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라우마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라우마라어는 멕시코 치와와 주에서 70,000명 이상의 타라우마라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과거에는 유토아즈텍어족의 타라카히트어군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과리히오어와 함께 타라우마라어군으로 분류된다. 타라우마라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Ethnologue는 서부, 중부, 북부, 남동부, 남서부의 5개 방언을 제시한다. 타라우마라어는 초등학교, 지방 행정, 전통 종교 의식 및 지역 상거래에서 사용되며, 음운론적으로 5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갖는다. 문법적으로는 접미사가 주로 사용되며, SOV 어순을 기본으로 한다. 타라우마라어는 CDI의 라디오 방송국 XETAR에서 방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OV형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SOV형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타라우마라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타라우마라어
고유 이름라라무리 라이차 (Rarámuri ra'ícha)
사용 국가멕시코
사용 지역치와와 주
민족타라우마라족
화자 수91,554명 (2020년 인구 조사)
언어 분류멕시코의 63개 공용어 중 하나
관리 기관멕시코 공공교육부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토-아즈텍어족
하위 어족남부 오토-아즈텍어족
어파타라우마라어파
방언
방언 목록중앙 타라우마라어
북부 타라우마라어
남동부 타라우마라어
남서부 타라우마라어
서부 타라우마라어
언어 코드
ISO 639-3tar (중앙 타라우마라어)
thh (북부 타라우마라어)
tcu (남동부 타라우마라어)
twr (남서부 타라우마라어)
tac (서부 타라우마라어)
Glottologtara1321 (타라우마라어)
지도 정보
타라우마라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서 취약(Vulnerable)으로 분류됨
타라우마라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서 취약(Vulnerable)으로 분류됨
멕시코에서 타라우마라어의 접촉 이전(녹색) 및 현재(빨간색) 범위
멕시코에서 타라우마라어의 접촉 이전(녹색) 및 현재(빨간색) 범위

2. 분류

타라우마라어는 이전에는 유토아즈텍어족의 타라카히트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 분류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현재는 가장 가까운 언어학적 친족인 과리히오어(과리히오어)와 함께 타라우마라어군에 속하며, 과리히오어는 시에라 마드레 옥시덴탈에서도 사용된다.

3. 방언

라라무리어는 치와와주에 거주하는 70,000명 이상의 멕시코 원주민이 사용한다. 방언의 수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떤 전문가들은 2개(서부와 동부)로 보기도 하고,[3] 다른 전문가들은 4개(서부, 북부, 남부, 동부)로 보기도 한다.[4] 1990년대 멕시코 정부를 위해 일하는 언어학자들이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5개의 방언이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5] 멕시코 연구자들은 라라무리어 방언에 대한 지식이 여전히 불완전하며, 5개보다 훨씬 더 많은 방언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해당 지역의 지형은 거의 전적으로 멕시코 서부에 있는 산맥인 시에라 마드레 옥시덴탈에 의해 지배된다. 2011년 기준으로 Ethnologue는 동부를 네 개의 방언으로 나눈다. Ethnologue가 인정하는 다섯 개의 방언은 다음과 같다.

방언화자 수
서부40,000명 (1996년 공식 인구 조사 수치)[4]
중부55,000명 (단일 언어 사용 10,000명 포함)
북부300명
남동부추정치 없음
남서부100명



역사학자 마누엘 오로스코 이 베라는 바로히오, 과사파레, 파체라, 투바르의 네 가지 방언을 확인했다.[5]

4. 사용 현황

타라우마라어는 초등학교와 지방 행정, 전통적인 종교 의식 및 지역 상거래에서 사용된다. Ethnologue에 따르면, 타라우마라족 근처나 그들 사이에 거주하는 스페인어 사용자는 상업 활동에서도 타라우마라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동시에 스페인어는 원주민 사회에서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타라우마라어 사용자의 1%만이 자국어에 문맹이 아니고, 20%는 스페인어에 문맹이 아니다.

5. 음운론

라라무리어는 5개의 모음 음소(/a, e, i, o, u/)를 가지고 있다. 또한, [ə]는 단어 첫머리와 강세를 받은 고모음성문 파열음 사이에서 /a/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몇 가지 중요한 음운 규칙은 다음과 같다:

# 구 초두 음절에서 모음이 바로 뒤따르지 않고, [h] 또는 [ʔ]가 아닌 경우, 강세를 받지 않은 모음은 장모음을 획득한다.

# 강세를 받은 구 및 단어 종결 모음은 선택적으로 무성 이탈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단어 종결 모음은 강세를 받은 음절 초두 파열음 또는 파찰음이 선행하는 경우에만 이탈음을 받는다.

