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나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나 문자는 18세기에 등장하여 몰디브에서 사용되던 디베히 아쿠루 문자를 대체한 문자 체계이다. 아랍 숫자를 기반으로 한 자음과 디베히 아쿠루에서 차용한 문자로 구성되며,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여진다. 타나 문자는 아브자드와 아부기다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알파벳으로 분류되며, 1970년대 몰디브 정부의 텔렉스 기기 도입으로 사용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으나, 1978년 마문 압둘 가윰 대통령에 의해 다시 복원되었다. 현재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몰디브어 표기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브자드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아브자드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음소 문자 - 룬 문자
    룬 문자는 고대 게르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자 체계로,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나무나 돌에 새겨졌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음소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타나 문자
개요
디베히어 문자
디베히어 문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유형아부기다
사용 언어디베히어
사용 시기18세기 – 현재
ISO 15924Thaa
유니코드U+0780-U+07BF
기원
계통부분적으로 아랍 문자와 인도-아라비아 숫자에서 유래
조상 문자이집트 상형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나바테아 문자
상세 정보
문자 방향오른쪽에서 왼쪽
모음 표시자음 위에 기호 추가

2. 역사

모음자음 글자에 부호로서 부가적으로 표기된다는 점에서는 아브자드, 아부기다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부가 모음을 생략하지 않고 모두 표기한다는 점에서 알파벳으로 볼 수 있다. 보통 알파벳으로 분류한다. 타나 문자는 18세기에 등장했으며, 그 전의 몰디브에서는 디베히 아쿠루라는 남인도계통 그란타 문자계열의 고유 문자를 사용했다.

타나 문자는 1970년대 중반, 이브라힘 나시르 대통령 통치 기간에 잠시 사라질 위기를 겪었다. 당시 몰디브 정부는 지역 행정부에 텔렉스 기계를 도입했는데, 이 장비는 로마자로만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타나 문자는 장애물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1976년 몰디브 정부는 몰디브어에 대한 대략적인 말레 라틴 문자를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시행했다. 그러나 타나 문자는 1978년 마문 압둘 가윰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다시 복원되었다. 비록 복원되었지만, 1976년의 로마자 표기법이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2]

2. 1. 초기 타나 문자

18세기에 등장한 타나 문자는 이전의 몰디브에서 사용하던 디베히 아쿠루라는 남인도계통 그란타 문자계열의 고유 문자 대신 사용되기 시작했다. 타나 문자의 자음 글자들은 아라비아 문자의 숫자(아랍 숫자)를 문자로 전용한 것이고, 나머지는 디베히 아쿠루에서 일부 차용한 것이다.[1]

아랍어 계통의 단어들은 아랍어 문자를 일부 변용해서 쓴다. 모음 체계도 아랍어 모음 표기를 기본으로 하고 일부를 보충한 것이다. 타나 문자의 배열 순서는 인도계 문자나 아라비아 문자의 배열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 18세기에 아라비아 문자의 요소를 따오면서도 직접적 관련은 희박한 신종 문자가 등장하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타나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1]

말레의 모스크 표지판: 타나 문자는 ''Faivānā, būṭāeku erun manā!''라고 적혀 있다.


타나 문자는 17세기 초 몰디브 비문에 처음 등장했으며, '가불히(불완전한)' 타나로 알려진 초기 형태로 나타났다. 이 초기 문자는 연속 필기로 작성되었으며, 점차 발전하여 글자가 더욱 우아하고 비스듬해졌으며 단어 사이에 공백이 추가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전 디베스 아쿠루 문자를 대체했다. 타나 문자의 가장 오래된 기록 샘플은 ''북부 밀라둔마둘루 환초''의 칸디티무 섬에서 발견된다. 이 샘플은 섬의 주요 ''후쿠루 미스키'' (금요 모스크)의 문 기둥에 새겨져 있으며, 1008 AH (서기 1599년)과 1020 AH (서기 1611년)에 해당하며, 건물 지붕이 건설된 시기와 이브라힘 칼라판(술탄 이브라힘 3세)과 후세인 파물라데리 킬레게(술탄 후세인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각각 개축되었다.[1]

