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디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르디치는 웨식스 왕국의 건국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이름의 어원은 게르만어가 아닌 브리튼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는 그가 브리튼인과 앵글로색슨인의 혼혈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495년 아들 킨리치와 함께 브리튼에 상륙하여 여러 전투를 치렀으며 534년에 사망했다. 그러나 연대기의 기록은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그의 재위 기간과 활동 지역에 대한 다른 추정이 존재한다. 그는 웨식스 왕들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잉글랜드 왕국 통치자의 계보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로마 브리튼의 군주 - 아서왕
아서왕은 5~6세기 브리튼의 전설적인 왕으로,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12세기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통해 아서 왕 전설이 정립되어 중세 문학 전통에서 널리 다루어졌다. - 후로마 브리튼의 군주 - 구이드노 가란히르
구이드노 가란히르는 웨일스 전설 속 칸트레르 과엘로드의 통치자로, 항상 충분한 양의 음식을 제공하는 '구이드노의 바구니'와 관련되며, 일각에서는 그를 7세기 데메티아 왕국의 왕 구이드노르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 534년 사망 - 북위 효무제
북위 효무제는 광평왕 원회의 아들로, 고환에게 옹립되었으나 권력 다툼 끝에 우문태에게 의탁했다가 독살되었으며, 그의 사후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다. - 534년 사망 - 아탈라리쿠스
아탈라리쿠스는 6세기 동고트 왕국의 왕으로, 테오도리크 대왕의 외손자이자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 아마라스훈타의 섭정을 받았으며, 로마식 교육 옹호와 고트족 전통 중시 사이의 갈등 속에 18세에 요절했다. - 잉글랜드의 영웅전설 - 고다이바 부인
고다이바 부인은 11세기 영국의 귀족 여성으로, 남편의 가혹한 세금 정책에 반대하여 알몸으로 말을 타고 마을을 돌며 세금 감면을 요구한 전설적인 인물이다. - 잉글랜드의 영웅전설 - 킨리치
킨리치는 6세기 웨섹스 왕국의 왕으로 추정되나, 그의 통치 기간, 족보, 실존 여부에 대한 역사적 근거는 학계에서 논쟁 중이며, 윌트셔 지역 확장, 올드 새럼 점령, 베런부르흐 전투 승리 등의 업적이 있다고 전해진다.
체르디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재위 | 기원후 519년 ~ 534년 |
계승 | 웨식스 왕 (게위세 왕) |
선임자 | "없음" (칭호 신설) |
후임자 | 킨리치 또는 크레오다 |
왕가 | 웨식스 가문 |
아버지 | 엘레사? 또는 엘라피우스 |
자녀 | 킨리치 또는 크레오다 |
라틴어 | 케르디쿠스 (Cerdicus) |
영어 발음 | /ˈtʃɜːrdɪtʃ/ (CHER-ditch) |
고대 영어 | Cerdic (체르디치) |
2. 이름의 어원
많은 학자들이 체르디치라는 이름이 게르만어가 아닌 Ceretic이라는 예전 켈트나 로만 등의 브리튼어 이름 중 하나라고 추측하고 있다.[36] 한 가설에 따르면 Cerdic이라는 이름은 예전의 켈트쪽의 이름이었던 Caratīcos나 Corotīcos에서 유래된 것으로, 웨식스를 건국한 것이 게르만족이지만, 체르디치는 게르만족의 언어가 아닌 다른 쪽의 이름을 삼았다는 것이다.[37][38][39][40] 이는 체르디치가 원래 영국에서 살았고, 체르디치의 왕조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성장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41][42] 이는 체르디치의 손자로 추정되는 케아울린과 그 아래의 후손 몇 명은 게르만족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켈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름을 차용했던 것이 이를 증명해준다.[40][43][44][45] 체다, 캐드왈라 등의 이름이 비 게르만어적이다.[12][15][16][17]
