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라크의 삼법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크의 삼법칙은 아서 C. 클라크가 제시한 세 가지 법칙으로, 과학 기술의 발전과 관련된 통찰을 담고 있다. 제1법칙은 "뛰어난 노과학자가 어떤 일이 가능하다고 말하면 거의 틀림없이 옳고, 불가능하다고 말하면 틀릴 것이다"이며, 전문가의 식견과 열린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제2법칙은 "가능성의 한계를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은 불가능의 영역으로 조금씩 나아가는 것이다"로 혁신과 도전을 강조한다. 제3법칙은 "충분히 발달한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로 기술 발전의 잠재력과 영향력을 보여준다. 이 법칙들은 1962년 에세이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변형과 보충 설명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서 C. 클라크 - 스탠리 큐브릭
    스탠리 큐브릭은 1928년 뉴욕에서 태어나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며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연출하고 뛰어난 시각적 연출과 음악 사용으로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아서 C. 클라크 - 세렌디파케라톱스
    세렌디파케라톱스는 호주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으로, 1993년 발견된 자뼈 화석을 바탕으로 2003년 명명되었으며, 속명은 '뜻밖의 발견'에서 유래되었지만, 자뼈의 형태적 특징과 분류 논쟁으로 인해 현재는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 기술예측 - 특이점주의
    특이점주의는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으로 기술적 특이점이 도래하여 사회 전반에 예측 불가능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믿음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이다.
  • 기술예측 - 실감형 가상 현실
    실감형 가상 현실은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여 사용자가 인공적인 환경에 몰입, 현실과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VR, AR, MR 등을 포괄하며 HMD 등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원리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 원리 - 철학자
클라크의 삼법칙
개요
제1 법칙
내용저명하지만 나이 든 과학자가 어떤 것이 가능하다고 말할 때, 그는 거의 확실히 옳다. 그가 어떤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할 때, 그는 매우 아마 틀릴 것이다.
영어 원문When a distinguished but elderly scientist states that something is possible, he is almost certainly right. When he states that something is impossible, he is very probably wrong.
제2 법칙
내용가능한 것의 한계를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은 불가능한 것으로 약간 넘어가는 것이다.
영어 원문The only way of discovering the limits of the possible is to venture a little way past them into the impossible.
제3 법칙
내용충분히 발달한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
영어 원문Any sufficiently advanced technology is indistinguishable from magic.
명칭
다른 이름클라크의 세 가지 법칙
영어 명칭Clarke's three laws

2. 법칙

클라크의 삼법칙은 다음과 같다.

1. 뛰어난 노과학자가 어떤 일이 가능하다고 말하면 거의 틀림없이 옳다. 어떤 일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면, 그는 아마도 틀릴 것이다. 이 법칙은 전문가의 식견과 열린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과학기술 분야의 빠른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과거의 경험에 갇힌 전문가의 판단은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2. 가능성의 한계를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은 불가능의 영역으로 조금씩 나아가는 것이다. 이 법칙은 혁신과 도전 정신을 강조한다. 현재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영역에 대한 과감한 도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3. 충분히 발달한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 이 법칙은 과학기술 발전의 잠재력과 그 영향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법칙이다. 현재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기술이 미래에는 현실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마법과 같은 놀라움을 선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1. 클라크의 제1법칙

뛰어난 노과학자가 어떤 일이 가능하다고 말하면 거의 틀림없이 옳다. 어떤 일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면, 그는 아마도 틀릴 것이다. 이 법칙은 전문가의 식견과 열린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과학기술 분야의 빠른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과거의 경험에 갇힌 전문가의 판단은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2. 2. 클라크의 제2법칙

가능성의 한계를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은 불가능의 영역으로 조금씩 나아가는 것이다. 이 법칙은 혁신과 도전 정신을 강조한다. 현재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영역에 대한 과감한 도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2. 3. 클라크의 제3법칙

충분히 발달한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 이 법칙은 과학기술 발전의 잠재력과 그 영향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법칙이다. 현재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기술이 미래에는 현실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마법과 같은 놀라움을 선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기원

클라크의 세 가지 법칙은 모두 1962년에 처음 출판된 《미래의 프로필》에 수록된 에세이 〈예언의 위험: 상상의 실패〉에 등장한다.[3] 첫 번째 법칙은 1962년 판 에세이에서 "클라크의 법칙"으로 제안되었다.[4] 두 번째 법칙은 같은 에세이에서 단순한 관찰로 제시되었으나, 이후 다른 사람들에 의해 클라크의 두 번째 법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

