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마름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마름뼈는 손목뼈의 원위열에 위치하며, 손목의 뼈대 구조를 제공하고 특히 엄지손가락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손배뼈와 첫 번째 손허리뼈 사이에 위치하며, 앞쪽 표면에는 깊은 홈이 있다. 위쪽 면은 손배뼈와 관절을 이루고, 아래쪽 면은 첫 번째 손허리뼈와 안장 모양의 관절을 형성하여 엄지손가락의 대립 운동에 기여한다. 손바닥 면에는 노쪽 손목 굽힘근의 힘줄이 지나가는 고랑이 있으며, 짧은엄지벌림근, 엄지맞섬근 등의 기시부 역할을 한다. 큰마름뼈는 과사용으로 인한 관절염이 발생하기 쉽고, 그리스어 'trapezion'에서 유래된 이름은 "작은 테이블"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뼈 - 음경골
음경골은 포유류 수컷의 음경에 위치하여 교미에 사용되는 뼈이며, 종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다르고 사람을 포함한 일부 종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 뼈 - 발꿈치뼈
발꿈치뼈는 발목뼈 중 가장 크고 발에서 가장 큰 뼈로, 목말뼈, 발배뼈, 입방뼈, 종아리뼈와 관절을 이루며, 걷기, 달리기, 점프 시 발과 다리의 움직임을 돕고, 발의 외반, 내반과 관련되며 골절 및 족근골 유합과 같은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 골학 - 복사뼈
복사뼈는 발목의 뼈 돌출 부위로, 안쪽 복사뼈는 경골, 가쪽 복사뼈는 종아리뼈에서 발견되며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 골학 - 복장뼈
복장뼈는 흉부에 위치하며 빗장뼈와 갈비뼈에 연결되어 흉곽을 구성하는 길쭉한 편평골로, 흉골자루, 몸통, 칼돌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수 검사, 심장 수술 등에 사용된다.
큰마름뼈 | |
---|---|
일반 정보 | |
![]() | |
![]() | |
라틴어 | os trapezium, os multangulum majus |
어원 | 그리스어 "trapezion" (table; 작은 테이블)에서 유래 |
위치 | 손목뼈의 가장 바깥쪽 (엄지손가락 쪽)에 위치 |
연결 | |
먼쪽 | 1st 손허리뼈 |
몸쪽 | 손배뼈 |
안쪽 | 작은마름뼈 |
안쪽 | 2nd 손허리뼈 |
구조 | |
특징 | 불규칙한 사변형 모양을 가짐 |
기능 | |
역할 | 손목의 안정성을 제공하고 손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함 |
임상적 중요성 | |
관련 질병 | 손목터널 증후군 골관절염 |
2. 구조
큰마름뼈는 불규칙한 모양을 가진 손목뼈의 원위열에 위치하며, 앞쪽 표면에는 깊은 홈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손배뼈와 첫 번째 손허리뼈(엄지손가락의 손허리뼈) 사이에 위치하며, 파충류와 양서류의 첫 번째 먼쪽 손목뼈와 상동 관계를 가진다.
큰마름뼈의 위쪽 면은 안쪽과 위쪽을 향하며 손배뼈와 관절을 이루고, 가쪽 면과도 연결된다. 아래쪽 면은 타원형으로 첫 번째 손허리뼈와 관절을 이루어 안장 모양의 표면을 형성하며, 이 관절은 엄지손가락의 대립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등쪽 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다.
손바닥 면은 좁고 거칠며, 노쪽 손목 굽힘근의 힘줄이 지나가는 깊은 고랑이 있다. 이 면은 엄지 맞섬근, 엄지 짧은 벌림근, 엄지 짧은 굽힘근의 기시부 역할을 하며 가로 손목 인대가 부착된다. 큰마름뼈는 짧은엄지벌림근, 엄지맞섬근, 짧은엄지굽힘근, 엄지모음근과 연결되어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가쪽 면은 넓고 거칠며, 인대가 부착된다. 안쪽 면은 사다리꼴뼈와 이어지는 위쪽 면과 둘째 손허리뼈와 이어지는 아래쪽 면으로 나뉜다.
큰마름뼈 결절은 뼈의 앞면에 있는 결절로,[1] 때때로 짧은엄지벌림근이 부착되는 곳이기도 하다.