앵글로색슨 연대기에서 체르디치의 조상을 확인할 수 있는 족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체르디치의 혈통은 오딘과 족장설화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케네스 시삼은 체르디치의 혈통이 버니시아 왕의 혈통에서 새로 나온 것으로, 체르디치 이전에는 직접적인 혈통이 아무도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6]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495년 체르디치는 아들 킨리치와 함께 5척의 배를 이끌고 햄프셔 지역에 상륙했다. 그는 나탄레오드(Natanleod)라는 왕과 싸워 508년에 그를 죽였고, 519년에는 체르디체슬레아그(Cerdicesleag)에서 전투를 벌였다고 한다. 또한 와이트 섬을 정복하여 훗날 그의 친족에게 주었다고 하며, 534년에 사망하여 아들 킨리치가 왕위를 계승했다.[52]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름 ''체르디치''(Ċerdiċ)의 기원이 게르만어가 아닌 브리튼어라고 생각한다. 브리튼어 기원 가설에 따르면, ''체르디치''는 브리튼어 이름 '*Caratīcos' 또는 '*Corotīco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이름의 고대 웨일스어 형태는 'Ceretic'이었다.[7][8][9][10][11][12]
3. 출신 배경
영국의 고고학자이자 보들리언 도서관의 사서였던 존 노웰 린튼 마이어스는 체르디치와 킨리치가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처음 등장하는 495년에 그들이 올더먼(Ealdorman, 왕이 임명한 영토를 다스리는 관리)으로 묘사된다고 언급하였다.[47] 올더먼(Ealdorman)은 당시에는 그리 좋은 직급이 아니었다고 말하였다. 마이어스는 덧붙여 "기원이나 어떤 흔적도 찾아보기 어려운 데다가 침입자였던 체르디치의 흔적, 혈통, 칭호 등을 찾기 위해 연구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라고도 했다.
또한 519년이 되어서야 체르디치와 킨리치가 왕을 "재위하기 시작한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이들이 519년이 되어서야 신하나 올더먼을 그만두게 되고, 자신의 권리에 따라서 독립적인 나라의 왕이 되었음을 암시한다고 마이어스는 언급하였다.
마이어스는 다음과 같이 믿었다.
따라서 체르디치를 색슨 쇼어의 서쪽 끝에 영토를 가지고 있는 귀족 가문의 우두머리로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르디치는 로마가 망해갈 즈음에 위임이 되었거나, 로마의 국방을 책임지는 자로 위탁되었을 지도 모른다. 그는 후에 앵글로색슨의 올더먼으로 묘사될 수 있는 사람이다. ... 만약 체르디치 같이 어떤 종족이 이미 색슨 쇼어의 끝에 있는 원주민인 색슨족, 주트족과 혈연관계를 발전시켰다면 로마의 권위가 희미해질 즈음에 당시보다 더 빨리 왕국을 건설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는 그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했을지도 모르고, 나탄레오드 같은 서로 경쟁하는 영국 내의 타국들로부터 살아남기 시작해 508년부터 재위를 시작할 수도 있었다.영어[48]
일부 학자들은 체르디치의 아버지인 엘레사(Elesa)가 게르마누스의 아들을 치료해주었던 켈트족인 엘라시우스라 주장하기도 했다.[49][50]
4. 웨식스 왕
체르디치의 혈통은 후대 웨식스 왕들에게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그는 잉글랜드와 영국의 통치자인 웨섹스의 에그버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4. 1. 연대기 기록의 문제점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체르디치는 495년 아들 킨리치와 함께 다섯 척의 배를 이끌고 오늘날의 햄프셔주 지역에 도착했다. 그는 나탄레오드(Natanleod)라는 왕과 싸워 508년에 그를 죽였고, 519년에는 Cerdiceleag에서 전투를 벌였다고 한다. Natanleaga는 현재 네틀리 마쉬, Cerdiceleag는 차르포드(Cerdic's Ford, 체르디치의 여울[51])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체르디치가 와이트섬을 정복하여 훗날 그의 친족에게 주었다는 기록도 있다. 체르디치는 534년에 사망하고 킨리치가 왕위를 계승했다.[52]
그러나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기록된 웨식스 초기 역사는 여러 중복과 모순되는 정보로 인해 신뢰하기 어렵다고 여겨져 왔다.[53] 데이비드 덤빌(en)은 체르디치의 실제 재위 기간이 538년부터 554년까지라고 주장했다.
