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부기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부기다는 에티오피아의 게에즈 문자에서 유래된 용어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표기하는 문자 체계를 의미한다. 아부기다는 자음 문자에 모음 부호를 붙여 모음을 표현하며, 모음 부호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음을 나타낸다. 인도에서 기원하여 동남아시아, 티베트,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지로 전파되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 타밀 문자, 태국 문자 등이 대표적이다. 아부기다는 아브자드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이며, 알파벳과 음절 문자의 중간 단계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부기다
개요
유형표음 문자
음절 단위자음과 모음의 결합을 나타내는 기호 사용
특징자음 문자를 기본으로 하고, 모음은 추가 기호나 변형으로 표시
어원에티오피아 문자에서 유래
다른 이름아부기다 문자, 알파음절 문자, 네오실라비즘
역사
기원기원전 3세기경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
발전인도 아대륙에서 발전, 동남아시아 및 기타 지역으로 확산
영향다양한 문자 체계에 영향을 줌
주요 특징
기본 문자자음
모음 표시자음 문자 주위에 붙는 부가 기호 또는 변형으로 표시
복잡성음절 문자보다 복잡하고, 알파벳보다는 단순
음절 구조대부분 자음+모음 형태의 음절 구조를 가짐
문자 결합때로는 자음 결합을 위한 별도 기호 사용
사용 지역 및 언어
인도데바나가리 문자 등 인도 문자에서 사용 (힌디어, 마라티어, 산스크리트어 등)
동남아시아자바 문자 등 동남아시아에서 사용
에티오피아게즈 문자, 암하라 문자 등에서 사용
기타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등
예시
데바나가리 문자대표적인 아부기다 문자 (예: क (ka), कि (ki), कु (ku))
에티오피아 문자기본 문자가 자음이고 모음은 부가 기호로 표시 (예: 'ä(어), bu(부), gi(기), da(다))
자바 문자고유한 모양과 모음 표기법을 가짐
캐나다 원주민 문자독특한 모양과 모음 표기법을 가짐
비교
알파벳자음과 모음을 개별 문자로 표시
아브자드모음을 일반적으로 표시하지 않는 문자 체계
음절 문자각 음절을 하나의 문자로 표현
유사점다른 문자 체계와 함께 사용되거나 혼합되어 사용되기도 함
관련 용어
네오실라비즘아부기다의 프랑스어 용어
음소 문자아부기다를 포함하는 더 넓은 분류
문자 체계언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시스템

2. 용어

'아부기다(abugida)'라는 용어는 게에즈 문자에서 유래했다. 게에즈 문자는 에티오피아 문자라고도 불리며, 이 문자의 처음 네 글자인 'አቡጊዳ'('ä', 'bu', 'gi', 'da')에서 따온 것이다. 이는 그리스 알파벳의 처음 두 글자인 '알파', '베타'를 어원으로 하는 '알파벳'이라는 용어의 생성 방식과 유사하다. 1990년에 피터 T. 다니엘스(Peter T. Daniels)가 '아부기다'라는 용어를 제안했다.[9]

윌리엄 브라이트(William Bright)는 1997년에 '알파음절 문자(alphasyllabary)'라는 용어를 제안했는데,[10] 이는 인도 문자처럼 알파벳과 음절 문자의 특징을 모두 공유하는 문자 체계를 가리킨다.

문자 체계의 유형[17]
소위 문자음소 문자
rowspan="5" style="width: 2em; border-style: hidden none none none;" |음운 문자
rowspan="3" style="width: 2em; border-style: hidden none none none;" |아브자드
아부기다
알파벳
음절 문자
표어 문자(상형 문자 포함)
기타표의 문자
픽토그램(이모티콘)



리처드 솔로몬(Richard Salomon)은 인도의 전통적인 용어인 '''악샤라'''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7]

3. 상세

아부기다는 자음 문자에 모음 부호를 붙여 모음을 표현하는 문자 체계이다. 모음 부호는 자음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또는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많은 아부기다는 자음에 모음 부호가 없으면 특정 모음(고유 모음)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일부 아부기다는 모음이 없음을 나타내는 특별한 부호(비라마, 할란트 등)를 사용한다. 자음군은 합자(ligature) 형태로 결합되거나, 자음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위아래로 쌓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에서는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자음 문자를 회전하거나 뒤집는다.

