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로색슨 연대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9세기부터 12세기까지 잉글랜드의 역사를 기록한 연대기이다. 앵글로색슨인들의 브리타니아 정착, 바이킹의 침입, 잉글랜드 왕국의 통합, 그리고 언어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여러 사본이 존재하며, 각 사본은 웨식스 왕조의 관점을 반영하거나 필사자의 의도에 따라 내용이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이 연대기는 역사적, 언어학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잉글랜드 초기 역사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의 역사가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고대 영문학 - 엑서터 북
엑서터 북은 10세기 영국에서 제작된 앵글로색슨 시 모음집으로, 다양한 장르의 시와 수수께끼를 포함하며 엑서터 주교 레오프릭의 유증으로 보존되었다. - 고대 영문학 - 고대 영어 니고데모 복음
앵글로색슨 연대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연대기 |
언어 | 고대 영어 |
시기 | 9세기 후반 – 1154년 |
범위 | 영국 |
주제 | 앵글로색슨 역사 정치 사회 |
원본 텍스트 | 파커 사본 피터버러 사본 |
로마자 표기법 | Aenggeulloseokseon Yeondaegi |
역사적 맥락 | |
기원 | 9세기 후반, 웨식스 왕국에서 시작 |
목적 | 앵글로색슨족의 역사와 정체성 기록 |
주요 사건 | 알프레드 대왕의 통치 바이킹의 침략 앵글로색슨족의 사회 변화 |
특징 | 사건의 연대기적 기록 다양한 사본과 편찬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의 혼합 |
사본 정보 | |
A 사본 | 파커 사본 가장 오래된 사본 캔터베리 대성당 보관 |
B 사본 | 영국 도서관 소장 |
C 사본 | 영국 도서관 소장 |
D 사본 | 영국 도서관 소장 북부 영어 방언 특징 |
E 사본 | 피터버러 사본 1154년까지 기록 12세기 영어 발달 과정 반영 |
F 사본 | 두 언어로 기록 |
내용 특징 | |
주요 인물 | 알프레드 대왕 에드워드 장로 애설스턴 크누트 대왕 |
주요 사건 | 헤이스팅스 전투 잉글랜드 정복 노르만 왕조의 시작 |
역사적 가치 | 앵글로색슨족의 관점 기록 중세 영어 연구 자료 잉글랜드 역사 이해의 필수 자료 |
영향 및 평가 | |
영향 | 후대 연대기 작성에 영향 잉글랜드 역사 연구의 기초 자료 문학 및 언어학 연구 자료 |
평가 | 역사적 기록으로서의 중요성 다양한 사본과 편찬으로 인한 복잡성 역사가들의 지속적인 연구 대상 |
2. 배경
앵글로색슨인은 5세기 무렵 브리튼섬에 정착하여 여러 왕국을 세웠다. 9세기에는 바이킹의 침입으로 위협받았다. 웨식스의 알프레드 대왕은 바이킹에 맞서 싸우며 앵글로색슨족의 통합을 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앵글로색슨 연대기》가 편찬되었다.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알프레드 대왕 통치 시기에 웨식스에서 최초로 편찬되기 시작하여 잉글랜드 각지의 수도원에 사본으로 전해졌고, 각 수도원에서 독자적으로 내용을 추가하며 완성되었다.
2. 1. 앵글로색슨 칠왕국
앵글로색슨인은 오늘날의 덴마크를 비롯한 유틀란트반도와 저지대 국가 부근에 살았던 게르만족의 후손들이다. 이들은 브리타니아 시기부터 용병으로 진출하여 있었고, 로마가 브리튼섬에 대한 영향력을 잃은 5세기 무렵 정착하여 왕국들을 세웠다.[72] 앵글로색슨인이 세운 왕국으로는 에식스(동색슨), 서식스(남색슨), 웨식스(서색슨), 머시아(변경국), 노섬브리아(북부 험버강변 국가), 켄트(귀퉁이땅), 이스트앵글리아(동잉글랜드)의 일곱 개 국가가 있었으며,[73] 흔히 앵글로색슨 칠왕국으로 불린다.[74]2. 2. 바이킹의 침입과 데인로
9세기 무렵 잉글랜드의 왕국들은 바이킹 또는 데인인으로 불리는 북유럽 지역 부족들의 침공을 받았다. 이들은 영토를 점령하고 정착하기 시작했는데, 이들의 영토는 데인로로 불렸으며 잉글랜드의 앵글로색슨 국가들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다. 웨식스의 알프레드 대왕은 잉글랜드 남부의 에식스, 머시아 등의 왕국을 끌어들여 맞섰으나 고전하다가 878년 바이킹 구스룸의 군대와 싸워 이긴 후 평화조약을 맺을 수 있었다.[75] 이후로도 잉글랜드는 데인인과 지속적인 갈등을 겪었으며,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중반까지는 덴마크의 크누트 대왕이 건설한 북해 제국의 속령 상태였다.[76]알프레드 대왕은 잉글랜드를 구원한 왕으로 알려져 있지만, 당시 잉글랜드는 여러 왕국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웨식스를 중심으로 뭉칠 이유는 없었다. 머시아가 다시 패권을 쥘 수도 있었고, 심지어 데인로의 바이킹을 중심으로 뭉치는 것도 가능했다.[72] 알프레드는 이러한 상황에서 구스룸과 평화조약 이후 되찾은 영토에 잔류한 데인인을 포함하여 여러 색슨족 왕국으로 분할되었던 새 영토에 일괄적으로 적용될 법과 제도의 정비가 절실했다. 그는 재위 마지막 10년 동안 교육과 학문의 부활을 위해 힘썼으며,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최초 원본은 이 즈음 알프레드의 궁전에서 작성되었을 것이다.[72]
3. 집필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원본은 9세기 후반 웨식스에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존하는 모든 연대기는 사본이어서 정확한 원본 집필 시기는 알 수 없다. 사본들은 각 수도원으로 보내진 후 독립적으로 내용이 추가되거나 수정되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81]
역사가들은 《앵글로색슨 연대기》(때로는 《초기 영국 연대기》[5]로도 알려짐)의 공통 원본이 890년에서 892년 사이에 현재의 형태로 편집되었다는 데 동의한다.[6] 웨식스에서 편찬되었다는 데는 의견이 일치하지만,[9][8][14][10][11] 정확한 장소는 알 수 없다.
알프레드 대왕 자신이 연대기 편찬의 후원자였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10] 사이먼 키이스와 마이클 래피지는 "웨섹스 왕조 선전의 한 형태로 여기려는 유혹을 극복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2] 그러나 공통 원본이 알프레드 왕조와 통치를 체계적으로 옹호하고, 그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고대 영어를 문어로 사용하는 것과 일관되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13][18]
3. 1. 초기 잉글랜드 연보
현존하는 모든 연대기는 사본이어서 원본이 처음 집필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사학자들은 원본인 "《초기 잉글랜드 연보》"[77]가 9세기 후반 웨식스에서 집필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78][79] 프랭크 스탠튼은 서술된 내용을 볼 때 첫 원본은 왕실이나 귀족이 아닌 세속적인 이유로 작성되었을 것이라 주장하면서, 작성 장소를 "서머싯과 도싯 사이의 남서부 지방"으로 추정하였다.[80]3. 2. 사본의 제작과 가필
현존하는 모든 연대기는 사본이고 따라서 정확히 언제 원본이 처음 집필되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사학자들은 원본인 "초기 잉글랜드 연보"Early English annals영어[77]가 9세기 후반 웨식스에서 집필되었을 것이라고 여긴다.[78][79] 프랭크 스탠튼은 서술된 내용을 볼 때 첫 원본은 왕실이나 귀족이 아니라 세속적 이유로 작성되었을 것이라 주장하면서 작성 장소를 "서머싯과 도싯 사이의 남서부 지방"으로 추정하였다.[80] 원본이 집필된 후 각지의 수도원으로 보내져 사본이 만들어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도원의 사본들은 저마다 독립적으로 가필되었는데 소실된 부분을 다시 작성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면서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하게 되었다.[81]모든 사본은 원본에서 파생한 것이지만 사본 사이의 관계는 보다 복잡하여 단순히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이어지지 않는다. 관계도에서 볼 수 있듯이 사본들 사이에서도 상호 참조가 있었다.[82]
- [A2]는 1001년에서 1013년 사이 윈체스터에서 만들어진 [A]의 사본이다.