일부 학자들은 체르디치가 바돈 산 전투(Battle of Mons Badonnicus)[34]에서 브리튼인들에게 패배한 색슨인의 지도자였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35] 그러나 덤빌의 주장이 맞다면 이는 사실이 아니며, 다른 학자들은 이 전투의 지도자가 앨레이거나 다른 색슨족 지도자였을 것이라고 주장하므로, 웨식스의 기원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복잡할 가능성이 있다.[54]
몇몇 학자들은 체르디치가 전설적인 인물일 뿐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소수 의견이다. 체르디치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인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9세기에 만들어졌는데, 체르디치가 활동한 6세기와 연대기 기록 시기 사이의 400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55][56]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체르디치의 후대 왕들에 대한 설명과 혈통, 킨리치의 왕위 계승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연대기 서문에는 체르디치와 킨리치 사이에 크레오다가 있어, 체르디치가 크레오다의 아버지이자 킨리치의 할아버지임을 보여준다.[57]
흥미롭게도, "체르디치(Cerdic)"라는 이름은 게르만족 계통이 아닌 브리튼족 계통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앵글로색슨인 아버지와 브리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어머니 쪽 친족에게서 이름을 받았다는 설명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만약 그렇다면, 체르디치가 활동하던 시기에 이미 브리튼 섬에서 앵글로색슨인과 브리튼인 사이에 어느 정도 문화적, 인적 교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5. 역사적 실존 논란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495년 체르디치는 아들 킨리치와 함께 3척의 배를 타고 햄프셔에 상륙했다. 508년에는 현지 왕 나탄레오드(Natanleod)와 싸워 그를 죽였고, 519년에 다시 전투를 벌여 웨섹스 왕국을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일련의 전투 과정에서 와이트 섬도 점령하여 뒤에 나타난 자신의 친족에게 주었다고 한다. 체르디치는 534년에 사망하고, 아들 킨리치가 뒤를 이었다.[52] 연대기 문구대로라면 체르디치는 현재의 영국 왕실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33]
그러나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초기 역사 기술은 모순되며, 현대 영국의 역사학자 데이비드 덤빌(en)은 체르디치의 상륙이 538년에서 554년 사이였다고 지적하고 있다.[53] 또한 체르디치는 바돈 산 전투(Battle of Mons Badonnicus)[34]에서 브리튼인에게 패배한 색슨인의 수장이 아니었을까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35] 만약 앞서 언급한 덤빌이 수정한 것처럼 체르디치가 상륙한 시기가 538년~554년이라면, 이 설은 옳지 않게 된다. 또한 바돈 산 전투의 패자는 체르디치가 아니라 다른 앵글로색슨의 수장(예를 들어 엘레)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연대기에 기록된 체르디치의 행동 지역에도 의문이 있다. 그의 활동 지역은 사우샘프턴의 북부였지만,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앵글로색슨인의 중심지는 오히려 북부의 돌체스터 온 템스(Dorchester-on-Thames)에 있었고, 이곳에 웨섹스 왕국은 처음으로 교구를 설치했다. 사우샘프턴 근교는 오히려 7세기 전반에 새롭게 획득한 땅으로 새롭게 교구를 세운 지역이었다. 옛날부터 선조의 땅이었던 돌체스터는 후년에 머시아의 공세에 압박당해 버려지는 등 웨섹스의 기원은 당시의 전승보다 훨씬 더 복잡한 경위를 거쳤다.
