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사뼈는 발목의 뼈 돌출 부위를 지칭하며, 안쪽 복사뼈와 가쪽 복사뼈로 구분된다. 안쪽 복사뼈는 경골의 발쪽 끝에서 발견되며, 거골과 관절하고 뒤정강근과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을 수용하는 복사뼈구를 가진다. 가쪽 복사뼈는 종아리뼈의 발쪽 끝 부분에서 발견되며, 목말뼈와 연결되는 면, 아킬레스건과 장딴지 신경 사이의 구조 등을 특징으로 한다. 복사뼈는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양과 골절과 삼과 골절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뼈 구조물 - 부리돌기
부리돌기는 어깨뼈 목 윗부분에 위치한 갈고리 모양의 돌출부로, 빗장뼈 지지, 근육 및 인대 부착, 신경혈관 구조 지표 역할, 그리고 이족 보행 연구 활용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뼈 구조물 - 오목위결절
오목위결절은 어깨 관절의 일부로, 과도한 근육 수축이나 반복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박리 골절과 같은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젊은 운동선수에게 흔히 발생하고 X-ray 촬영을 통해 진단하며, 골절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고 어깨 근육 강화 운동과 준비 운동으로 예방할 수 있다. - 하지 뼈대 - 골반
골반은 몸통 아랫부분의 골반뼈와 관련 구조물로 이루어진 부위로, 골반 골격, 골반강, 골반저, 회음으로 구성되어 척추와 하지를 연결하고 내부 장기를 포함하며 자세 유지와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하지 뼈대 - 정강뼈
정강뼈는 무릎과 발목 사이 다리에 위치한, 넙다리뼈 다음으로 큰 뼈로서 종아리뼈와 함께 다리를 구성하며 체중을 지탱하고 무릎 및 발목 관절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 골학 - 복장뼈
복장뼈는 흉부에 위치하며 빗장뼈와 갈비뼈에 연결되어 흉곽을 구성하는 길쭉한 편평골로, 흉골자루, 몸통, 칼돌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수 검사, 심장 수술 등에 사용된다. - 골학 - 손허리뼈
손허리뼈는 손목뼈와 손가락뼈 사이에 위치한 다섯 개의 뼈로 손의 가로 아치를 형성하며, 몸통, 머리, 바닥으로 구성되어 손목뼈 및 인접한 손허리뼈와 관절하고 근육이 부착되어 손목과 손가락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골절이 흔히 발생하고 네발 동물 앞발의 일부를 구성한다.
| 복사뼈 | |
|---|---|
| 기본 정보 | |
| 라틴어 | malleolus |
| 영어 | malleolus |
| 구조 | |
| 종류 | 뼈 |
| 부위 | 발목 |
| 식별 | |
| TA98 | A02.5.04.001 |
| TA2 | 771 |
| FMA | 24944 |
2. 안쪽 복사뼈 (Medial malleolus)
안쪽 복사뼈는 경골 발쪽 끝부분에 위치한다. 경골 원위부 안쪽 면은 아래로 뻗어 나가면서 밖에서 안으로 평평하고 강한 피라미드형 돌기를 형성하는데, 이것이 안쪽 복사뼈이다.
2. 1. 구조
내측 복사뼈는 경골 발쪽 끝에서 발견된다. 경골 원위부의 내측면은 밖에서 안으로 평평한 강한 피라미드형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로 연장되어 내측 복사뼈를 이룬다.- 이 돌기의 ''내측면''은 볼록하고 피하에 위치한다.
- ''외측'' 또는 ''관절면''은 매끄럽고 약간 오목하며, 거골과 관절한다.
- ''전연''은 발목 관절의 삼각 인대의 전방 섬유가 부착되는 거친 부위이다.
- ''후연''은 사선으로 아래쪽 및 내측으로 향하는 넓은 홈인 복사뼈구를 나타내며, 때로는 이중으로 되어 있다. 이 구는 뒤정강근과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을 수용한다.
- 내측 복사뼈의 ''정점''은 뒤쪽에 삼각 인대가 부착되는 거친 함몰로 표시된다.
내측 복사뼈 앞쪽을 통과하는 주요 구조는 복재 정맥이다.
굽힘 지지대 아래 내측 복사뼈 뒤쪽을 통과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2. 2. 주변 구조물
경골 발쪽 끝에서 발견되는 내측 복사뼈는 경골 원위부의 내측면이 아래로 연장되어 만들어진 피라미드형 돌기이다.- 이 돌기의 ''내측면''은 볼록하고 피하에 위치한다.
- ''외측'' 또는 ''관절면''은 매끄럽고 약간 오목하며, 거골과 관절한다.
- ''전연''은 발목 관절 삼각 인대의 전방 섬유가 부착되는 거친 부위이다.
- ''후연''에는 사선으로 아래쪽 및 내측으로 향하는 넓은 홈인 복사뼈구가 있으며, 때로는 이중으로 되어 있다. 이 구는 뒤정강근과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을 수용한다.