타나의 기원은 세계의 문자 체계 중 독특하다. 처음 아홉 글자 (''h ṣ n r b ḷ k ʔ v'')는 아랍 숫자를 기반으로 하며, 다음 아홉 글자 (''m f d t l g ṇ s ḍ'')는 현지 인도 숫자였다. (인도-아라비아 숫자 참조). 차용어 (''z ṭ y p j c ñ'')와 아랍어 음역 (''h̤ ḵ ž ʕ ġ w ẕ t̤ ẓ s̱ q s̤ ż ś'')에 해당하는 나머지 글자는 누크타와 같은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음성적으로 유사한 고유 자음에서 파생되었으며, 기원이 알려지지 않은 ''야''를 제외하고는 이와 같다. 이는 타나가 원시 셈 문자에서 그래픽적으로 파생되지 않은 몇 안 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인도 숫자가 그랬을 수도 있다(브라흐미 숫자 참조)).[2]

타나 문자의 순서 (''하, 샤비야니, 누누, 라, 바 등'')는 다른 인도 문자나 아랍 문자의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 순서에는 명백한 논리가 없으며, 이는 문자가 일반 섬 주민들로부터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 뒤섞였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문자는 원래 주로 마법 (''판디타'') 주문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아랍어 인용문이 포함되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여졌다. 마법에 능통한 몰디브의 학자들은 이 단순화된 숨겨진 문자로 쓰는 것의 이점을 보았고, 타나는 점차 일상적인 용도로 채택되었다.[2]

2. 2. 기원 및 특징

18세기에 등장한 타나 문자는 그 이전 몰디브에서 사용되었던 디베히 아쿠루라는 남인도계통 그란타 문자 계열의 고유 문자를 대체하였다. 디베히어는 스리랑카의 싱할리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 타나 문자의 자음 글자들은 아라비아 문자의 숫자(아랍 숫자)를 문자로 전용한 것이고, 나머지는 디베히 아쿠루에서 일부 차용한 것이다.[1]

아랍어 계통의 단어들은 아랍어 문자를 일부 변용해서 쓴다. 모음 체계도 아랍어 모음 표기를 기본으로 하고 일부를 보충한 것이다. 타나 문자의 배열 순서는 인도계 문자나 아라비아 문자의 배열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 오랫동안 사용해오던 고유 문자가 쇠퇴하고 18세기에 아라비아 문자의 요소를 따오면서도 직접적 관련은 희박한 신종 문자가 등장하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1]

타나 문자의 기원은 세계 문자 체계 중 독특하다. 처음 아홉 글자 (''h ṣ n r b ḷ k ʔ v'')는 아랍 숫자를 기반으로 하며, 다음 아홉 글자 (''m f d t l g ṇ s ḍ'')는 현지 인도 숫자였다. (인도-아라비아 숫자 참조). 차용어 (''z ṭ y p j c ñ'')와 아랍어 음역 (''h̤ ḵ ž ʕ ġ w ẕ t̤ ẓ s̱ q s̤ ż ś'')에 해당하는 나머지 글자는 누크타와 같은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음성적으로 유사한 고유 자음에서 파생되었으며, 기원이 알려지지 않은 ''야''를 제외하고는 이와 같다. 이는 타나가 원시 셈 문자에서 그래픽적으로 파생되지 않은 몇 안 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인도 숫자가 그랬을 수도 있다(브라흐미 숫자 참조)).[2]

타나 문자의 순서 (''하, 샤비야니, 누누, 라, 바 등'')는 다른 인도 문자나 아랍 문자의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 순서에는 명백한 논리가 없으며, 이는 문자가 일반 섬 주민들로부터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 뒤섞였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문자는 원래 주로 마법 (''판디타'') 주문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아랍어 인용문이 포함되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여졌다. 마법에 능통한 몰디브의 학자들은 이 단순화된 숨겨진 문자로 쓰는 것의 이점을 보았고, 타나는 점차 일상적인 용도로 채택되었다.[2]

타나 문자는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아랍어에서 파생된 부호(diacritic mark)를 사용하여 모음을 표시한다. 각 글자는 모음 또는 ''수쿤''(무성음을 나타냄)을 가져야 한다.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누누''로, 부호 없이 쓰이면 뒤에 오는 파열음의 비음화 파열음을 나타낸다.