- [B]는 11세기 중반 어빙던 수도원에서 [C]를 참조하여 편집한 것이다. [C] 역시 또 다른 사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나 참조한 사본은 소실되었다.
- [D]에는 베다 베네라빌리스가 731년 집필한 노섬텀브리아 연대기인 《앵글인의 교회사》 내용이 들어가 있다. 이것은 북부 버전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북부 버전은 소실되었다.
- [E]에는 [D]에서만 언급하고 있는 머시아 기록이 담겨 있다. 피터버러 수도원에서 작성된 이 사본은 1116년 수도원 화재로 이전 사본이 소실된 뒤 다시 편집된 것이다. 다시 편집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본들을 참조했을 것이다. [E]에는 캔트 또는 캔터베리 버전으로 불리는 소실된 연대기에서 참조된 내용도 있다.
- [F]에는 [E]와 동일한 캔터버리 출처가 사용되었다.
- 아세르의 《알프레드 왕의 삶》은 893년 집필되었고 849년에서 887년에 해당하는 연대기 원본의 내용이 번역되어 있다. 현존하는 사본 중에는 오직 [A]만 이 부분을 수록하고 있지만 이 역시 부분적이기 때문에 아세르가 참조한 원본은 아니다.
- 사학자 에델위어드는 10세 후반 연대기를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내용을 보면 [A]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애셀위어드 연대기와 [A]가 원본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추정된다.[87]
- 아세르의 텍스트와 [A] 그리고 애덜위어드의 연대기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나머지 [B], [C], [D], [E]는 그 보다 후대에 편집된 것으로 지금은 소실된 공통의 모본을 참조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88]
- 1120년에서 1140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애빙던에서 밝혀지지 않은 작가가 라틴어 연대기인 《세인트 니어츠 연보》를 집필하였다. 이 연보는 연대기를 참조하였지만 전혀 다른 자신만의 이야기를 하고 있고, 아마도 고유의 목적에 의해 연대기의 내용을 수정하였을 것이다.[87]
현존하는 모든 연대기 사본은 756년에서 845년 사이의 사건 기록에 오류를 보인다. 그러나 《세인트 니어츠 연보》의 저자는 이 부분을 바로잡았다. 애덜위어드 연대기 역시 연대기 오류가 있지만 885년 이후의 기록에는 누락된 부분이 없다. 반면에 현존하는 연대기 사본은 모두 이 부분에 누락이 있다. 이로 보아 현존하는 사본은 모두 최소 두 번 이상 다시 편집된 것으로 원본과는 간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88]
4. 현존 연대기
현존하는 《앵글로색슨 연대기》 사본은 9개이며, 그 가운데 7개는 고대 영어로 작성되었다. 나머지 2개 중 《켄터베리 이중언어 개요서》는 고대 영어와 라틴어 번역이 함께 수록되어 있으며, 《피터버러 연대기》는 대체로 고대 영어로 작성되었지만 마지막 부분은 초기 중세 영어로 작성되었다. 《윈체스터 연대기》는 1070년까지 머시아 방언으로 작성되었고, 1075년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1861년 벤저민 소프는 6개의 사본을 묶어 《롤스 시리즈》를 발간하면서 A부터 F까지 기호를 부여하여 사본을 구분하였다. 이후 발견된 사본에는 G, H, I 기호가 부여되었다.
모든 사본은 원본에서 파생되었지만, 사본들 사이의 관계는 복잡하다. 사본 [A2]는 윈체스터에서 만들어진 [A]의 사본이고, 사본 [B]는 애빙던 수도원에서 [C]를 참조하여 편집되었다. 사본 [D]에는 《앵글인의 교회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북부 버전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본 [E]에는 머시아 기록이 담겨 있으며, 피터버러 수도원에서 화재 이후 다시 편집되었다. [E]와 [F]에는 캔터베리 출처가 사용되었다. 학자 에델위어드는 10세기 후반 연대기를 라틴어로 번역하였는데, [A]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아세르의 텍스트와 [A], 에델위어드 연대기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B], [C], [D], [E]는 소실된 공통 모본을 참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1120년에서 1140년 사이 애빙던에서 《세인트 니어츠 연보》가 집필되었는데, 이 연보는 연대기를 참조했지만 고유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현존하는 사본 목록과 소장처는 아래 표와 같다.
번호 | 제목 | 소장처 | 필사본 |
---|---|---|---|
A | 윈체스터 연대기 (파커 연대기) | 코르푸스 크리스티 칼리지 파커 도서관 | 173 |
B | 애빙던 제1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티베리우스 A. vi |
C | 애빙던 제2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티베리우스 B. i |
D | 워체스터 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티베리우스 B. iv |
E | 피터버러 연대기 | 보들리 도서관 | Laud misc. 636 |
F | 켄터베리 이중언어 개요서 | 대영도서관 | 코튼 도미티안 A. viii |
G 또는 A2 또는 W | 윈체스터 연대기 복본 | 대영도서관 | 코튼 오토 B. xi + 오토 B. x |
H | 코튼의 파편서 | 대영도서관 | 코튼 도미티안 A. ix |
I | 부활절력 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칼리굴라 A. xv |
4. 1. 윈체스터 연대기 (파커 연대기)

사본 [A]로 불리는 《윈체스터 연대기》(또는 《파커 연대기》)는 현존하는 연대기 사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올드 민스터에서 시작되었고 알프레드 대왕 재위 말까지 이어졌다. 먼저 알프레드 대왕의 가계를 설명하는 서문이 있고, 기원전 60년부터 편년체로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82] 연대기의 편집 형식은 1단 32행이다.[90]
891년 말까지의 일을 기록하였고, 복제된 비슷한 사본에는 925-955년의 사건이 추가로 기록되었다. 이 사본이 윈체스터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은 분명한데, 윈체스터를 언급할 때 도시 또는 체스터라고 기록하기 때문이다.[89] 975년 《윈체스터 연대기》는 《알프레드 법령집》, 924년 출간된 《웨식스의 계보》와 함께 묶여 출간되었고, 11세기 초 캔터베리로 옮겨졌다.[82] 이 책은 대주교 파커가 코퍼스 크리스티에 기증한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90]
캔터베리에 있는 동안 연대기의 일부 구절들이 삭제되었고, 이를 참조하여 사본 [E]가 제작되었다.[89] 자국어로 제작된 마지막 사본은 1070년에 제작되었고, 그 이후 교회는 1070년에서 1093년 사이의 사건을 추가한 라틴어 판본 "악타 란프란키"(Acta Lanfranci)를 제작하였다. 추가된 부분에는 교황과 캔터베리 대주교의 명단이 수록되었다.
