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네시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네시마는 러시아 이바노보주에 위치한 도시로, 볼가강에 면해 있다. 1429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핀-우그리아어족의 "깊은 물"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역사를 통틀어 다양한 러시아 지역에 속했으며, 16세기와 17세기에는 차르의 식탁에 철갑상어를 공급하는 어업 중심지였다. 18세기부터는 섬유 공업이 발달하여 도시의 주요 산업이 되었으며, 1777년 도시 지위를 얻었다. 현재는 섬유, 제재, 화학 공업이 주요 산업이며, 볼가강 수운의 항만 수송도 이루어진다. 주요 랜드마크로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성삼위일체 대성당이 있다. 이 도시는 작곡가 알렉산드르 보로딘 등 여러 유명 인사의 출생지이며, 핀란드의 반타, 벨라루스의 바라나비치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노보주 - 클랴지마강
- 이바노보주 - 플료스
플료스는 러시아 이바노보주 볼가강변의 도시로, 요새에서 교역 도시로 번성했으나 철도 개통 후 쇠퇴, 현재는 아름다운 경관 덕분에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며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준 곳이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키네시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좌표 | 57 |
도시 상태 획득 | 1429년 (최초 언급) |
행정 구역 | |
국가 | 러시아 |
연방 주체 | 이바노보주 |
도시 관할구 | 키네시마 시 (연방 주체 중요 도시) |
자치구 | 키네솀스키 자치구의 행정 중심지 |
도시 자치구 | 키네시마 도시 자치구 |
우편 번호 | 155800 - 155819 |
전화 지역 번호 | 49331 |
웹사이트 | 키네시마 시 공식 웹사이트 |
상징 | |
![]() | |
![]() | |
인구 통계 | |
전체 인구 (2021년) | 77,694명 |
인구 (2010년) | 88,164명 |
인구 순위 | 191위 |
인구 (2002년) | 95,233명 |
인구 (1989년) | 105,037명 |
면적 | 49 제곱킬로미터 |
2. 어원
кыне|kinemhr (*känз|원시 핀-페름어und)는 "삼"을 뜻하며, 핀우그리아어족의 기층어에서 유래했다.[2] 과거 핀-우그리아계 민족 메랴인이 살았으며, "키네시마"라는 이름은 "깊은 물"을 의미하는 그들의 언어에서 유래되었다.
키네시마는 아르한겔고로드 현, 상트페테르부르크 현의 야로슬라블 지방, 모스크바 현 등 다양한 러시아 지역에 속했다.
3. 역사
3. 1. 초기 역사
키네시마는 1429년에 포사드로 처음 기록되었다.[3] 1504년, 이반 3세는 이 지역을 표도르 벨스키 공에게 하사했는데, 그는 리투아니아에서 모스크바로 도망쳐 이반의 조카와 결혼했다. 이후 이반 뇌제는 키네시마를 이반 페트로비치 슈이스키에게 하사했지만, 슈이스키가 죽은 후 1587년에 차르에게 반환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 동안, 키네시마는 차르의 식탁에 철갑상어를 공급하는 주요 어업 중심지였다. 1608년에는 폴란드인에 의해 두 번이나 파괴되었다.
과거에는 핀-우그리아계 민족인 메랴인이 살았으며, "키네시마"라는 이름은 "깊은 물"을 의미하는 그들의 언어에서 유래되었다.
3. 2. 혼란 시대
1429년 타타르인의 습격을 받은 포사드(파사드, 해자로 둘러싸인 취락) 중 하나로 키네시마가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3] 1504년 모스크바 대공이반 3세는 키네시마를 게디미나스 왕조의 혈통을 잇는 베르이의 귀족이자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모스크바로 망명한 표도르 벨리스키 공에게 주었다. 이후 이반 4세는 키네시마를 이반 페트로비치 슈이스키 공에게 주었지만, 슈이스키가 죽은 후 1587년에는 다시 차르가 회수했다.
혼란 시대의 1608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군에게 두 번이나 약탈당했다.