# 단어 첫머리에서, [a] → [ə]는 강세를 받은 [+고모음]과 [ʔ] 사이에 있는 경우이다.

# 강세를 받지 않은 단어 중간 또는 종결 음절에서, [i]는 변이음적으로 덜 긴장하게 된다.

# 빠른 발화에서, 강세를 받지 않은 음절의 모음은 빈번하게 탈락한다.

# 강세를 받지 않은 단어 중간 또는 종결 음절에서, 모든 모음은 비음 다음에 오고 파열음 앞에 오는 경우 탈락한다.

5. 1. 자음

라라무리어에는 4개의 마찰음 음소가 있는데, 유성 마찰음 β, ɣ|베타, 감마es는 각각 파열음 변이음 b|브es와 ɡ|그es를 가진다. β|베타es는 단어 처음에 올 때 b|브es로 소리나고, ɣ|감마es는 n|ㄴes 뒤에 올 때 ɡ|그es로 소리난다. 음소 r|ㄹes은 떨림음과 전방 탄음의 두 가지 변이음을 가진다. 두 변이음 모두 구의 시작 부분에서 나타나지만, 떨림음 변이음이 훨씬 더 일반적이다.

양순음치경음권설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ㅁesn|ㄴes
파열음p|ㅍest|ㅌesk|ㅋesʔ|ʔes
파찰음t͡s|ㅊes~t͡ʃ|ㅊes
마찰음β|베타ess|ㅅes~ʃ|ㅅesɣ|감마esh|ㅎes
유음ɾ|ㄹes𝼈|ㄹes
접근음β̞|베타es[6]j|ㅣes



t͡ʃ, ʃ, j, ʔ, h|ㅊ, ㅅ, ㅣ, ʔ, ㅎes는 각각 ch, sh/s, y, ʼ, j로 표기되며, s|ㅅes는 s/c로 표기된다.

ʃ|ㅅes는 i, u|ㅣ, ㅜes 앞에서 s|ㅅes의 선택적 변이음이며, t͡s|ㅊes는 a, o, u|ㅏ, ㅗ, ㅜes 앞에서 t͡ʃ|ㅊes의 선택적 변이음이다. 일부 작가들은 s, ʃ|ㅅ, ㅅes를 각각 s, sh로 표기하는 반면, 다른 작가들은 c, s로 표기한다.

𝼈|ㄹes는 일부 방언에서 치경 ɺ|ㄹes이다.[7]

5. 2. 주요 음운 규칙

라라무리어는 5개의 모음 음소(/a, e, i, o, u/)를 가지고 있다. 또한, [ə]는 단어 첫머리와 강세를 받은 고모음성문 파열음 사이에서 /a/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음소적으로 모든 파열 자음은 무성음이다. 유성음 2개와 무성음 2개로, 4개의 마찰음 음소가 있지만, 유성 마찰음 /β, ɣ/는 모두 파열음 변이음을 가지고 있다. [b]와 [ɡ]인데, /β/는 단어 첫머리에 위치할 때 [b]로 들리고, /ɣ/는 /n/ 다음에 위치할 때 [ɡ]로 들린다. 음소 /r/은 두 개의 변이음을 가지고 있다: 떨림음과 전방 탄음. 두 변이음 모두 구 초두에서 나타나지만, 떨림음 변이음이 훨씬 더 일반적이다.



/t͡ʃ, ʃ, j, ʔ, h/는 <ch>, <sh>/<s>, <y>, <ʼ>, <j>로 표기되며, /s/는 <s>/<c>로 표기된다.

[ʃ]는 [i, u] 앞에서 /s/의 선택적 변이음이며, [t͡s]는 [a, o, u] 앞에서 /t͡ʃ/의 선택적 변이음이다. 일부 작가들은 [s, ʃ]를 각각 <s>, <sh>로 표기하는 반면, 다른 작가들은 <c>, <s>로 표기한다.

/𝼈 /는 일부 방언에서 치경 [ɺ]이다.[7]

몇 가지 중요한 음운 규칙은 다음과 같다:

# 구 초두 음절에서 모음이 바로 뒤따르지 않고, [h] 또는 [ʔ]가 아닌 경우, 강세를 받지 않은 모음은 장모음을 획득한다.

# 강세를 받은 구 및 단어 종결 모음은 선택적으로 무성 이탈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단어 종결 모음은 강세를 받은 음절 초두 파열음 또는 파찰음이 선행하는 경우에만 이탈음을 받는다.