2. 3. 근대화와 위기

18세기에 등장한 타나 문자는 이전의 디베히 아쿠루라는 남인도계통 그란타 문자계열의 고유 문자를 대체했다. 타나 문자의 자음 글자들은 아라비아 문자의 숫자(아랍 숫자)를 문자로 전용한 것이고, 나머지는 디베히 아쿠루에서 일부 차용한 것이다. 아랍어 계통의 단어들은 아랍어 문자를 일부 변용해서 쓰며, 모음체계도 아랍어 모음 표기를 기본으로 하고 일부를 보충한 것이다. 타나 문자의 배열순서는 인도계 문자나 아라비아 문자의 배열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2]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타나 문자는 17세기 초 몰디브 비문에 처음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가불히(불완전한)' 타나로 알려진 조잡한 형태로 나타났다.[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전 디베스 아쿠루 문자를 점차 대체했다. 타나의 기원은 세계의 문자 체계 중 독특한데, 처음 아홉 글자는 아랍 숫자를 기반으로 하고, 다음 아홉 글자는 현지 인도 숫자였다. 타나는 원시 셈 문자에서 그래픽적으로 파생되지 않은 몇 안 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이다.

타나 문자의 순서는 다른 인도 문자나 아랍 문자의 순서를 따르지 않으며, 순서에는 명백한 논리가 없어 문자가 일반 섬 주민들로부터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 뒤섞였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2] 이 문자는 원래 주로 마법 주문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아랍어 인용문이 포함되었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여졌다.

1970년대 중반, 이브라힘 나시르 대통령 통치 기간 동안 몰디브 정부는 지역 행정부에 텔렉스 기계를 도입하면서 타나는 로마자로만 쓸 수 있는 텔렉스 기계 때문에 장애물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몰디브어에 대한 대략적인 말레 라틴 문자가 1976년 몰디브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고, 행정부에 의해 신속하게 시행되었다. 타나 문자는 마문 압둘 가윰 대통령이 1978년에 권력을 잡은 직후 다시 복원되었지만, 1976년의 로마자 표기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문자

타나 문자는 아랍 문자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모음은 아랍 문자에서 파생된 발음 구별 기호(ފިލި|fili디베히어)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각 글자는 모음이나 ''수쿤''(무성음을 나타냄)을 가져야 한다. 단, ''누누''는 예외인데, 발음 구별 기호 없이 쓰이면 뒤에 오는 파열음의 비음화를 나타낸다.[3]

알리푸(އ)는 이중 모음의 두 번째 부분에서 모음을 운반하거나, 수쿤이 있을 때 다음 자음을 겹쳐서(길게) 발음하게 하거나, 단어 끝에서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는 것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비음 자음의 쌍자음은 쌍자음화될 비음 앞에 '누누' + '수쿤'으로 표시한다.

타나 문자는 1999년 9월 유니코드 3.0 버전과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으며, 유니코드 코드포인트 0780-07BF를 점유한다.

'''타나 문자'''
(alifu와 함께 표시)
자소이름나시리 로마자IPA
ހhaah[h]
ށshaviyani[ʂ]
ނnoonun[n̪]
ރraar[ɾ]
ބbaab[b]
ޅlhaviyanilh[ɭ]
ކkaafuk[k]
އalifu
ވvaavuv[ʋ]
މmeemum[m]
ފfaafuf[f]
ދdhaaludh[d̪]
ތthaath[t̪]
ލlaamul[l]
ގgaafug[ɡ]
ޏgnaviyanign[ɲ]
ސseenus[s̺]
ޑdaviyanid[ɖ]
ޒzaviyaniz[z̺]
ޓtaviyanit[ʈ]
ޔyaay[j]
ޕpaviyanip[p]
ޖjaviyanij[dʒ]
ޗchaviyanich[tʃ]
ޘttaa아랍어-몰다브어
전사
문자
Arabic ث [θ]
ޙhhaaArabic ح [ħ]
ޚkhaaArabic خ [x]
ޛthaaluArabic ذ [ð]
ޜzaa영어-몰다브어
전사 문자
[ʒ]
ޝsheenu아랍어-몰다브어
전사
문자
Arabic ش [ʃ]
ޞsaadhuArabic ص [sˤ]
ޟdaadhuArabic ض [dˤ]
ޠtoArabic ط [tˤ]
ޡzoArabic ظ [ðˤ]
ޢaïnuArabic ع [ʕ]
ޣghaïnuArabic غ [ɣ]
ޤqaafuArabic ق [q]
ޥwaavuArabic و [w]
އަabafilia[ə]
އާaabaafiliaa[əː]
އިibifilii[i]
އީeebeefiliee[iː]
އުubufiliu[u]
އޫooboofilioo[uː]
އެebefilie[ɛ]
އޭeybeyfiliey[ɛː]
އޮobofilio[ɔ]
އޯoaboafilioa[ɔː]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x-large; padding: 0.5em" |sukun
ޱnaviyaniޱ|나비야니디베히어[ɳ]