마지막 소유자는 캔터버리의 대주교(재임 1559년 - 1575년)이자[82] 캠브리지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학장이었던 파커로, 그가 사망하자 연대기는 코르푸스 크리스티 칼리지 파커 도서관이 소장하게 되었다.
4. 2. 애빙던 연대기 I, II
《애빙던 연대기 I》(Abingdon Chronicle I)은 10세기 후반 한 명의 필경사가 작성하였다.[46] 이 연대기는 기원전 60년의 기록으로 시작하여 977년의 기록으로 끝난다. 원래 이 연대기의 서문이었던 별도의 필사본(영국 도서관 소장 코튼 티베리우스 Aiii, 178쪽)은 [A]와 마찬가지로 족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10세기 후반까지 확장되어 있다. [B]는 11세기 중반 애빙던에 있었는데, [C]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이다.[4] 그 직후 캔터베리로 옮겨져 보간과 수정이 이루어졌다. [A]와 마찬가지로 교황 목록과 그들이 팔리움을 보낸 캔터베리 대주교 목록으로 끝난다.[4]
사본 [C]인 《애빙던 연대기 II》는 집필 당시 애빙던 지방의 역사를 함께 수록하고 있다.[82] 편집 방식은 알프레드 대왕 시기 소개된 바 있는 동방정교회의 경전이나 금언집에서 영향을 받았다.[92] 내용은 기원전 60년에서 490년에 이르는 1부와 1048년까지의 사건을 기록한 2부로 나뉘어 있다. 사본 [B]와 사본 [C]는 491년과 652년의 사건 기술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C]가 [B] 이외의 다른 사본도 참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본은 또한 알프레드의 딸이자 머시아의 여왕이었던 애셀플래드가 902년에서 924년까지 추진하였던 머시아 토지 등기에 대해 915년 사건으로 서술하고 있다. 《애빙던 연대기 II》의 기록은 1066년까지 이어지며 스탬퍼드브리지 전투를 마지막으로 기록이 그친다. 12세기에 간단한 서술 몇 줄이 추가되었다.[82]
4. 3. 워체스터 연대기
사본 [D]는 《워체스터 연대기》로 불리며 대영도서관의 코튼 티베리우스 B iv에 소장되어 있다.4. 4. 피터버러 연대기
1116년 피터버러 수도원에 화재가 발생하여 수도원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이때 연대기 사본도 소실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 직후 캔터베리에서 복사된 것으로 보이는 새로운 사본이 만들어졌다.[4] 이 사본은 1121년까지 한 명의 필사자가 작성하였으며,[49] 피터버러 수도원과 관련된 자료들이 추가되었다. 캔터베리 원본은 사본 [D]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으며, 머시아 기록은 없고, 브루난부르 전투에 관한 시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 필사자는 1131년까지 연대기 작성을 계속했으며, 기록 간 간격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대의 기록으로 추정된다. 1154년에는 두 번째 필사자가 1132년부터 1154년까지의 기록을 작성했으나, 연대는 신뢰하기 어렵다. 이 마지막 항목은 고대 영어가 아닌 중세 영어로 작성되었다. 윌리엄 로드가 소유했었기 때문에 "로드 연대기"라고도 불린다.[4] 이 사본에는 라틴어 주석이 간헐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1566년의 골동품 책에서 ("피터버러 교회의 삭슨 이야기"로) 언급된다.[49] 윌리엄 캠던[50]과 윌리엄 리슬[51] 등이 이 사본을 소유했었다.4. 5. 켄터베리 이중언어 개요서
《켄터베리 이중언어 개요서》는 1100년경 크라이스트처치, 캔터베리에서 제작된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사본이다.[52] 이 사본은 고대 영어와 라틴어 두 가지 언어로 쓰였으며, 고대 영어로 작성된 각 항목 뒤에 라틴어 번역이 이어진다. 필사자가 참조한 판본은 《피터버러 연대기》를 작성한 필사자가 사용한 것과 유사하지만, 축약된 형태이다. 이 사본은 《워체스터 연대기》와 동일한 서문 자료를 포함하며, 《피터버러 연대기》와 함께 "브루난부르 전투" 시를 포함하지 않는 두 개의 연대기 중 하나이다.이 사본에는 많은 주석과 행간 첨언이 있는데, 일부는 원래 필사자가 작성했고, 일부는 로버트 탈봇을 포함한 후대 필사자들이 작성했다.[4],[53] 참조한 사본에 있던 주석과 이 사본의 고유한 주석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4. 6. 윈체스터 연대기 복본, 코튼의 파편서, 부활절력 연대기
번호 | 제목 | 소장처 | 필사본 |
---|---|---|---|
G 또는 A2 또는 W | 윈체스터 연대기 복본 | 대영도서관 | 코튼 오토 B. xi + 오토 B. x |
H | 코튼의 파편서 | 대영도서관 | 코튼 도미티안 A. ix |
I | 부활절력 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칼리굴라 A. xv |
윈체스터 연대기 사본 [A²]는 11세기에 윈체스터에서 [A]를 베껴 쓴 것으로, 베다의 「교회사」 구영어 번역본의 10세기 사본을 따랐다.[45] 마지막 연대기 기록이 1001년이므로, 그 이후에 만들어졌다. [A²]에 덧붙여진 주교 목록을 보면, 1013년 이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사본은 코튼 도서관이 소장되어 있던 애쉬번햄 하우스에서 1731년 화재로 거의 전소되었다.[4] 원래 34장 중 7장(39-47장)만 남아 있다.[55] 그러나 16세기 골동품 수집가인 로렌스 노웰이 필사본을 만들었고, 이를 아브라함 윌록이 1643년에 인쇄한 연대기 판본에 사용했다.[4] 이 때문에 윌록의 이름을 따서 [W]라고도 불린다. 노웰의 필사본은 원래 이 문서의 일부였던 것이 아니라 [B](현재 영국 도서관 소장 코튼 티베리우스 Aiii, 178장)에서 분리된 계보적 서문을 베꼈다. 원본 [A²] 서문은 나중에 화재 전에 제거되었고, 영국 도서관 추가 자료 34652, 2장으로 남아 있다.[54]
코튼의 파편서는 1113년에서 1114년의 일을 기록한 단 한 장이 남아있다.
《부활절력 연대기》로 불리는 사본 [I]는 캔터버리의 교회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기에 등장하는 사건들을 연표로 정리하였다.[97] 캔터베리의 안셀무스가 사망한 1109년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대부분 영어로 쓰였지만 일부는 라틴어로 쓰였다.[98] [I]의 일부는 1073년 직후 필사가에 의해 작성되었으며,[4] 칼리굴라 사본(Caligula MS)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필체와 잉크로 쓰여졌다. 1085년 이후 연대기는 다양한 당대 필사가의 필체로 기록되어 있다. 원래 연대기 작성자의 잉글랜드 정복에 대한 기록은 "Her forðferde eadward kyng"(에드워드 왕이 여기서 죽었다)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나중에 다른 필사가가 "7 her com willelm"(그리고 윌리엄이 왔다)이라고 추가하였다.[58] 이 사본은 한때 캔터베리의 세인트 오거스틴 수도원에 있었다.[4][59]
5. 사본 사이의 관계
모든 《앵글로색슨 연대기》 사본은 공통된 원본에서 유래했지만, 사본들 간의 관계는 단순하지 않다.[82] 오른쪽 도표는 사본들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사본들 사이에서도 상호 참조가 있었다.[40]
- [A2]는 1001년에서 1013년 사이, 윈체스터에서 제작된 [A]의 사본이다.