흥미로운 것은 "체르디치(Cerdic)"라는 이름은 게르만 기원이라기보다는 브리튼 기원이라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그가 앵글로색슨인 아버지와 브리튼인 어머니를 두었으며, 어머니 쪽 친족에게서 이름을 받은 것이 아니냐는 설명이 붙여지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그가 활약한 시기에는 브리튼 섬에서 침략자 앵글로색슨인과 현지 브리튼인 사이에 어느 정도 문화적, 인적 교류가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체르디치는 전설적인 인물에 불과하며 실존의 증거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일부 있지만, 이 설은 전체적으로 보면 소수의 의견이다. 그러나 체르디치가 존재하는 사료는 9세기 후반에 덧붙여진 것이었다는 사실도 있다. 웨섹스의 기원에 관한 전승은 아마도 그 당시 어떤 형태로든 존재했을 것이지만, 400년의 세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전승이 정확하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55][56]
6. 후대의 평가
현대 영국의 역사학자 데이비드 덤빌(en)은 체르디치의 상륙이 538년에서 554년 사이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체르디치는 바돈 산 전투[34]에서 브리튼인에게 패배한 색슨인의 수장이 아니었을까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35]. 만약 덤빌이 수정한 것처럼 체르디치가 상륙한 시기가 538년~554년이라면, 이 설은 옳지 않게 된다. 또한 바돈 산 전투의 패자는 체르디치가 아니라 다른 앵글로색슨의 수장(예를 들어 엘레)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연대기에 기록된 체르디치의 행동 지역에도 의문이 있다. 그의 활동 지역은 사우샘프턴의 북부였지만,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앵글로색슨인의 중심지는 오히려 북부의 돌체스터 온 템스(Dorchester-on-Thames, 여기에 웨섹스 왕국은 처음으로 교구를 설치했다)에 있었고, 사우샘프턴 근교는 오히려 7세기 전반에 새롭게 획득한 땅으로 새롭게 교구를 세운 지역이었다. 그리고, 옛날부터 선조의 땅이었던 돌체스터는 후년에 머시아의 공세에 압박당해 버려지는 등 웨섹스의 기원은 당시의 전승보다 훨씬 더 복잡한 경위를 거쳤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체르디치(Cerdic)"라는 이름은 게르만 기원이라기보다는 브리튼 기원이라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그가 앵글로색슨인 아버지와 브리튼인 어머니를 두었으며, 어머니 쪽 친족에게서 이름을 받은 것이 아니냐는 설명이 붙여지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그가 활약한 시기에는 브리튼 섬에서 침략자 앵글로색슨인과 현지 브리튼인 사이에 어느 정도 문화적, 인적 교류가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체르디치는 전설적인 인물에 불과하며 실존의 증거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일부 있지만, 이 설은 전체적으로 보면 소수의 의견이다. 그러나 체르디치가 존재하는 사료는 9세기 후반에 덧붙여진 것이었다는 사실도 있다. 웨섹스의 기원에 관한 전승은 아마도 그 당시 어떤 형태로든 존재했을 것이지만, 400년의 세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전승이 정확하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참조
[1]
논문
Problems of Early West Saxo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65-01
[2]
논문
The Beginnings of Wessex
Oxford University Press
1899-01
[3]
논문
Bede, and the Gewissae: The Political Evolution of the Heptarchy and Its Nomencl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6
[4]
웹사이트
Old English in contact with Celtic
https://doi.org/10.1[...]
Oxford
2014-04-16
[5]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https://en.wikisourc[...]
G. Bell and Sons
[6]
서적
The Origins of Anglo-Saxon Kingdoms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89
[7]
서적
Language and History in Early Britain
University Press
1953
[8]
논문
On Some Controversy Surrounding ''Gewissae'' / ''Gewissei'', ''Cerdic'' and ''Ceawlin''
http://www.snsbi.org[...]
