초창기 역사에 대한 예외적으로 건전한 지식을 가진 사람으로, 자신의 조국의 역사를 확립하는 데 있어서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인물"이라고 극찬했다.[4] 디오니시오스와 같은 지식인들이 크산토스의 저작을 높이 평가한 것은 그의 저작이 실질적이고 정당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해석된다.[4]

3. 2. 비판적 평가

크산토스의 저작, 특히 《리디아카》는 단편적인 자료와 인용문 간의 충돌로 인해 역사적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4] 스키토브라키온처럼 크산토스가 실제로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그의 저작으로 돌리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9]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크산토스를 “초창기 역사에 대한 예외적으로 건전한 지식을 가진 사람으로, 자신의 조국의 역사를 확립하는 데 있어서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인물"이라고 높이 평가했지만, 이러한 평가는 메니푸스의 요약본을 참고한 것일 수 있으며, 스키토브라키온의 인용은 신뢰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제기된다.[4]

참조

[1] 서적 The Universal Dictionary of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Cosimo 2010
[2]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3]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4]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5]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6]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7]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8]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9]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10]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11] 서적 Early Ionian Historians Cambridge UP 193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