언어학에서 '아부기다'라는 용어는 피터 T. 다니엘스(Peter T. Daniels)가 1990년 서법 체계의 언어 유형론에서 제안했다.[9] 아부기다는 자음이나 모음 소리가 공통적인 글자들이 서로 특별한 유사성을 보이지 않는 음절 문자와 대조적이다. 또한, 아부기다는 자음과 모음을 나타내는 독립적인 글자들이 사용되는 알파벳과도 대조적이다.

'''아부기다'''라는 용어는 게에즈어의 에티오피아 문자(게에즈 문자)의 처음 네 글자 「አቡጊዳ」(‘b g d’)에 각각 에티오피아 문자의 처음 네 모음을 붙여 만든 신조어이다. 이 순서는 고대 북방 셈 문자의 순서인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라틴 알파벳으로는 A B G D)과도 일치한다. 또한 '''알파벳'''이라는 어휘가 그리스 문자의 처음 두 글자 「알파, 베타」(ἄλφαel, βῆταel)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과도 매우 닮았다.

'''아브자드''' 및 '''아부기다'''라는 용어는 피터 T. 대니얼스가 창안한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이 반드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용어로는 '''음소음절문자'''(alpha-syllabary) 등이 있다. 리처드 솔로몬은 인도의 전통적인 용어인 '''악샤라'''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17]

아부기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아부기다는 기본 기호에 표시를 붙여 모음을 구분한다. 자음 뒤에 오는 모음(이러한 모음을 접속모음이라고 한다) 이외의 모음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호(디악리틱 마크)는 자음 문자의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등에 나타나거나, 자음을 둘러싸기도 한다(예: 데바나가리의 क 혹은 타밀 문자에서 க ''ka''에서 கௌtam = ''kau''를 만드는 경우).

또한 많은 아부기다에는 접속모음을 생략하여 홀로 남은 자음을 나타내는 디악리틱 마크가 있다. 데바나가리에서는 क्이 ''k''가 되고, ल्이 ''l''이 된다. 이 디악리틱 마크 ्를 산스크리트어에서는 ''비라마'', 힌디어에서는 ''할란트''라고 한다. 이것은 자음군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거나, 어말 자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캐나다 원주민 실라빅으로 알려진 아부기다의 일종에서는 모음을 악샤라의 회전이나 반전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누크티투트어의 ᐱ ''pi'', ᐳ ''pu'', ᐸ ''pa'' 와 ᑎ ''ti'', ᑐ ''tu'', ᑕ ''ta'' 등이 있다.

레프차어에서 사용되는 레프차 문자(롱 문자 체계)는 다른 아부기다와는 상당히 다른 방법을 취한다. 단일 악샤라는 폐쇄 자음이 될 수 있다. 모음뿐만 아니라 종지음도 모두 디악리틱 마크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sok]이라는 음절을 와 같이 쓴다. 아래쪽 링이 /o/를 나타내고, 위쪽 십자가가 종지음 /k/의 디악리틱 마크이다. 인도네시아에도 종지음을 디악리틱 마크로 나타내는 아부기다가 몇 가지 있지만, 일반적으로 /ŋ/과 같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비음에 한정된다.

4. 아부기다의 종류

아부기다는 모음 표기 방식에 따라 세 가지 주요 계통으로 나뉜다. 모음을 자음에 부호를 붙여 나타내는 방식, 자음의 형태를 변형하여 나타내는 방식, 자음의 방향을 바꿔 나타내는 방식이 있다.[11]


  • 가장 오래되고 큰 계통은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브라흐미 문자 계열이다. 모음은 부호로 표시하고, 어말 자음은 합자, 부호 또는 특별한 모음 제거 표기로 표시한다.
  • 에티오피아 문자는 모음을 자음의 형태 변형으로 표시하며, 모음 형태 중 하나는 어말 자음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는 모음을 자음을 회전하거나 뒤집어서 표시하고, 어말 자음은 특수 부호 또는 주요 초기 자음의 위첨자 형태로 표시한다.


라오 문자타나 문자는 종속 모음과 영 모음 기호가 있지만 고유 모음은 없다.