세 번째 법칙은 가장 널리 알려지고 인용되는 법칙으로, 1968년 《사이언스》 잡지에 보낸 편지에 게재된 후,[5] 1973년 에세이 개정판에 추가되었다.[6] 클라크는 "세 개의 법칙이 뉴턴에게 충분했으니, 나는 여기서 멈추기로 겸손하게 결정했다."라고 언급했다.[4]

클라크는 세 번째 법칙과 비슷한 사례로 아이작 아시모프가 1952년 그의 저서 《파운데이션과 제국》에서 "... 무지한 대중은 학문과 마법사를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쓴 것을 언급했다.[7] 또한 1942년 리 브래킷의 단편 소설에서 "무지한 자에게는 마법이고, ... 배운 자에게는 단순한 과학이다."라는 문구도 세 번째 법칙과 비슷한 정서를 나타낸다.[8]

4. 제3법칙의 변형

클라크의 제3법칙은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을 주어 여러 변형이 등장했다.[10]


  • 마이클 셔머의 마지막 법칙: "충분히 발달한 외계 지성은 신과 구별할 수 없다."[10]
  • 그레이의 법칙: "충분히 발달한 무능은 악의와 구별할 수 없다."[12] (인공지능 분야에서 응용)[11]
  • 클라크의 법칙에 대한 스털링의 추론: "충분히 발달한 쓰레기는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13] 이 아이디어는 아르카디와 보리스 스트루가츠키의 소설 길가에 핀 꽃의 설정의 기초가 되며, 여기서 인간 ''스토커''들은 외계인의 "방문" 위치를 탐색하고, 외계인이 버린 기술적으로 진보된 물건을 이해하려고 한다.

5. 제1법칙의 보충

아이작 아시모프는 클라크의 제1법칙에 대해 다음과 같은 보충 설명을 제시했다. "그러나 일반 대중이 저명하지만 나이 많은 과학자들이 비난하는 아이디어에 열렬히 동조하고 열정적으로 지지할 경우, 결국 그 저명하지만 나이 많은 과학자들이 옳을 가능성이 높다."[14]

6. 제3법칙의 대우 명제

아이작 아시모프의 클라크 제1법칙에 대한 보충 정리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일반 대중이 저명하지만 나이 많은 과학자들이 비난하는 아이디어에 열렬히 동조하고 열정적으로 지지할 경우, 결국 그 저명하지만 나이 많은 과학자들이 옳을 가능성이 높다."[14] 클라크의 제3법칙의 대우 명제는 "마법과 구별할 수 있는 기술은 충분히 발전하지 않았다." (게임의 보충 정리)[15] 이다.

참조

[1] 서적 The Physics of Invisibility: A Story of Light and Deception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2] 서적 The Quote Verifier: Who Said What, Where, and When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2006
[3] 서적 Hazards of Prophecy: The Failure of Imagination 1962
[4] 서적 The Believing Brain: From Ghosts and Gods to Politics and Conspiracies — How We Construct Beliefs and Reinforce Them as Truths https://archive.org/[...] Henry Holt & Co. 2011
[5] 간행물 Clarke's Third Law on UFO's https://www.science.[...] 1968-01-19
[6] 서적 Profiles of the Future: An Inquiry into the Limits of the Possible Popular Library 1973
[7] 서적 Foundation and Empire Bantam Dell 1952
[8] 간행물 The Sorcerer of Rhiannon 1942-02
[9] 서적 Skyscrapers, Hemlines and the Eddie Murphy Rule: Life's Hidden Laws, Rules and Theories Bloomsbury Publishing 2015
[10] 간행물 Shermer's Last Law https://michaelsherm[...] 2002-01
[11] 서적 Medical Enhancement and Posthumanity http://www.abolition[...] Springer 2008-11-05
[12] 서적 Skyscrapers, Hemlines and the Eddie Murphy Rule: Life's Hidden Laws, Rules and Theories Bloomsbury Publishing 2015
[13] 웹사이트 2004 : WHAT'S YOUR LAW? https://www.edge.org[...]
[14] 간행물 Asimov's Corollary https://archive.org/[...]
[15] 간행물 Correction http://fanac.org/fan[...] Mt. Holz Science Fiction Society 2004-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