3. 1. 자음

타나 문자의 자음은 페르시아-아라비아 숫자와 디베스 아쿠루 숫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원래 각 문자는 "자음+''a''+''비야니''"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하'는 '하비야니'였다. 여기서 ''비야니''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비야나(व्यञ्जन, vyáñjana)'에서 유래했다.[3] 아랍어에 해당하는 소리가 있는 자음은 '가푸'를 제외하고 아랍어 소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가푸'는 페르시아어 이름이다.[4]

타나 문자 자음
이름자소나시리 로마자IPA
하아
ހ
h[h]
샤비야니
ށ
[ʂ]
누누
ނ
n[n̪]
라아
ރ
r[ɾ]
바아
ބ
b[b]
라비야니
ޅ
lh[ɭ]
카푸
ކ
k[k]
알리푸
އ
[ʔ]
바부
ވ
v[ʋ]
미무
މ
m[m]
파푸
ފ
f[f]
달루
ދ
dh[d̪]
타아
ތ
th[t̪]
라무
ލ
l[l]
가푸
ގ
g[ɡ]
시누
ސ
s[s̺]
다비야니
ޑ
d[ɖ]
자비야니
ޒ
z[z̺]
타비야니
ޓ
t[ʈ]
야아
ޔ
y[j]
파비야니
ޕ
p[p]
자비야니
ޖ
j[dʒ]
차비야니
ޗ
ch[tʃ]



알리푸(އ)는 모음을 동반하지 않는 자음으로, 이중 모음의 두 번째 부분을 나타내거나, 뒤따르는 자음을 겹쳐서(길게) 발음하게 하거나, 단어 끝에서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는 것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나비야니(Naviyani) (ޱ)는 유성 권설 비음 "ṇ"을 나타내는 문자로, 1953년경 몰디브 공식 문서에서 폐지되었다.

타나 문자에는 아랍어 차용어를 표기하기 위해 기존 문자에 점()을 추가한 thikijehi thaana디베히어(티키제히 타나)가 있다.

3. 1. 1. 나비야니 (ޱ)

나비야니(Naviyani) (ޱ)는 많은 인도 아대륙 언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유성 권설 비음 "ṇ"을 나타낸다. 이 문자는 1953년경 몰디브 공식 문서에서 폐지되었다.

이 문자는 몰디브어 알파벳에서 Gaafu와 Seenu 사이에 위치한 열여섯 번째 문자였으며, 그나비야니(Gnaviyani) (ޏ) 대신 사용되었다. 그나비야니(Gnaviyani) (ޏ)는 원래 22번째 위치였다. 이 문자는 ''Bodu Tarutheebu''와 같은 옛 서적의 재판본에서 여전히 발견되며, 아두 환초와 푸바물라 사람들이 방언으로 노래나 시를 쓸 때 사용하는데, 이는 그들의 구어 방언에 여전히 해당 소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3. 1. 2. 추가 문자 (Thikijehi Thaana)

타나 문자는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0780-07BF를 차지한다.

