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아시모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작 아시모프(1920–1992)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SF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50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으며, 특히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의 지평을 넓혔다. 아시모프는 뛰어난 작품성과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작품은 영화, 드라마, 음악 등 여러 형태로 각색되었다. 그는 과학, 역사, 문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합리주의적이고 진보적인 성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군 군무원 - 로버트 A. 하인라인
로버트 A. 하인라인은 해군 장교 출신 미국 과학소설 작가로, 사회, 정치, 철학적 주제를 다룬 혁신적인 작품으로 20세기 과학소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주의, 자유주의, 자유 연애 등의 주제와 파시즘, 군국주의 비판 등 복잡한 면모를 보이며 "grok" 등의 신조어를 만들었다. - 스몰렌스크주 출신 - 유리 가가린
유리 가가린은 1934년 소련에서 태어나 1961년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를 비행했으며, 소련 우주 프로그램에 기여하고 세계적인 영웅이 되었다. - 아이작 아시모프 - 로봇공학의 삼원칙
로봇공학의 삼원칙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SF 소설에서 로봇의 행동 규범으로 제시된 세 가지 원칙으로,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으며, SF 작품과 인공지능 윤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다양한 해석과 윤리적 논의의 기준이 되고 있다. - 아이작 아시모프 - 중행성
중행성은 아이작 아시모프가 행성과 소행성의 중간적 특징을 가진 천체를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한 용어로, 현대 천문학에서는 태양을 직접 공전하며 둥근 형태를 유지하지만 궤도 주변 천체를 깨끗하게 치우지 못한 명왕성, 에리스, 하우메아, 마케마케 등을 의미한다.
아이작 아시모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Isaac Asimov |
출생일 | 1920년 1월 2일경 (추정) |
출생지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페트로비치 |
사망일 | 1992년 4월 6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국적 | 미국 |
직업 | 작가, 대학교수 (생화학) |
활동 기간 | 1939년–1992년 |
장르 | 과학 소설 (하드 SF, 사회 SF), 미스터리, 대중 과학 |
주제 | 대중 과학, 과학 교과서, 에세이, 역사, 문학 비평 |
로마자 표기 | Isaac Asimov |
다른 이름 | Paul French Dr. A George E. Dale |
학력 | |
교육 | 컬럼비아 대학교 (이학 학사, 문학 석사, 철학 박사) |
박사 지도 교수 | Charles Reginald Dawson |
학문 자문 | 로버트 엘더필드 (박사후 연구원) |
논문 제목 | 카테콜의 호기성 산화 촉매 작용 중 티로시나아제 반응 불활성화의 운동 |
논문 URL | 논문 링크 |
논문 발표 년도 | 1948년 |
가족 | |
배우자 | 거트루드 블루거만 (1942년–1973년, 이혼) 자넷 아시모프 (1973년) |
친척 | 스탠리 아시모프 (형제) 에릭 아시모프 (조카) |
자녀 | 2명 |
경력 | |
소속 | 보스턴 대학교 |
운동 | 과학 소설의 황금시대 |
수상 | |
수상 | 휴고상 네뷸라상 로커스상 |
작품 활동 | |
데뷔작 | 진공 표류 |
영향 받은 인물 | 클리포드 D. 시맥 허버트 조지 웰스 스탠리 G. 와인바움 |
기타 | |
![]() |
2. 생애
아이작 아시모프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스몰렌스크 현 페트로비치(Петровичиru)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3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욕 브루클린에서 성장했다.[485][25] 그의 성 '아시모프(Asimov)'는 미국 이민 과정에서 아버지의 착오로 'S' 철자를 사용하게 되었으며,[474] 이는 훗날 그의 단편 소설 《내 이름을 S로 써라》(Spell My Name with an S)의 소재가 되었다.[475] 어린 시절 아버지가 운영하던 사탕 가게의 펄프 매거진을 통해 과학 소설에 매료되었다.[492][493][33]
뛰어난 학업 성적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 조기 입학하여[494][323] 1948년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4][45][32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필라델피아 해군조선소에서 민간 화학자로 근무하며[498][499][47][48][323] 동료 작가 로버트 A. 하인라인, L. 스프라그 드 캠프와 교류했고,[499][322] 전후 잠시 미국 육군에 복무했다.[501][51]
1949년부터 보스턴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생화학을 가르쳤으나,[503] 점차 집필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504][505][506] 1939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로봇공학의 삼원칙을 제시하고 로봇 시리즈와 파운데이션 시리즈 등 SF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들을 발표하며 과학 소설 황금기의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1957년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이후에는 대중 과학 저술에 집중하여 '위대한 설명가'로 명성을 얻었으며,[591] 말년에는 다시 과학 소설 집필을 재개하여 이전 시리즈를 확장하고 세계관을 통합하려 시도했다.[554]
1942년 거트루드 블루거만(Gertrude Blugerman)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으나 1973년 이혼했고,[515][517][519] 같은 해 작가이자 정신과 의사인 자넷 젭슨(Janet O. Jeppson)과 재혼했다.[520] 비행기공포증이 있었지만[523] 유람선 여행과 대중 강연을 즐겼으며,[524] 미국 인문주의 협회(AHA) 회장을 역임하고[537] 멘사의 부회장을 맡는 등[545] 활발한 사회 활동을 펼쳤다.
1977년 심정지를 겪었고, 1983년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 수술 중 수혈로 인해 HIV에 감염되었다.[100][547][354] HIV 감염 사실은 사회적 편견을 우려하여 비밀에 부쳐졌으나,[105][548] 1992년 4월 6일 맨해튼에서 신부전과 심부전으로 사망한 지 10년 후,[101][547][102][549][550] 그의 아내 자넷이 자서전을 통해 HIV 감염이 사망의 주요 원인이었음을 밝혔다.[100][105][548][355]
2. 1. 생애 초기
아이작 아시모프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스몰렌스크 현 페트로비치(Петровичиru)에서 유대계 러시아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유다 아지모프(Юда Аронович Азимовru)는 제분업자의 아들이었고, 어머니는 안나라힐 베르만(Анна-Рахиль Исааковна Берманru)이었다.[17][316] 본명은 이사크 아지모프(Исаак Юдович Азимовru)였으며,[478] 이름은 외할아버지 아이작 버만(Isaac Berman)에게서 따왔다.[476][18]출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1919년 10월 4일부터 1920년 1월 2일 사이로 추정되며, 본인은 1월 2일을 생일로 기념했다.[16][319] 성은 고조부의 부칭 '-ov'와 겨울 곡물을 뜻하는 러시아어 '오지미예 흘레프'(ozímyj khleb, озимый хлеб)에서 유래했으며,[473] 키릴 문자로는 'Азимов'로 표기했다. 1923년 미국 이민 시 아버지가 라틴 알파벳 S를 독일어처럼 'Z' 발음으로 오해하여 'Asimov'로 표기하게 되었다.[474] 이는 훗날 아시모프의 단편 《내 이름을 S로 써라》(Spell My Name with an S)에 영감을 주었다.[475]
아버지는 유대교 정통파 교육을 받았으나 신앙심이 깊지는 않았으며, 아들에게 종교 교육을 강요하지 않았다.[479][19] 1921년 페트로비치에서 폐렴이 유행했을 때 아시모프를 포함한 16명의 아이들이 감염되었으나, 아시모프만 유일하게 살아남았다.[480][20] 그에게는 여동생 마르시아(Marcia, 1922~2011)[481][22]와 남동생 스탠리(Stanley, 1929~1995)[483][23]가 있었으며, 스탠리는 훗날 뉴스데이의 부사장이 되었다.[482][24]
1923년 2월 3일, 세 살 때 가족과 함께 RMS ''발틱''호를 타고 리버풀을 거쳐 미국 뉴욕 브루클린으로 이주했다.[485][25] 가족은 이디시어와 영어를 사용했으며, 아시모프는 두 언어에 능통하게 되었다. 부모님이 비밀 이야기를 할 때 러시아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러시아어는 배우지 못했다.[486][26][27] 다섯 살 때 스스로 글을 깨쳤고,[487][28] 어머니가 그의 생년월일을 1919년 9월 7일로 신고하여 1년 일찍 학교에 입학했다.[488][29][30] 나중에 이를 알게 된 아시모프는 3학년 때 생일을 1월 2일로 정정했다.[490][31] 1928년, 8세의 나이로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귀화했다.[491][32]
가족은 브루클린에서 여러 개의 사탕가게를 운영했으며, 온 가족이 가게 일을 도왔다. 가게에서 판매하던 신문과 잡지, 특히 펄프 매거진은 아시모프가 평생 글쓰기를 사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33] 아홉 살 무렵, 아버지는 그가 저급한 펄프 매거진을 읽는 것을 금지했지만, 아시모프는 《어메이징 스토리스》와 같은 잡지 제목에 '과학(Science)'이 들어간다는 점을 들어 교육적이라고 아버지를 설득하여 읽기 시작했다.[492][493][34][321] 이는 그가 과학 소설 팬이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320] 그는 브루클린 공공 도서관도 자주 이용했다.[35]
가정 형편은 넉넉하지 않았으나 학업 성적이 뛰어나 공립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을 월반으로 마쳤다.[322] 1935년, 15세의 나이에 컬럼비아 대학교에 입학했다.[494][323]
2. 2. 교육
아시모프는 5세 때부터 뉴욕시 공립학교에 다녔으며, 브루클린의 보이스 고등학교를 포함한 여러 학교를 거쳤다.[36] 그는 학업 성적이 우수하여 여러 차례 월반했으며, 15세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36] 이후 뉴욕 시립대학교에 잠시 다니다가 세스 로우 주니어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36] 이 칼리지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브루클린 다운타운 분교였는데, 당시 만연했던 유대인 및 이탈리아계 미국인 학생에 대한 비공식적인 입학 할당량을 초과한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설립된 곳이었다.[36]처음에는 동물학을 전공했으나, 길고양이를 해부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껴 1학기 만에 화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495][37] 1936년 세스 로우 주니어 칼리지가 문을 닫자, 아시모프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모닝사이드 하이츠 캠퍼스(훗날 컬럼비아 대학교 일반 연구 대학원)로 옮겨 1939년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37][326] 이후 의과대학에 두 차례 지원했으나 모두 떨어졌다.[38][39]
1939년, 컬럼비아 대학교 화학 대학원에 지원하여 처음에는 거절당했으나, 수습 기간을 거치는 조건으로 입학 허가를 받았다.[496][39] 그는 1941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44] 화학을 공부하는 동안 프랑스어와 독일어도 익혔다.[497][46]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아시모프는 석사 학위 취득 후 박사 과정을 잠시 중단하고, 1942년부터 1945년까지 필라델피아 해군조선소의 해군 항공 실험소에서 민간 화학자로 근무했다.[498][499][47][48][323] 이 시기에 그는 웨스트 필라델피아의 월넛 힐 지역에 거주했으며,[47][48] 해군 조선소에서 함께 일했던 로버트 A. 하인라인 및 L. 스프라그 드 캠프와 인연을 맺었다.[499][322]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45년 9월, 아시모프는 미국 육군에 징집되었다. 당시 그의 공식적인 나이는 26세 미만이었는데, 이는 학적부에 기록된 생년월일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실제 생년월일대로였다면 징집 대상 연령을 넘겼을 수도 있었다.[49] 1946년, 그는 비키니 환초에서 진행될 크로스로드 작전 핵 실험에 기술병으로 파견될 예정이었으나, 행정상의 착오로 군 복무 수당 지급이 중단되면서 파견 명단에서 제외되었다.[50][328] 그는 1946년 7월 11일에 상병으로 진급했으며,[51] 같은 해 7월 26일, 약 9개월간의 복무를 마치고 명예 제대했다.[501][51]
제대 후 1946년에 대학원에 복학했으며,[329] 1948년 화학으로 철학 박사 (Ph.D.) 학위를 취득했다.[44][45][323]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티로시나제 효소가 카테콜의 산화를 촉매할 때 발생하는 불활성화 반응의 속도론에 관한 연구였다.[41]
2. 3. 개인사
1942년 2월 14일 소개팅으로 만난 거트루드 블루거만(Gertrude Blugerman, 1917~1990)과 같은 해 7월 26일 결혼했다.[515][513][514] 아시모프가 필라델피아 해군조선소에서 근무할 당시 부부는 필라델피아의 아파트에서 함께 살았다. 아시모프가 군 복무를 위해 떠난 후 블루거만은 브루클린으로 이사했고, 아시모프는 제대 후 1946년 7월 그곳으로 돌아왔다. 이후 부부는 여러 차례 이사를 거듭했으며, 매사추세츠주의 서머빌, 월섬, 웨스트 뉴턴 등지에 거주했다.[516] 부부 사이에는 아들 데이비드(David, 1951년생)와 딸 로빈 조안(Robyn Joan, 1955년생)이 있었다.[517] 1970년, 아시모프는 거트루드와 별거하고 뉴욕으로 이사했으며, 1973년 공식적으로 이혼했다.[518][519]뉴욕으로 이사한 후 정신과 의사이자 작가인 자넷 오(Janet O. Jeppson, 1926~2019)를 만났고, 거트루드와 이혼한 지 2주 만인[519] 1973년 11월 30일에 재혼했다.[520]
아시모프는 좁고 밀폐된 공간을 선호하는 밀폐기호증(claustrophilia)을 가지고 있었다.[521][522] 반면 비행기공포증이 심해 평생 비행기를 단 두 번만 탑승했는데, 이는 1946년 군 복무 중 비키니 환초 핵 실험 관련 임무로 하와이로 이동할 때와 미국 본토로 귀환할 때였다.[523] 이러한 공포증은 그의 작품 속 인물인 엘리자 베일리(Elijah Baley)의 성격 설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비행기를 기피했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은 주로 기차나 배를 이용했다. 말년에는 유람선 여행을 즐기기 시작했으며,[523] 퀸 엘리자베스 2와 같은 유람선에서 과학을 주제로 강연하기도 했다.[524]
그는 유능한 대중 연설가로 인정받아 정기적으로 강연료를 받으며 과학 및 과학소설 관련 강연을 했고, 각종 컨퍼런스에도 자주 참여하였다.[524] 키는 보통(약 175cm)[527]이었고, 뚜렷한 뉴욕 억양과 구레나룻이 특징이었다.[528][529] 두 번째 아내인 자넷이 나비 넥타이를 좋아하지 않아 대신 볼로 넥타이(Bolo tie)를 자주 착용했다.[530] 수영이나 자전거 타는 법은 배우지 못했지만, 보스턴에 거주할 때 자동차 운전은 배웠다.[531]
세계 SF 대회와 같은 SF 행사에 자주 참여하여 다른 작가나 팬들과 교류하는 것을 즐겼다.[361] 사교적인 자리에서 여성에게 스스럼없이 다가가는 행동으로 유명했으나, 이러한 행동은 후대에 와서 성희롱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363][364]
다양한 사교 및 문학 모임에 참여했다. 길버트와 설리번의 코믹 오페라[524]의 열렬한 팬이었으며, 렉스 스타우트가 창조한 탐정 네로 울프(Nero Wolfe)에 대한 팬 모임인 "The Wolfe Pack"[532], 셜록 홈즈 팬 모임인 "The Baker Street Irregulars"[524], 그리고 남성들로만 구성된 문학 토론 모임인 "Trap Door Spiders"의 회원이었다.[534] 특히 "Trap Door Spiders"에서의 경험은 그의 미스터리 단편집 《흑거미 클럽》(Black Widowers)의 소재가 되었다.[535][536]
아시모프는 인도주의자이자 합리주의자였다.[367][368] 그는 미국 인문주의 협회(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AHA) 회장을 역임했으며,[537] 1985년에는 '올해의 휴머니스트'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는 종교적 신념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초자연현상이나 유사과학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369][370] 이를 위해 과학적 회의주의 탐구위원회(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CSI)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기도 했다.[539][371] 정치적으로는 진보적인 성향을 보였으며, 일관되게 미국 민주당을 지지했다.[372]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취했다.[375]
멘사의 회원이자 부회장까지 역임했지만, 일부 회원들의 지적 우월감 표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545][380] 그는 칼 세이건과 마빈 민스키 단 두 사람만이 자신보다 지적으로 뛰어나다고 인정했다.[544][382]
1977년 심정지를 겪었으며, 1983년 12월 뉴욕 대학교 메디컬 센터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았다. 이 수술 과정에서 수혈을 통해 HIV에 감염되었다.[100][547][354] 당시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심했기 때문에, 아시모프와 그의 가족은 이 사실이 외부에 알려질 경우 받을 영향을 우려하여 감염 사실을 비밀에 부쳤다.[105][548]
아시모프는 1992년 4월 6일 맨해튼에서 사망했다.[101][547] 공식적인 사인은 신장 기능 부전과 심부전으로 발표되었다.[102][549][550] 그의 사후 10년이 지난 2002년, 아내 자넷 아시모프는 아시모프의 자서전 인생은 아름다웠다(''It's Been a Good Life'')의 개정판 서문을 통해 그의 실제 사인이 HIV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이었음을 공개했다.[100][105][548][355]
2. 4. 작가로서의 경력
그는 1939년부터 단편 과학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 이후 대중 과학 서적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아시모프는 1957년 《벌거벗은 태양》 출판 이후 과학소설 집필량을 줄였다. 이후 약 25년간 120권에 달하는 논픽션 책을 집필했으며, 이 기간 동안 과학소설은 단 4권만 썼다. 1982년 《파운데이션의 끝》을 출판하며 과학소설 집필을 재개했고, 이전 작품들의 세계관을 연결하려 시도했으나 일부 모순이 발생하기도 했다.[554] 1969년까지 그의 저작 중 절반 이상은 더블데이와 호튼 미플린 하코트(Houghton Mifflin Harcourt)에서 출판되었다.[507]아시모프는 자신의 가장 중요한 기여로 로봇공학의 삼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꼽았다. 옥스포드 영어사전은 그가 로봇공학(robotics)과 심리역사학(psychohistory)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음을 인정한다. 아시모프 자신은 "로보틱스"가 이미 존재하는 단어라고 생각했으나, 후에 그가 만든 단어로 밝혀졌다.[555] 그는 철학과 심리학을 제외한 듀이 십진분류법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글을 썼으며,[547] 심리학 관련해서는 수필을 남겼다.[556] 유네스코 번역 데이터베이스(Index Translationum)에 따르면, 그는 세계에서 24번째로 많이 번역된 작가이다.[557]
=== 초기 과학소설 (1939년 ~ 1957년) ===



1929년부터 과학소설에 관심을 갖게 된 아시모프는 아버지가 운영하던 사탕 가게에서 펄프 매거진을 읽기 시작했다.[559] 아버지는 아시모프가 이것들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도록 읽지 못하게 하였다.[492] 그래서 아시모프는 잡지 이름에 "science (과학)"라는 단어가 포함되기 때문에 교육적인 것이라고 아버지를 설득하여, 그의 승낙을 얻는 데 성공했다.[493] 18세에는 "퓨처스 SF 팬클럽"에 가입하여 후에 작가로써 친구가 될 사람들을 사귀었다.[560]
아시모프는 11살 때 글을 쓰기 시작했고, 그의 아버지는 그가 16살 때 중고 타자기를 사주었다.[507] 1937년 5월부터는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것을 고려했다. 그해 그의 전문적인 첫 작품 《Cosmic Corkscrew》를 쓰기 시작했고, 1938년 6월 19일에 글을 끝마쳤다. 그는 끝마친 글을 존 W. 캠벨에게 넘겼고, 이틀 후 캠벨에게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한 거절 편지를 받았다. 이후 캠벨과 아시모프는 친구 사이가 되었다.[561] 이달 말까지 아시모프는 그의 두 번째 글인 《The Callistan Menace》를 완성했고, 7월 22일에 캠벨은 또 그 글을 거절했다. 그러나 캠벨은 "아시모프가 1년만 더 연습하고 쓴 글은 팔 수 있을 것"이라고 격려하며 글을 쓰도록 설득했다.[562] 1938년 10월 21일, 아시모프가 쓴 세 번째 글인 《Marooned off Vesta》이 레이몬드 A. 팔머(Raymond A. Palmer)의 검토에 이어 어메이징 스토리스(Amazing Stories)에 팔렸다. 그것은 1939년 3월 잡지에 실렸고, 아시모프는 한 단어당 1센트, 총 64USD를 받았다.[507][563] 이후 5월에 《The Weapon Too Dreadful to Use》, 7월에 《Trends》를 잡지에 실었고, 이후 팬들은 이것들이 골든 에이지의 가장 큰 이슈라고 말했다.[564] 그의 수입은 자신의 교육비를 대는데 충분했지만, 전업 작가가 되기에는 아직 부족했다.[565]
그는 동시대 SF 작가인 로버트 A. 하인라인과 A. E. 밴보트보다 빠른 1939년에 첫 작품을 출판하고 팬덤이 즉각적으로 생겨났다.[564] 이후, 도널드 A. 월하임(Donald A. Wollheim)이 1940년 12월호 잡지 "Astonishing"을 보고 아시모프의 책인 《The Secret Sense》를 살 정도로 아시모프는 유명해졌고,[567] 아시모프는 도널드 월하임이 캠벨을 제외하고 그 어떤 "제 3의 평가자"보다 나은 평가를 내렸다고 여겼다.[568]
아시모프는 캠벨과 나눈 이야기를 바탕으로 1941년 3월부터 1개월간 《전설의 밤》(Nightfall)을 썼고, 이 책은 1941년 9월에 출판했다. 이후 이 책은 미국 SF와 판타지 작가들(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이라는 협회에게 1968년에 "역대 최우수 단편 SF"로 선정되었다.[549][568] 그리고 《Nightfall and Other Stories》에서 "《전설의 밤》은 내 경력의 분수령(watershed)이 되었다... 이 작품으로 나는 과학소설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인정받게 되었고, 나중에 이 작품이 '고전'으로 평가받게 되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라고 적었다.[569]
아시모프는 1942년 1월부터 2월까지 집필한 《Victory Unintentional》를 쓴 뒤 다른 글을 거의 1년간 쓰지 않았는데, 이는 그가 경력을 화학으로 삼고 필라델피아 해군조선소에서 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아시모프는 과학소설 팬덤을 뒤로하고 관련 잡지를 읽지 않게 되었다. 이 상황에서 만약 아시모프가 로버트 A. 하인라인, L. 스프레이그 디캠프와 동료가 되지 않았더라면 과학소설계를 완전히 떠나버렸을지도 모른다.[571] 이후, 1942년에 아시모프는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고안했고,[572] 1951년에 시리즈의 첫 책인 《파운데이션》(1951)을 처음 출판한 이후, 《파운데이션과 제국》(1952)과 《제2 파운데이션》(1953)을 차례대로 출판하여 은하 제국의 쇠퇴와 그 뒤를 이을 세력들에 대해 다루었다. 이 세 권의 소설들에서 아시모프는 심리역사학을 강조했고, 이러한 심리역사학으로 소설 속 여러 등장인물들이 은하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었다.[573] 또한, 이 삼부작으로 아시모프는 1966년에 휴고상 "최우수 시리즈상"을 수상하게 되었다.[574][575] 그 동안 아시모프는 로봇 시리즈를 출판했고, 아시모프의 유명세에 캠벨은 단어당 급여를 올렸으며, 오손 웰스는 아시모프의 《Evidence》의 권리를 구매하였다.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아시모프는 작가로써 해군조선소에서 일하는 몫보다 절반 이상이 되는 금액을 벌고 있었지만, 그는 여전히 글이 그와 그의 아내, 아이들을 부양할 수 없고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576][577]
그의 《로봇 시리즈》는 《나는 로봇이야》(1950)라는 작품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리즈에서 그는 "로봇공학의 삼원칙"을 공포했고, 이후 이것은 로봇에 관한 주제를 다른 작가들이 다루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그는 《The Complete Robot》(1982)의 서론에서 당시까지의 내용 중에서 로봇이 로봇을 창조한 인간들에게 해를 입히는 설정은 《프랑켄슈타인》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1948년에 아시모프는 박사학위를 위해 학위논문을 준비하여, 그의 소설 속 가공의 화합물인 티오티몰린(Thiotimoline)에 대한 《The Endochronic Properties of Resublimated Thiotimoline》을 썼다. 아시모프는 컬럼비아 대학의 평가위원회의 부정적 반응에 우려하여, 편집자들에게 가명으로 발표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그대로 이름이 드러났다. 결국 아시모프는 평가위원들이 아시모프가 과학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걱정하기 시작했다. 심사가 끝나고 한 평가위원은 "티오티몰린의 열역학적 특성에 대해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아시모프 씨?"라고 말했고, 아시모프는 안도감을 느끼며 질문에 대답했다. 5분 동안 기다린 후, 아시모프는 "아시모프 박사"라고 축하받았다.[582]
1950년대에 과학소설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과학소설 작가들은 글쓰기를 본업으로 삼을 수 있게 되었다.[583] 1949년, 더블데이의 과학소설 편집자 월터 I. 브래드버리(Walter I. Bradbury)는 4만 단어짜리 아시모프의 소설 《Grow Old with Me》을 받아들였지만, 7만 단어 이상의 소설로 확장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시모프는 작업을 끝냈고, 결국 1950년 1월 《우주의 조약돌》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502] 1950년에 더블데이는 아시모프의 과학소설 5편을 '폴 프렌치'라는 필명으로 《럭키 스타 시리즈》를 출판했고,[584] 이는 TV 프로그램화를 기대하며 쓴 것이었으나 저품질 프로그램이 될 것을 우려하여 필명을 사용했다.[430] 결국 TV화는 실현되지 않았고, 후기 작품에서는 로봇 공학 3원칙을 제시하는 등 스스로 정체를 암시하며, 재판 시에는 실명으로 돌렸다. 1955년에 《The Martian Way and Other Stories》 등의 아시모프의 단편소설들은 추가로 출판했다. 또한, Gnome Press는 1950년대 초에 《나는 로봇이야》라는 책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추가로 출판했고, 이후 소설들을 모아 《The Rest of the Robots》라는 책으로 출판했다.