3. 3. 경제 발전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키네시마는 볼가강의 어업 중심지였으며, 이곳에서 잡힌 철갑상어는 차르의 식탁에도 올랐다.[1] 18세기부터는 이바노보주의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면화 재배를 기반으로 한 섬유 공업이 도시의 주 산업이 되었다.[1] 1758년 최초의 대규모 직물 공장이 완공되었고, 1777년 도시 지위를 얻어 섬유 공업과 항만 운송업으로 번성했다.[1] 1871년 모스크바와의 사이에 철도가 개통되었으며, 섬유 공업 외에도 철제품 주조소나 화학 공장 등이 세워졌다.[1]
4. 행정 구역 및 지위
행정 구역 틀 내에서 키네시마는 키네쉠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지만, 그 일부는 아니다.[4][5] 행정 구역으로서, 키네시마는 이바노보 주의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인 도시 키네시마로 별도로 통합된다.[5] 지방 자치체로서, 도시 키네시마는 키네시마 도시 구로 통합된다.[6]
5. 경제
18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산업은 섬유 제조업이었으나,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쇠퇴했다.[1] 오늘날 키네시마의 주요 산업은 섬유 공업, 제재업, 화학 공업 등이며, 볼가강 수운의 항만 수송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경공업이 타격을 받아 이바노보주는 러시아 중부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방이 되었다.[1]
키네시마에서는 철도가 볼가강을 건너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향하는 열차 일부가 키네시마를 경유한다.[1]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역에서 키네시마까지는 열차로 9시간이 걸린다.[1] 2003년에는 볼가강을 건너는 새로운 도로 교량이 개통되어 강 건너편과의 교통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1] 러시아제나 독일제 자동차가 많았지만, 우핸들 일본차(중고차)가 독일차와 비슷한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1] 시내 대중교통은 사영 미니버스, 타 도시와의 사이에는 대형 관광 버스가 이용되고 있다.[1]
5. 1. 전통 산업
18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산업은 섬유 제조업이었다. 러시아의 모든 섬유 중심지와 마찬가지로, 이 도시의 번영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쇠퇴했다.[1]
오늘날 키네시마의 주요 산업은 섬유 공업, 제재업, 화학 공업 등이며, 볼가강 수운의 항만 수송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경공업이 타격을 받아 섬유를 중심으로 번영해 온 이바노보주는 러시아 중부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방이 되었다.[1]
5. 2. 현대 산업
18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산업은 섬유 제조업이었다. 러시아의 모든 섬유 중심지와 마찬가지로, 이 도시의 번영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쇠퇴했다.[1]오늘날 키네시마의 주요 산업은 섬유 공업, 제재업, 화학 공업 등이며, 볼가강 수운의 항만 수송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1]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경공업이 타격을 받아 섬유를 중심으로 번영해 온 이바노보주는 러시아 중부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방이 되었다.[1]
키네시마에서는 철도가 볼가강을 건너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향하는 열차의 일부가 키네시마를 경유하여 동쪽으로 간다.[1] 모스크바의 야로슬라블 역에서 키네시마까지는 열차로 9시간이 걸린다.[1] 2003년에는 키네시마에서 볼가강을 건너는 새로운 도로 교량이 개통되어, 강 건너편과의 교통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1] 자동차는 러시아제나 독일제가 많았지만, 우핸들 일본차(중고차)가 독일차와 비슷한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1] 시내의 대중 교통은 사영 미니버스가, 타 도시와의 사이에는 대형 관광 버스가 이용되고 있다.[1]
5. 3. 경제적 과제
18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산업은 섬유 제조업이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의 모든 섬유 중심지와 마찬가지로, 이 도시의 번영은 쇠퇴했다.[1]오늘날 키네시마의 주요 산업은 섬유 공업, 제재업, 화학 공업 등이며, 볼가강 수운의 항만 수송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경공업이 타격을 받아 섬유를 중심으로 번영해 온 이바노보주는 러시아 중부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방이 되었다.[1]
6. 건축
키네시마의 주요 랜드마크는 1838년부터 1845년까지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성삼위일체 대성당이다. 시내에는 18세기에 건축된 여러 교회가 있다. 키네시마의 여러 지역에는 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 알렉산드르 보로딘, 표도르 브레디킨의 저택과 박물관이 있다.
7. 종교
8. 인물
9. 자매 도시
키네시마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7]
- -- 반타, 핀란드
- -- 바라나비치, 벨라루스
- -- 구다우타, 압하스 자치 공화국
참조
[1]
기타
2010Census
[2]
서적
Субстратная топонимия Русского Севера. IV. Топонимия мерянского типа
Изд-во Урал. ун-та
2015
[3]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www.mrkineshm[...]
Kineshemsky District
2017-05-06
[4]
법률
Law #145-OZ
[5]
법률설명
[6]
법률
Law #124-OZ
[7]
웹사이트
Города побратимы
http://www.admkinesh[...]
Kineshma
2020-02-05
[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