# 단어 첫머리에서, [a] → [ə]는 강세를 받은 [+고모음]과 [ʔ] 사이에 있는 경우.

# 강세를 받지 않은 단어 중간 또는 종결 음절에서, [i]는 변이음적으로 덜 긴장하게 된다.

# 빠른 발화에서, 강세를 받지 않은 음절의 모음은 빈번하게 탈락한다.

# 강세를 받지 않은 단어 중간 또는 종결 음절에서, 모든 모음은 비음 다음에 오고 파열음 앞에 오는 경우 탈락한다.

6. 문법

타라우마라어의 문법은 버지스(1984)의 연구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타라우마라어는 대부분 접미사로 이루어지며, 구문론적 요소도 단어 마지막에 나타나는 반(半)-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 명사와 동사는 머리-처음(head-initial) 구조를 가지며, 부치사는 전치사 또는 후치사로 사용되고 일부는 명사에 접미사로 붙는다.

6. 1. 형태론

타라우마라어의 접사는 거의 대부분 접미사이며, 구문론적 요소 역시 단어 마지막에 나타난다. 명사와 동사는 반(半)-교착어적이다. 단어와 구는 머리-처음(head-initial)이다. 부치사는 전치사 또는 후치사일 수 있으며, 일부는 명사에 접미사로 붙는다.

명사 형태론에서는 주격과 대격의 두 가지 격이 존재한다.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는 모두 접미사 -ʔt͡ʃi|rar로 표시된다.[1] 격 표시 외에도, 다른 접미사가 없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유토-아즈텍어의 "절대격" 접미사도 있다. 절대격의 변형에는 -ʔt͡ʃi|rar, -ri|rar가 포함된다.[1] 소유된 명사는 동사 구문, 명사 접미사, 또는 이 둘의 조합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시된다.[1] 명사 접미사의 경우, 소유격은 -ra|rar로 표시된다.[1] 일부 명사는 복수를 위해 굴절되지 않지만, 이를 포함하는 명사구는 다른 수단을 통해 복수를 표시한다. 즉, 양 단어가 명사구에 추가되거나 머리와 관련된 단어가 복수로 굴절된다.[1]

지시사는 근접/거리 및 수를 표시한다. 라라무리어는 머리-마지막(head-final)이므로, 지시사는 명사 앞에 온다.[1] 지시사는 관사 및 대명사로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중복될 수도 있다.[1] 이야기꾼은 때때로 동물의 이름 앞에 지시사를 생략하여, 동물이 생물 척도에서 더 높이 평가되거나/또는 동물의 이름이 고유 명사로 사용됨을 보여준다.[1]

미래 시제와 과거 시제 모두에 여러 개의 동사 접미사가 있으며, 미래 시제 접미사 마커 세 개 모두의 이형태가 있다.[1] 미완료, 조건, 수동태, 복수 및 단수 명령형, 그리고 과거 분사도 접미사로 표시된다.[1] 과거, 단수 및 복수와 같은 여러 유형의 게런드를 나타내는 접미사가 있다.[1]

주어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동사 앞에 오는 대명사는 1, 2, 3인칭 단수와 복수를 표시할 수 있다.[1] 또한, 시제-상-법(TAM) 표지 뒤에 오는 접미사도 주어를 표시할 수 있다.[1] 이러한 방식으로 주어 표시는 시제, 상, 그리고 법을 표시하는 것보다 더 유연하다.[1] 그러나 주어 대명사는 주어 접미사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1]

명사를 동사로 바꿀 수 있는 여러 접미사가 있다. 이러한 접미사는 "되다" 또는 "만들다"에서 "입다", "벗다", 그리고 "가지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를 포괄한다.[1] 유사한 접미사 추가 과정에서 형용사도 동사가 될 수 있다.[1] 사실, 동사도 접미사를 붙여 다른 동사가 될 수 있지만, 명사에서 동사로의 구조가 이러한 유형의 변환 중 가장 생산적이다.[1]

라라무리어는 동사를 타동화하는 밸런스 변경 과정을 활용한다. 이 특징은 유토-아즈텍어에서 널리 퍼져 있다.[1] 동사를 타동화하려면 동사 어근의 마지막 모음을 변경해야 한다.[1] 적용화 과정은 접미사와 접두사를 포함하며, 어근 처음의 양순 자음의 유성음 변화도 포함한다.[1] 이 과정은 양방향으로 진행된다. 즉, 양순 자음이 [+유성음]이면, 이 접사의 추가로 [-유성음]이 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1]