- [B]는 11세기 중반 애빙던에서 [C]를 참조하여 편집한 것이다. 그러나 [C]의 필사자는 또 다른 버전에도 접근할 수 있었는데, 이 버전은 전해지지 않는다.
- [D]는 731년에 베다가 저술한 《앵글로색슨족 교회사》와 8세기의 노섬브리아 연대기 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해지지 않는 북부 버전에서 복사된 것으로 생각된다.
- [E]는 [D]와 같은 출처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자료를 가지고 있지만, 머시아 기록과 같이 [D]에만 나타나는 일부 추가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 사본은 1116년의 화재로 연대기 사본이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피터버러 수도원에서 화재 이후 어느 시점에 제작되었다. [E]는 그 후 켄트 버전, 아마도 캔터베리에서 온 사본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F]는 [E]를 만드는 데 사용된 것과 같은 캔터베리 버전의 자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 893년에 쓰여진 아세르의 『알프레드 왕전』에는 849년부터 887년까지의 연대기 항목 번역이 포함되어 있다. 기존 사본 중 [A]만이 893년까지 존재했을 수 있지만, 아세르가 [A]의 텍스트와 다른 부분이 있어 아세르가 전해지지 않은 버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 에셀워드는 10세기 후반에 『앵글로색슨 연대기』를 라틴어로 번역한 『에셀워드 연대기』를 저술했다. 그가 사용한 버전은 아마도 [A]가 유래한 것과 같은 관계의 가지에서 나온 것일 것이다.[87][42]
- 아세르의 텍스트는 [B], [C], [D], [E]의 결합된 증언과 반대로 어떤 부분에서는 [A]와 에셀워드의 텍스트와 일치하며, 이는 후자의 네 개의 사본에 대한 공통 조상이 있음을 암시한다.[88][43]
- 베리 세인트 에드먼즈에서 1120년과 1140년 사이에 알려지지 않은 저자가 『세인트 니오츠 연대기』로 알려진 라틴어 연대기를 저술했다. 이 저술은 연대기 사본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연대기 편찬자가 자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어떤 버전을 사용했는지 알기가 매우 어렵다. 그것은 북부 개정판이거나 그 개정판의 라틴어 파생물이었을 수 있다.[87][42]
위에서 설명한 모든 사본은 756년과 845년 사이에 연표 오류를 공유하지만, 『세인트 니오츠 연대기』의 편찬자는 이 오류가 없고 이보다 앞서 존재했던 사본을 사용했던 것은 분명하다. 에셀워드의 사본에는 연표 오류가 있었지만 885년 연표에서 전체 문장이 누락되지 않았다. 모든 기존 사본에서 이 문장이 누락되었다. 따라서 오류와 누락된 문장은 별도의 복사 단계에서 도입되었으며, 이는 기존 사본 중 어느 것도 원본에서 두 단계 이상 떨어져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88][43]
6. 사본의 역사
현존하는 모든 연대기는 사본이며 원본이 언제 처음 집필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사학자들은 원본인 "《초기 잉글랜드 연보》"[77]가 9세기 후반 웨식스에서 집필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78][79] 원본이 집필된 후 각지의 수도원에서 사본이 만들어졌고, 시간이 지나면서 수도원의 사본들은 독립적으로 내용이 추가되면서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하게 되었다.[81]
현존하는 사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윈체스터 연대기》(또는 파커 연대기)로 891년까지 역사를 한 명의 필경사가 작성하였다. 필경사는 연대기 여백에 DDCCXCII 이라고 제작 연도를 밝혀두어 892년에 집필을 완료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윈체스터 연대기》는 후대에 다른 필경사들이 가필한 부분이 있다.[82] 솔즈베리의 주교였던 아세르가 893년 집필한 《알프레트 왕의 삶》에서 이 연대기를 언급하고 있어, 《윈체스터 연대기》의 제작 연도를 892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83] 현존하는 《윈체스터 연대기》는 최소 두 번 이상 다시 쓰인 것으로, 이 사본의 첫 집필이 윈체스터에서 있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84]
현존하는 연대기 9 개 가운데 7 개는 고대 영어로 작성되었다. 나머지 2 개 가운데 하나인 《켄터베리 이중언어 개요서》는 고대 영어와 라틴어 번역으로 되어 있고, 다른 하나인 《피터버러 연대기》는 대체로 고대 영어로 작성되어 있지만 마지막 부분은 초기 중세 영어로 작성되었다.
1861년 벤저민 소프는 6개의 사본을 묶어 《롤스 시리즈》를 발간하면서 A에서 F까지 기호를 부여하여 사본을 구분하였다. 소프는 1731년 화재가 난 애쉬번햄 하우스에서 타다 남은 일곱번째 사본을 발견하고 G 기호를 부여하였다. 이후 발견된 두 사본에는 각각 H와 I가 기호로 부여되었다. 현존하는 사본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번호 | 제목 | 소장처 | 필사본 |
---|---|---|---|
A | 윈체스터 연대기 (파커 연대기) | 코르푸스 크리스티 칼리지 파커 도서관 | 173 |
B | 애빙던 제1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티베리우스 A. vi |
C | 애빙던 제2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티베리우스 B. i |
D | 워체스터 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티베리우스 B. iv |
E | 피터버러 연대기 | 보들리 도서관 | Laud misc. 636 |
F | 켄터베리 이중언어 개요서 | 대영도서관 | 코튼 도미티안 A. viii |
G 또는 A2 또는 W | 윈체스터 연대기 복본 | 대영도서관 | 코튼 오토 B. xi + 오토 B. x |
H | 코튼의 파편서 | 대영도서관 | 코튼 도미티안 A. ix |
I | 부활절력 연대기 | 대영도서관 | 코튼 칼리굴라 A. xv |
모든 사본은 원본에서 파생되었지만, 사본들 사이에서도 상호 참조가 있었다.[82]
- [A2]는 1001년에서 1013년 사이 윈체스터에서 만들어진 [A]의 사본이다.
- [B]는 11세기 중반 애빙던 수도원에서 [C]를 참조하여 편집한 것이다. [C] 역시 또 다른 사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나 참조한 사본은 소실되었다.
- [D]에는 베다 베네라빌리스가 731년 집필한 노섬텀브리아 연대기인 《앵글인의 교회사》 내용이 들어가 있다. 이것은 북부 버전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북부 버전은 소실되었다.
- [E]에는 [D]에서만 언급하고 있는 머시아 기록이 담겨 있다. 피터버러 수도원에서 작성된 이 사본은 1116년 수도원 화재로 이전 사본이 소실된 뒤 다시 편집된 것이다. 다시 편집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본들을 참조했을 것이다.
- [F]에는 [E]와 동일한 캔터베리 출처가 사용되었다.
- 아세르의 《알프레드 왕의 삶》은 893년 집필되었고 849년에서 887년에 해당하는 연대기 원본의 내용이 번역되어 있다. 현존하는 사본 중에는 오직 [A]만 이 부분을 수록하고 있지만 이 역시 부분적이기 때문에 아세르가 참조한 원본은 아니다.