1989–90
[9]
논문
British *Caraticos, Old English Cerdic
1997
[10]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11]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Walter de Gruyter
2002
[12]
서적
Wessex in the Early Middle Ages
A&C Black
1995
[13]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14]
서적
Wessex in the Early Middle Ages
A&C Black
1995
[15]
논문
The Beginnings of Wessex
1898-10
[16]
간행물
Anglo-Saxon presence and culture in Wiltshire c. AD 450-c. 675
Wiltshire Archaeological Society
2001
[17]
서적
Origins of the English
Duckworth
2003
[18]
논문
Anglo-Saxon Royal Genealogies
1953
[19]
논문
Hagiographie Celtique
1957
[20]
논문
Celts, Romans and Saxons
1958
[21]
서적
The English Sett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2]
문서
Myres, Chapter 6
[23]
웹사이트
Wessex: pt 1 of 3
http://www.dot-domes[...]
2024-03-26
[24]
웹사이트
"Parishes: North Charford with South Charford | British History Online"
https://www.british-[...]
[25]
웹사이트
"[North] Charford {{!}} Domesday Book"
https://opendomesday[...]
2024-03-26
[26]
논문
Early Wessex Annals in the Anglo-Saxon Chronicle
1971-07
[27]
논문
The West Saxon Genealogical Regnal List and the Chronology of Early Wessex
1985
[28]
서적
Who's Who in Roman Britain and Anglo-Saxon England
Shepheard-Walwyn
[29]
서적
An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Anglo-Saxons
Penguin Books
[31]
서적
Arthurian Figures of History and Legend: A Biographical Dictionary
McFarland
[32]
서적
아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朝日出版社)
[33]
문서
チェルディッチの血統はウェセックス王家を通じて[[エグバート (ウェセックス王)|エグバート]](12世の孫)、[[アルフレッド大王]](14世の孫)の始祖となり、系譜を辿ると、[[ウィリアム1世_(イングランド王)|ウィリアム1世]](22世の孫)を通じて現在の[[チャールズ3世 (イギリス王)|チャールズ3世]](50世の孫)にまでつながり、イギリス王室の血統は1500年以上となる。
[34]
문서
[[ラテン語]]でモンス・バドニクスの戦い)Battle of Mons Badonnicus)、英語でベイドン山(Mount bedon)の戦いとも呼ばれる戦いの地域には諸説があり、[[490年]]頃から[[518年]]頃までの出来事と考えられている。この時の[[ブリトン人]]の指揮者[[アンブロシウス・アウレリアヌス]]([[:en:Ambrosius Aurelianus|Ambrosius Aurelianus]])、後の[[アーサー王]]のモデルになった人物と推測されている。
[35]
문서
映画『[[キング・アーサー (2004年の映画)|キング・アーサー]]』(2004年)では、この考察をもとに敵役をチェルディッチ(名はセルディック)とした[[脚本]]が作られた。
[36]
서적
Language and History in Early Britain
에든버러 대학 출판사
1953
[37]
논문
British *Caraticos, Old English Cerdic
1997
[38]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출판
2006
[39]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Volume 20
Walter de Gruyter, Germanic Antiquities
2002
[40]
서적
Wessex in the Early Middle Ages
A&C Black 출판
1995
[41]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출판
2006
[42]
서적
1995
[43]
논문
The Beginnings of Wessex
[44]
논문
Anglo-Saxon presence and culture in Wiltshire c AD 450-c. 675
2001
[45]
서적
Origins of the English
Duckworth
2003
[46]
논문
Anglo-Saxon Royal Genealogies
[47]
서적
The English Settlements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출판
1989
[48]
서적
[49]
논문
Hagiographie Celtique
1957
[50]
간행물
Celts, Roamns and Saxons
1958
[51]
웹사이트
British History Online, Victoria History, North Charford with South Charford
https://www.british-[...]
[52]
웹사이트
Creoda King Of The West Saxons King ot the West Saxons (± 493-± 534) » Stamboom Homs » Genealogie Online.
https://www.genealog[...]
[53]
문서
[54]
서적
Who's Who in Roman Britain and Anglo-Saxon England
Shepheard-Walwyn
1989
[55]
서적
An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출판
1960
[56]
서적
The Anglo-Saxons
Penguin Books
1991
[57]
서적
Arthurian Figures of History and Legend: A Biographical Dictionary
Mcfarland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