아시모프는 《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드 팩트》에만 관심을 기울였는데, 《Galaxy Science Fiction》과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이 등장하면서 다른 책과 잡지들에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이후에 그는 이 때를 자기가 성숙해진 시기라고 묘사했다. 또한 그는 인간이 한 일을 다시 되돌릴 수 있는지에 대해 쓴 《최후의 질문》(1956)을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한다고 말했다.[585]
=== 논픽션으로의 전환 (1957년 ~ 1982년) ===

1957년,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로 인한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인해 대중들이 소련과의 과학적 격차에 우려를 일으켰고, 결국 대중 과학책들의 생산이 늘게 되면서 과학소설의 집필량이 크게 줄어들었다.[591] 1958년에 아시모프는 《The Rest of the Robots》에서 당분간 실질적인 소설책을 쓸 수 없다고 밝혔고, 독자들은 그의 소설 작가 경력이 끝났거나 영구적으로 중단되었다고 이해했다.[592] 그는 과학을 소홀히 하면 위험해 질 수도 있는 미국을 위해 대중 과학을 집필하고 싶다는 생각에 휩싸였고, 많은 출판사들도 대중 과학 책을 출판하기를 원했다. 결국 아시모프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동안 아시모프는 소설을 쓰는 것을 매우 많이 줄이고, 주로 과학과 글을 썼다. 이후 1969년에 그는 "미국은 일종의 흥분 상태(tizzy)에 들어갔고, 나도 그랬다."고 말했다.[593]
1958년 11월부터 '벤처 사이언스 픽션'(Venture Science Fiction)이라는 잡지에서 아시모프는 논픽션 칼럼을 썼고, 그는 그의 말기에 여러 합병증에 걸리기 전까지 논픽션 칼럼들을 썼다.[594] 이 논픽션 칼럼들은 더블데이가 모아 책으로 출판했고,[507] 이는 대중들에게 아시모프가 "위대한 설명가"라는 평판을 주었다. 그는 "대중 과학"에 전념했지만, 그럼에도 글의 자유가 있었기 때문에 아시모프는 "Thinking About Thinking"[595]과 "Knock Plastic!"[596] 등의 현대 과학에 대한 문제점도 썼다. 1975년에 그는 "나는 그 어떤 글쓰기 과제보다 대중 과학으로부터 더 많은 즐거움을 얻는다."고 말했다.[597]
그의 첫 번째로 폭넓은 참고 목록인 《The Intelligent Man's Guide to Science》(1960)는 내셔널 북 어워드 후보에 올랐고, 이후 1963년에는 휴고상 특별상을 수상했다.[598][433] 그는 그의 과학 서적의 인기와 그것으로 얻은 수입으로 그가 교수 직위를 포기하고 전업 프리랜서 작가가 될 수 있었다.[599] 1967년에 아시모프는 "지식적이고 능숙한 과학 작가는 계약에서 자신의 가치민큼 인정받는다."고 다른 과학소설 작가들에게 말하면서 작가들에게 대중 과학을 쓰도록 격려했다.[600]
아시모프의 글에서 다뤄진 다양한 정보들에 자극받은 커트 보니것은 아시모프에게 "모든 것을 아는 기분이 어떤 기분인가?"라고 물었고, 아시모프는 "과학에 대한 박식(omniscience)하다는 평판이 불편한(Uneasy) 기분만 안다."고 대답했다.[601] 플로이드 C. 게일(Floyd C. Gale)은 "아시모프는 드문 재능을 가지고 있다. 그는 무미건조한 사실도 매력적으로 설명한다"라고 말했다.[602] 그러나 아시모프는 "지난 10년 동안, 나는 몇 권의 소설, 몇 권의 모음집, 십여 권의 이야기를 썼지만,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다."라며 불만스러운 독자가 편지를 보낼 정도로 소설을 쓰는데 시간을 적게 보낸 것을 후회했다.[593]
=== 후기 과학소설 및 활동 (1972년 ~ 1992년) ===
1972년에는 《신들 자신》(The Gods Themselves)을 출판하여 대부분 찬사를 받았고, 이후 휴고 뛰어난 소설상 부문,[586][348] 미국 SF와 판타지 작가들(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에서 수상하는 뛰어난 소설상,[586][349] 로커스 뛰어난 소설상 등을 수상하였다.[587]
비틀즈의 멤버였던 폴 매카트니는 자신의 록 밴드 윙스를 사칭하는 사칭꾼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밴드에 대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그러나, 매카트니는 줄거리가 막연하게 느껴졌고, 결국 1974년 12월, 아시모프에게 SF 영화의 뮤지컬 각본을 쓸 수 있는지 물었다. 아시모프는 록 음악을 좋아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생각에 흥미를 느낀 아시모프는 빨리 이 이야기의 윤곽을 만들었다. 그는 매카트니의 생각을 전체적으로 따라 감동적이고 드라마틱한 줄거리를 썼다. 그러나, 아시모프는 매카트니와 대화를 나누면서 매카트니가 강조했던 부분을 무시했고, 결국 매카트니는 거절했다. 그 줄거리는 현재 보스턴 대학교 자료실에 보관되어 있다.[588]
아시모프는 1969년에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과의 협의가 모든 과학소설 잡지 중에서 행복했다."고 말하면서, "《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드 팩트》, 《Galaxy Science Fiction》, 그 밖의 어떤 잡지에도 불만이 없지만,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은 나에게 무언가 특별한 것이 되었다."고 덧붙였다.[589] 1977년부터 그는 《아이작 아시모프스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Isaac Asimov's Science Fiction Magazine'', 이후 《아시모프스 사이언스 픽션》)에 자신의 이름을 빌려주면서, 매 발행문에 사설을 쓰기 시작했다.[590][436]
이후 아시모프는 파운데이션 시리즈의 다른 이야기를 더 쓰라는 팬들의 압박에[503] 《파운데이션의 끝》(1982)과 《파운데이션과 지구》(1986)를 출판했고, 그 다음에는 《파운데이션의 서막》(1988)과 《파운데이션을 향하여》(1992)를 출판하여 처음 삼부작 이전의 내용을 담았다.
1977년 할런 엘리슨과 공동작업으로 《아이, 로봇》의 영화 각본을 썼고, 아시모프는 "최초의 성인용이자 복잡하고 가치 있는 SF 영화"가 만들어지기를 바랐다. 그러나, 이 각본은 영화로 촬영되지 못하고 1994년 책으로 출판되었다. 2004년, 윌 스미스가 주연을 맡은 영화 《아이, 로봇》은 아시모프의 소설과 관련없는 《Hardwired》라는 제목의 각본을 바탕으로 제작되었고, 아시모프가 영화 제목에 대한 권리를 획득한 후에야 아시모프는 의견을 전달할 수 있었다.[578] 로버트 실버버그(Robert Silverberg)는 아시모프의 《바이센테니얼맨》을 바탕으로 《The Positronic Man》으로 글을 확장시켰고, 1999년에는 로빈 윌리엄스가 주연을 맡은 《바이센터니얼 맨》으로 각색되었다.[538]
그의 작품은 영화 외에도, 로저 맥브라이드 앨런(Roger MacBride Allen), 그렉 베어(Greg Bear), 그레고리 벤퍼드, 데이비드 브린과 도널드 킹스베리(Donald Kingsbury) 등의 작가의 작품들에 영향을 주었다.[579][580][581] 마틴 H. 그린버그(Martin H. Greenberg) 등과 공동 편집한 앤솔로지도 다수 발표했으며, 유머러스한 서문을 써서 앤솔로지들을 더욱 빛냈다. 그의 작품 세계관을 바탕으로 젊은 작가들이 공동으로 집필하는 공유 세계관 작품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3. 작품 세계
아이작 아시모프의 작가 경력은 여러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939년 단편 소설과 1950년 장편 소설로 시작된 그의 초기 경력은 과학 소설이 주를 이루었다. 이는 1957년 《벌거벗은 태양》 출판 이후 거의 마무리되었다.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이후, 그는 대중 과학 서적 집필에 더 집중하며 과학 소설 집필은 줄였다. 이후 25년 동안 그는 과학 소설 4편과 논픽션 120권만을 집필했다.[554]
1982년 《파운데이션의 끝》 출판을 시작으로 그의 과학 소설 경력 후반기가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사망할 때까지 아시모프는 기존 소설의 속편과 전편을 여러 편 더 출판하여, 원래 의도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이들을 하나의 통합된 시리즈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이 통합 과정에서 초기 이야기들과 많은 불일치가 발생하기도 했다.[108]
아시모프는 자신의 가장 오래 지속될 업적으로 로봇공학의 삼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꼽았다.[109]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그의 과학 소설이 영어에 로보틱스(Robotics), 포지트로닉(Positronic), 그리고 심리역사학(Psychohistory)이라는 단어를 도입했다고 인정한다.[555] 그는 "로보틱스"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을 때 그것이 이미 존재하는 단어라고 생각했지만, 나중에 그가 만든 단어로 인정받았다.[555][603][604]
아시모프는 글쓰기가 매우 다작이었고 다양했기 때문에 그의 책은 철학과 심리학을 제외한 모든 주요 듀이 십진 분류법 범주를 포함한다.[112][547] 유네스코의 번역 데이터베이스(Index Translationum database)에 따르면, 그는 세계에서 24번째로 많이 번역된 작가이다.[113][557] 아서 C. 클라크, 로버트 A. 하인라인과 함께 세계 3대 SF 작가로 불린다.[397][398]
3. 1. 과학 소설(SF)
아시모프는 1929년, 아홉 살 때 가족이 운영하던 사탕 가게에서 펄프 매거진을 접하며 과학 소설(SF) 팬이 되었다.[115][559] 처음에는 아버지가 읽는 것을 금지했지만,[492] 잡지 이름에 '과학(Science)'이 들어간다는 이유로 교육적이라고 설득하여 허락을 받았다.[117][493] 18세에는 퓨처리언스 SF 팬 클럽에 가입하여 미래의 동료 작가 및 편집자들과 교류했다.[118][560]11세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고,[507] 1937년 전문 작가를 목표로 삼았다. 1938년 첫 작품 "Cosmic Corkscrew"를 완성하여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 편집장 존 W. 캠벨에게 투고했다. 캠벨은 작품을 거절했지만, 상세한 이유와 함께 격려하며 아시모프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시작했다.[119][561] 캠벨은 아시모프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적인 친구가 되었고,[119] 아시모프가 연습하면 1년 안에 작품을 팔 수 있을 것이라고 격려했다.[125][562]
1938년 10월, 세 번째 작품인 「베스타에서 표류하다」가 ''어메이징 스토리즈''에 팔려 1939년 3월호에 실리면서 상업 작가로 데뷔했다. 이때 원고료는 단어당 1센트, 총 64달러였다.[507][120][563] 같은 해 「트렌드」가 ''어스타운딩'' 7월호에 실렸는데, 이 호는 팬들에 의해 과학소설 황금기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121][564] 초기에는 수입이 학비를 충당할 정도였으나 전업 작가가 되기에는 부족했다.[565][121] 아시모프는 로버트 A. 하인라인이나 A. E. 밴보트와 달리 점진적으로 명성을 쌓아갔다.[121]
캠벨과의 대화를 바탕으로 쓴 단편 「밤이 온다」(Nightfall, 1941)는 ''어스타운딩'' 1941년 9월호에 발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1968년 미국 SF 판타지 작가 협회(SFWA)에 의해 "역대 최고의 SF 단편"으로 선정되었으며,[102][127][549][568][403][343] 아시모프 스스로도 "내 전문 경력의 분수령"이라고 평가했다.[128][569][404] "밤이 온다"는 아시모프가 사회 과학 소설이라고 명명한, 기계 장치나 우주 활극에서 벗어나 인간 조건에 대한 탐구를 중시하는 1940년대 SF의 새로운 경향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여겨진다.[129][570]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라델피아 해군 조선소 근무 당시 동료였던 로버트 A. 하인라인, L. 스프레이그 디캠프와의 교류는 그가 SF 작가의 길을 계속 걷는 데 영향을 주었다.[571][130]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작가로서 상당한 수입을 올렸지만, 여전히 글쓰기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했다.[132][133][576][577] 이후 보스턴으로 이주하고 캠벨이 다이어네틱스와 같은 유사과학에 심취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는 점차 소원해졌다.[408] 아시모프는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의 호레이스 골드,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F&SF)의 앤서니 부처, 로버트 P. 밀스 등 다른 편집자들과 관계를 맺으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409][410] 특히 F&SF와의 관계를 "가장 행복한 관계"라고 표현하기도 했다.[147][589]
아시모프의 SF 작품은 크게 로봇 시리즈, 은하 제국 시리즈, 파운데이션 시리즈로 나뉜다. 처음에는 별개의 시리즈였으나, 아시모프는 후기에 이들을 하나의 거대한 미래사로 통합했다.[290][429]
'''로봇 시리즈'''
로봇 시리즈는 단편집 ''나는 로봇이야''(I, Robot, 1950)로 시작되었다.[420] 이 시리즈에서 제시된 로봇공학 3원칙은 로봇과 인공지능의 윤리에 대한 고전적인 기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420][421] 아시모프는 로봇이 창조주를 해치는 프랑켄슈타인 플롯에서 벗어나고자 3원칙을 고안했다고 밝혔다. 로봇 시리즈의 많은 작품들은 로봇이 3원칙에 위배되는 듯한 행동을 하고 그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추리 소설 형식을 띤다. 특히 장편 ''강철 도시''(1954)와 ''벌거벗은 태양''(1957)은 3원칙의 허점을 이용한 트릭을 선보인 SF 추리 소설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426][427][428] 중편 ''바이센테니얼 맨''(1976)은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을 수상했으며,[422][423][424][425] 1999년 로빈 윌리엄스 주연의 영화 ''바이센테니얼 맨''으로 제작되었다.[538][89] 아시모프는 할런 엘리슨과 함께 ''아이, 로봇''의 영화 각본을 썼으나 영화화되지는 못했고,[134] 2004년 개봉한 윌 스미스 주연의 영화 ''아이, 로봇''은 아시모프의 원작과는 다른 각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34]
'''파운데이션 시리즈'''
파운데이션 시리즈는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영감을 받아 구상되었으며, 광대한 은하 제국의 붕괴와 재건 과정을 그린다.[411] 1942년부터 ''어스타운딩''에 연재된 단편들을 묶어 ''파운데이션''(1951), ''파운데이션과 제국''(1952), ''제2 파운데이션''(1953)의 3부작으로 출간했다.[412][413] 이 초기 3부작은 심리역사학(Psychohistory)이라는 가상의 학문을 통해 역사의 흐름을 예측하고 통제하려는 시도를 다루며,[131][573] 1966년 휴고상 최우수 시리즈상을 수상했다.[135][574][575][414][415]
수십 년 후 팬들의 요청에 따라[503][351][352] 아시모프는 속편 ''파운데이션의 경계''(1982)와 ''파운데이션과 지구''(1986)를 발표했고, 이후 프리퀄에 해당하는 ''파운데이션의 서막''(1988)과 ''파운데이션을 향하여''(1993)를 집필하며 로봇 시리즈와의 통합을 시도했다.[418] ''파운데이션의 경계''는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올랐고[416] 1983년 휴고상 장편소설 부문을 수상했다.[417] 아시모프 사후에는 그레고리 벤포드, 데이비드 브린, 그렉 베어가 '제2의 파운데이션 3부작'을 발표했다.[419]
'''은하 제국 시리즈'''
은하 제국 시리즈는 파운데이션 시리즈와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지만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된다. ''우주의 조약돌''(1950), ''별들, 먼지처럼''(1951), ''우주의 흐름''(1952) 등이 있으며, 파운데이션 시대 이전의 은하계 역사를 다룬다.