- 사학자 에델위어드는 10세 후반 연대기를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내용을 보면 [A]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애셀위어드 연대기와 [A]가 원본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추정된다.[87]
- 1120년에서 1140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애빙던에서 밝혀지지 않은 작가가 라틴어 연대기인 《세인트 니어츠 연보》를 집필하였다. 이 연보는 연대기를 참조하였지만 전혀 다른 자신만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87]
현존하는 모든 연대기 사본은 756년에서 845년 사이의 사건 기록에 오류를 보인다. 그러나 《세인트 니어츠 연보》의 저자는 이 부분을 바로잡았다. 애덜위어드 연대기 역시 연대기 오류가 있지만 885년 이후의 기록에는 누락된 부분이 없다. 반면에 현존하는 연대기 사본은 모두 이 부분에 누락이 있다. 이로 보아 현존 하는 사본은 모두 최소 두 번 이상 다시 편집된 것으로 원본과는 간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88]
사본 [A]로 불리는 《윈체스터 연대기》 (또는 《파커 연대기》)는 현존하는 연대기 사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기록은 올드 민스터에서 시작하였고 알프레드 재위 말까지 이어졌다. 먼저 알프레드 대왕의 가계를 설명하는 서문이 있고, 기원전 60년부터 편년체로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82] 975년 《윈체스터 연대기》는 《알프레드 법령집》, 그리고 924년 출간된 《웨식스의 계보》와 함께 묶여 출간되었고 11세기 초 캔터버리로 옮겨졌다.[82] 이 책은 대주교 파커가 코퍼스 크리스티에 기증한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90] 캔터버리에 있는 동안 연대기의 일부 구절들이 삭제되었고 이를 참조하여 사본 [E]가 제작되었다.[89] 연대기의 마지막 소유자는 캔터버리의 대주교(재임 1559년 - 1575년)이자[82] 캠브리지 대학교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학장이었던 파커로 그가 사망하자 연대기는 칼리지 도서관이 소장하게 되었다.
사본 [B]로 불리는 《애빙던 연대기 I》은 10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기원전 60세기부터 편년체로 역사를 기록하여 977년의 사건까지 기록하고 있다. 현존하는 사본은 [A]에서 파생되었으나 10세기에 더욱 확장시킨 계보를 서문을 겸해 싣고 있다. 사본 [B]가 애빙던으로 옮겨 온 까닭은 11세기 제작된 사본 [C]를 집필할 참고본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사본 [C]의 제작이 끝난 뒤 사본 [B]는 캔터버리에 보관되었다. 이 사본도 사본 [A]와 같이 말미에 교황과 캔터버리 대주교의 명단 목록을 수록하고 있다.[82]
사본 [C]인 《애빙던 연대기 II》는 집필 당시 애빙던 지방의 역사를 함께 수록하고 있다.[82] 내용은 기원전 60년에서 490년에 이르는 1부와 1048년까지의 사건을 기록한 2부로 나뉘어 있다. 사본 [B]와 사본 [C]는 491년과 652년의 사건 기술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C]가 [B] 이외의 다른 사본도 참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본은 또한 알프레드의 딸이자 머시아의 여왕이었던 애셀플래드가 902년에서 924년까지 추진하였던 머시아 토지 등기에 대해 915년 사건으로 서술하고 있다. 《애빙던 연대기 II》의 기록은 1066년까지 이어지며 스탬퍼드브리지 전투를 마지막으로 기록이 그친다. 12세기에 간단한 서술 몇 줄이 추가되었다.[82]
사본 [D]인 《워체스터 연대기》는 11세기 중반 집필되었으며 1033년 이후의 기록에서 워체스터 지방의 사건들이 수록되어 있어 그때쯤 집필되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워체스터 연대기》는 제작 시기를 달리하는 5개의 사본이 1054년부터 만들어졌다. 내용에는 베다 베네라빌리스의 《앵글인의 교회사》에서 가져온 것과 8세기 무렵 노섬브리아 왕국의 연대기에서 가져온 사건이 삽입되어 있다.
사본 [E]인 《피터버러 연대기》는 1116년 연대기를 보관하던 수도원에 화재가 나서 소실된 다음 다시 집필된 것이다. 새로 만들어진 연대기는 《캔터버리 연대기》와 거의 같은 고대 영어 켄트 방언으로 쓰였다.[82] 《피터버러 연대기》는 짧은 기간 동안 단 한 명의 필경사가 제작한 것으로 1121년 사건까지 기록되어 있다.[93] 이 연대기에는 다른 사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사건들도 기록되어 있다. 사본 [D]를 참조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머시아 토지 등기와 같은 사건들은 빠져있고 937년 있었던 브루넌버 전투에 대한 시가 수록되어 있다. 뒤쪽으로 1131년까지의 기록이 추가되었는데 후대에 연대기를 보관하고 있던 수도원에서 그때그때 간략한 기록을 추가한 것이다. 이 기록들 뒤로 1154년까지의 사건을 정리한 다른 기록이 추가되어 있다. 이 마지막 기록이 언제 이루어졌는 지는 불확실하지만 초기 중세 영어로 작성되어 있다. 사본 [E]는 1633년에서 1654년 사이에 캔터버리 대주교로 있던 윌리엄 라우드가 소장하여 《라우드 연대기》로도 불린다.[82]
1100년 무렵 캔터버리 대성당에서 제작된 사본 [F]는 《켄터베리 이중언어 개요서》로 불린다.[96] 사본 [A]를 참조하여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사본은 고대 영어와 라틴어 두 언어로 쓰였다. 사본 [D]나 [E]와 같이 계보를 서문으로 실었지만 브루넌버 전투에 대한 시는 빠져있다. 이 사본엔 많은 주석과 행간 첨언이 달려있다.[82]
사본 [G]는 사본 [A]인 《윈체스터 연대기》의 복본이다. 이 때문에 사본 [A2]로도 불린다. 11세기 무렵 사본 [A]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90] 이 사본에 적힌 마지막 사건은 1001년의 일로 [A]를 제외한 다른 사본들보다 일찍 제작되었을 것이다. 이 사본은 1731년 애쉬번햄 하우스가 불타면서 사본을 소장하고 있던 코튼 도서관이 함께 불타는 바람에 거의 모든 내용이 소실되었다.[82]
코튼 도서관에서 파편으로 발견된 사본 [H]는 1113년에서 1114년의 일을 기록한 단 한 장이 남아있다.[82]