2. 1. 면
큰마름뼈는 위쪽, 아래쪽, 등쪽, 손바닥쪽, 가쪽, 안쪽의 여섯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쪽 면: 위쪽과 안쪽을 향하며, 안쪽은 매끄럽고 손배뼈와 관절을 이룬다. 가쪽은 거칠고 가쪽 면과 연결된다.[1]
- 아래쪽 면: 타원형이며, 가쪽에서 안쪽으로 오목하고 앞뒤로 볼록하여 첫 번째 손허리뼈의 바닥과 관절을 이루는 안장 모양의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안장 모양의 관절은 엄지손가락의 대립 운동에 기여한다.[1]
- 등쪽 면: 매끄럽다.[1]
- 손바닥 면: 좁고 거칠다. 위쪽 부분에는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히 안쪽으로 흐르는 깊은 고랑이 있으며, 노쪽 손목 굽힘근의 힘줄을 전달하며, 가쪽으로 비스듬한 능선으로 경계를 이룬다. 이 표면은 엄지 맞섬근, 엄지 짧은 벌림근, 엄지 짧은 굽힘근의 기시부를 제공하며, 가로 손목 인대에도 부착된다.[1]
- 가쪽 면: 넓고 거칠며 인대가 부착된다.[1]
- 안쪽 면: 두 개의 면으로 나뉜다. 위쪽은 크고 오목하며 사다리꼴뼈와 관절을 이루고, 아래쪽은 작고 타원형이며 두 번째 손허리뼈의 바닥과 관절을 이룬다.[1]
2. 1. 1. 위쪽 면
큰마름뼈의 위쪽 면은 안쪽과 위쪽을 향하고, 손배뼈와 관절을 이룬다. 또한 가쪽 면과도 연결된다.2. 1. 2. 아래쪽 면
아래쪽 면은 타원형이며, 첫 번째 손허리뼈와 관절을 이루어 안장 모양의 표면을 형성한다. 이 관절은 엄지손가락의 대립 운동에 기여한다.2. 1. 3. 등쪽 면
큰마름뼈의 등쪽 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다.2. 1. 4. 손바닥 면
큰마름뼈의 손바닥 면은 좁고 거칠며, 노쪽 손목 굽힘근의 힘줄이 지나가는 깊은 고랑이 있다. 이 면은 엄지 맞섬근, 엄지 짧은 벌림근, 엄지 짧은 굽힘근의 기시부 역할을 하며 가로 손목 인대가 부착된다. 이 뼈는 짧은엄지벌림근, 엄지맞섬근, 짧은엄지굽힘근, 엄지모음근과 연결되어 있다.2. 1. 5. 가쪽 면
넓고 거칠며, 인대가 부착된다.2. 1. 6. 안쪽 면
큰마름뼈 안쪽 면은 사다리꼴뼈와 이어지는 위쪽 면과, 둘째 손허리뼈와 이어지는 아래쪽 면으로 나뉜다.2. 2. 큰마름뼈 결절
가로뼈 결절은 뼈의 앞면에 있는 결절이다.[1] 때때로 짧은엄지벌림근이 부착되는 곳이다.3. 기능
큰마름뼈는 손목뼈로서 손의 뼈대 구조를 제공하는 단위로 기능하며, 특히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에 중요하다.[2] 손목굴을 둘러싼 뼈 중에서 가장 노쪽에 위치한다.[1]
4. 임상적 중요성
5. 역사
그리스어 ''trapezio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작은 테이블"을 의미한다. ''trapeza''는 "테이블"을 의미하며, 이는 ''(te)tra-'' "넷"과 ''pod-'' "발"에서 파생되었다. 'trapezium'이라는 이름은 1840년에 처음 문서화되었다.[3]
6. 큰마름뼈와 관절하는 뼈
큰마름뼈는 제1 손허리뼈, 제2 손허리뼈, 소다각형뼈, 손배뼈와 관절한다.
7. 큰마름뼈에서 기시하는 근육
큰마름뼈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육들이 일어난다.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2]
논문
The wrist: clinical anatomy and physical examination--an update.
2005-03
[3]
웹사이트
Trapezium
http://www.etymonlin[...]
2014-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