'''기타 주요 작품 및 활동'''
아시모프는 1972년 발표한 ''신들 자신''으로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을 수상했다.[586][587][144][145] 그는 자신의 단편 중에서는 인류가 엔트로피에 맞서는 이야기를 다룬 「최후의 질문」(1956)을 가장 좋아한다고 밝혔다.[143][585]
1977년부터는 자신의 이름을 딴 ''아시모프스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에 매호 사설을 기고했다.[148][590] 또한, 1948년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며 쓴 과학 논문 패러디 「티오티몰린의 엔도크로닉 특성」은 그의 유머 감각을 보여주는 일화로 남아있다.[405][139][582]
'''용어 창조'''
아시모프는 SF 분야에 새로운 용어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1941년 단편 「거짓말쟁이!」에서 로봇공학(Robotics)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으며,[164][555] 같은 작품에서 양전자를 이용한 가상의 두뇌를 지칭하는 포지트로닉(Positronic)이라는 용어도 만들었다.[167][605] 파운데이션 시리즈에서는 역사, 사회학, 통계학을 결합하여 거대 집단의 미래를 예측하는 가상의 학문인 심리역사학(Psychohistory)이라는 개념을 창안했다.[168][606][573]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로봇공학'과 '심리역사학'을 아시모프가 처음 도입했음을 인정한다.[555]
3. 2. 대중 과학(Popular science)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는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는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아시모프가 대중 과학 저술에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50] 그는 이미 1949년부터 동료들과 함께 생화학 교과서를 집필한 경험이 있었고, 이 교과서는 1969년까지 두 차례 개정판이 나올 정도로 꾸준히 사용되었다.[507]스푸트니크 발사 이후 미국 내에서 과학 기술 경쟁력에 대한 우려와 함께 대중의 과학 이해 증진 필요성이 커지자, 아시모프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했다. 그는 1957년작 《벌거벗은 태양》 이후 1982년 《파운데이션의 끝》을 발표하기까지 SF 소설 집필을 대폭 줄이고(이 기간 동안 성인 대상 SF는 단 2편, 추리 소설 2편을 포함하여 총 4편만 발표했다), 대신 논픽션, 특히 대중 과학 분야의 저술 활동에 집중했다. 아시모프 스스로도 당시를 회상하며 "미국이 일종의 혼란에 빠졌고, 저 또한 그랬습니다. 과학을 소홀히 함으로써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는 미국을 위해 대중 과학을 쓰고 싶은 간절한 열망에 사로잡혔고, 많은 출판사들도 같은 이유로 대중 과학을 출판하고 싶은 간절한 열망을 갖게 되었습니다."라고 설명했다.[152] 일부 독자들은 그의 SF 작가 경력이 끝났다고 생각할 정도였다.[151]
1958년 11월부터는 월간지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F&SF)에 정기적으로 과학 칼럼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이 칼럼은 원래 자매지였던 《벤처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Venture Science Fiction Magazine)에서 시작되었으나 잡지 폐간 후 F&SF로 옮겨와, 그의 건강이 악화되기 전까지 총 399편이 연재되었다.[153] 이 칼럼들은 후에 더블데이에서 여러 권의 에세이집(《아시모프의 과학 에세이》 시리즈 등)으로 출간되었고,[507] 아시모프에게 "과학의 위대한 설명가"라는 명성을 안겨주었다. 그는 이 칼럼 집필을 "다른 어떤 글쓰기 과제보다 더 큰 기쁨을 얻는다"고 말할 정도로 즐겼다.[156] 비록 과학 칼럼이었지만, 그는 편집상의 완전한 자유를 누렸기에 "생각에 대한 생각(Thinking About Thinking)"[154]이나 "플라스틱을 두드려라!(Knock Plastic!)"[155]처럼 사회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그의 첫 번째 포괄적인 과학 교양서인 《The Intelligent Man's Guide to Science》(1960)는 출간과 동시에 큰 호응을 얻으며 전미 도서상 후보에 올랐다. 또한 F&SF 칼럼 연재의 공로로 1963년에는 휴고상 특별 공로상을 수상했다.[157] 과학 저술 활동으로 얻은 명성과 수입 덕분에 그는 보스턴 대학교 교수직을 사실상 내려놓고 전업 프리랜서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158] 그는 다른 과학 소설 작가들에게도 대중 과학 저술을 권하며 "지식이 풍부하고 숙련된 과학 작가는 계약서 무게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159]
그의 방대한 지식에 대해 동료 작가 커트 보니것은 "모든 것을 아는 기분이 어떻습니까?"라고 물었고, 아시모프는 자신을 둘러싼 전지전능하다는 평판 때문에 오히려 "불안하다"고 답했다고 한다.[160] 비평가 플로이드 C. 게일은 "아시모프는 희귀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그는 당신의 정신적 입맛을 마르고 딱딱한 사실로 돋우어 줄 수 있다"고 평하며,[161] "과학 소설의 손실은 대중 과학의 이득이었다"고 덧붙였다.[162]
아시모프는 "화학자에게 말하기(To Tell a Chemist)"(1965)라는 에세이에서 화학자와 비화학자를 구별하는 재미있는 방법으로 "unionized"라는 단어의 발음을 제시하기도 했다. 화학자는 'un-ionized'(un-EYE-en-ized, 이온화되지 않은)로, 비화학자는 'union-ized'(YOU-nien-ized, 노동조합화된)로 읽을 것이라는 유머러스한 쉽볼렛이었다.
아시모프는 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수많은 대중 과학 서적을 저술했다. 그의 대표적인 대중 과학 저작물은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은 원본 소스에 명시된 일부이며, 실제 저작물은 훨씬 방대하다.)
연도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알려진 경우) |
---|---|---|
1954 | The Chemicals of Life | 『생명의 화합물』 |
1956 | Inside the Atom | 『원자의 내막 - 백만인의 핵물리학 입문』 |
1960 | 'The Intelligent Mans Guide to Science'' | 지식인을 위한 과학 입문 |
1964 | The Human Brain | 『뇌 - 생명의 신비를 탐구하다』 |
1964 | 'Asimovs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인명사전』 |
1965 | A Short History of Chemistry | 화학의 역사 |
1989 | 'Asimovs Chronology of Science and Discovery'' | 『아이작 아시모프의 과학과 발견의 연표』 |
1991 | 'Asimovs Chronology of the World'' | 『아이작 아시모프의 세계의 연표』 |
3. 3. 추리 소설
아시모프는 SF뿐만 아니라 추리 소설 작가로서도 상당한 활동을 했으며,[347] 추리 소설계에서도 인정을 받았다.[437][438] 그는 《엘러리 퀸 미스터리 매거진》(Ellery Queen's Mystery Magazine영어)에 자주 기고했다. 초기에는 《Wendell Urth stories영어》와 같은 SF 추리 소설을 썼으나, 점차 순수 추리 소설로 영역을 넓혔다.그의 대표적인 순수 추리 소설로는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Black Widowers영어) 시리즈가 있다. 이 시리즈는 아시모프 자신이 회원이었던 실존하는 남성 문학 클럽 "트랩도어 스파이더스"(Trap Door Spiders영어)를 모델로 삼았다.[347] 이 모임은 매달 한 번씩 만나 저녁 식사를 하며 퍼즐을 풀고 대화를 나누는 형식이었고, 아시모프는 여기서 얻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총 66편의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이야기를 썼다.[614] 이 시리즈는 대부분 살인 사건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 퍼즐 스토리 형식이며, 도난당한 물건 찾기, 유산 상속을 위한 암호 해독, 잊힌 지명 추리 등 일상적인 미스터리를 다룬다. 이야기의 해결은 주로 등장인물 중 한 명인 박식한 웨이터 헨리(Henry영어)의 지식을 통해 이루어진다.[439] 첫 번째 이야기 "회심의 웃음"은 1972년 2월 《엘러리 퀸 미스터리 매거진》에 발표되었으며,[440] 이후 60편은 5권의 단편집으로 출간되었고, 나머지 6편은 아시모프 사후 《The Return of the Black Widowers영어》(2003)에 수록되었다.
아시모프는 《유니온 클럽 기담》(The Union Club Mysteries영어)이라는 또 다른 추리 소설 시리즈도 집필했다. 이 시리즈 역시 클럽에서 이야기되는 퍼즐 스토리 형식이지만,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의 온화하고 겸손한 탐정 헨리와는 대조적으로, 《유니온 클럽 기담》의 탐정 역할인 그리즈월드(Griswold영어)는 거만하고 악의적인 인물로 그려진다.[438][441] 두 시리즈는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경쟁 관계에 있었기에, 《유니온 클럽 기담》 집필 기간에는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집필이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442]
단편 시리즈 외에도 아시모프는 두 편의 장편 추리 소설을 발표했다.
- 《The Death Dealers영어》(1958년, 이후 《A Whiff of Death영어》로 제목 변경, 한국어판 제목: 《상아탑의 살인》)[443]
- 《Murder at the ABA영어》(1976년, 한국어판 제목: 《ABA의 살인》)
아시모프는 추리 소설을 쓰면서 애거사 크리스티를 자신의 롤모델로 삼았다고 공공연히 밝혔다. 그는 크리스티의 추리 소설이 셜록 홈즈 시리즈보다 뛰어나며, 그녀의 탐정 에르퀼 푸아로가 최고의 탐정이라고 생각했다.[675] 반면, 셜록 홈즈 시리즈 자체는 즐겨 읽었지만 작가인 아서 코난 도일에 대해서는 "멍청하고 엉성한 작가"라고 평가하기도 했다.[676]
=== 주요 추리 소설 작품 목록 ===
연도 | 원제 | 한국어판 제목 | 비고 |
---|---|---|---|
장편 | |||
1958년 | The Death Dealers영어 (후에 A Whiff of Death영어로 개제) | 《상아탑의 살인》 | |
1976년 | Murder at the ABA영어 | 《ABA의 살인》 | 미국 변호사 협회(ABA) 총회를 배경으로 함 |
단편집 | |||
1974년 | Tales of the Black Widowers영어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1》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시리즈 |
1976년 | More Tales of the Black Widowers영어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2》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시리즈 |
1980년 | Casebook of the Black Widowers영어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3》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시리즈 |
1983년 | The Union Club Mysteries영어 | 《유니온 클럽 기담》 | 《유니온 클럽 기담》 시리즈 |
1984년 | Banquets of the Black Widowers영어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4》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시리즈 |
1986년 | The Best Mysteries of Isaac Asimov영어 | 대표 추리 단편선 | |
1990년 | Puzzles of the Black Widowers영어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5》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시리즈 |
2003년 | The Return of the Black Widowers영어 |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시리즈 (사후 출간) | |
편집 | |||
1981년 | The Twelve Crimes Of Christmas영어 | 《크리스마스 12가지 미스터리》 | |
1982년 | The Big Apple Mysteries영어 | 《빅 애플 미스터리》 | |
1984년 | Murder On The Menu영어 | 《16가지 살인 메뉴》 | |
1986년 | The Twelve Frights Of Christmas영어 | 《크리스마스 12가지 전율》 |
3. 4. 기타 글
아시모프는 과학 분야 외에도 역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1960년대부터 역사책을 쓰기 시작하여 《그리스: 위대한 모험 The Greeks: A Great Adventure》(1965)[171][607], 《로마 공화국 The Roman Republic》(1966)[172][608], 《로마 제국 The Roman Empire》(1967)[173][609], 《고대 이집트 The Egyptians》(1967)[174][610], 《근동: 10,000년의 역사 The Near East: 10,000 Years of History》(1968)[175][611], 그리고 《아시모프의 세계 연대기 Asimov's Chronology of the World》(1991)[176][612] 등을 포함해 총 14권의 대중 역사서를 저술했다.그는 성경에 대한 해설서인 《아시모프의 성경 안내 Asimov's Guide to the Bible》를 두 권으로 나누어 출판했는데, 1967년에 구약편을, 1969년에 신약편을 다루었다. 이후 1981년에는 이 두 권을 합쳐 1,300페이지 분량의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이 책은 지도와 표를 포함하여 성경의 각 책을 순서대로 살펴보면서, 그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영향, 주요 인물들의 생애를 설명했다.
문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여러 고전 작품에 대한 주석서 출판으로 이어졌다. 대표적으로 《아시모프의 셰익스피어 안내서 Asimov's Guide to Shakespeare》(1970)가 있으며, 아시모프는 "내가 작업했던 모든 책 중에서, 나는 ''아시모프의 셰익스피어 안내''가 매일매일 가장 큰 기쁨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몇 달 동안 나는 셰익스피어를 가지고 살고 생각했고, 세상에서 더 큰 기쁨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10시간 이상 쉬지 않고 매일 계속해서 즐길 수 있는 기쁨 말입니다."라고 회고했다. 이 외에도 《아시모프 주석판 돈 후안 Asimov's Annotated Don Juan》(1972), 《아시모프 주석판 실낙원 Asimov's Annotated Paradise Lost》(1974), 《주석판 걸리버 여행기 The Annotated Gulliver's Travels》(1980) 등을 출판했다.[177][613]
아시모프는 추리 소설 작가로서도 활발히 활동했으며, 특히 《엘러리 퀸 미스터리 매거진》(Ellery Queen's Mystery Magazine)에 자주 작품을 기고했다. 처음에는 《웬델 어스 이야기》(Wendell Urth stories)와 같은 과학 소설 기반의 추리물을 썼으나, 점차 순수 추리 소설로 영역을 넓혔다. 그는 두 편의 장편 추리 소설을 출판했으며, 남성들만의 사교 모임인 '트랩 도어 스파이더스'(Trap Door Spiders)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총 66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블랙 위도워즈(Black Widowers) 시리즈를 창작했다.[178][614] 이 시리즈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웨이터 헨리(아시모프는 P. G. 우드하우스의 캐릭터 지브스를 모델로 했다고 인정)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의 가까운 친구들을 모델로 삼았다.[178] 작가 존 L. 브린(Jon L. Breen)이 이 시리즈의 패러디인 《백인 이혼남들과의 저녁 An Evening with the White Divorcés》을 쓰자, 아시모프는 "언젠가 어두운 골목에서 그를 만나기를 기다릴 뿐"이라고 농담하기도 했다.[179][180][615][616]
생애 말년에는 자신이 쓴 리머릭(희시) 모음집을 여러 권 출판하기 시작했는데, 1975년에 나온 《음탕한 리머릭 Lecherous Limericks》이 그 시작이었다. 말장난을 즐기는 그의 성향이 드러나는 《리머릭: 너무 터무니없어 Limericks: Too Gross》에는 아시모프와 존 치아르디(John Ciardi)의 리머릭이 각각 144편씩 실려 있다. 그는 셜록 홈즈를 주제로 한 짧은 리머릭집을 만들기도 했다. 이디시어 유머 감각은 《아자젤, 2센티미터 악마 Azazel》 시리즈에서 잘 나타난다. 이 시리즈는 두 명의 유대인 주인공이 식사를 하며 '조지'와 그의 친구인 작은 악마 아자젤에 대한 일화를 나누는 형식이다. 아시모프는 자신의 유머 이론을 담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유머 보고 Isaac Asimov's Treasury of Humor》에서 유머의 핵심 요소는 중요한 주제에서 사소한 것으로, 또는 숭고한 것에서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갑작스럽게 초점을 바꾸는 '관점의 급격한 변화'라고 설명했다.[181][182][617][618]
특히 말년에 아시모프는 자신을 '친절한 호색가' 이미지로 포장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1971년에는 당시 유행하던 성 지침서들에 대한 반응으로 'Dr. A'[183][619]라는 필명으로 《관능적인 남자 The Sensuous Man》(원제: The Sensuous Dirty Old Man)를 출판했다(이후 판본에는 실명이 표기됨). 그러나 이러한 이미지와는 별개로, 그가 여성을 상습적으로 추행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을 받게 되었다. 그의 행동은 성희롱으로 간주되며, 과거 과학소설계 내 남성 중심적 문화에서 발생했던 부적절한 행위의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184][620][363][364]
아시모프는 자신의 삶을 기록한 세 권의 자서전을 출판했다. 《아직 푸른 기억 속에 In Memory Yet Green》(1979)[185][621]와 《여전히 느껴지는 기쁨 속에 In Joy Still Felt》(1980)[186][622]는 1978년까지의 그의 삶을 다룬다. 세 번째 자서전인 《I. 아시모프: 회고록 I. Asimov: A Memoir》(1994)[187][623]은 그의 전 생애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그가 사망한 후 미망인 재닛 아시모프가 쓴 에필로그와 함께 출판되어 1995년 휴고상을 수상했다.[188][624] 재닛 아시모프는 이 세 권의 자서전을 요약하여 《좋았던 인생이었다 It's Been a Good Life》(2002)[189][625]를 편집, 출간했다. 또한 아시모프는 자신의 저술 활동을 돌아보는 회고록으로 《오푸스 100 Opus 100》(1969)[190][626], 《오푸스 200 Opus 200》(1979)[191][627], 《오푸스 300 Opus 300》(1984)[192][628]을 출판하기도 했다.
1987년에는 아내 재닛 아시모프와 함께 《글쓰기를 즐기는 법: 도움과 위안의 책 How to Enjoy Writing: A Book of Aid and Comfort》을 공동 집필했다. 이 책은 글쓰기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낙담, 주의 산만, 거절, 편집자와의 어려움 등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태도와 생산성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담고 있으며, 다양한 인용문, 에세이, 일화, 부부간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193][194][629][630]
아시모프는 스타 트렉의 창작자 진 로든베리와 특별한 관계를 맺었다. 1960년대 후반 《스타 트렉》이 처음 방영되었을 때, 아시모프는 《TV 가이드》 잡지에 시리즈의 과학적 정확성을 비판하는 글을 기고했다. 이에 로든베리는 주간 드라마 제작의 현실적인 제약을 설명하는 정중한 편지로 답했고, 아시모프는 이후 기고한 글에서 《스타 트렉》이 부정확성에도 불구하고 신선하고 지적으로 도전적인 SF 드라마라고 평가를 수정했다. 두 사람은 이후 친구가 되었고, 아시모프는 여러 《스타 트렉》 프로젝트에서 조언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195][538][631]
1973년에는 '세계 계절 달력'(World Season Calendar)이라는 달력 개혁안을 제안했다. 이 달력은 1년을 각각 13주(91일)로 구성된 네 계절(A, B, C, D)로 나누고, 총 365일을 맞추기 위해 하루의 '연일'(Year Day)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따르면 날짜는 예를 들어 12월 1일 대신 'D-73'(D 계절의 73번째 날)과 같이 표기된다.[196][632]
4. 집필 스타일
아시모프는 자신의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명료성을 꼽았다. 그는 퓰리처상을 받을 만한 시적이고 상징적인 글쓰기보다는, 독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명확한 글을 선호했다.[637][232] 이러한 생각은 그의 집필 과정에도 반영되었다. 그는 글을 쓸 때 결말을 먼저 구상하고, 그 다음 시작 부분을 정한 뒤 중간 내용을 채워나가는 방식을 사용했다.[585][634][635] 또한, 그는 상세한 개요를 짜는 것을 "속박된 상태에서 피아노를 치려는 것과 같다"고 비유하며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아시모프는 글을 쓰는 속도가 매우 빨랐으며, 자신이 직접 타이핑하고 교정하는 등 글쓰기의 전 과정을 혼자 처리하는 것을 선호했다.[507] 그는 분당 90단어 속도로 타자했으며, 초고를 손으로 직접 수정한 뒤 최종본을 다시 타이핑했다. 편집자의 사소한 수정 요청 외에는 큰 수정을 거부했는데, 특히 《Black Friar of the Flame》("검은 불꽃의 수도사")을 여러 번 수정해야 했던 경험 이후로는 더욱 그랬다. 그는 "매우 큰 수정, 혹은 많은 수정을 하면 그 작품이 실패작임을 알려준다"고 생각했으며, 실패작을 고치는 데 시간을 들이기보다 새로운 작품을 쓰는 것이 더 낫다고 여겼다.[585][634][230]
아시모프 소설의 문체는 꾸밈이 없고 매우 직접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과학소설 학자 제임스 E. 건은 아시모프의 대표작 중 하나인 《나는 로봇이야》에 대해 "거의 모든 줄거리는 대화 속에서 진행되며, 거의 행동하지 않는다", "대화들은 실용적이기만 하면서 명백하다", "사실 대부분의 아시모프의 소설들은 명백한 무대에서 진행된다"고 평가했다.[636][231] 즉, 배경 묘사나 인물의 섬세한 감정 표현보다는 아이디어 전달과 논리적인 이야기 전개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다.