6. 2. 통사론

타라우마라어의 구문 구조는 비교적 자유로우나, 최소한의 표지 형태는 가지고 있다. 다른 유토아즈텍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기본 어순은 SOV이다. 간접 목적어, 시간 표지 또는 장소 표지가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동사 뒤에 온다. 하지만 예외가 많기 때문에 최소 표지 구문이 항상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초점 및 주제화 표지가 많이 사용된다. 문장 성분을 문장의 시작 부분에 배치하여 주제화할 수 있다. 동사의 주제화는 주어를 나타내기 위해 "강조" 단어를 필요로 한다. OVS 어순은 이야기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강조" 형태소가 있다. 입자 ka|rar는 주어에 추가되고, 입자 ʔe|rar는 모든 문법적 역할을 수행하는 명사구에 추가되며, 접미사 ri|rar는 명사와 동사의 강조어이다. 부사를 "강조"하기 위해 접두사 ʔ-|rar가 추가된다. 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반복하여 강조할 수 있다. 이미 강조 입자를 가진 단어에 더 많은 "강조"를 추가하기 위해 후치사 pa|rar를 추가할 수 있다.

타라우마라어 질문은 다음과 같은 구문을 가진다. 문장 시작 부분에 질문 입자가 필요하다. 예/아니오 질문은 문장 시작 부분의 질문 입자 ta|rar로 표시되며, 때로는 마지막 음절에 상승조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Wh''- 질문은 마지막 음절에서 수평 또는 하강하는 운율적 음조로 표시된다. 이러한 단어들은 또한 t͡ʃi-|rar 또는 t͡ʃe-|rar의 동형 이형 접두사를 모두 포함한다는 유사한 음성적 특성을 공유하며, "어디"를 의미하는 kóe|rar는 접두사 대신 접미사로 동일한 접사를 포함한다는 점이 다르다.

타라우마라어에서 관계절을 형성하기 위해, 화자는 문법성을 얻기 위해 관계절의 동사에 접미사 ame|rar만 붙이면 된다. 관계절은 머리말 앞이나 뒤에 올 수 있으며, 차이점은 강조에만 있다. 때로는 관계절이 참조하는 머리말이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머리말은 해당 머리말에 속하는 관계절 바로 앞과 바로 뒤에 나타난다. 또한, 관계절로 위장하지만 실제로는 문장의 주어를 반복하는 구문도 존재한다. 종종, 주어의 두 번째 반복은 어떤 식으로든 확대되거나 설명된다. 이러한 구문 스타일은 타라우마라어에만 고유한 것이 아니라, 특히 나와어를 포함한 많은 다른 유토-아즈텍어족 언어에서 발견될 수 있다.

7. 대중 매체

라라무리어는 CDI의 라디오 방송국 XETAR에서 방송되며, 치와와주 과초치에서 송출된다.

8. 참고 문헌


  • 브람빌라, 데이비드 (1976). 《Diccionario Rarámuri-Castellano (타라우마라어-스페인어 사전)》.
  • 버제스, 도널드 H. (1984). 〈서부 타라우마라〉. 랭커, 로널드 W. (ed.). 《우토아즈텍어 문법 연구 4: 남부 우토아즈텍어 문법 스케치》. 여름 언어학 연구소 언어학 출판물, 56영어. 댈러스: 1–149.
  • 카바예로, 가브리엘라 (2008). 《Choguita Rarámuri (Tarahumara) phonology and morphology》 (PhD).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데킨, 카렌 (2007). 〈최종 특징과 원시 우토아즈텍어: 형태론적 재구성을 사용한 기여〉. 살몬스, 조; 두베니온-스미스, 섀넌 (eds.). 《역사 언어학 2005: 제17회 국제 역사 언어학 회의에서 발췌한 논문》. 존 벤자민스: 295–310.
  • 다이멜, 클라우스 (2001). 《Nawésari: texte aus der Sierra Tarahumara》. 베를린: D. Reimer.
  • 밀러, 윅 R (1983). 〈우토아즈텍어〉. 오르티즈, 알폰소 (ed.). 《북아메리카 인디언 핸드북, 10》. 워싱턴 D.C.: 스미소니언 협회: 113–124.
  • 발리나스, L. (2001). 〈Lengua,dialectos e identidad étnica en la Sierra tarahumara〉 (타라우마라 산맥의 언어, 방언 및 민족 정체성). 몰리나리, C.; 포라스, E. (eds.). 《타라우마라 산맥의 정체성과 문화》. 멕시코: 국립 인류학 및 역사 연구소: 105–125.

참조

[1] 웹사이트 Lenguas indígenas y hablantes de 3 años y más, 2020 http://cuentame.ineg[...] INEGI
[2] 간행물 Comisión Nacional para el Desarrollo de los Pueblos Indígenas (CDI), Mexico
[3] 문서 Ethnologue
[4] 웹사이트 Mexico https://www.ethnolog[...] 2021-02-25
[5] 서적 Indian Languages of Mexico and Central America and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https://www.loc.gov/[...] Shorey Book Store 2024-05-09
[6] 문서 bilabial approximant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