《부활절력 연대기》로 불리는 사본 [I]는 캔터버리의 교회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기에 등장하는 사건들을 연표로 정리하였다.[97] 캔터버리의 앤셀름이 사망한 1109년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대부분 영어로 쓰였지만 일부는 라틴어로 쓰였다.[98]
더럼 도서관의 도서 목록에는 지금은 소실 된 연대기가 기록되어 있다. 목록에 등재된 것은 둘로 하나는 《크로니카 듀오 앙글리카》(cronica duo Anglica, 앙글리아 연대기)이고 다른 하나는 파커가 기증한 《히스트 앙글리애 삭소니카》(Hist. Angliae Saxonica, 앵글로색슨의 역사)이다.[88][99]
7. 출전, 신뢰도, 일자
《The Anglo-Saxon Chronicle영어》(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여러 출전을 사료로 삼았으며, 초기 기록은 신빙성이 낮지만, 당대 기록은 중요한 역사적 정보를 제공한다. 연대기에는 오류와 편향이 존재하므로, 인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웨식스 중심의 서술과 데인인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는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7세기 이전의 기록은 주로 외부 자료에 의존했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진다. 그러나 7세기 이후 웨섹스에서 직접 기록된 당대 기록은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다.[27][26][28][29]
연대기에는 지명, 사건, 연도 등에서 오류가 발견된다. 예를 들어 윗가르스뷔르크(Wihtgarasbyrg)는 윗가르(Wihtgar)가 아닌 와이트 주민들의 요새를 뜻하는 윗와라뷔르크(Wihtwarabyrg)의 오기이다.[25] 또한 756년에서 845년 사이의 기록에는 2년의 연대 오차가 존재한다.[38]
알프레드 대왕은 잉글랜드 통합을 위해 웨식스의 정통성을 강조했으며, 이는 연대기 기록에도 영향을 미쳐 웨식스 중심의 서술을 보여준다.[72] 예를 들어, 829년 에그베르트의 노섬브리아 침공에 대한 묘사는 웨식스 측 기록과 노섬브리아 측 기록이 서로 다르다.[34][35] 필사자들은 때때로 실수나 의도적인 이유로 자료를 생략하기도 했다.[37]
더 자세한 내용은 다양한 출전 및 오류와 편향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7. 1. 다양한 출전
《The Anglo-Saxon Chronicle영어》(앵글로색슨 연대기)는 베다 베네라빌리스의 '역사 개요', 켄트, 서식스, 머시아, 웨식스의 사료, 노섬브리아와 머시아 국왕들을 위한 연보 및 계보, 웨식스 주교들의 목록 등 다양한 출전을 사료로 삼았다.[15] 공통 원본 편집자가 이 자료들을 처음으로 어느 정도까지 모았는지, 그리고 9세기 후반 이전에 얼마나 많이 결합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16]최초의 연대기인 기원전 60년부터 449년까지는 주로 브리튼 외부의 주요 사건들을 제시하는 "세계사 연대기"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는 히에로니무스 (예로니무스)의 ''명사전'', ''교황 연대기'', 루피누스가 번역한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그리고 세비야의 이시도루스의 ''연대기''를 바탕으로 했다.[17][18]
8세기 초까지는 베다의 ''교회사'' 끝부분에 있는 연대기 요약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19][18]
449년부터는 영국 지역에 대한 자료가 나타나는데, 이는 종종 연대기에만 기록되어 있다. 연대기는 켄트, 서섹스, 웨섹스 왕국을 세운 앵글로색슨족의 정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21][22]
가장 초기의 베다 이외의 자료는 왕족 계보와 주교 목록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웨섹스의 이네의 통치 말기에 기록되었다.[23][24][18] 이러한 자료는 앵글리아 왕 계보와 웨섹스 계보 왕위 계승 목록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외에도 7세기에 웨섹스에서 기록되기 시작한 당대 연대기에 기초한 것으로 여겨진다. 648년 연대기는 당대 기록으로 쓰여진 항목들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661년 연대기에는 켄월이 싸운 전투가 "부활절에" 벌어졌다고 기록되어 있어 당대 기록임을 시사한다.[27][26][28][29] 노섬브리아와 머시아 왕들의 연대와 족보는 별개의 자료에서 설명된다.[30]
755년 항목은 키네울프가 시게베르트로부터 웨섹스 왕위를 빼앗은 것을 묘사하고 있는데, 주변 항목들보다 훨씬 길며, 당시 사건에 참여한 사람들의 직접적인 말을 인용하고 있어 기존의 사가 자료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31][32]
7. 2. 오류와 편향
앵글로색슨 연대기에는 지명, 사건 기록, 연대 표기 등에서 오류가 발견된다. 예를 들어, 514년과 544년 사이에 연대기는 와이트섬에 묻혔다고 전해지는 윗가르를 언급하는데, 그는 ''윗가르스뷔르크''("윗가르의 요새")에 묻혔고, 섬의 이름을 그에게서 따왔다고 한다. 그러나 와이트섬의 이름은 라틴어 ''Vectis''에서 유래한 것이지 ''윗가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다. 요새의 실제 이름은 아마도 ''윗와라뷔르크''("와이트 주민들의 요새")였을 것이며, 공통 원본 편집자 또는 그 이전의 자료가 이를 윗가르를 가리키는 것으로 잘못 해석했을 것이다.[25]또한, 현존하는 모든 연대기 사본은 756년에서 845년 사이의 사건 기록에 오류를 보인다.[88] 수동으로 사본을 만들던 과정에서 날짜에 우연한 오류가 발생했고, 이러한 오류는 전달 과정에서 때때로 더욱 심화되었다. 공통 원본의 전체 기록은 원형에서 2년이 누락되었기 때문에 756년부터 845년까지 2년의 연대적 오차가 있다.[38] [D] 사본에서는 필사자가 왼쪽 목록에서 1044년을 생략하여, 기록된 연대기가 1045년부터 1052년까지 잘못 기록되기도 했다.[39]
웨식스가 스스로를 색슨으로 강조하여 다른 지역과 구분한 것은 정통성에 대한 선전 목적에 따른 것이다. 알프레드 대왕은 잉글랜드를 구원한 왕으로 알려져 있지만, 당시 잉글랜드의 다른 왕국들은 굳이 웨식스를 수장으로 삼을 이유가 없었다.[72] 이러한 관점은 웨식스와 다른 왕국 간의 상호 작용, 그리고 바이킹의 약탈에 대한 묘사에 영향을 미친다.