이러한 간결하고 직접적인 문체는 때로 문학적 깊이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건과 조셉 F. 패트로흐(Joseph F. Patrouch) 등 일부 비평가들은 그의 소설에 해석의 여지가 적다고 지적했다.[638][233] 건은 《강철 도시》의 일부 묘사를 칭찬하면서도, 전반적으로 아시모프의 산문체가 문학적으로 뛰어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뉘앙스를 풍기기도 했다.[639][234] 그러나 아시모프 자신은 이러한 꾸밈없는 스타일에 자부심을 가졌으며, 초기 클리포드 D. 시맥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564][640][235] 그는 자신의 글쓰기 스타일이 독자들에게 마치 작가의 생각이 아무런 마찰 없이 직접 전달되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믿었다.[633][228]
한편, 아시모프는 복잡한 서술 구조를 즐겨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종종 이야기의 시간 순서를 뒤섞거나 여러 시점을 교차시키는 비선형적 방식을 택했다. 예를 들어, 소설 《신들 자신》의 첫 부분은 6장부터 시작하여 이전 내용을 거슬러 올라가며 설명하고,[236] 후기작 《네메시스》(''Nemesis'')에서는 현재 시점의 인물들과 15년 전 과거에서 시작하여 점차 현재로 다가오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병치시켰다. 이러한 구조는 독자들에게 신선함을 주기도 했지만, 때로는 이야기가 너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패트로흐는 《우주의 기류》(''The Currents of Space'')의 복잡한 회상 구조가 작품의 완성도를 해쳤다고 평가했다.[237] 아시모프가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 데에는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 편집자였던 존 캠벨의 "이야기를 가능한 한 늦게 시작하라"는 조언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36]
아시모프는 과학소설에 추리 소설 기법을 자주 사용하는 한편, 순수 추리 소설 작품도 집필하여[347] 추리 소설 작가로서도 평가받고 있다.[437][438] 그의 대표적인 추리 소설 시리즈로는 《검은 과부 거미회》(''Black Widowers'')가 있다. 이 시리즈는 아시모프가 실제로 참여했던 남성 문학 모임 "트랩도어 스파이더스(Trap Door Spiders)"를 모델로 한 것으로,[347][534][535][536] 살인 사건보다는 일상적인 수수께끼(도난, 암호 해독, 잊힌 지명 찾기 등)를 다루는 퍼즐 스토리 형식이다. 이야기 속에서 하인 '헨리'가 방대한 지식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439] 이 시리즈는 1972년부터 총 66편의 단편으로 발표되었다.[614][440] 그는 또한 《유니온 클럽 기담》(''Union Club Mysteries'')이라는 또 다른 퍼즐 스토리 시리즈와 두 편의 장편 추리 소설(《ABA의 살인》, 《상아탑의 살인》)을 집필했다.[443]
4. 1. 외계 생명체
아시모프는 초기에 외계 생명체에 대한 글쓰기를 꺼렸는데, 이는 그의 경력 초기에 겪었던 일 때문이다. 당시 과학소설 잡지 《어스타운딩》의 편집장이었던 존 캠벨은 아시모프가 쓴 소설 속 외계인이 인간보다 우월하게 묘사되었다는 이유로 게재를 거절했다.[238] 아시모프는 캠벨의 이러한 판단이 현실 세계의 인종적 편견에 기반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약한 외계 종족만을 등장시키는 것을 원치 않았고, 동시에 캠벨과의 우정을 해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한동안 외계인에 대한 글을 쓰지 않기로 결정했다.[238]그러나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아시모프는 1972년에 외계인과 외계인 간의 성관계라는 파격적인 주제를 다룬 소설 《신들 자신》(''The Gods Themselves'')을 발표했다. 이 작품은 큰 성공을 거두어 1972년 네뷸러상 최우수 장편소설상[208]과 1973년 로커스상 최우수 장편소설상, 휴고상 최우수 장편소설상을 수상했다.[208] 아시모프 스스로도 자신의 모든 작품 중에서 《신들 자신》의 중간 부분, 즉 외계 생명체를 심도 있게 다룬 부분을 가장 자랑스럽게 여겼다고 밝혔다.[239]
또한 휴고상 수상 단편소설인 "황금"(''Gold'')에서는 아시모프 자신을 모델로 한 작가가 등장한다. 이 작가는 자신의 소설 《신들 자신》을 컴퓨터 애니메이션으로 각색하는 과정에서, 감독으로부터 작품 스타일이 너무 비주얼적이지 않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에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화려한 묘사보다는 아이디어와 대화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고 설명하는데, 이는 아시모프가 외계 생명체를 포함한 자신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240]
4. 2. 로맨스와 여성
과학소설 초창기에는 많은 작가와 비평가들이 로맨스 요소가 과학과 기술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과학소설에는 부적절하다고 생각했다. 아이작 아시모프 역시 이러한 견해를 지지하여, 1938년에서 1939년 사이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에 보낸 편지에서 로맨스 요소를 "무르고 흐물흐물한 것"(mush and slop영어)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241][644] 그러나 이러한 그의 편지는 오히려 독자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644]이후로도 아시모프는 자신의 소설에 로맨스나 성적인 묘사를 거의 넣지 않았는데, 그는 그 이유를 자신이 데이트 경험이 전혀 없었고 "여자아이들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didn't know anything about girls영어) 시절에 글쓰기를 시작한 "초기 각인"(early imprinting영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563] 이로 인해 그의 작품은 성(性)이나 외계 생명체, 그리고 강한 여성 등장인물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뉴 웨이브 작가들, 주로 영국 작가들의 강한 비판에[242][645] 아시모프는 자신의 소설 《신들 자신》(1972)의 두 번째 부분에서 외계 생명체들의 성적 행동을 상세히 묘사하며 이러한 비판에 답하고자 했다.[645] 또한 여성 등장인물 부족 비판에 대해서는 로봇 시리즈에 여성 로봇 심리학자 "수잔 캘빈"(Susan Calvin)을 주요 인물로 등장시키기도 했다.[646]
아시모프는 《Gold》와 같은 자서전에서 이러한 비판들과 당시 자신의 경험 부족을 솔직하게 인정했다. 그의 후기 작품들에서는 점차 다양하고 강한 여성 등장인물들을 더 많이 등장시켰으며, 이에 대해 워싱턴 포스트는 "Book World" 섹션에서 "1940년대 아시모프가 얻었던 남성 중심적이라는 평판을 스스로 벗어던졌으며, 그 변화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5. 견해
아시모프는 과학과 사회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뚜렷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자신을 무신론자이자 인문주의자, 합리주의자로 정의하며, 종교적 신념 자체보다는 유사과학과 미신을 강하게 비판했다.[244][647][648] 그는 유대교 정통파 가정에서 자랐으나 종교적 영향은 크게 받지 않았으며, 종교 교육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648][649][653]
정치적으로는 뉴딜 정책 시대부터 민주당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스스로를 자유주의자로 여겼다.[254] 그는 베트ナム 전쟁을 반대했고,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254][256]
사회적으로는 여성의 권리가 중요하게 다뤄지기 전부터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여겼고, 동성애 역시 "도덕적 권리"로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662] 교육 분야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669][663] 인구 과잉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경고했다.[669][672] 또한 쓰리마일 섬 사고 이후에도 원자력의 민간 이용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했다.[662][267]
아시모프는 과학적 회의주의 탐구위원회(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CSI)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활동하며 과학적 회의주의 진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539][540][541] 제임스 랜디는 아시모프가 당시 과학적 회의주의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으며 그의 참여가 위원회에 큰 권위를 부여했다고 평가했다.[543]
초기에는 편집자 존 W. 캠벨의 영향으로 인간보다 우월한 외계 생명체를 묘사하는 것을 꺼렸으나,[494] 1972년 발표한 《The Gods Themselves》를 통해 외계 생명체를 성공적으로 다루며 네뷸러상, 로커스상, 휴고상 등을 수상했고, 이 작품을 스스로 가장 자랑스러워했다.[642][643]
5. 1. 종교
아시모프는 무신론자, 인문주의자, 합리주의자였다.[244][647] 그는 다른 사람들의 종교적 신념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과학의 이름을 빌린 미신이나 유사과학에 대해서는 강하게 비판했다.[244]그의 부모는 정통파 유대교 신자였지만, 아시모프가 어릴 적에는 그 전통을 엄격하게 지키지는 않았다.[245][648] 부모는 아시모프에게 신앙을 강요하지 않았고, 그는 토라를 일리아스가 그리스 신화를 담고 있듯이 히브리 민족의 신화를 담은 이야기로 여기며 자랐다.[245][648] 이 때문에 그는 강한 종교적 영향 없이 성장했으며, 13세 때는 유대교의 성인식인 바르 미츠바를 치르지 않기로 결정했다.[246][649]
아시모프의 아버지는 잠시 지역 유대교 회당에서 일했는데, 이는 아시모프가 나중에 성서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한 《아시모프의 바이블》(Asimov's Guide to the Bible)을 저술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247][650] 아시모프는 종교적 의례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잭 댄(Jack Dann)의 공상과학 소설 모음집 《Wandering Stars》 서문에서 "나는 어떤 예배에도 참석하지 않고, 어떤 의식도 따르지 않으며, 할례식(Bar Mitzvah)이라는 특이한 사춘기 의례도 치르지 않았습니다. 상관없습니다. 나는 유대인입니다."라고 밝히며 자신의 유대인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248][651]
수년 동안 아시모프는 자신을 '무신론자'라고 불렀지만, 이 용어가 자신이 믿지 않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고 생각하여 나중에는 '인문주의자'라는 표현을 더 선호했다. 그는 인문주의자라는 말이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를 더 잘 설명한다고 보았다.[248] 그럼에도 1982년 한 인터뷰에서는 자신이 무신론자인지 묻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 나는 완전히 무신론자이다. 이 말을 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나는 오랫동안 신을 믿지 않았지만, 무신론자라고 말하는 것은 왠지 지적으로 존경받지 못하는 느낌이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신이 가지지 않은 지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차라리 인문주의자나 불가지론자라고 말하는 것이 나아 보였다. 하지만 나는 결국 이성뿐 아니라 감정의 피조물임을 깨달았다. 감정적으로 나는 무신론자이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증거는 없지만, 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하게 의심하기에, 그 증거를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다.[249][652]
그는 종교 교육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나는 내 아이들이 종교를 선택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에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 마치 그들이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거나 내가 정신적, 육체적으로 해롭다고 생각하는 다른 행동을 하기로 결정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을 것과 같다"고 말하며, 종교 교육의 강요나 수용에 반대하는 뜻을 내비쳤다.[250][653]
아시모프는 자신의 마지막 자서전 《I. Asimov: A Memoir》에서 신과 사후세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더욱 분명히 밝혔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 내가 무신론자가 아니라면, 나는 사람들의 말뿐인 신앙이 아니라 삶 전체를 보고 구원을 결정하는 신을 믿을 것이다. 나는 그런 신이, 입으로는 계속 '신, 신, 신'을 외치면서도 행동은 추악하기 짝이 없는 TV 설교자보다는, 정직하고 의로운 무신론자를 더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251][654]
같은 회고록에서 그는 지옥이라는 개념을 "사디스트의 침 흘리는 꿈"과 같다고 비판하며, 전능하다고 여겨지는 신에게 그런 잔혹한 개념을 연결하는 것은 신에 대한 모독이라고 생각했다.[252][655] 그는 인간 사회의 정부조차 잔혹한 형벌을 줄이려 하는데, 하물며 내세의 형벌이 영원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그는 인간의 유한한 삶에서의 믿음이나 행동이 영원한 처벌을 받을 만큼 중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만약 사후세계와 형벌이 존재한다면 가장 큰 벌은 "지옥을 만들어내 신을 모독한 자들"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252][655]
아시모프는 자신의 작품에서 종교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내 이야기에서 종교는 꼭 필요하지 않다면 완전히 무시하는 편이다... 하지만 종교적 모티브를 사용해야 할 때는, 내가 아는 유일한 종교가 그것이기 때문에 모호하게 기독교처럼 보일 수 있다. 비판적인 독자들은 내가 기독교를 '풍자'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또한 공상과학 소설을 쓰면서 종교를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253][656]
그는 유머를 통해 종교적 주제를 다루기도 했다. 그의 유머집 《Isaac Asimov's Treasury of Humor》와 《Asimov Laughs Again》에는 신, 사탄, 에덴 동산, 예루살렘 등 종교와 관련된 농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좋은 농담이 때로는 몇 시간 동안의 철학적 토론보다 더 깊은 생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믿었다.[181][182][617][618]
5. 2. 정치
아이작 아시모프는 뉴딜 정책 시대 동안 민주당의 강력한 지지자가 되었고, 그 이후로 정치적으로 자유주의자로 남았다. 그는 1960년대 베트남 전쟁의 열렬한 반대자였으며, 1970년대 초의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조지 맥거번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254] 그는 1960년대 후반부터 많은 급진적 정치 운동가들이 취한 "비합리적" 관점에 불만을 가졌다. 그의 두 번째 자서전 ''여전히 느끼는 기쁨''에서 아시모프는 반문화 인물 애비 호프먼을 만났던 일을 회상했다. 아시모프의 인상은 1960년대 반문화 운동 영웅들이 감정의 파도를 타고 결국 "정신의 무인 지대"에 표류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그들이 돌아올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것이었다.[255]
아시모프는 리처드 닉슨을 "사기꾼이자 거짓말쟁이"로 여기며 맹렬히 반대했다. 그는 워터게이트 사건을 면밀히 주시했고, 대통령이 사임하도록 강요받았을 때 기뻐했다. 아시모프는 그의 후계자가 닉슨에게 사면을 준 것에 실망했다. "나는 그것이 국가적 시련을 막았다는 주장에 감명받지 못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그 시련은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했습니다."[256]
1960년대 중반 미국 공산당이 "그들의 목표에 동의할 만한" 사람들의 명단에 아시모프의 이름이 등장한 후, FBI가 그를 조사했다. 그의 학문적 배경 때문에, FBI는 아시모프를 소련 스파이 ROBPROF의 가능한 후보로 간략히 고려했지만, 그의 삶이나 배경에서 의심스러운 점을 발견하지 못했다.[257]
아시모프는 이스라엘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그의 첫 번째 자서전에서 그는 자신이 시온주의자는 아니라고 주장하면서도 이스라엘의 안전을 지지한다고 밝혔다.[258] 세 번째 자서전에서 아시모프는 일반적으로 국가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유대인 국가의 건설에 반대하고 단일 인류의 개념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아시모프는 특히 "결코 용서하지 않고, 결코 잊지 않고, 결코 사라지지 않을" 무슬림 이웃들 사이에 이스라엘이 건설되었다는 점을 우려했고, 유대인들이 단지 자신들을 위한 또 다른 "유대인 게토"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5. 3. 사회 문제
아시모프는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그는 여성의 권리가 널리 퍼지기 전부터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여겼으며, 동성애 역시 "도덕적 권리"로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662]교육 분야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88년 빌 모이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학생들이 각자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를 통해 찾아 학습하는 컴퓨터 보조 학습 방식을 제안했다.[669] 그는 이러한 방식이 학생들이 배우고 싶은 것을 스스로 선택하게 함으로써 교육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 것이라고 보았다.[663] 이미 1983년에 그는 "컴퓨터화는 의심의 여지 없이 계속될 것"이며, "교육에도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야 하고, 모든 사람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래 사회에 대비한 교육의 변화를 촉구했다.[665] 그는 미래에는 학교가 계속 존재하겠지만, 교사와 학생이 집에서 컴퓨터로 수업하며 각자의 속도와 방식으로 원하는 것을 배울 기회가 생길 것이며, 이를 통해 배움이 즐거워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아시모프는 인구 과잉의 위험성을 심각하게 경고했다. 그는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와 폴 R. 에를리히의 인구 이론에 동의했으며,[669] 1988년 빌 모이어스와의 인터뷰에서 '인구 증가가 현재 속도로 계속된다면 인류의 존엄성이라는 개념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보십니까?'라는 질문에 아시모프는 인구 과잉이 모든 것을 파괴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아파트에 20명이 살고 화장실이 두 개뿐인 상황을 예로 들며, 이런 환경에서는 화장실 사용의 자유조차 없고 시간을 정해야 하는 등 불편이 따르며, 결국 민주주의, 인간의 존엄성, 편리함, 품위는 살아남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에 사람이 많아질수록 삶의 가치가 떨어지고 결국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672] 그의 마지막 논픽션 저서 중 하나인 ''Our Angry Earth''(1991)에서는 오랜 친구이자 동료 작가인 프레더릭 폴과 함께 인구 과잉 문제뿐만 아니라 석유 의존, 전쟁,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 등 다양한 환경 위기를 다루었다.[670][671]
한편, 아시모프는 쓰리마일 섬 사고 이후에도 원자력의 민간 이용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했는데, 이로 인해 일부 진보적인 동료들과 거리가 멀어지기도 했다.[662] 그는 원자력 발전소 근처보다는 아무 위험도 없는 곳에 사는 것이 당연히 좋겠지만, 러브 카날과 같은 환경 오염 지역이나 보팔 참사를 일으킨 유니온 카바이드의 아이소사이안화 메틸 생산 공장 근처보다는 원자력 발전소 근처가 더 낫다고 주장했다.[267]
또한 아시모프는 뉴욕시의 삶의 질 저하 원인을 중산층의 교외 이주로 인한 세수 감소로 진단하면서도, 사회 프로그램을 유지하기 위해 중산층에 대한 세금 부담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미래 사회에 대한 예측으로 2019년까지 인류가 우주에서 생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664]
5. 4. 성희롱
아시모프는 컨벤션과 같은 공적인 장소에서 여성의 동의 없이 신체를 애무하거나 키스하고 꼬집는 등의 행동을 하였다.[667] 과학소설 역사 작가인 알렉 네발라 리(Alec Nevala-Lee)는 아시모프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여성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협조했다는 점을 들어 그를 변호하기도 했다.[667] 아시모프 자신도 1971년에 출간한 《The Sensuous Dirty Old Maneng》이라는 책에서 "문제는 소녀를 만져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 아니다. 문제는 단지 어디서, 언제, 어떻게 그녀를 만져야 하는가 하는 것이다."라고 썼다.[667]그러나 알렉 네발라 리는 이러한 신체 접촉이 사전에 합의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당시 남성 중심적이었던 과학소설계에서 아시모프가 여성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분위기를 만드는 데 일조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러한 비판에는 주디스 메릴(Judith Merril)과 할런 엘리슨(Harlan Ellison) 등 다른 인물들도 동조했다.[667]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의 편집장이었던 에드워드 L. 퍼만(Edward L. Ferman)은 아시모프가 자신의 데이트 상대와 악수하는 대신 가슴을 만졌다고 구체적인 사례를 밝히기도 했다.[668]
5. 5. 다른 작가의 저작물
아이작 아시모프는 J. R. R. 톨킨의 작품을 즐겨 읽었으며, 반지의 제왕의 일부 내용을 자신의 블랙 위도워즈 시리즈 이야기의 줄거리로 활용하기도 했다.[271] 그는 1981년 1월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에 기고한 에세이 "모든 것 또는 아무것도 아닌 것(All or Nothing)"에서 톨킨을 존경하며 《반지의 제왕》을 다섯 번이나 읽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존경심은 상호적인 것이어서, 톨킨 역시 아시모프의 과학 소설을 즐겨 읽었으며, 이전에 "흥미로운 현대 책"을 거의 찾지 못했다는 자신의 발언에서 아시모프의 작품은 예외라고 언급하기도 했다.[272]아시모프는 다른 작가들의 뛰어난 재능을 인정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특히 할런 엘리슨에 대해서는 "내 생각에 그는 세계 최고의 작가 중 한 명이며, 나보다 훨씬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273] 그러나 1960년대 후반 과학소설계에 불어닥친 뉴 웨이브 운동의 영향력 확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1967년에 "나는 과학이 담긴 과학 소설을 원한다. 과학이 부족하다면 그것은 진정한 과학 소설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과학이 더 정확하고 진실될수록 과학 소설 역시 더 훌륭해진다고 믿는다"고 말하며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했다.[600]

아시모프와 아서 C. 클라크는 깊은 우정을 나누었으며 서로를 존경했다. 이는 두 사람이 뉴욕의 택시 안에서 맺은 일명 "클라크-아시모프 파크 애비뉴 협상"(Clarke-Asimov Treaty of Park Avenue)으로 잘 나타난다. 이 장난스러운 협약의 내용은 아시모프가 클라크를 세계 최고의 과학 소설 작가(자신은 2위)라고 칭하고, 클라크는 아시모프를 세계 최고의 과학 작가(자신은 2위)라고 칭하기로 한 것이었다. 이 협약에 따라 클라크는 자신의 책 《Report on Planet Three》(1972)의 헌정사에 "클라크-아시모프 협상에 따라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뛰어난 과학 작가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뛰어난 과학 소설 작가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라고 적었다.