특징북인도남인도타나에티오피아캐나다 원주민
모음 표현
자음 뒤
종속 부호 (부가 기호)
모음마다 다른 위치에 배치
융합된 부가 기호회전/반사
초성 모음
표현
모음마다 별도의
문자 사용
성문 폐쇄음 또는 영 자음
더하기 종속 모음
성문 폐쇄음
더하기 종속 모음
영 자음
더하기 종속 모음
고유 모음(모음 기호 없음의 값), , , 또는없음해당 없음
영 모음 기호(값이 없는 기호)종종어말 모음이
없을 때 항상 사용
와 모호함축소 또는 별도 문자
자음 군자음 군겹쳐 쓰거나 분리분리
어말 자음 (기호 아님)내포내포내포
별도의 어말 기호colspan="2">ṃ, ḥ에만 해당없음서부에서만
어말 기호 위치내포 또는 위쪽내포, 위쪽 또는 경우에 따라 아래쪽해당 없음올라간 위치 또는 내포
colspan="6"|



인도 문자는 인도에서 기원하여 동남아시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부탄, 티베트, 몽골, 러시아로 전파되었다. 현존하는 모든 인도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했다. 오늘날 이 문자들은 남아시아와 본토 동남아시아, 티베트, 인도네시아 제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사용된다.

북인도 문자와 남인도 문자가 주요 분류이다. 남인도 문자는 북인도 문자보다 둥근 자형을 가지지만, 네팔 문자인 오디아, 골몰, 리투몰은 둥글다. 대부분의 북인도 문자는 윗부분에 가로선이 있지만, 구자라트와 오디아는 예외이다. 남인도 문자에는 가로선이 없다.

인도 문자는 자음 주위에 종속 모음 부호(구별 부호)를 사용하여 모음을 나타내며, 종종 모음이 없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부호도 포함한다. 모음 부호는 자음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또는 주위에 나타날 수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도 문자는 데바나가리 문자이며, 힌디어, 비하르어, 마라티어, 콘카니어, 네팔어, 산스크리트어 등에 사용된다. 힌디어의 क와 같은 기본 자는 기본 모음이 있는 음절 '카'()를 나타낸다. 힌디어를 포함한 일부 언어에서는 단어 끝에서 최종 폐쇄 자음 'k'가 된다. 모음 표시(구별 부호)를 추가하여 कि 'ki', कु 'ku', के 'ke', को 'ko'와 같이 고유 모음을 변경할 수 있다.

thumb로 쓰인 19세기 사본]]

브라흐미 아부기다의 구별 부호 위치
위치음절발음기본 형태문자
के데바나가리 문자
아래कु
왼쪽कि
오른쪽को
주위கௌ타밀
내부கி
둘러쌈កៀ크메르
내부ಕಿ칸나다
내부కి텔루구
아래 및 오른쪽으로 확장
ꦏꦾ자바
아래 및 왼쪽으로 확장
ꦏꦿꦸ



많은 브라흐미 문자에서, 자음 군으로 시작하는 음절은 모음 표시를 위해 단일 문자로 취급되므로, 수정할 문자 앞에 오는 ि '-i'와 같은 모음 표시는 발음되는 위치보다 몇 자리 앞에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디어의 게임 크리켓은 क्रिकेट ()로 표기되는데, 에 대한 구별 부호는 앞이 아니라 의 자음 군 앞에 나타난다.

많은 아부기다에서는 고유 모음을 억제하여 맨 자음을 생성하는 구별 부호도 있다. 데바나가리 문자에서 प्는 'p'이고, फ्는 'ph'이다. 이것은 산스크리트어로 '비라마' 또는 '할란탐'이라고 한다. 자음 군을 형성하거나 단어 끝에 자음이 나타나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4. 1. 브라흐미 문자 계열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된 브라흐미 문자 계열은 다음과 같다.

4. 2. 게에즈 문자

게에즈 문자는 암하라어, 티그리냐어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의 여러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에티오피아 문자라고도 불린다.

게에즈 문자에서 피델(문자의 개별 "글자")은 자음과 융합된 "구별 부호"를 가지고 있어서 문자 형태의 변형으로 간주한다. 아이들은 음절 문자처럼 각 변형을 따로 학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자음을 가진 음절 간의 그래픽 유사성은 진정한 음절 문자와 달리 명확하게 나타난다.