이러한 추가 문자(thikijehi thaana디베히어)는 아랍어 차용어의 음역을 허용하기 위해 기존 문자에 (점)를 추가하여 타나 문자에 추가되었다. 이전에는 아랍어 차용어가 아랍 문자로 작성되었다. 이러한 문자의 사용은 일관성이 없으며, 단어가 몰디브어에 흡수됨에 따라 원래의 아랍어 발음보다는 몰디브인에 의한 발음을 반영하기 위해 철자가 변경되면서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Thikijehi thaana''
ޙ|h̤ā, ޚ|k͟hā, ޜ|že, ޢ|‘ainu, ޣ|ġainu, ޥ|wāvu, ޛ|ẕālu,
ޠ|t̤ā, ޡ|ẓā, ޘ|s̱ā, ޤ|qāfu, ޞ|s̤ādu, ޟ|żādu, ޝ|śīnu,


3. 2. 모음 (Fili)

타나 문자에는 단모음(a, i, u, e, o)을 나타내는 5개의 모음 부호 또는 발음 구별 기호(ފިލި|fili디베히어)가 있다. 처음 세 개는 아랍어의 모음 부호인 ''fatḥah, kasrah'' 및 ''ḍammah''에서 유래되었다. ''ebefili''는 우르두어의 바리예와 유사하며, 아마도 이를 모델로 했을 것이다. 장모음(aa, ee, oo, ey 및 oa)은 oa를 제외하고는 두 개의 ''fili''로 표시되는데, oa는 단모음 ''obofili''를 수정한 것이다.

'''모음'''은 ''alifu''를 받침으로 표시한다.
އަ|abafili디베히어އާ|aabaafili디베히어އި|ibifili디베히어އީ|eebeefili디베히어އު|ubufili디베히어އޫ|ooboofili디베히어އެ|ebefili디베히어އޭ|eybeyfili디베히어އޮ|obofili디베히어އޯ|oaboafili디베히어އް|sukun디베히어
aaaieeuooeeyooa


3. 3. 유니코드

(alifu 캐리어와 함께 표시)자소이름나시리 로마자IPA 가치ހhaah[h]ށshaviyaniṣ[ʂ]ނnoonun[n̪]ރraar[ɾ]ބbaab[b]ޅlhaviyanilh[ɭ]ކkaafuk[k]އalifuvariessee articleވvaavuv[ʋ]މmeemum[m]ފfaafuf[f]ދdhaaludh[d̪]ތthaath[t̪]ލlaamul[l]ގgaafug[ɡ]ޏgnaviyanign[ɲ]ސseenus[s̺]ޑdaviyanid[ɖ]ޒzaviyaniz[z̺]ޓtaviyanit[ʈ]ޔyaay[j]ޕpaviyanip[p]ޖjaviyanij[dʒ]ޗchaviyanich[tʃ]ޘttaa아랍어-몰다브어
전사
문자Arabic ث [θ]ޙhhaaArabic ح [ħ]ޚkhaaArabic خ [x]ޛthaaluArabic ذ [ð]ޜzaa

영어-몰다브어
전사 문자

[ʒ]ޝsheenu아랍어-몰다브어
전사
문자Arabic ش [ʃ]ޞsaadhuArabic ص [sˤ]ޟdaadhuArabic ض [dˤ]ޠtoArabic ط [tˤ]ޡzoArabic ظ [ðˤ]ޢaïnuArabic ع [ʕ]ޣghaïnuArabic غ [ɣ]ޤqaafuArabic ق [q]ޥwaavuArabic و [w]އަabafilia[ə]އާaabaafiliaa[əː]އިibifilii[i]އީeebeefiliee[iː]އުubufiliu[u]އޫooboofilioo[uː]އެebefilie[ɛ]އޭeybeyfiliey[ɛː]އޮobofilio[ɔ]އޯoaboafilioa[ɔː]އްsukunvariessee articleޱnaviyaniޱ|나비야니디베히어[ɳ]



타나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블록은 U+0780–U+07BF이다.

0123456789ABCDEF
U+078xހށނރބޅކއވމފދތލގޏ
U+079xސޑޒޓޔޕޖޗޘޙޚޛޜޝޞޟ
U+07Axޠޡޢޣޤޥަާިީުޫެޭޮޯ
U+07Bxްޱ


참조

[1] 서적 dhivehi thaareekhah au alikameh Dhivehi bahaai Thaareekhah Khidhumaiy kuraa Qaumee Marukazu
[2] 서적 The Maldive Islanders, A Study of the Popular Culture of an Ancient Ocean Kingdom
[3] 보고서 Proposal to encode Dives Akuru in Unicode https://escholarship[...] Department of Linguistics, UC Berkeley 2018-01-23
[4] 학술지 Máldivian linguistic studies https://archive.org/[...] 1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