아시모프는 과학 소설과 동시에 추리 소설 팬이 되었다. 그는 추리 소설을 직접 쓰기도 했는데, 이때 애거사 크리스티를 자신의 롤모델로 삼았다고 공공연히 밝혔다. 그는 "저는 제 추리 소설에서 애거서 크리스티를 모델로 사용한다는 사실을 숨기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 그녀의 추리 소설은 지금까지 쓰여진 최고의 작품이며, 셜록 홈즈 이야기보다 훨씬 낫고, 에르퀼 푸아로는 추리 소설에서 본 최고의 탐정입니다. 제가 최고라고 생각하는 것을 모델로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요?"라고 썼다.[276] 그는 셜록 홈즈를 즐겼지만, 작가인 아서 코난 도일을 "대충대충이고 엉성한 작가"라고 생각했다.[277]
아시모프는 또한 유머러스한 이야기, 특히 P. G. 우드하우스의 이야기를 즐겼다.[278]
비소설 작가로서 아시모프는 특히 마틴 가드너의 글쓰기 스타일을 존경했고, 자신의 과학 책에서 이를 모방하려고 노력했다. 1965년 가드너를 처음 만났을 때 아시모프는 이 사실을 그에게 말했고, 가드너는 자신의 스타일을 아시모프의 스타일을 바탕으로 했다고 대답했다.[279]
6. 영향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은 아시모프의 심리역사 개념이 자신이 경제학자가 되도록 영감을 주었다고 밝혔다.[280]
아시모프의 저작물을 폭넓게 검토한 존 젠킨스(John Jenkins)는 "1950년대 이후 대부분의 과학소설 작가들은 아시모프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그의 문체를 모방하거나, 의도적으로 그의 문체와는 다른 것을 피하거나 둘 중 하나였다"고 평가했다.[281] 버트런드 러셀이나 칼 포퍼와 같은 인물들과 더불어, 아시모프는 20세기 가장 저명한 학제간 연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282] 제임스 L. 크리스천(James L. Christian)은 그의 저서 《철학: 경이의 예술에 대한 소개》에서 "종합적 사고가 무엇인지 아시모프만큼 잘 이해한 사람은 거의 없다. 그가 전문가, 지식 있는 권위자 또는 단순히 열정적인 일반인으로서 집필한 거의 500권의 책은 과학, 역사, 문학, 종교, 그리고 물론 과학소설을 포함한 거의 모든 상상 가능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서술하며 아시모프의 폭넓은 지식과 영향력을 강조했다.[283]
아시모프는 아서 C. 클라크, 로버트 A. 하인라인과 함께 '3대 SF 작가'(The Big Three)로 꼽힌다.[397][398] 그는 SF 분야에서 휴고상 7회, 네뷸러상 2회, 로커스상 4회를 수상하며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단편 「밤이 온다」(Nightfall, 1941년)는 1968년 미국 SF 판타지 작가 협회(SFWA) 투표에서 "지금까지 쓰인 최고의 SF 단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403][343] 아시모프 스스로도 이 작품을 자신의 경력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했다.[404] 그는 "로봇공학의 삼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자신의 가장 중요한 기여로 꼽았으며, 옥스포드 영어사전은 그가 '로봇공학'과 '심리역사'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도입했음을 인정한다.[555]
아시모프는 과학 기술의 발전과 교육의 미래에 대해서도 깊은 통찰을 보였다. 1988년 빌 모이어스와의 인터뷰에서는 학생들이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컴퓨터를 활용해 학습하는 컴퓨터 보조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69][663] 그는 컴퓨터화가 교육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며, 모든 사람이 컴퓨터 활용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예측했다. 1983년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665]
> 컴퓨터화는 의심의 여지 없이 계속될 것이다... 또한, 교육에도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야 하며, 모든 사람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즉, 첨단 세계를 다루는 법을 모두가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 시대마다 새롭게 해야 하는 교육은 가장 빠르게 컴퓨터화가 될 수 있다. 학교는 계속 존재하겠지만, 좋은 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은 집에서 컴퓨터로 수업을 하고, 학생들에게 컴퓨터에 호기심을 느끼는 것보다 나은 것은 없다. 모든 청소년들은, 자신만의 시간에, 자신만의 속도로, 자신만의 방법으로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마침내 생길 것이다. 결국 교육이 강하게 강요되지 않으므로 배움이 재밌을 것이다.
아시모프는 철학과 심리학을 제외한 듀이 십진분류법의 거의 모든 주제에 걸쳐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547] 유네스코의 번역 데이터베이스(Index Translationum)에 따르면 세계에서 24번째로 번역이 많이 된 작가이다.[557] 그의 광범위한 저술 활동과 미래에 대한 예측은 여러 분야에 걸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수상 및 기념
아이작 아시모프는 수많은 과학소설 작품으로 10개가 넘는 연간 상과 6개가 넘는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으며,[197] 여러 대학에서 14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98] 그는 아서 C. 클라크, 로버트 A. 하인라인과 함께 3대 SF 작가(The Big Three)로 꼽힌다.[397][398] SF 분야에서 휴고상을 7회, 네뷸러상을 2회, 로커스상을 4회 수상했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상 이름 | 수상작 / 사유 | 비고 |
---|---|---|---|
1955 | 제13회 세계 과학 소설 컨벤션(Worldcon) | 명예 손님 | [199] |
1957 | 토마스 에디슨 재단 청소년 최고 과학 도서상 | 우주의 구성 요소 (Building Blocks of the Universe) | [200] |
1960 | 미국 심장 협회 하워드 W. 블레이크슬리 상 | 살아있는 강 (The Living River) | [201] |
1962 | 보스턴 대학교 출판 공로상 | [202] | |
1963 | 휴고상 특별상 | 판타지와 과학소설 잡지 기고 수필 ("과학소설에 과학을 더한 공로") | [157] |
1963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 | [203] | |
1964 | 미국 과학소설 작가 협회(SFWA) 선정 | "밤의 몰락" (Nightfall, 1941) - 역대 최고의 과학소설 단편 | [102] |
1965 | 미국 화학회 제임스 T. 그레이디-제임스 H. 스택 화학 해설상 | 이전 명칭: 제임스 T. 그레이디 상[204] | |
1966 | 휴고상 최고의 장편 소설 시리즈 | 파운데이션 시리즈 3부작 | [205] |
1967 | 에드워드 E. 스미스 기념상 | [206] | |
1967 | 미국 과학 진흥 협회(AAAS)-웨스팅하우스 과학 저술상 (잡지 부문) | 수필 "우주의 끝 너머" (Over the Edge of the Universe) | 하퍼스 매거진 1967년 3월호 게재. 누군가 거기에 있나요?(Is Anyone There?)에 "우주의 탄생과 죽음"으로 재수록됨[207] |
1972 | 네뷸러상 최우수 장편 소설 | 신들 자신 (The Gods Themselves) | [208] |
1973 | 휴고상 최우수 장편 소설 | 신들 자신 (The Gods Themselves) | [208] |
1973 | 로커스상 최우수 장편 소설 | 신들 자신 (The Gods Themselves) | [208] |
1975 |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 | [209] | |
1975 | 클럼프케-로버츠 상 | "천문학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감사에 대한 탁월한 공헌" | [210] |
1975 | 로커스상 최우수 재출판 앤솔러지 | 황금시대 이전 (Before the Golden Age) | [211] |
1977 | 휴고상 최우수 중편 소설 | 바이센테니얼 맨 (The Bicentennial Man) | [212] |
1977 | 네뷸러상 최우수 중편 소설 | 바이센테니얼 맨 (The Bicentennial Man) | [213] |
1977 | 로커스상 최우수 중편 소설 | 바이센테니얼 맨 (The Bicentennial Man) | [214] |
1981 | 로커스상 최우수 논픽션 도서 | 즐거움은 여전히 느껴진다: 아이작 아시모프 자서전 1954-1978 (In Joy Still Felt: The Autobiography...) | [211] |
1983 | 휴고상 최우수 장편 소설 | 파운데이션의 끝 (Foundation's Edge) | [215] |
1983 | 로커스상 최우수 과학소설 장편 | 파운데이션의 끝 (Foundation's Edge) | [215] |
1984 | 미국 인본주의 협회 올해의 휴머니스트 | 문화 인본주의 평생 공로상 | [216] |
1987 | 미국 과학소설 및 판타지 작가 협회(SFWA) 그랜드 마스터 | 제8회 수상자 (1986년 선정) | [217] |
1987 | 로커스상 최우수 단편 소설 | "로봇 드림" (Robot Dreams) | [218] |
1992 | 휴고상 최우수 중편 소설 | "골드" (Gold) | [219] |
1995 | 휴고상 최우수 논픽션 도서 | 나, 아이작 아시모프: 회상 (I. Asimov: A Memoir) | [220] |
1995 | 로커스상 최우수 논픽션 도서 | 나, 아이작 아시모프: 회상 (I. Asimov: A Memoir) | [211] |
1996 | 레트로 휴고상 최우수 장편 소설 (1945년작 대상) | "노새" (The Mule) |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 게재, 파운데이션 시리즈 7번째 이야기[221] |
2016 | 레트로 휴고상 최우수 단편 소설 (1940년작 대상) | "로비" (Robbie) | 슈퍼 사이언스 스토리스 1940년 9월호 게재, 첫 양전자 로봇 이야기[226] |
2018 | 레트로 휴고상 최우수 단편 소설 (1942년작 대상) | "파운데이션" (Foundation) |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 1942년 5월호 게재[227] |
아시모프를 기념하는 다양한 활동과 명명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81년: 소행성 5020 아시모프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 1997년: 과학소설 및 판타지 명예의 전당에 H. G. 웰스와 함께 헌액되었다.[222]
- 2000년: 이스라엘 우표에 아시모프가 등장했다.[223]
- 2001년: 뉴욕 헤이든 천문관에서 아이작 아시모프 기념 토론회(Isaac Asimov Memorial Debates)가 시작되었다.
- 2009년: 화성의 크레이터 아시모프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8]
- 2010년: 미국 의회에서 매년 4월 둘째 주를 '전국 로봇 주간(National Robotics Week)'으로 지정하는 법안에서 "로봇공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로봇 3원칙을 개발한" 아시모프의 업적을 기렸다.[224]
- 2015년: 뉴욕주 작가 명예의 전당(New York State Writers Hall of Fame) 회원으로 선정되었다.[225]
8. 저작물 목록
아이작 아시모프는 매우 다작한 작가로, 계산 방식에 따라 그의 저작물 목록에는 500권이 넘는 책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단편 소설, 개별적인 수필, 비평 등을 제외한 수치이다.[686] 아시모프는 자신이 출판한 100번째, 200번째, 300번째 책을 기념하기 위해 각각 ''Opus 100''(1969),[626] ''Opus 200''(1979),[627] ''Opus 300''(1984)[628]을 출판하기도 했다. 그의 방대한 저작물 목록은 에드 세일러(Ed Seiler)에 의해 정리되었다.[687] 아시모프의 책 집필 속도는 분석되었으며, 말년으로 갈수록 집필 속도가 빨라졌음을 보여준다.[688]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도서관에서는 "아시모프 컬렉션 온라인 전시회"를 통해 그의 저작물 대부분을 소개하고 있다. 이 전시회에는 600권이 넘는 책, 오디오 및 비디오 녹음, 게임, 자료 등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많은 초판, 한정판, 친필 사인본 등이 도서관 자료실에 보관되어 있다.[689][690]
=== 과학 소설 ===
아시모프의 과학 소설은 크게 로봇 시리즈, 은하 제국 시리즈, 파운데이션 시리즈로 나눌 수 있다. 이 시리즈들은 처음에는 독립적으로 구상되었으나, 아시모프는 후기에 이들을 하나의 일관된 미래 역사로 통합했다.[290]
==== 로봇 시리즈, 은하 제국 시리즈, 파운데이션 시리즈 ====
시리즈 | 작품명 (원제) | 출판 연도 | 비고 |
---|---|---|---|
로봇 시리즈 | 강철 도시 (The Caves of Steel) | 1954 | 첫 번째 엘리자 베일리 SF 수사 소설 |
벌거벗은 태양 (The Naked Sun) | 1957 | 두 번째 엘리자 베일리 SF 수사 소설 | |
여명의 로봇 (The Robots of Dawn) | 1983 | 세 번째 엘리자 베일리 SF 수사 소설 | |
로봇과 제국 (Robots and Empire) | 1985 | 엘리자 베일리 3부작의 속편 | |
은하 제국 시리즈 | 우주의 조약돌 (Pebble in the Sky) | 1950 | 초기 은하 제국 시대 |
별들, 먼지처럼 (The Stars, Like Dust) | 1951 | 제국 성립 이전 | |
우주의 흐름 (The Currents of Space) | 1952 | 트랜터 공화국 확장기 | |
파운데이션 프리퀄 | 파운데이션의 서막 (Prelude to Foundation) | 1988 | |
파운데이션을 향하여 (Forward the Foundation) | 1993 | ||
오리지널 파운데이션 3부작 | 파운데이션 (Foundation) | 1951 | |
파운데이션과 제국 (Foundation and Empire) | 1952 | ||
제2 파운데이션 (Second Foundation) | 1953 | ||
확장 파운데이션 시리즈 | 파운데이션의 끝 ('Foundations Edge'') | 1982 | |
파운데이션과 지구 (Foundation and Earth) | 1986 |
==== 럭키 스타 시리즈 ====
폴 프렌치(Paul French)라는 필명으로 출판되었으나, 후에 아시모프의 이름으로 재출간되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시리즈이다.
- ''데이비드 스타, 우주 레인저'' (''David Starr, Space Ranger'', 1952) (한국어판 제목: 『지구의 위기』)
- ''럭키 스타와 소행성의 해적들'' (''Lucky Starr and the Pirates of the Asteroids'', 1953) (한국어판 제목: 『소행성의 해적들』)
- ''럭키 스타와 금성의 바다'' (''Lucky Starr and the Oceans of Venus'', 1954)
- ''럭키 스타와 수성의 큰 태양'' (''Lucky Starr and the Big Sun of Mercury'', 1956) (한국어판 제목: 『수성 기지의 수수께끼』)
- ''럭키 스타와 목성의 위성들'' (''Lucky Starr and the Moons of Jupiter'', 1957) (한국어판 제목: 『목성의 럭키 스타』, 『9호 위성의 수수께끼』)
- ''럭키 스타와 토성의 고리'' (''Lucky Starr and the Rings of Saturn'', 1958) (한국어판 제목: 『태양계의 침입자』, 『시리우스의 침략』)
==== 노비 시리즈 ====
아내 재닛 아시모프와 공저한 로봇 노비(Norby)가 등장하는 아동/청소년 SF 시리즈이다.
- ''Norby, the Mixed-up Robot'' (1983)
- ''Norby's Other Secret'' (1984)
- ''Norby and the Lost Princess'' (1985)
- ''Norby and the Invaders'' (1985)
- ''Norby and the Queen's Necklace'' (1986)
- ''Norby Finds a Villain'' (1987)
- ''Norby Down to Earth'' (1988)
- ''Norby and Yobo's Great Adventure'' (1989)
- ''Norby and the Oldest Dragon'' (1990)
- ''Norby and the Court Jester'' (1991)
==== 독립 장편 소설 ====
- ''영원의 끝'' (''The End of Eternity'', 1955) (*)
- ''마이크로 결사대'' (''Fantastic Voyage'', 1966) (영화 각색 소설)
- ''신들 자신'' (''The Gods Themselves'', 1972)
- ''Fantastic Voyage II: Destination Brain'' (1987) (''Fantastic Voyage''와는 별개의 이야기, 한국어판 제목: 『마이크로 결사대 2 - 목적지는 뇌』)
- ''네메시스'' (''Nemesis'', 1989) (*)
- ''밤이 온다'' (''Nightfall'', 1990) (로버트 실버버그와 공저, 1941년 단편 기반)
- ''The Ugly Little Boy'' (1991) (로버트 실버버그와 공저, 1958년 단편 "못생긴 작은 소년" 기반, ''Child of Time''으로도 알려짐)
- ''포지트로닉 맨'' (''The Positronic Man'', 1992) (로버트 실버버그와 공저, 1976년 중편 ''바이센테니얼 맨'' 기반, 한국어판 제목: 『앤드류 NDR114』) (*)
(*) 표시는 파운데이션 시리즈와 느슨하게 연결된 작품을 의미한다.
==== 단편집 ====
- ''나는 로봇이야'' (''I, Robot'', 1950)
- ''화성인의 방식'' (''The Martian Way and Other Stories'', 1955)
- ''지구는 충분히 넓다'' (''Earth Is Room Enough'', 1957)
- ''아홉 개의 내일'' (''Nine Tomorrows'', 1959)
- ''나머지 로봇들'' (''The Rest of the Robots'', 1964)
- ''Through a Glass, Clearly'' (1967)
- ''아시모프의 미스터리'' (''Asimov's Mysteries'', 1968)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의 미스터리 세계』)
- ''밤이 온다'' (''Nightfall and Other Stories'', 1969) (한국어판 제목: 『샐리는 나의 연인』으로 일부 수록)
- ''초기 아시모프'' (''The Early Asimov'', 1972) (한국어판 제목: 『칼리스토의 위협』, 『가니메데의 크리스마스』, 『어머니 지구』 등으로 분권 출간)
- ''The Best of Isaac Asimov'' (1973)
- ''목성을 사라'' (''Buy Jupiter and Other Stories'', 1975)
- ''바이센테니얼 맨과 다른 이야기들'' (''The Bicentennial Man and Other Stories'', 1976) (한국어판 제목: 『성자의 행진』)
- ''완전한 로봇'' (''The Complete Robot'', 1982)
- ''변화의 바람'' (''The Winds of Change and Other Stories'', 1983)
- ''The Edge of Tomorrow'' (1985)
- ''The Alternate Asimovs'' (1986)
- ''The Best Science Fiction of Isaac Asimov'' (1986)
- ''로봇의 꿈'' (''Robot Dreams'', 1986)
- ''아자젤'' (''Azazel'', 1988) (한국어판 제목: 『작은 악마 아자젤 18가지 이야기』)
- ''로봇 비전'' (''Robot Visions'', 1990)
- ''골드'' (''Gold'', 1995) (한국어판 제목: 『골드 - 황금』)
- ''Magic'' (1996)
=== 추리 소설 ===
==== 장편 ====
- ''The Death Dealers'' (1958) (후에 ''A Whiff of Death''로 개작, 한국어판 제목: 『상아탑의 살인』)
- ''Murder at the ABA'' (1976) (''Authorized Murder''로도 출판, 한국어판 제목: 『ABA의 살인』)
==== 단편집 ====
주로 검은 망령(Black Widowers) 시리즈와 유니언 클럽(Union Club) 시리즈가 있다.
- ''Tales of the Black Widowers'' (1974) (한국어판 제목: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1』)
- ''More Tales of the Black Widowers'' (1976) (한국어판 제목: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2』)
- ''Casebook of the Black Widowers'' (1980) (한국어판 제목: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3』)
- ''The Union Club Mysteries'' (1983) (한국어판 제목: 『유니온 클럽 기담』)
- ''Banquets of the Black Widowers'' (1984) (한국어판 제목: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4』)
- ''The Best Mysteries of Isaac Asimov'' (1986)
- ''Puzzles of the Black Widowers'' (1990) (한국어판 제목: 『검은 미망인들의 모임 5』)
- ''The Return of the Black Widowers'' (2003)
=== 논픽션 ===
아시모프는 과학, 역사, 문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논픽션을 저술했다.
==== 과학 ====
아시모프는 보스턴 대학교 교수 경력을 바탕으로 다수의 대중 과학서를 집필하여 "위대한 설명가"라는 명성을 얻었다.