4세기기독교가 들어오기 전에는 아브자드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아부기다이다. 게에즈 문자(또는 피델)에서 문자의 기본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ሀ 'hä' hə|h어gez (기본 형태), ሁ 'hu' (문자를 변경하지 않는 오른쪽 구별 부호가 있는), ሂ 'hi' (자음을 압축하는 하위 구별 부호가 있어서 높이가 같음), ህ 'hə' hɨ|h으gez 또는 h|hgez (왼쪽 팔에 굴곡이 있는 문자 변형)이 있다. 'ə' 모음이 있는 문자는 결합 모음이 없는 경우의 표기를 겸한다.[18]

4. 3.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계열인 이누이트 문자는 이누이트어, 크리어, 오지브와어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18] 인도의 데바나가리 문자에서 영감을 받은 이 문자는 모음을 음절 문자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표시하며, 각 모음은 일관된 방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이누크티투트어에서 ᐱ는 ''pi,'' ᐳ는 ''pu,'' ᐸ는 ''pa'' 이고, ᑎ는 ''ti,'' ᑐ는 ''tu,'' ᑕ는 ''ta'' 이다. 각 음절 문자에는 고유한 모음이 있지만, 모든 회전 방향은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기본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자음만 있는 경우는 별도의 구별 부호나 악샤라의 위첨자 버전으로 표시하며, 모음 제거 기호는 없다.[18]

5. 아부기다와 유사한 문자 체계

파우파우 문자는 자음과 모음을 모두 완전한 글자로 표기하지만, 발음과 달리 모음-자음 순서로 표기한다. 메로이티 문자는 고유 모음 'a'를 표기하지 않고, 다른 모음은 완전한 문자로 표기하는, 알파벳에 가까운 체계였다. 타나 문자는 모든 모음을 모음 부호로 표기하며, 고유 모음이 없고 모음 부호가 생략되는 경우가 없다. 속기는 일부 시스템에서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구분 기호를 사용하지만, 고유 모음은 없다.


  • 파우파우 문자
  • 메로이티 문자
  • 타나 문자
  • 가벨스베르거식 속기
  • 폴라드 문자
  • 피트먼 속기

6. 발전

아부기다는 아브자드(모음이 없는 알파벳)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으로 아부기다는 알파벳과 음절 문자 사이의 중간 단계로 간주되어 왔다.[14] 아부기다는 각 음절이나 자음-모음 조합에 대해 별개의 기호가 있는 음절 문자와는 대조된다. 음절 문자에서 이러한 기호들은 서로 체계적인 유사성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상형 문자에서 직접 발전한다.

대부분의 인도와 인도차이나 아부기다는 카로슈티 문자브라흐미 문자를 사용하는 아브자드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것으로 보인다. 문제의 아브자드는 일반적으로 아람 문자로 간주되지만, 아람어와 카로슈티 문자 사이의 연관성은 거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반면, 브라흐미 문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카로슈티 문자 계열은 오늘날까지 전해지지 않지만, 브라흐미 문자의 후손은 남아시아동남아시아의 대부분의 현대 문자를 포함한다.

게에즈 문자는 예멘의 사바 문자라는 다른 아브자드에서 유래했다. 모음의 출현은 서기 350년경 기독교의 도입 또는 채택과 일치한다. 에티오피아 문자는 아브자드의 정교화된 형태이다.

크리 음절 문자는 데바나가리 문자 체계를 완전히 알고 발명되었다.

메로이틱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발전되었는데, 그 안에서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그룹 쓰기' 방식이 사용되었다.

참조

[1] 사전 abugida
[2] 서적 Histoire de l'écriture https://books.google[...] Payot
[3] 서적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Philosophical Library
[4] 논문 Review of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by John Chadwick http://www.jstor.org[...] 2020-09-30
[5] 논문 Fundamentals of Grammatology https://www.jstor.or[...]
[6] 논문 Towards a typology of phonemic scripts
[7] 논문 Littera ex occidente: Toward a Functional History of Writing https://oi.uchicago.[...]
[8] 논문 Towards a typology of phonemic scripts
[9] 논문 Fundamentals of Grammatology 1990-10-12
[10] 기타
[11] 서적 Language Culture Type
[12] 웹사이트 Standard Azeri http://www.azeri.org[...] 2023-05-07
[13] 웹사이트 The Joy of Pitman Shorthand http://pitmanshortha[...]
[14] 논문 A Matter of Typology: Alphasyllabaries and Abugidas https://core.ac.uk/d[...] 2024-08-06
[15] 웹사이트 ScriptSource – Bengali (Bangla) https://www.scriptso[...] 2019-05-09
[16] 웹사이트 Ihathvé Sabethired http://www.omniglot.[...]
[17]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18]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