공통 원본의 829년 연대기는 에그베르트의 노섬브리아 침입에 대해 노섬브리아인들이 그에게 "복종과 평화"를 제안했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로저 오브 웬도버(Roger of Wendover)의 13세기 역사에 통합된 노섬브리아 연대기는 "에그베르트가 모든 남부 왕국을 얻자 그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노섬브리아로 진격하여 그 지방을 심한 약탈로 황폐화시켰고, 에안레드 왕에게 조공을 바치게 했습니다."라고 다른 그림을 보여준다.[34][35]
필사자들은 때로는 실수로, 때로는 이념적 이유로 자료를 생략하기도 했다. 《연대기》가 침묵할 때 주요 사건을 보도하는 다른 자료들이 잘못된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지만, 때로는 《연대기》가 중요한 사건을 생략한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37]
8. 라틴어 번역과 앵글로노르만 사학자들의 이용
앵글로노르만인 사학자들인 워체스터의 존, 맬머스버리의 윌리엄, 헌팅던의 헨리는 각기 자신들의 기록에 《앵글로색슨 연대기》를 인용하였다.[113] 더럼의 사이먼 역시 연대기 사본을 가지고 있었다.[88] 후대의 중세 시기 사학자들 역시 연대기 사본을 소장하였거나 연대기를 언급한 다른 사료들을 참조하였고, 이후 연대기는 잉글랜드 역사학 전통의 주류가 되었다.[113]
헌팅던의 헨리가 사용한 연대기 사본은 [E] 사본과 매우 유사했다. 헨리의 저술에는 1121년 이후의 사건에 대해 연대기를 인용한 언급이 없는데, 이는 [E] 사본의 마지막 기록이 1121년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헨리는 [C] 사본 역시 사료로 이용하였다.[88]
노르만 왕조 시기 만들어진 《웨벌리 연보》는 [E] 사본과 비슷한 사본을 이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는 《피터버러 연대기》가 중요하게 다루는 사건들이 담겨있지 않다. 이 사본은 당시 연대기 사가였던 조프리 가이머가 번역했는데, 그가 본 사본이 어떤 것이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역사학자 도로시 화이트록은 가이머가 이용한 사본이 "[E]나 [F]보다 양호한 상태였을 것"이라며, 가이머가 활동하던 12세기 중반에 윈체스터 사본을 직접 이용했을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고 평했다. 화이트록은 현존하지 않는 [A] 사본의 원본이 가이머 시기에 존재했다면, 왜 이것이 계속해서 기록을 이어나가지 않았는지와 캔터버리 수도원으로 옮겨졌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88]
워체스터의 존은 《연대기 사본》을 집필했는데, 그가 사용한 것 역시 [A] 사본이거나 그와 매우 비슷한 사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에드워드 장자의 윈체스터 진군을 마지막으로 연대기가 끝나기 때문이다. 한편, [C] 사본과 [D] 사본에만 나타나는 머시아 토지 등기를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그것들 역시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88]
맬머스버리의 윌리엄이 이용한 사본은 [E]와 비슷한 것으로 보이지만, 현존하는 [E]와는 다른 점이 있다. 아마도 [E]를 만드는 데 사용된 사본을 참조했을 수 있다. 그는 켄왈흐의 위트게너스버그 전투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 사건은 현존하는 어느 사본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윌리엄이 사용한 사본은 후대에 소실되었을 것이다.[88]
9. 중요성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앵글로색슨 시기 잉글랜드 역사를 전하는 가장 중요한 사료 가운데 하나이다. 베다 베네라빌리스의 《앵글인의 교회사》와 함께 앵글로색슨 시대의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로마 제국의 퇴각 이후부터 노르만 정복 사이의 잉글랜드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114]
또한,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영어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114] 특히 《피터버러 연대기》는 고대 영어에서 중세 영어로 넘어가는 시기의 영어 변화를 보여주는 초기 중세 영어의 용례를 담고 있다.[82]
《앵글로색슨 연대기》에서는 앵글로색슨인들의 정신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 니콜라스 호우(Nicholas Howe, 1953년–2006년)는 앵글로색슨인들이 로마를 정신적인 고향으로 여겼으며, 연대기에서 로마와 로마의 역사가 중요한 전거로 언급된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기원후 1년의 기록에는 예수의 탄생보다 옥타비아누스 아우구스투스의 기독교 공인이 먼저 기록되어 있다.[115]
연대기에는 10세기 무렵부터 왕가의 인물이나 주요 사건을 칭송하는 고대 영어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937년 애설스탄의 브루넌버러 전투 승리, 942년의 〈다섯 성의 함락〉, 973년의 〈에드가 왕의 대관〉, 975년의 〈에드가 왕의 죽음〉, 1036년의 〈알프레드 왕자의 죽음〉, 1065년의 〈참회왕 에드워드의 죽음〉 등이 있다.
9. 1. 역사적 중요성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앵글로색슨 시기 잉글랜드 역사를 전하는 사료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다. 연대기를 제외하면 베다 베네라빌리스의 《앵글인의 교회사》 정도가 당시의 역사를 살필 수 있는 사료이다. 연대기를 살피지 않고서는 로마 제국의 퇴각 이후부터 노르만 정복 사이의 잉글랜드 역사를 알 방법이 없다.[114] 고대 영어 학자인 니콜라스 호우(Nicholas Howe, 1953년–2006년)는 연대기와 교회사를 "앵글로색슨의 역사상 위대한 두 작품"으로 평가하였다.[115] 잉글랜드에 기독교가 전파된 이래 많은 기록이 남겨졌으나 위 두 문서를 제외하면 원래의 형태가 그대로 남은 것이 없다. 연대기의 후대 기록이 사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료가 당대 사건의 목격자일뿐만 아니라 해석자라는 점을 일깨운다. 또한 초기 기록들 역시 다른 사료에서는 볼 수 없는 사건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116]연대기는 사료로서 뿐만 아니라 영어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서도 중요하다.[114] 《피터버러 연대기》는 고대 영어로 사건을 기록하다가 1131년을 기점으로 중세 영어를 사용한다. 이로서 초기 중세 영어의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82] 호우는 연대기가 집필되던 당시 앵글로색슨인의 정신도 알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그는 《로마: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수도》에서 연대기에 쓰인 많은 기록들에서 앵글로색슨인들이 로마를 정신적인 고향으로 여겼다고 말하면서 로마와 로마의 역사는 연대기 속에서 가장 중요한 전거로 언급된다는 점을 꼽았다. 예를 들어 기원후 1년의 기록에는 옥타비아누스 아우구스투스의 기독교 공인이 예수의 탄생보다 먼저 기록되어 있다.[115]
연대기의 집필자들은 문학적 요소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10세기 무렵 왕가의 인물이나 행위를 칭송하는 고대 영어로 된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를테면 937년 애설스탄이 바이킹을 상대로 승리한 브루넌버러 전투를 노래한 시, 〈다섯 성의 함락〉(942년), 〈에드가 왕의 대관〉(973년), 〈에드가 왕의 죽음〉(975년), 〈알프레드 왕자의 죽음〉(1036년), 〈참회왕 에드워드의 죽음〉(1065년)과 같은 것들이 있다.
9. 2. 언어학적 중요성
피터버러 연대기는 대체로 고대 영어로 작성되어 있지만 마지막 부분은 초기 중세 영어로 작성되어 있어, 고대 영어에서 초기 중세 영어로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82] 특히 이 연대기는 현존하는 중세 영어 문헌 중 가장 오래된 문체로 쓰여진 것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93]9. 3. 문화적 중요성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사료로서 뿐만 아니라 영어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114] 《피터버러 연대기》는 고대 영어로 사건을 기록하다가 1131년을 기점으로 중세 영어를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초기 중세 영어의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82]또한, 연대기는 앵글로색슨인들의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니콜라스 호우(Nicholas Howe, 1953년–2006년)는 앵글로색슨인들이 로마를 정신적인 고향으로 여겼다고 지적하며, 연대기 속에서 로마와 로마의 역사가 가장 중요한 전거로 언급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기원후 1년의 기록에는 예수의 탄생보다 옥타비아누스 아우구스투스의 기독교 공인이 먼저 기록되어 있다.[115]
연대기의 집필자들은 문학적 요소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지만, 10세기 무렵에는 왕가의 인물이나 행위를 칭송하는 고대 영어 시들이 수록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937년 애설스탄이 바이킹을 상대로 승리한 브루넌버러 전투를 노래한 시
- 〈다섯 성의 함락〉(942년)
- 〈에드가 왕의 대관〉(973년)
- 〈에드가 왕의 죽음〉(975년)
- 〈알프레드 왕자의 죽음〉(1036년)
- 〈참회왕 에드워드의 죽음〉(1065년)
10. 출간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여러 차례 출간되었다. 1692년 에드문드 깁슨(그는 1716년 링컨의 주교가 되었다)은 《색슨 연대기》를 제작하였는데, 고대 영어 텍스트와 나란히 라틴어 번역을 실었고 이 판본은 19세기까지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깁슨이 사용한 사본은 《피터버러 연대기》다.[117] 1861년 벤자민 소르프가 사본 [A]에서 [F]까지를 구분하여 출간한 《롤스 시리즈》가 연대기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1865년 존 얼이 《색슨 연대기 두 종의 병기》를 집필하였다.[118] 이 책은 찰스 플러머가 각주와 부록, 용어 해설을 덧붙여《개정 텍스트》로 편집하였는데, 모두 2권으로 된 이 책은 1892년과 1899년에 각각 1권과 2권이 출간되었다.[119][120] 이 책에는 사본 [A]와 [E]가 수록되어 있으며 다른 버전의 사료를 폭넓게 사용하여 주석에 담았다. 1952년 복각하였다.[120]
1980년대에 이르러 각각의 사본을 종합 편집하여 하나의 책으로 묶는 프로젝트가 《앵글로색슨 연대기: 공동 편집》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리즈는 현존하지 않는 북부 사본의 내용을 추정하는 등 기존과 다른 시도를 하였지만 기본적으로는 사본 [A]를 바탕으로 하였다.[82] 현대 영어로 번역한 것으로는 1996년 런던에서 출간된 마이클 스워튼의 《앵글로색슨 연대기》가 있다. 이 책은 페이지 앞면에 사본 [A]를 뒷면에 동일한 내용의 사본 [E]를 수록하고 있고 다른 사본들의 특기할 만한 내용들을 주석으로 담았다.