- ''The Chemicals of Life'' (1954) (한국어판 제목: 『생명의 화합물』)
- ''Inside the Atom'' (1956) (한국어판 제목: 『원자의 내막 - 백만인의 핵물리학 입문』)
- ''Only a Trillion'' (1957) (한국어판 제목: 『단지 1조』)
- ''The World of Nitrogen'' (1958) (한국어판 제목: 『질소의 세계』)
- ''The Intelligent Man's Guide to Science'' (1960) (후에 ''Asimov's New Guide to Science''로 개정)
- ''The Living River'' (1960)
- ''Life and Energy'' (1962)
- ''View from a Height'' (1963) (한국어판 제목: 『상상 자연과학 입문』)
- ''From Earth to Heaven'' (1963) (한국어판 제목: 『지구에서 우주로』)
- ''The Human Brain'' (1964) (한국어판 제목: 『뇌 - 생명의 신비를 탐구하다』)
- ''Adding a Dimension'' (1964) (한국어판 제목: 『차원이 가득』)
- ''아시모프의 과학기술 인명사전'' (''Asimov's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Science and Technology'', 1964, 1982년 개정)
- ''A Short History of Biology'' (1964) (한국어판 제목: 『생물학의 역사』)
- ''Of Time and Space and other things'' (1965) (한국어판 제목: 『시간과 우주 그리고 다른 것들』)
- ''A Short History of Chemistry'' (1965) (한국어판 제목: 『화학의 역사』)
- ''The Neutrino'' (1966) (한국어판 제목: 『뉴트리노』)
- ''Is Anyone There?'' (1967) (한국어판 제목: 『생명과 무생명의 사이』)
- ''Science, Numbers and I'' (1968)
- ''Opus 100'' (1969)
- ''Twenty Century Discovery'' (1969) (한국어판 제목: 『발견, 또 발견!』)
- ''The Stars in their Courses'' (1971) (한국어판 제목: 『나의 행성, 그것은 너의 것이다』)
- ''Of Matters Great and Small'' (1974)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의 극대의 세계·극소의 세계』)
- ''Our World in Space'' (1974)
- ''The Planet that Wasn't'' (1976) (한국어판 제목: 『존재하지 않았던 행성』)
- ''Quasar, Quasar, Burning Bright'' (1978) (한국어판 제목: 『빛나라 퀘이사』)
- ''Isaac Asimov's Book of Facts'' (1979) (한국어판 제목: 『아시모프의 잡학 컬렉션』)
- ''The Road to Infinity'' (1979)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의 지구·행성·우주』)
- ''Opus 200'' (1979)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의 세계』)
- ''Change!'' (1981) (한국어판 제목: 『변화!』)
- ''Views of the Universe'' (1981)
- ''The Sun Shine Bright'' (1982)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의 빛나라 태양』)
- ''Counting the Eons'' (1983)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의 지구의 탄생』,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의 우주의 탄생』)
- ''X Stands for Unknown'' (1984) (한국어판 제목: 『미지의 X』)
- ''Opus 300'' (1984)
- ''Asimov's Guide To Halley's Comet'' (1985)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의 핼리 혜성 가이드』)
- ''The Subatomic Monster'' (1985) (한국어판 제목: 『소립자의 몬스터』)
- ''The Dangers of Intelligence and other science essays'' (1986) (한국어판 제목: 『진공의 바다에 돛을 올리고』)
- ''Far as Human Eye Could See'' (1987) (한국어판 제목: 『보이지 않는 시공』)
- ''The Relativity of Wrong'' (1988) (한국어판 제목: 『오류의 상대성』)
- ''Asimov's Chronology of Science and Discovery'' (1989)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의 과학과 발견의 연표』)
- ''Out of the Everywhere'' (1990) (한국어판 제목: 『인간을 향한 긴 여정』)
- ''The Secret of the Universe'' (1991) (한국어판 제목: 『우주의 비밀』)
- ''분노의 지구'' (''Our Angry Earth'', 1991) (프레더릭 폴과 공저)
- ''Breakthroughs in Science'' (1995) (한국어판 제목: 『아시모프의 과학자전』)
==== 역사 ====
- ''The Kite That Won the Revolution'' (1963)
- ''The Greeks: A Great Adventure'' (1965) (한국어판 제목: 『그리스: 위대한 모험』)
- ''The Roman Republic'' (1966) (한국어판 제목: 『로마 공화정』)
- ''The Roman Empire'' (1967) (한국어판 제목: 『로마 제국』)
- ''The Egyptians'' (1967) (한국어판 제목: 『이집트인들』)
- ''The Near East: 10,000 Years of History'' (1968) (한국어판 제목: 『근동』)
- ''The Dark Ages'' (1968) (한국어판 제목: 『암흑 시대』)
- ''Words from History'' (1968) (한국어판 제목: 『역사 속의 단어들』)
- ''The Shaping of England'' (1969) (한국어판 제목: 『잉글랜드의 형성』)
- ''Constantinople: The Forgotten Empire'' (1970) (한국어판 제목: 『콘스탄티노플: 잊혀진 제국』)
- ''The Land of Canaan'' (1971) (한국어판 제목: 『가나안 땅』)
- ''The Shaping of France'' (1972) (한국어판 제목: 『프랑스의 형성』)
- ''The Shaping of North America: From Earliest Times to 1763'' (1973) (한국어판 제목: 『북아메리카의 형성: 초기부터 1763년까지』)
- ''The Birth of the United States: 1763–1816'' (1974) (한국어판 제목: 『미국의 탄생: 1763-1816』)
- ''Our Federal Union: The United States from 1816 to 1865'' (1975) (한국어판 제목: 『우리의 연방 조합: 1816년부터 1865년까지의 미국』)
- ''The Golden Door: The United States from 1865 to 1918'' (1977) (한국어판 제목: 『황금의 문: 1865년부터 1918년까지의 미국』)
- ''Asimov's Chronology of the World'' (1991) (한국어판 제목: 『아이작 아시모프의 세계의 연표』)
- ''The March of the Millennia'' (1991) (프랭크 화이트와 공저)
==== 문학 ====
- ''아시모프의 셰익스피어 가이드'' (''Asimov's Guide to Shakespeare'', 1970)
- ''Asimov's Annotated "Don Juan"'' (1972)
- ''Asimov's Annotated "실낙원"'' (1974)
- ''Familiar Poems, Annotated'' (1976)
- ''Asimov's The Annotated "걸리버 여행기"'' (1980)
- ''Asimov's Annotated "길버트와 설리번"'' (1988)
==== 성경 ====
- ''Words from Genesis'' (1962)
- ''Words from the Exodus'' (1963)
- ''아시모프의 바이블'' (''Asimov's Guide to the Bible'', 1967년 구약, 1969년 신약, 1981년 합본)
- ''The Story of Ruth'' (1972)
- ''In the Beginning'' (1981)
==== 유머 ====
- ''The Sensuous Dirty Old Man'' (1971) ('Dr. A'라는 필명 사용)
- ''Isaac Asimov's Treasury of Humor'' (1971)
- ''Lecherous Limericks'' (1975)
- ''More Lecherous Limericks'' (1976)
- ''Still More Lecherous Limericks'' (1977)
- ''Limericks, Two Gross'' (1978) (존 시아르디와 공저)
- ''A Grossery of Limericks'' (1981) (존 시아르디와 공저)
- ''Limericks for Children'' (1984)
- ''Asimov Laughs Again'' (1992)
==== 자서전 ====
- ''In Memory Yet Green: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20–1954'' (1979)
- ''In Joy Still Felt: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1980)
- ''I. Asimov: A Memoir'' (1994)
- ''It's Been a Good Life'' (2002) (자넷 아시모프 편집)
==== 기타 ====
- ''Opus 100'' (1969) (100번째 저작 기념)
- ''Opus 200'' (1979) (200번째 저작 기념)
- ''Opus 300'' (1984) (300번째 저작 기념)
- ''Asimov on Science Fiction'' (1981)
- ''Asimov's Galaxy: Reflections on Science Fiction'' (1989)
9. TV, 영화, 음악 출연 및 참여
- ''The Last Word'' (1959).[691][292]
- ''딕 캐벗 쇼'' (1968~1971년), 1968년부터 1971년 사이에 총 4회 출연.[692][293]
- ''The Nature of Things'' (1969).[693][294]
- 1969년, 아폴로 11호 달 착륙 당시 ABC 뉴스 보도에 출연하여 프레더릭 폴, 로드 설링과 함께 인터뷰함.[694][295]
- 데이비드 프로스트 인터뷰 프로그램 (1969년 8월/9월). 프로스트가 아시모프에게 신을 찾으려 한 적이 있는지 묻자, 아시모프는 "신은 나보다 훨씬 지능이 높으니, 그가 나를 찾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695][296]
-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의 콘셉트 앨범 ''I Robot'' (1977). 아시모프의 작품 일부를 다루고 있다.
- BBC 호라이즌 "시간에 관하여" (It's About Timeeng, 1979), 더들리 무어 진행.
- ''Target ... Earth?'' (1980).
- ''데이비드 레터먼 쇼'' (1980).[696][297]
- NBC TV ''Speaking Freely'', 에드윈 뉴먼과의 인터뷰 (1982).
- 스터즈 터클과 캘빈 트릴린이 진행하는 ARTS 네트워크 토크쇼 (약 1982년).
- ''Oltre New York'' (1986).[697][298]
- ''Voyage to the Outer Planets and Beyond'' (1986).[698][299]
- 간다하르 (Gandahar프랑스어, 1987), 르네 랄루 감독의 프랑스 애니메이션 영화. 아시모프가 영어 버전 각색 및 더빙 작업에 참여했다.[699][700][300][301]
- 빌 모이어스 인터뷰 (1988).[701][302]
- ''Stranieri in America'' (1988).[702][303]
10. 각색
아시모프의 여러 작품은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연도 | 제목 | 구분 | 원작 | 감독/제작자 | 비고 |
---|---|---|---|---|---|
1966 | El robot embustero | 단편 영화 | 거짓말쟁이! | 안토니오 라라 데 가빌란 | |
1977 | A halhatatlanság halála | TV 영화 | 영원의 종말 | 안드라스 라이나이(András Rajnai) | |
1977 | The Ugly Little Boy | 단편 영화 | 추한 작은 소년 | 배리 모스, 도널드 W. 톰슨 | |
1987 | 영원의 종말 | 영화 | 영원의 종말 | 안드레이 예르마쉬(Andrei Yermash) | |
1988 | 밤의 몰락 | 영화 | 밤의 몰락 | 폴 메이어스버그 | |
1988 | 로봇 | 영화 | 로봇 시리즈 | 더그 스미스, 킴 타칼 | |
1988 | Feeling 109 | ? | 아시모프 이야기들 | 리차드 클레터 | 원작 정보 부족 |
1995 | The Android Affair | ? | 아시모프 이야기들 | 리차드 클레터 | 원작 정보 부족 |
1999 | 바이센테니얼 맨 | 영화 | "바이센테니얼 맨", 포지트로닉 맨 | 크리스 콜럼버스 | |
2000 | 밤의 몰락 | 영화 | 밤의 몰락 | 기네스 기비(Gwyneth Gibby) | |
2004 | 아이, 로봇 | 영화 | 로봇 시리즈의 아이디어 | 알렉스 프로야스 | 원작과 느슨한 관련성 |
2008 | 이글 아이 | 영화 | "세상의 모든 걱정" | D. J. 카루소 | 원작과 느슨한 관련성 |
2012 | 죽음의 공식 (Formula of Death) | TV 영화 | 죽음의 상인들 | 베다드 아반드 아미니(Behdad Avand Amini) | |
2014 | Spell My Name with an S | 단편 영화 | "Spell My Name with an S" | 사무엘 알리(Samuel Ali) | |
2021~ | 파운데이션 | TV 시리즈 | 파운데이션 시리즈 | 데이비드 S. 고이어, 조시 프리드먼 | Apple TV+ 오리지널 시리즈[703][704][304] |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방영된 영국의 SF 앤솔로지 시리즈 ''미지의 세계'' (Out of the Unknown)의 초기 세 시즌에서는 아시모프의 여러 단편 소설이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각색된 작품은 "죽은 과거", "미끼", "만족 보장", "이유"(방영 제목: "예언자"), "거짓말쟁이!", "벌거벗은 태양"이다. 이 에피소드들의 보존 상태는 좋지 않다. "죽은 과거"와 "미끼"만이 16mm 텔레레코딩 형태로 완전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족 보장"과 "예언자"는 간략한 오디오 녹음과 비디오 클립(텔레스냅)만 존재하며, "거짓말쟁이!"는 제작 사진과 간략한 오디오 및 비디오 클립만 남아 있다. "벌거벗은 태양"은 제작 사진과 거의 완전한 오디오 녹음이 남아 있다.
1995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와 맥 OS용으로 어드벤처 게임인 로봇 도시가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아시모프의 로봇 시리즈에서 영감을 받아 여러 작가가 쓴 동명의 소설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다.
한편, 1966년 영화 바디 캡슐을 아시모프가 1972년에 소설 ''Fantastic Voyage''로 집필하기도 했다. 이는 아시모프의 원작을 각색한 것이 아니라, 영화를 소설화한 경우이다.
참조
[1]
서적
Critical Theory and Science Fiction
Doubleday
2000
[2]
웹사이트
Isaac Asimov Biography and List of Works
http://www.biblio.co[...]
2008-03-05
[3]
웹사이트
1966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Hugo Award
2007-07-26
[4]
서적
I. Asimov: A Memoir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4
[5]
서적
Opus 100
Houghton Mifflin Harcourt
[6]
서적
I. Asimov: A Memoir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4
[7]
웹사이트
5020 Asimov
http://www.minorplan[...]
2017-10-22
[8]
웹사이트
USGS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Mars: Asimov
http://planetaryname[...]
2012-09-04
[9]
웹사이트
The Martian Craters Asimov and Danielson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9-05-27
[10]
웹사이트
P.S. 099 Isaac Asimov
https://www.schools.[...]
2018-08-06
[11]
서적
Careers in robotics
https://archive.org/[...]
Rosen Pub
[12]
서적
In Memory Yet Green
[13]
서적
In Memory Yet Green
[14]
서적
In Memory Yet Green
[15]
서적
The Best Science Fiction of Isaac Asimov
Grafton Books
[16]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1979
[17]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1979
[18]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1979
[19]
서적
I. Asimov: A Memoir
Random House
[20]
서적
Before the Golden Age
Orbit
[21]
웹사이트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22]
뉴스
Marcia (Asimov) Repanes
http://www.legacy.co[...]
2011-04-04
[23]
뉴스
Stanley Asimov, 66, Newsday Executive
https://www.nytimes.[...]
1995-08-17
[24]
서적
In Memory Yet Green
[25]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1979
[26]
서적
I. Asimov : a memoir
https://books.google[...]
Bantam Books
2009
[27]
서적
It's Been a Good Life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2002
[28]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1979
[29]
서적
I. Asimov: A Memoir
Bantam Books
1994
[30]
서적
In Memory Yet Green
https://archive.org/[...]
Avon Books
1979
[31]
서적
In Memory Yet Green
[32]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Isaac Asimov
http://americanindia[...]
[33]
웹사이트
From Soviet to science fiction icon, the weird life of Isaac Asimov 100 years on
https://www.theregis[...]
[34]
논문
Isaac Asimov: centenary of the great explainer
2020
[35]
웹사이트
I, Asimov in Brooklyn: How the Library Shaped a Writer's Mind
https://www.bklynlib[...]
2019-12-27
[36]
서적
The Early Asimov Volume 1
Panther Books
1973
[37]
서적
In Memory Yet Green
[38]
웹사이트
Nearly a Century Ago, Columbia's Jewish Applicants Were Sent to Brooklyn
https://www.columbia[...]
2024-12-01
[39]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40]
서적
In Memory Yet Green
[41]
웹사이트
Kinetics of the Reaction Inactivation of Tyrosinase During Its Catalysis of the Aerobic Oxidation of Catechol
http://www.asimovrev[...]
2019-02-24
[42]
서적
In Memory Yet Green
[43]
학술지
On the Reaction Inactivation of Tyrosinase during the Aerobic Oxidation of Catechol
https://pubs.acs.org[...]
1950-02
[44]
서적
Opus 100
Dell
[45]
서적
In Memory Yet Green
[46]
서적
In Memory Yet Green
[47]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Isaac Asimov
http://www.asimovonl[...]
asimovonline.com
1994-2014
[48]
웹사이트
SciPhi: Isaac Asimov's West Philly Years
http://hiddencityphi[...]
2014-07-18
[49]
서적
In Memory Yet Green
[50]
서적
In Memory Yet Green
[51]
서적
In Memory Yet Green
[52]
서적
In Memory Yet Green
[53]
서적
In Memory Yet Green
[54]
서적
In Memory Yet Green
[55]
서적
In Memory Yet Green
[56]
웹사이트
Isaac Asimov Interview with Don Swaim
http://wiredforbooks[...]
[57]
서적
In Memory Yet Green
[58]
서적
The Tragedy of the Moon
VGSF
[59]
서적
I. Asimov: A Memoir
[60]
서적
In Joy Still Felt
[61]
웹사이트
Howard Gotlieb Archival Research Center: Asimov, Isaac (1920–1992)
http://hgar-srv3.bu.[...]
[62]
잡지
Isaac Asimov Asks, 'How Do People Get New Ideas?'
https://www.technolo[...]
2014-10-20
[63]
뉴스
The write stuff: Asimov's secret Cold War mission
http://www.thetimes.[...]
2014-10-27
[64]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65]
웹사이트
Gertrude Asimov Blugerman
https://www.geni.com[...]
1917-05-16
[66]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67]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68]
웹사이트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69]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70]
서적
Buy Jupiter and Other Stories
VGSF
[71]
서적
In Joy Still Felt: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https://archive.org/[...]
Doubleday
1980
[72]
서적
I. Asimov: A Memoir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4
[73]
서적
In Memory Yet Green: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20–1954
Doubleday
1979
[74]
간행물
The Cruise and I
1973
[75]
서적
I. Asimov: A Memoir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4
[76]
웹사이트
Asimov in the UK
http://www.fiawol.or[...]
2020-07-16
[77]
서적
Ariel, The Book of Fantasy, Volume 4
Ariel Books
1978
[78]
서적
In Joy Still Felt
1980
[79]
서적
In Joy Still Felt
1980
[80]
서적
In Memory Yet Green
[81]
웹사이트
Asimov's Sword: Excerpt from 'Astounding' History of Science Fiction
https://www.space.co[...]
Purch
2018-10-23
[82]
웹사이트
Harlan Ellison, Isaac Asimov, Studs Terkel together in 1982 video
https://www.latimes.[...]
2013-05-06
[83]
서적
In Joy Still Felt
1980
[84]
서적
Asimov Laughs Again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Publishers
1992
[85]
서적
I. Asimov, a Memoir
Doubleday
1994
[86]
서적
More Tales of the Black Widowers
Fawcett Crest
1976
[87]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1980
[88]
웹사이트
Humanist Manifesto II
http://www.americanh[...]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12-10-02
[89]
웹사이트
Isaac Asimov
https://www.theguard[...]
2008-07-22
[90]
웹사이트
Sixteen Notable Figures in Science and Skepticism Elected CSI Fellows
http://www.csicop.or[...]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2010-01-12
[90]
잡지
Playing with fire / Firewalking with the Wessex Skeptics
https://www.newscien[...]
null
[90]
웹사이트
About CSI
http://www.csicop.or[...]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null
[91]
웹사이트
The Pantheon of Skeptics
http://www.csicop.or[...]
null
[92]
Youtube
A Conversation with James Randi
https://www.youtube.[...]
Center For Inquiry
2017-08-14
[93]
서적
In Joy Still Felt: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https://archive.org/[...]
Avon
1981
[94]
서적
I.Asimov: A Memoir
https://books.google[...]
Bantam Books
2009
[95]
서적
I, Asimov: A Memoir
Doubleday
1994
[96]
잡지
Thinking About Thinking
1975-01
[97]
잡지
Alas, All Human
1979-06
[98]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Books
1981
[99]
웹사이트
2006 Great Immigrants: Isaac Asimov
https://www.carnegie[...]
2024-02-20
[100]
웹사이트
Asimov FAQ
http://www.asimovonl[...]
2004-09-27
[101]
웹사이트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2002-12-13
[102]
뉴스
Isaac Asimov, Whose Thoughts and Books Traveled the Universe, Is Dead at 72
https://www.nytimes.[...]
1992-04-07
[103]
서적
It's Been a Good Life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2002
[104]
웹사이트
Locus Online: Letter from Janet Asimov
http://www.locusmag.[...]
2002-04-04
[105]
뉴스
Widow reveals Isaac Asimov died from Aids
2002-03-17
[106]
뉴스
Ashe says transfusion gave him AIDS: Former tennis star blames tainted blood received during 1983 bypass surgery
1992-04-09
[107]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9
[108]
서적
Prelude to Foundation
Bantam Books
1988
[109]
서적
Yours, Isaac Asimov
[110]
웹사이트
Is Data from Star Trek: The Next Generation an Asimovian robot?
http://www.asimovonl[...]
Isaac Asimov Home Page
2014
[111]
웹사이트
Asimov essays about psychology
http://www.asimovonl[...]
Isaac Asimov Home Page
1995
[112]
웹사이트
Did you know that Asimov is the only author to have published books in all ten categories of the Dewey Decimal System?
http://www.asimovonl[...]
2014
[113]
웹사이트
Index Translationum
https://www.unesco.o[...]
[114]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115]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16]
비디오
Video: Asimov at 391 (1988)
https://archive.org/[...]
The Open Mind (TV series)
[117]
서적
Before the Golden Age
Orbit
[118]
서적
In Memory Yet Green
Avon Books
[119]
서적
Isaac Asimov: The Foundations of Science Fi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120]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21]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22]
서적
The Early Asimov
Panther Books
[123]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Books
[124]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25]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26]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27]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28]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Grafton Books
[129]
서적
Modern Science Fiction: Its Meaning and Its Future
Coward-McCann
1953
[130]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31]
웹사이트
Clarkesworld Magazine – Science Fiction & Fantasy
http://clarkesworldm[...]
[132]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33]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34]
웹사이트
The Bottom of Things
http://www.moviepoop[...]
2004-01-14
[135]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66
http://www.nesfa.org[...]
[136]
웹사이트
Series: Isaac Asimov's Robot Mysteries
http://www.isfdb.org[...]
ISFDB
[137]
웹사이트
Series: Second Foundation Trilogy
http://www.isfdb.org[...]
ISFDB
[138]
웹사이트
Publication: Psychohistorical Crisis
http://www.isfdb.org[...]
ISFDB
[139]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40]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Science Fi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1]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142]
서적
In Memory Yet Green
[143]
서적
The Best of Isaac Asimov
https://archive.org/[...]
Sphere Books
[144]
서적
Buy Jupiter and Other Stories
VGSF
[145]
웹사이트
1973 Awards
https://web.archive.[...]
2017-09-08
[146]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147]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9
[148]
서적
I. Asimov: A Memoir
[149]
뉴스
Isaac Asimov: Man of 7,560,000 Words
https://archive.nyti[...]
2019-09-10
[150]
서적
I. Asimov: A Memoir
Bantam
1995
[151]
간행물
Galaxy Bookshelf
https://archive.org/[...]
1965-06
[152]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9
[153]
웹사이트
Asimov Essays From the Mag. of F&SF
http://www.asimovonl[...]
2022-12-29
[154]
간행물
Thinking About Thinking
Mercury Press, Inc.
1975-01
[155]
간행물
Knock Plastic!
Mercury Press, Inc.
1967-11
[156]
서적
Buy Jupiter
VGSF
[157]
웹사이트
1963 Hugo Award winners
http://www.nesfa.org[...]
2017-10-22
[158]
서적
I. Asimov: A Memoir
[159]
간행물
S. F. as a Stepping Stone
1967-08
[160]
서적
In Joy Still Felt
Doubleday
[161]
간행물
Galaxy's 5 Star Shelf
https://archive.org/[...]
1960-08
[162]
간행물
Galaxy's 5 Star Shelf
https://archive.org/[...]
1961-12
[163]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9
[164]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165]
서적
Gold
Voyager
1996
[166]
서적
Counting the Eons
Doubleday
1983
[167]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y website
2019-05-29
[168]
간행물
Psychohistory
Davis Publications
1988-07
[169]
학술지
Psychohistory, Theory and Practice
https://www.jstor.or[...]