- 내측 복사뼈의 ''정점''은 뒤쪽에 삼각 인대가 부착되는 거친 함몰로 표시된다.
내측 복사뼈 앞쪽을 통과하는 주요 구조는 복재 정맥이다.
굽힘 지지대 아래 내측 복사뼈 뒤쪽을 통과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3. 가쪽 복사뼈 (Lateral malleolus)
가쪽 복사뼈는 종아리뼈의 발쪽 끝 부분에 있으며, 피라미드 모양을 하고 좌우로 약간 납작하다. 안쪽 복사뼈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한다. 가쪽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에는 장딴지 신경이 지나간다.[1]
3. 1. 구조
외측 복사뼈는 종아리뼈의 발쪽 끝 부분에서 발견되며,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좌우로 약간 납작하다. 안쪽 복사뼈보다 더 낮은 위치로 내려간다.- ''내측 면''은 앞쪽에 위에서 아래로 볼록한 매끄러운 삼각형 면을 나타내며, 이는 목말뼈의 외측면에 있는 해당 면과 연결된다. 관절 면 뒤와 아래에는 거친 함몰부가 있으며, 이는 후방 종아리뼈 발꿈치 인대가 부착되는 부위이다.
- ''외측 면''은 볼록하고 피하에 있으며, 몸통 외측의 삼각형 피하면과 연결된다.
- ''전연''은 두껍고 거칠며, 아래쪽에는 전방 종아리뼈 발꿈치 인대가 부착되는 함몰부가 있다.
- ''후연''은 넓고 얕은 복사뼈 고랑을 나타내며, 긴 종아리근과 짧은 종아리근의 힘줄이 지나간다.
- ''정상''은 둥글며 종아리뼈 발꿈치 인대가 부착된다.
외측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에 위치한 주요 구조는 장딴지 신경이다.
3. 2. 주변 구조물
외측 복사뼈는 종아리뼈의 발쪽 끝 부분에서 발견되며,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좌우로 약간 납작하다. 안쪽 복사뼈보다 더 낮은 위치로 내려간다.- '''내측 면'''은 앞쪽에서 위에서 아래로 볼록한 매끄러운 삼각형 면을 나타내며, 이는 목말뼈의 외측면에 있는 해당 면과 연결된다. 관절 면 뒤와 아래에는 거친 함몰부가 있으며, 이는 후방 종아리뼈 발꿈치 인대가 부착되는 부위이다.
- '''외측 면'''은 볼록하고 피하에 있으며, 몸통 외측의 삼각형 피하면과 연결된다.
- '''전연'''은 두껍고 거칠며, 아래쪽에는 전방 종아리뼈 발꿈치 인대가 부착되는 함몰부가 있다.
- '''후연'''은 넓고 얕은 복사뼈 고랑을 나타내며, 긴 종아리근과 짧은 종아리근의 힘줄이 지나간다.
- '''정상'''은 둥글며 종아리뼈 발꿈치 인대가 부착된다.
외측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에 위치한 주요 구조는 장딴지 신경이다.
4. 임상적 의의
양과 골절과 삼과 골절은 복사뼈 부위의 골절을 의미한다. 양과 골절은 외측 복사와 내측 복사가 모두 골절된 경우이며,[1] 삼과 골절은 외측 복사, 내측 복사, 경골 뒤쪽(후방 복사)이 모두 골절된 경우이다.[2]
4. 1. 복사뼈 골절
양과 골절은 외측 복사와 내측 복사가 모두 골절된 경우를 말하며, 삼과 골절은 외측 복사, 내측 복사, 경골의 원위부 후면(후방 복사)이 모두 골절된 경우를 말한다. 양과 골절은 여성, 60세 이상, 기존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1] 삼과 골절은 외상과 함께 때때로 발목 염좌와 탈구가 동반되기도 한다.[2]4. 1. 1. 웨버 분류 (Weber Classification)
웨버 분류(Weber Classification)는 복사뼈 골절을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주어진 소스에는 웨버 분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채울 수 없다. 제공된 소스는 양과 골절과 삼과 골절에 대한 설명이다.4. 1. 2. 치료 및 재활
양과 골절은 골절의 일종으로, 외측 복사와 내측 복사가 모두 골절된 경우를 말한다. 연구에 따르면[1] 양과 골절은 여성, 60세 이상, 기존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1]삼과 골절은 골절의 일종으로, 외측 복사, 내측 복사, 그리고 경골의 원위부 후면(이를 후방 복사라고 부르기도 한다)이 모두 골절된 경우를 말한다. 외상과 함께 때때로 발목 염좌와 탈구가 동반되기도 한다.[2]
5. 추가 이미지
참조
[1]
논문
Are Outcomes of Bimalleolar Fractures Poorer Than Those of Lateral Malleolar Fractures with Medial Ligamentous Injury?
http://www.ejbjs.org[...]
2010-11-26
[2]
뉴스
Ankle Fractures
http://orthoinfo.aao[...]
AAOS
2007-09
[3]
웹사이트
대한의협 필수 의학용어집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