사본 [A]의 영인본 《파커 연대기와 법령》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가 1941년 제작하였다.[120] 1981년 보이텔 앤드 브러워 출판사가 사본 [A]에서 [G]까지를 수록한 《앵글로색슨 연대기: 공동 편집》을 제작하였다. 이 시리즈는 모두 3권으로 1963년까지 출간되었으며 사본 간을 비교 연구하려는 학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121] 2000년 《공동 편집》이 케터린 오브리언 오키프에 의해 출간되었다. 이 책은 학술 목적으로 1926년 출간된 사본 [D]를 바탕으로 한 《영국 박물관 소장 앵글로색슨 연대기》를 참조하였다.[120]
참조
[1]
서적
The Elements of Anglo-Saxon Grammar
[2]
서적
Roman Britain
[3]
서적
An Introduction
[4]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5]
서적
The Medieval Foundations of England
London
1966
[6]
서적
Alfred the Great
[7]
웹사이트
The Compilation of the Anglo-Saxon Chronicle Once More
http://digital.libra[...]
1985
[8]
서적
Alfred the Great: War, Kingship and Culture in Anglo-Saxon England
Longman
2005
[9]
서적
The Anglo-Saxons
[10]
간행물
Essays in Medieval History presented to T. F. Tout
Manchester
1925
[11]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12]
서적
Alfred the Great
[13]
서적
The Anglo-Saxon State
[14]
서적
Alfred the Great
[15]
서적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16]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British Academy
1978
[17]
간행물
Anglo-Saxon England
1979
[18]
서적
A Companion to Alfred the Great
Brill
2015
[19]
서적
Saints, Scholars and Heroes: Studies in Medieval Culture in Honour of Charles W. Jones
Collegeville
1979
[20]
서적
The Land of the English Kin: Studies in Wessex and Anglo-Saxon England in Honour of Professor Barbara Yorke
Brill
2020
[21]
학술지
The Settlement of England in Bede and the Chronicle
https://www.jstor.or[...]
1983
[22]
간행물
Anglo-Saxon Studies in Archaeology and History
1993
[23]
간행물
Anglo-Saxon England
1976
[24]
서적
Britons and Anglo-Saxons in the Early Middle Ages
Variorum
1993
[25]
서적
Dictionary of English Place-Names
[26]
서적
The Framework of Anglo-Saxon History to A.D. 9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27]
서적
Preparatory to Anglo-Saxon England
1926
[28]
서적
Kings and Kingdoms
[29]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30]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31]
서적
A New Critical History
[32]
서적
Textual Histories: Reading in the ‘Anglo-Saxon Chronic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1
[33]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34]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35]
서적
The Anglo-Saxons
[36]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37]
서적
The Anglo-Saxons
[38]
웹사이트
The Anglo-Saxon Chronicle: A Hypothetical Reconstruction of its Development from the Alfredian "Common Stock" of c. 892
https://dk.robinson.[...]
2015
[39]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40]
간행물
The Anglo-Saxon Chronicle: Texts and Textual Telationships
http://centaur.readi[...]
Graduate Centre for Medieval Studies, University of Reading
[41]
서적
Alfred the Great
[42]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43]
서적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44]
서적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45]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46]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47]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48]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49]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50]
논문
William Camden and the F-Text
[51]
논문
The Anglo-Saxon Chronicle
[52]
서적
Handlist
[53]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54]
서적
Laurence Nowell, William Lambarde, and the Laws of the Anglo-Saxons
Rodopi
[55]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56]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57]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58]
서적
Catalogue of Manuscripts
[59]
웹사이트
Cotton Catalogue
https://web.archive.[...]
2007-04-11
[60]
웹사이트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Hh. 1. 10 – The Production and Use of English Manuscripts:1060 to 1220
http://www.le.ac.uk/[...]
2011-07-23
[61]
서적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62]
웹사이트
Law Books – October 2002 List
https://web.archive.[...]
2014-03-02
[63]
서적
Two of the Saxon chronicles parallel: with supplementary extracts from the other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64]
서적
Two of the Saxon Chronicles Parallel: Text, appendices and glossar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65]
서적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66]
서적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67]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s
[68]
논문
Some recent editions of the Anglo-Saxon Chronicle
https://www.jstor.or[...]
[69]
서적
After Alfred
[70]
논문
Rome: Capital of Anglo-Saxon England
[71]
서적
Translation of this scanned page
https://books.google[...]
[72]
서적
옥스퍼드 영국사
한울
[73]
서적
Historia Anglorum: the history of the English
OUP
1996
[74]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중세 유럽과 아시아/중세 유럽의 성립/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
[75]
서적
Viking Raids and Conquest
Blackwell
2009
[76]
서적
Anglo-Saxon England
Clarendon
1971
[77]
서적
The Medieval Foundations of England
1966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The South-Western Element in the Old English Chronicle
1925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Alfredian Manuscripts
[85]
서적
Roman Britain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William Camden and the F-Text
[95]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웹사이트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Hh. 1. 10 – The Production and Use of English Manuscripts:1060 to 1220
https://web.archive.[...]
2011-07-23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107]
서적
The Anglo-Saxon State
[108]
서적
Alfred the Great
[109]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110]
서적
The Ninth Century
[111]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112]
서적
The Anglo-Saxons
[113]
서적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114]
서적
An Introduction
[115]
저널
Rome: Capital of Anglo-Saxon England
[116]
서적
Roman Britain
[117]
웹사이트
Chronicon Saxonicum; seu Annales Rerum in Anglia Praecipue Gestarum, a Christo nato ad Annum Usque MCLIV. deducti, ac jam demum Latinitate donati. Cum Indice Rerum Chronologico. Accedunt Regulae ad Investigandas Nominum Locorum Origines. Et Nominum Locorum ac Virorum in Chronico Memoratorum Explicatio
https://web.archive.[...]
2014-03-02
[118]
서적
Two of the Saxon chronicles parallel: with supplementary extracts from the other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19]
서적
Two of the Saxon Chronicles Parallel: Text, appendices and glossar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20]
서적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121]
저널
Some recent editions of the Anglo-Saxon Chronicle
https://www.jsto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