1977
[170]
학술지
Clio and Psyche: The Lessons of Psychohistory
1978-06
[171]
서적
The Greeks: A Great Adventure
Houghton Mifflin
1965
[172]
서적
The Roman Republic
Houghton Mifflin
1966
[173]
서적
The Roman Empire
Houghton Mifflin
1967
[174]
서적
The Egyptians
Houghton Mifflin
1967
[175]
서적
The Near East: 10,000 Years of History
Houghton Mifflin
1968
[176]
서적
Asimov's Chronology of the World
HarperCollins
1991
[177]
서적
I. Asimov: A Memoir
[178]
서적
Puzzles of the Black Widowers
Bantam Books
1991
[179]
서적
Hair of the Sleuthhound
Scarecrow
1982
[180]
서적
Hair of the Sleuthhound
Scarecrow
1982
[181]
서적
Isaac Asimov's Treasury of Humor
Houghton Mifflin
1971
[182]
서적
Asimov Laughs Again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1992
[183]
서적
In Joy Still Felt
[184]
뉴스
Don't Look Away: Fighting Sexual Harassment in the Scifi/Fantasy Community
https://io9.gizmodo.[...]
2017-12-18
[185]
서적
In Memory Yet Green: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20–1954
Doubleday
1979
[186]
서적
In Joy Still Felt: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Doubleday
1979
[187]
서적
I. Asimov: A Memoir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4
[188]
웹사이트
1995 Hugo Awards
https://www.thehugoa[...]
2022-12-29
[189]
서적
It's Been a Good Life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2002
[190]
서적
Opus 100
Houghton Mifflin
1969
[191]
서적
Opus 200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979
[192]
서적
Opus 300
Houghton Mifflin
1984
[193]
서적
How to Enjoy Writing: A Book of Aid and Comfort
https://archive.org/[...]
Walker & Co.
1987
[194]
웹사이트
How to Enjoy Writing: A Book of Aid and Comfort
http://www.asimovrev[...]
John H. Jenkins
2016-08-04
[195]
웹사이트
Letters of Note: Getting Star Trek on the air was impossible
https://web.archive.[...]
2012-06-25
[196]
서적
The Tragedy of the Moon
Doubleday and Co
1973
[197]
웹사이트
The Locus Index to SF Awards: Index of Literary Nominees
http://www.locusmag.[...]
2013-03-24
[198]
웹사이트
What awards did he win for his writing?
http://www.asimovonl[...]
2016-08-04
[199]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Worldcons
http://www.smofinfo.[...]
2022-12-29
[200]
웹사이트
Building Blocks of the Universe
http://www.asimovrev[...]
2022-12-29
[201]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1980
[202]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1980
[203]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25
[204]
웹사이트
James T. Grady-James H. Stack Award for Interpreting Chemistry for the Public
https://www.acs.org/[...]
2017-10-22
[205]
웹사이트
1966 Hugo Award winners
http://www.nesfa.org[...]
2017-10-22
[206]
웹사이트
The E. E. Smith Memorial Award
http://www.nesfa.org[...]
2017-10-22
[207]
웹사이트
AAAS-Westinghouse Science Writing Award
https://docslide.com[...]
2017-10-22
[208]
웹사이트
The Gods Themselves
https://www.worldswi[...]
2017-09-08
[209]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2020-05-20
[210]
웹사이트
Past Recipients of the Klumpke-Roberts Award « Astronomical Society
https://web.archive.[...]
2022-12-29
[211]
웹사이트
sfadb : Isaac Asimov Awards
http://www.sfadb.com[...]
2018-09-15
[212]
웹사이트
1977 Hugo Award winners
http://www.nesfa.org[...]
2017-10-22
[213]
웹사이트
Nebula Awards 1977
http://www.sfadb.com[...]
Locus
2011-12-06
[214]
웹사이트
sfadb: Locus Awards 1977
http://www.sfadb.com[...]
2018-09-14
[215]
웹사이트
1983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6-30
[216]
웹사이트
The Humanist of the Year
https://web.archive.[...]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12-05-01
[217]
웹사이트
Damon Knight Memorial Grand Master
http://www.sfwa.org/[...]
2013-03-24
[218]
웹사이트
Award Category: Best Short Story (Locus Poll Award)
https://isfdb.org/cg[...]
2022-12-29
[219]
웹사이트
1992 Hugo Award winners
http://www.nesfa.org[...]
2017-10-22
[220]
웹사이트
1995 Hugo Award winners
http://www.nesfa.org[...]
2017-10-22
[221]
웹사이트
1946 Retro-Hugo Awards
https://www.thehugoa[...]
2022-12-29
[222]
웹사이트
Science Fiction and Fantasy Hall of Fame
http://www.midameric[...]
2013-03-24
[223]
웹사이트
Science Fiction: Robotics, Travel in Time, Travel in Space
http://israelphilate[...]
2017-10-22
[224]
웹사이트
H.Res.1055 – Supporting the designation of National Robotics Week as an annual event.
https://www.congress[...]
Congress.gov
2021-06-06
[225]
웹사이트
2015 Inductees to the NYS Writers Hall of Fame Announced
https://www.nyla.org[...]
2016-03-26
[226]
웹사이트
1941 Retro-Hugo Awards
https://www.thehugoa[...]
2022-12-29
[227]
웹사이트
1943 Retro-Hugo Awards
https://www.thehugoa[...]
2022-12-29
[228]
서적
On Style
Houghton Mifflin Co
[229]
잡지
Living With a Computer
https://www.theatlan[...]
1982-07
[230]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231]
잡지
On Variations on a Robot
1980-07
[232]
서적
Nemesis
1989-10
[233]
서적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Volume 8: Twentieth-Century American Science Fiction Writers
Gale Research
1981
[234]
서적
Isaac Asimov: The Foundations of Science Fi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235]
서적
Beyond the Golden Age
[236]
웹사이트
Review of ''The Gods Themselves''
http://www.asimovrev[...]
2012-09-04
[237]
웹사이트
The Currents of Space (Galactic Empire Trilogy, book 2) by Isaac Asimov
https://www.fantasti[...]
2022-12-29
[238]
서적
The Early Asimov Volume 2
Panther Books
1973
[239]
서적
I, Asimov: A Memoir
Doubleday
1994
[240]
서적
Gold
https://archive.org/[...]
HarperPrism
1995
[241]
서적
Partners in Wonder: Women and the Birth of Science Fiction, 1926-1965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6
[242]
서적
In Joy Still Felt
1980
[243]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9
[244]
서적
The Way of Reason
Humanities Press
1982
[245]
서적
I. Asimov: A Memoir
Bantam
1995
[246]
서적
In Memory Yet Green
[247]
서적
In Memory Yet Green: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20–1954
Doubleday
[248]
간행물
Isaac Asimov's Science Fiction Magazine
Davis Publishing
[249]
잡지
Isaac Asimov on Science and the Bible
https://secularhuman[...]
1982-04-01
[250]
웹사이트
Isaac Asimov on religion
http://css.peak.org/[...]
Corvallis Secular Society
[251]
서적
I. Asimov: A Memoir
Bantam
1995
[252]
서적
I. Asimov: A Memoir
Bantam
1995
[253]
서적
Gold: The Final Science Fiction Collection
[254]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255]
서적
In Joy Still Felt: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https://archive.org/[...]
Doubleday
1980
[256]
서적
In Joy Still Felt
Doubleday
[257]
웹사이트
"Inimical to the best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Isaac Asimov's FBI File
https://www.muckrock[...]
2013-11-07
[258]
서적
In Memory Yet Green
[259]
웹사이트
Bill Moyer's World of Ideas, Part I
https://www.pbs.org/[...]
[260]
웹사이트
Bill Moyer's World of Ideas, Part II
https://www.pbs.org/[...]
[261]
웹사이트
Isaac Asimov on His Hopes for the Future (Part Two)
http://billmoyers.co[...]
[262]
웹사이트
Space utilization
https://bigthink.com[...]
2018-12-27
[263]
뉴스
35 years ago, Isaac Asimov was asked by the Star to predict the world of 2019. Here is what he wrote
https://www.thestar.[...]
2018-12-27
[264]
서적
Astounding: John W. Campbell, Isaac Asimov, Robert A. Heinlein, L. Ron Hubbard, and the Golden Age of science fiction
Dey St., an imprint of William Morrow
[265]
웹사이트
Asimov's Empire, Asimov's Wall
https://www.publicbo[...]
2020-01-07
[266]
서적
Partners in Wonder: Women and the Birth of Science Fiction, 1926–1965
Lexington Books
[267]
서적
Yours, Isaac Asimov
[268]
서적
Our Angry Earth
https://archive.org/[...]
Tor
[269]
잡지
Review: Our Angry Earth
Locus Publications
1991-12-01
[270]
서적
A world of ideas : conversations with thoughtful men and women about American life today and the ideas shaping our future
https://archive.org/[...]
Doubleday
1989
[271]
서적
More Tales of the Black Widowers
https://archive.org/[...]
Doubleday
[272]
논문
[273]
서적
I. Asimov: A Memoir
[274]
웹사이트
Review of 1984
https://www.newworke[...]
[275]
웹사이트
Archive | October 2023
https://www.utopiasc[...]
[276]
서적
I. Asimov: A Memoir
Bantam Books
[277]
서적
I. Asimov: A Memoir
Bantam Books
[278]
서적
In Memory Yet Green
[279]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280]
뉴스
The Conscience of a Liberal, 'Who Are You Calling Dense?'
https://krugman.blog[...]
2010-08-30
[281]
웹사이트
Review of an Asimov biography, 'The Unauthorized Life'
http://www.asimovrev[...]
2012-09-04
[282]
논문
Ten Cheers for Interdisciplinarity: The Case for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Research
http://drnissani.net[...]
1997
[283]
서적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the Art of Wondering
Cengage Learning
[284]
서적
I. Asimov: A Memoir
[285]
웹사이트
Just how many books did Asimov write?
http://www.asimovonl[...]
Isaac Asimov Home Page
2014
[286]
웹사이트
Welcome to AsimovOnline
http://www.asimovonl[...]
[287]
논문
The Learning Curve for Writing Books: Evidence from Professor Asimov
https://doi.org/10.1[...]
1992-11-01
[288]
웹사이트
WVU Libraries Asimov Collection
http://www.libraries[...]
[289]
웹사이트
West Virginia and Regional History Center | Rare Books
https://wvrhc.lib.wv[...]
[290]
서적
Prelude to Foundation
Grafton
[291]
웹사이트
Planets for Man
https://www.rand.org[...]
RAND
2010-09-15
[292]
서적
In Joy Still Felt
Avon
[293]
서적
In Joy Still Felt
[294]
영상
"The Nature of Things" Episode dated 31 December 1969 (TV Episode 1969)
https://www.imdb.com[...]
[295]
뉴스
The Apollo 11 Mission Was Also a Global Media Sensation
https://www.nytimes.[...]
2019-07-15
[296]
서적
In Joy Still Felt
[297]
영상
Isaac Asimov on The David Letterman Show, October 21, 1980
https://www.youtube.[...]
2017-08-20
[298]
영상
Oltre New York (TV Movie 1986)
https://www.imdb.com[...]
1986-10-10
[299]
영상
Voyage to the Outer Planets and Beyond (Video 1986)
https://www.imdb.com[...]
[300]
뉴스
Animated 'Light Years'
https://www.nytimes.[...]
1988-05-15
[301]
웹사이트
Light Years
http://catalog.afi.c[...]
American Film Institute
[302]
웹사이트
Isaac Asimov on His Faith in the Power of Human Reason
https://billmoyers.c[...]
[303]
영상
Stranieri in America (TV Movie 1988)
https://www.imdb.com[...]
1988-05-05
[304]
웹사이트
'Foundation' is an ambitious, uneven adaptation of a sci-fi classic
https://ew.com/tv/tv[...]
2021-09-24
[305]
서적
アシモフ (1983)
[306]
웹사이트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Isaac Asimov Home Page
2008-06-27
[307]
일반
[308]
논문
SFにおける自己組織的AI像
イースト株式会社
[309]
일반
[310]
서적
Encyclopedia of Pulp Fiction Writers
Facts on File
[311]
서적
アシモフ (1983)
[312]
서적
An Inkwell of Pen Names
Xlibris
[313]
서적
The early Asimov
Doubleday
[314]
서적
White (2005)
[315]
서적
[316]
서적
Touponce (1991)
[317]
서적
Totalitarianism
Dogwood
[318]
일반
[319]
서적
アシモフ (1983)
[320]
서적
Touponce (1991)
[321]
서적
アシモフ (1983)
[322]
서적
Olander and Greenberg (1977)
[323]
서적
Campbell (1991)
[324]
서적
Campbell (1991)
[325]
서적
アシモフ (1983)
[326]
서적
White (2005)
[327]
서적
Fiedler and Mele (1982)
[328]
서적
アシモフ (1983)
[329]
서적
Touponce (1991)
[330]
서적
Gunn (1996)
[331]
서적
Fiedler and Mele (1982)
[332]
서적
White (2005)
[333]
서적
Hassler (1991)
[334]
서적
White (2005)
[335]
서적
アシモフ (1985)
[336]
서적
Yours, Isaac Asimov: A Lifetime of Letters
Doubleday
[337]
서적
Freedman (2005)
[338]
서적
White (2005)
[339]
서적
Freedman (2005)
[340]
서적
Freedman
[341]
웹사이트
1961 National Book Awards Winners and Finalists
http://www.nationalb[...]
The National Book Foundation
2011-09-25
[342]
웹사이트
James T. Grady-James H. Stack Award for Interpreting Chemistry for the Public
http://portal.acs.or[...]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1-09-25
[343]
웹사이트
Isaac Asimov, Whose Thoughts and Books Traveled the Universe, Is Dead at 72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on the Web
2011-09-25
[344]
서적
アシモフ (1985)
[345]
서적
White (2005)
[346]
웹사이트
The Newsletter of the 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July 2011
https://web.archive.[...]
[347]
서적
Casebook of the Black Widowers
Doubleday
[348]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73
http://www.nesfa.org[...]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11-09-27
[349]
웹사이트
SFWA Nebula Awards
http://dpsinfo.com/a[...]
dpsinfo.com
2011-09-27
[350]
서적
Touponce (1991)
[351]
웹사이트
Thought Experiments: Celebrating Isaac
http://www.asimovs.c[...]
Dell Magazines
2011-09-18
[352]
서적
Gold
HarperPrism
[353]
간행물
Gunn (1996), pp. 189–190; Hoppa (2009), p. 74.
[354]
서적
It's been a good life
Prometheus Books
[355]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popular fiction
Infobase
[356]
웹사이트
Revisiting the Big Three: Isaac Asimov
http://unmuseum.mus.[...]
2011-09-25
[357]
간행물
アシモフ (1983)、上巻34頁、53頁。
[358]
간행물
アシモフ (1983)、上巻118–119頁。
[359]
간행물
Hassler (1991), p. 79; Is it true that Asimov had a fear of flying?
http://www.asimovonl[...]
2011-10-02
[360]
간행물
アシモフ (1983)、下巻90–91頁、150頁。
[361]
간행물
アシモフ (1985)、上巻68–69頁。
[362]
간행물
アシモフ (1983)、下巻373頁、385頁、403頁。
[363]
웹사이트
Asimov's Empire, Asimov's Wall
https://www.publicbo[...]
2020-01-07
[364]
뉴스
Don't Look Away: Fighting Sexual Harassment in the Scifi/Fantasy Community
https://io9.gizmodo.[...]
2016-08-29
[365]
간행물
アシモフ (1983)、下巻417–418頁。
[366]
간행물
Elms, Alan C. (2005), p. 125; Easton, Tom (2006). Off the Main Sequence. p. 165. Wildside Press. Rockville. ISBN 9780809512058
[367]
웹사이트
About Isaac Asimov
http://asimovhumanis[...]
Asimov Humanists
2011-10-02
[368]
간행물
Gunn (1996), pp. 12, 225.
[369]
서적
Alien Intrusion
Master Books
[370]
학술지
Fringe science speaks, and scientists listen
https://books.google[...]
[371]
서적
ESP, Psychokinesis, and Psychics
Chelsea House
[372]
간행물
アシモフ (1983)、下巻77頁、231頁、アシモフ (1985)、下巻413頁。
[373]
간행물
アシモフ (1985)、下巻118–119頁。
[374]
간행물
アシモフ (1985)、下巻202頁。
[375]
서적
Transformations
Liverpool University Press
[376]
간행물
世界SF全集 23巻レム 月報 伊藤典夫「アメリカのSF ソ連のSF」
https://kokada-jnet.[...]
[377]
간행물
SF宝石 創刊号 昭和54年8月1日発行 日米巨頭会談 アイザック・アシモフ VS. 小松左京 飛行機と船を使わないで日本へ行く方法はないだろうか P.36-P.37
[378]
간행물
アシモフ (1985)、下巻142頁、308–309頁。
[379]
서적
Environmental Literature
ABC-CLIO
[380]
간행물
Hoppa (2009), p. 68.
[381]
웹사이트
Biography for Isaac Asimov
https://www.imdb.com[...]
IMDb
2011-10-02
[382]
간행물
アシモフ (1985)、下巻137頁。
[383]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384]
웹사이트
Asimov on Mars
http://planetarynam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Working Group for Planetary System Nomenclature
2011-10-02
[385]
웹사이트
Isaac Asimov Award for Undergraduate Excellence in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ing
http://www.asimovs.c[...]
Dell Magazines
2011-10-02
[386]
웹사이트
P.S. 99 Isaac Asimov
https://www.schools.[...]
2022-03-24
[387]
논문
機械はコツを身につけられるか
http://www.nikkei-sc[...]
[388]
웹사이트
【クレイジー☆エンジニア】山海嘉之が挑む、介護用ロボットスーツ「HAL」実用化
http://next.rikunabi[...]
2015-11-06
[389]
웹사이트
These Bots Were Made for Walking
http://www.japaninc.[...]
Japan Inc Communications
2011-10-02
[390]
웹사이트
ASIMOの全般
http://www.honda.co.[...]
本田技研工業
2011-10-02
[391]
서적
The Robot Chronicles
Voyager
[392]
서적
4 The Word I Invented
Doubleday
[393]
웹사이트
JOSEPH ENGELBERGER // The Father of Robotics
http://www.robotics.[...]
Robotics Industries Association
2015-12-01
[394]
뉴스
Joseph F. Engelberger, the "Father of Robotics," turns 90
http://www.mmh.com/a[...]
2015-07-27
[395]
웹사이트
Farewell, Joe Engelberger
http://www.eetimes.c[...]
EE Times
2015-12-05
[396]
웹사이트
Joe Engelberger, robotics pioneer, 1925-2015
http://www.ft.com/cm[...]
フィナンシャル・タイムズ
2015-12-18
[397]
서적
Critical theory and science fiction
Wesleyan University Press
[398]
서적
The Science Fiction and Fantasy Readers' Advisory
ALA Editions
[399]
reference
アシモフ (1983)
[400]
서적
Science fiction
Routledge
[401]
reference
アシモフ (1983)
[402]
웹사이트
Isaac Asimov: The Good Doctor
http://www.bewilderi[...]
Bewildering Stories
[403]
reference
アシモフ (1983)
[404]
서적
夜来たる
早川書房
[405]
서적
Pseudoscience and Extraordinary Claims of the Paranormal
Wiley-Blackwell
[406]
reference
アシモフ (1983)
[40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American Nov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8]
reference
アシモフ (1983); Asimov (1994)
[409]
reference
White (2005)
[410]
reference
Asimov (1994)
[411]
reference
The Wesleyan Anthology of Science Fiction
Wesleyan University Press
[412]
서적
Evaporating Genres
Wesleyan University Press
[413]
웹사이트
Isaac Asimov Biography and Notes
http://www.biblio.co[...]
Biblio
[414]
서적
Encyclopedia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cation
SAGE
[415]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66
http://www.nesfa.org[...]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416]
reference
Hoppa (2009)
[417]
reference
White (2005);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83
http://www.nesfa.org[...]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418]
서적
Mindscape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419]
서적
Literary Afterlife
McFarland
[420]
reference
White (2005)
[421]
서적
Science Fiction and Empire
Liverpool University Press
[422]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77
http://www.nesfa.org[...]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11-10-10
[423]
웹사이트
SFWA Nebula Awards
http://dpsinfo.com/a[...]
dpsinfo.com
2011-10-10
[424]
웹사이트
1977 Locus Awards
http://www.locusmag.[...]
Locus Publications
2011-10-10
[425]
서적
Science Fiction and Fantasy Literature
Borgo Press
[426]
간행물
Hassler
[427]
간행물
Freedman
[428]
간행물
アシモフ
[429]
간행물
White
[430]
간행물
アシモフ
[431]
간행물
Gunn, Campbell
[432]
PhD dissertation
Social Science Fiction
http://gradworks.umi[...]
City University of New York
[433]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63
http://www.nesfa.org[...]
[434]
간행물
アシモフ
[435]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92
http://www.nesfa.org[...]
[436]
간행물
アシモフ
[437]
서적
The Fembot Chronicles
eXcessica
[438]
서적
The Complete Critical Assembly
Wildside Press
[439]
서적
Popular Contemporary Writers
Marshall Cavendish
[440]
웹사이트
Isaac Asimov's Short Fiction: Black Widowers Mystery Stories Index
http://www.asimovonl[...]
2011-10-19
[441]
웹사이트
Tales of the Black Widowers
http://www.asimovrev[...]
2011-10-19
[442]
학술지
Isaac Asimov's Mystery Fiction
The Armchair Detective
[443]
서적
Mystery Reader's Walking Guide: New York
iUniverse
[444]
웹사이트
A Guide to Isaac Asimov's Essays
http://www.asimovonl[...]
www.asimovonline.com
2011-11-05
[445]
서적
American Writers
Facts On File
[446]
서적
Rules of the Gam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47]
간행물
アシモフ
[448]
간행물
White
[449]
간행물
アシモフ
[450]
서적
Time for discovery
Scott, Foresman
[451]
서적
The Continuum Encyclopedia of Children's Literature
Continuum International
[452]
간행물
Hassler
[453]
서적
Asimov's Guide to the Bible
Avenel Books Distributed by Crown Publishers
[454]
웹사이트
Asimov‘s Guide to the Bible, Volume One
http://www.asimovrev[...]
2011-11-06
[455]
서적
Collection Management for School Library Media Centers
Haworth Press
[456]
서적
Harold Bloom's Shakespeare
Palgrave Macmillan
[457]
학술지
Isaac's mysteries
[458]
간행물
S-Fマガジン 1995年12月号
[459]
웹사이트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95
http://www.nesfa.org[...]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11-11-05
[460]
서적
濃縮四方田
[461]
서적
Critical Theory and Science Fiction
https://archive.org/[...]
2000
[462]
웹인용
Isaac Asimov Books - Biography and List of Works - Author of 'Foundation'
https://www.biblio.c[...]
2021-12-11
[463]
웹인용
1966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2021-12-11
[464]
서적
I. Asimov
http://archive.org/d[...]
Doubleday
1994
[465]
서적
So [Walter Bradbury] said, 'Use a pseudonym.' And I did. I chose Paul French ...
Houghton Mifflin Harcourt
1969
[466]
서적
I. Asimov
http://archive.org/d[...]
Doubleday
1994
[467]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http://www.minorplan[...]
2021-12-11
[468]
웹인용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Asimov on Mars
https://planetarynam[...]
2021-12-11
[469]
웹인용
The Martian Craters Asimov and Danielson
https://www.planetar[...]
2021-12-11
[470]
웹인용
School
https://www.schools.[...]
2021-12-11
[471]
서적
Careers in robotics
http://archive.org/d[...]
New York : Rosen Pub.
2007
[472]
서적
In Memory Yet Green
[473]
서적
In Memory Yet Green
[474]
서적
In Memory Yet Green
[475]
서적
The Best Science Fiction of Isaac Asimov
Grafton Books
1987
[476]
서적
In Memory Yet Green
[477]
서적
I. Asimov: A Memoir
1994
[478]
서적
In Memory Yet Green
[479]
서적
Asimov: A Memoir, ch. 5
랜덤하우스
2009
[480]
서적
Before the Golden Age
https://archive.org/[...]
Orbit
1975
[481]
웹인용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2021-12-12
[482]
웹인용
Marcia Repanes Obituary (2011) Newsday
https://www.legacy.c[...]
2021-12-12
[483]
뉴스
Stanley Asimov, 66, Newsday Executiv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2-12
[484]
서적
In Memory Yet Green
[485]
서적
In Memory Yet Green
[486]
서적
It's been a good life
http://archive.org/d[...]
Amherst, N.Y. : Prometheus Books
2002
[487]
서적
In Memory Yet Green
[488]
서적
Asimov: A Memoir, ch. 5
랜덤하우스
2009
[489]
서적
In memory yet green :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20-1954
http://archive.org/d[...]
New York, NY : Avon
1980
[490]
서적
In Memory Yet Green
[491]
웹인용
"An Interview with Isaac Asimov"- by Phil Konstantin
http://americanindia[...]
2021-12-12
[492]
웹인용
From Soviet to science fiction icon, the weird life of Isaac Asimov 100 years on
https://www.theregis[...]
2021-12-12
[493]
서적
Isaac Asimov: centenary of the great explainer
[494]
서적
The Early Asimov Volume 1
Panther Books
[495]
서적
In Memory Yet Green
[496]
서적
In Memory Yet Green
[497]
서적
In Memory Yet Green
[498]
웹인용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2021-12-12
[499]
웹인용
Sci-Phi: Isaac Asimov’s West Philly Years
https://hiddencityph[...]
2021-12-12
[500]
서적
In Memory Yet Green
[501]
서적
In Memory Yet Green
[502]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Doubleday
1972
[503]
웹인용
Isaac Asimov Interview with Don Swaim
https://web.archive.[...]
2021-12-13
[504]
서적
Buy Jupiter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1975
[505]
서적
I. Asimov: A Memoir
1994
[506]
서적
The tragedy of the moon.
https://ui.adsabs.ha[...]
1973-01-01
[507]
웹인용
Isaac Asimov: Man of 7,560,000 Words
https://archive.nyti[...]
2021-12-13
[508]
서적
I. Asimov: A Memoir
1994
[509]
서적
In Joy Still Felt
1994
[510]
웹인용
Collection - Howard Gotlieb Archival Research Center
http://hgar-srv3.bu.[...]
2021-12-13
[511]
웹인용
Isaac Asimov Asks, “How Do People Get New Ideas?”
https://www.technolo[...]
2021-12-13
[512]
뉴스
The write stuff: Asimov’s secret Cold War mission
https://www.thetimes[...]
2021-12-13
[513]
서적
In Memory Yet Green
[514]
웹인용
Gertrude Asimov (Blugerman)
https://www.geni.com[...]
2021-12-13
[515]
서적
In Memory Yet Green
[516]
서적
Buy Jupiter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1975
[517]
웹인용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2021-12-13
[518]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Doubleday
1969
[519]
서적
In Memory Yet Green
[520]
서적
In joy still felt :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 Doubleday
1980
[521]
웹인용
폴리스타임즈 : 김미정 기자의 올바른 성교육(제40)
http://www.policetim[...]
2021-12-13
[522]
서적
I. Asimov
http://archive.org/d[...]
Doubleday
1994
[523]
서적
The Cruise and I
1973
[524]
서적
I. Asimov
http://archive.org/d[...]
Doubleday
1994
[525]
웹인용
ASIMOV IN THE UK (1974)
http://www.fiawol.or[...]
2021-12-14
[526]
서적
A Visit with Isaac Asimov
1978
[527]
서적
In Memory Yet Green
[528]
웹인용
Asimov's Sword: Excerpt from 'Astounding' History of Science Fiction
https://www.space.co[...]
2021-12-14
[529]
웹인용
Harlan Ellison, Isaac Asimov, Studs Terkel together in 1982 video
https://www.latimes.[...]
2021-12-14
[530]
서적
In Joy Still Felt
[531]
서적
Asimov Laughs Again
https://archive.org/[...]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532]
웹인용
The Wolfe Pack - The Official Nero Wolfe Literary Society
http://www.nerowolfe[...]
2021-12-15
[533]
서적
Isaac Asimov: A Life of the Grand Master of Science Fiction
[534]
서적
I. Asimov, a Memoir
[535]
서적
More Tales of the Black Widowers
[536]
서적
In Joy Still Felt
[537]
웹인용
Humanist Manifesto II
http://www.americanh[...]
2021-12-15
[538]
웹인용
Isaac Asimov
http://www.theguardi[...]
Guardian
2021-12-15
[539]
웹인용
Sixteen Notable Figures in Science and Skepticism Elected CSI Fellows Center for Inquiry
https://centerforinq[...]
2021-12-15
[540]
웹인용
Review: There is always an alternative
https://www.newscien[...]
2021-12-15
[541]
웹인용
About the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 Skeptical Inquirer
https://skepticalinq[...]
2021-12-15
[542]
웹인용
CSI {{!}} The Pantheon of Skeptics
http://www.csicop.or[...]
2021-12-15
[543]
웹인용
A Conversation with James Randi
https://www.youtube.[...]
Center For Inquiry
2020-01-28
[544]
서적
In joy still felt :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 Doubleday
1980
[545]
서적
I, Asimov: A Memoir
[546]
서적
In Joy Still Felt
[547]
웹인용
Isaac Asimov FAQ
http://www.asimovonl[...]
2021-12-15
[548]
뉴스
Widow reveals Isaac Asimov died from Aids
선데이 타임스
2002-05-17
[549]
뉴스
Isaac Asimov, Whose Thoughts and Books Traveled the Universe, Is Dead at 7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2-15
[550]
서적
Ashe says transfusion gave him AIDS: Former tennis star blames tainted blood received during 1983 bypass surgery
1992-04-09
[551]
서적
It's Been a Good Life
https://archive.org/[...]
[552]
웹인용
Locus Online: Letter from Janet Asimov
http://www.locusmag.[...]
2021-12-15
[553]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1969
[554]
서적
Prelude to Foundation
1988
[555]
서적
Yours, Isaac Asimov
[556]
웹인용
Asimov Essays about psychology
http://www.asimovonl[...]
2021-12-16
[557]
웹인용
Index Translationum database
http://www.unesco.or[...]
웨이백 머신
2014-06-24
[558]
서적
In Joy Still Felt
[559]
웹인용
Video: Asimov at 391 (1988)
https://archive.org/[...]
1998
[560]
서적
In Memory Yet Green
[561]
서적
Isaac Asimov, the foundations of science fiction
http://archive.org/d[...]
Oxford ;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562]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Garden City, N.Y., Doubleday
1972
[563]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564]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65]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66]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67]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68]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69]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1969
[570]
서적
Modern Science Fiction: Its Meaning and Its Future
https://archive.org/[...]
1953
[571]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72]
웹인용
④파운데이션 - 아이작 아시모프 [박현제의 내 인생의 책]
https://n.news.naver[...]
2021-12-22
[573]
웹인용
Clarkesworld Magazine - Science Fiction & Fantasy
https://clarkesworld[...]
2021-12-22
[574]
웹인용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66
https://web.archive.[...]
2021-12-22
[575]
웹인용
SF거장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 시리즈 출간
https://n.news.naver[...]
2021-12-22
[576]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77]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78]
웹인용
Movie Poop Shoot - Michael Sampson gets to THE BOTTOM OF THINGS
http://www.moviepoop[...]
2021-12-27
[579]
웹인용
Series: Isaac Asimov's Robot Mysteries
http://www.isfdb.org[...]
2021-12-27
[580]
웹인용
Series: Second Foundation Trilogy
http://www.isfdb.org[...]
2021-12-27
[581]
웹인용
Publication: Psychohistorical Crisis
http://www.isfdb.org[...]
2021-12-27
[582]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s://archive.org/[...]
1972
[58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Science Fi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3-30
[584]
서적
In Memory Yet Green
[585]
서적
The best of Isaac Asimov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Doubleday
1974
[586]
서적
Buy Jupiter and Other Stories
1975
[587]
웹인용
The Locus Index to SF Awards: 1973 Locus Awards
http://www.locusmag.[...]
2021-12-28
[588]
서적
In Memory Yet Green
[589]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Doubleday
1969
[590]
서적
I. Asimov: A Memoir
[591]
서적
I. Asimov: A Memoir
[592]
서적
Galaxy v23n05 (1965 06)
http://archive.org/d[...]
Galaxy Science Fiction
1965-06
[593]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Doubleday
1969
[594]
웹인용
Asimov Essays From the Mag. of F&SF
http://www.asimovonl[...]
2021-12-29
[595]
서적
Thinking About Thinking
New York: Mercury Press, Inc.
1975-02
[596]
서적
Knock Plastic!
New York: Mercury Press, Inc.
1967-11
[597]
서적
Buy Jupiter
1975
[598]
웹인용
The Long List of Hugo Awards, 1963
http://www.nesfa.org[...]
2021-12-30
[599]
서적
I. Asimov: A Memoir
[600]
서적
S. F. as a Stepping Stone
Galaxy Science Fiction
1967-08
[601]
서적
In Memory Yet Green
[602]
서적
Galaxy's 5 Star Shelf
http://archive.org/d[...]
Galaxy Science Fiction
1960-08
[603]
서적
The Robot Chronicles
https://archive.org/[...]
Gold
1996
[604]
서적
4 The Word I Invented
https://ui.adsabs.ha[...]
Counting the eons
1983
[605]
웹인용
Oxford Dictionary website
https://www.lexico.c[...]
2021-12-31
[606]
서적
Psychohistory
Isaac Asimov's Science Fiction
1998-06
[607]
서적
The Greeks: A Great Adventure
https://archive.org/[...]
Boston: Houghton Mifflin
1965
[608]
서적
The Roman Republic
https://archive.org/[...]
Boston: Houghton Mifflin
1966
[609]
서적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Boston: Houghton Mifflin
1967
[610]
서적
The Egyptians
https://archive.org/[...]
Boston: Houghton Mifflin
1967
[611]
서적
The Near East: 10,000 Years of History
https://archive.org/[...]
Boston: Houghton Mifflin
1968
[612]
서적
Asimov's Chronology of the World
New York: HarperCollins
1991
[613]
서적
I. Asimov: A Memoir
[614]
서적
Puzzles of the Black Widowers
Bantam Books: xiii
1991
[615]
서적
An Evening with the White Divorcés
Hair of the Sleuthhound
1982
[616]
서적
An Evening with the White Divorcés
Hair of the Sleuthhound
1982
[617]
서적
Isaac Asimov's Treasury of Humor
뉴욕: 호튼 미플린
1971
[618]
서적
Asimov Laughs Again
https://archive.org/[...]
London: HarperCollins
1992
[619]
서적
In Joy Still Felt
[620]
웹인용
Don't Look Away: Fighting Sexual Harassment in the Scifi/Fantasy Community
https://gizmodo.com/[...]
2021-12-31
[621]
웹인용
In Memory Yet Green: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79
[622]
웹인용
In Joy Still Felt: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New York: Doubleday
1979
[623]
웹인용
I. Asimov: A Memoir
https://archive.org/[...]
New York: Doubleday
1994
[624]
웹인용
1995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2021-12-31
[625]
웹인용
It's Been a Good Life
https://archive.org/[...]
New York: Prometheus Books
1994
[626]
웹인용
Opus 100
Boston: Houghton Mifflin
1969
[627]
웹인용
Opus 200
https://archive.org/[...]
뉴욕: 호튼 미플린
1979
[628]
웹인용
Opus 300
Boston: Houghton Mifflin
1984
[629]
서적
How to enjoy writing : a book of aid and comfort
http://archive.org/d[...]
New York, N.Y. : Walker
1987
[630]
웹인용
How to Enjoy Writing: A Book of Aid and Comfort
http://www.asimovrev[...]
2021-12-31
[631]
웹사이트
Letters of Note: Getting Star Trek on the air was impossible
https://web.archive.[...]
2012-06-25
[632]
서적
The Week Excuse
The Tragedy of the Moon
1973
[633]
서적
On Style
Houghton Mifflin Co
1980
[634]
서적
The early Asimov; or, Eleven years of trying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Doubleday
1972
[635]
웹사이트
Living With a Computer
https://www.theatlan[...]
1982-07-01
[636]
서적
On Variations on a Robot
1980-06
[637]
웹인용
Nemesis
1989-10
[638]
서적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Volume 8: Twentieth-Century American Science Fiction Writers
Detroit: Gale Research
1981
[639]
서적
Isaac Asimov: The Foundations of Science Fiction
http://archive.org/d[...]
Oxford ;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640]
서적
Beyond the Golden Age
[641]
웹사이트
Review of The Gods Themselves
http://www.asimovrev[...]
[642]
웹사이트
The Gods Themselves by Isaac Asimov
https://www.worldswi[...]
[643]
서적
I, Asimov: A Memoir
[644]
서적
Partners in Wonder. Women and the Birth of Science Fiction
https://www.google.c[...]
1926-1965
[645]
서적
In Joy Still Felt
https://archive.org/[...]
1980
[646]
서적
The Complete Robot
Grafton Books
1983
[647]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Garden City, N.Y., Doubleday
1969
[648]
서적
I. Asimov: A Memoir
[649]
서적
In Memory Yet Green
[650]
서적
In Memory Yet Green: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Doubleday
1979
[651]
저널
Isaac Asimov's Science Fiction Magazine, Volume 15
1991
[652]
서적
Isaac Asimov on Science and the Bible
1982
[653]
웹사이트
Isaac Asimov on religion
http://css.peak.org/[...]
Corvallis Secular Society
1997
[654]
서적
I. Asimov: A Memoir
[655]
서적
I. Asimov: A Memoir
[656]
서적
Gold: The Final Science Fiction Collection
[657]
서적
In Joy Still Felt
[658]
서적
In joy still felt : the autobiography of Isaac Asimov, 1954-1978
http://archive.org/d[...]
Garden City, N.Y. : Doubleday
1980
[659]
서적
In Joy Still Felt
[660]
웹사이트
Was Isaac Asimov secretly "ROBPROF," a Soviet spy within the highest ranks of academia?
https://www.muckrock[...]
2013-11-07
[661]
서적
In Memory Yet Green
[662]
서적
Yours, Isaac Asimov
https://archive.org/[...]
1996
[663]
웹사이트
Isaac Asimov on His Hopes for the Future (Part Two)
https://billmoyers.c[...]
1988-10-21
[664]
웹사이트
Space utilization
https://bigthink.com[...]
Big Think
2017-09-28
[665]
뉴스
35 years ago, Isaac Asimov was asked by the Star to predict the world of 2019. Here is what he wrote
https://www.thestar.[...]
The Toronto Star
2018-12-27
[666]
서적
Astounding : John W. Campbell, Isaac Asimov, Robert A. Heinlein, L. Ron Hubbard, and the Golden Age of science fiction
https://archive.org/[...]
New York, NY: Dey St.
2018
[667]
웹인용
Asimov's Empire, Asimov's Wall
https://www.publicbo[...]
Public Books
2022-03-03
[668]
서적
Partners in wonder : women and the birth of science fiction, 1926-1965
https://archive.org/[...]
MD: Lexington Books
2006
[669]
웹인용
Bill Moyer's World of Ideas, Part I
https://www.pbs.org/[...]
1988-10-17
[670]
서적
Our Angry Earth
https://archive.org/[...]
1991
[671]
잡지
Review: Our Angry Earth
Oakland: Locus Publications
1991-09
[672]
서적
A world of ideas : conversations with thoughtful men and women about American life today and the ideas shaping our future
https://archive.org/[...]
New York: Doubleday
1989
[673]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Boston: Houghton Mifflin
[674]
서적
I. Asimov: A Memoir
[675]
서적
I. Asimov: A Memoir
[676]
서적
I. Asimov: A Memoir
[677]
서적
In Memory Yet Green
[678]
서적
In Joy Still Felt
[679]
웹인용
The Conscience of a Liberal, 'Who Are You Calling Dense?'
https://krugman.blog[...]
The New York Times
2010-08-30
[680]
뉴스
Interview, U.S. Economist Krugman Wins Nobel Prize in Economics
https://www.pbs.org/[...]
PBS, Jim Lehrer News Hour
2008-10-13
[681]
뉴스
Up Front: Paul Krugm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8-06
[682]
웹인용
Review of an Asimov biography, 'The Unauthorized Life
http://www.asimovrev[...]
[683]
저널
Ten cheers for interdisciplinarity: The case for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research
https://doi.org/10.1[...]
1997-06-01
[684]
서적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the Art of Wondering
Cengage Learning
[685]
서적
I. Asimov: A Memoir
[686]
웹인용
Just how many books did Asimov write?
http://www.asimovonl[...]
2014
[687]
웹인용
Welcome to AsimovOnline
http://www.asimovonl[...]
[688]
저널
The Learning Curve for Writing Books: Evidence from Professor Asimov
https://doi.org/10.1[...]
1992-11
[689]
웹인용
WVU Libraries Asimov Collection
http://www.libraries[...]
2022-02-28
[690]
웹인용
West Virginia and Regional History Center, Rare Books
https://wvrhc.lib.wv[...]
[691]
서적
In Joy Still Felt
[692]
서적
In Joy Still Felt
[693]
웹인용
The Nature of Things" Episode dated 31 December 1969 (TV Episode 1969) - IMDb
https://www.imdb.com[...]
[694]
뉴스
The Apollo 11 Mission Was Also a Global Media Sensa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7-15
[695]
서적
In Joy Still Felt
[696]
웹인용
Isaac Asimov on The David Letterman Show, October 21, 1980
https://www.youtube.[...]
2022-02-28
[697]
웹인용
Oltre New York (TV Movie 1986) - IMDb
https://www.imdb.com[...]
1986-10-10
[698]
웹인용
Voyage to the Outer Planets and Beyond (Video 1986) - IMDb
https://www.imdb.com[...]
[699]
웹인용
Animated 'Light Yea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8-05-15
[700]
웹인용
Light Years
http://catalog.afi.c[...]
American Film Institute
[701]
웹인용
Isaac Asimov on His Faith in the Power of Human Reason
https://billmoyers.c[...]
2022-02-28
[702]
웹인용
Stranieri in America (TV Movie 1988) - IMDb
https://www.imdb.com[...]
1988-05-05
[703]
웹인용
'Foundation' is an ambitious, uneven adaptation of a sci-fi classic
https://ew.com/tv/tv[...]
2022-02-28
[704]
웹인용
[SR문화] 애플 오리지널 콘텐츠 '파운데이션'·'포 올 맨카인드'·'서번트' 등 국내서 즐긴다
http://m.srtimes.kr/[...]
2022-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