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은 타이베이 첩운의 노선으로, 동물원역에서 난강전람관역까지 운행한다. 1988년 건설이 시작되어 1996년에 개통되었으나, 초기에는 기술적 문제와 공급업체와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원후선은 VAL 256 차량으로 시작하여, 네이후선 연결과 함께 Cityflo 650 CBTC 시스템으로 전환되었고, INNOVIA APM 256 차량이 사용된다. 노선은 중국어, 영어, 대만어, 객가어로 안내방송을 하며, 일부 역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 안내방송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8호선
    수도권 전철 8호선은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서 경기 성남시 수정구 모란동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6년 개통 이후 2024년 별내선 개통으로 구리시와 남양주시까지 확장되었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 19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동구, 경기도 성남시에 걸쳐 있으며, 1996년 잠실~모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24년 암사~별내 구간 개통을 앞두고 있고, 모란역에서 판교역, 별내별가람역에서 별내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다.
  • 타이베이 첩운 - 타이베이역
    타이베이역은 대만 타이베이시 중정구에 위치한 대만 최대 규모의 철도역으로,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완 철로 관리국, 타이베이 첩운 노선이 지나가며, 지상 6층, 지하 4층 구조로 철도, 첩운, 상업 시설을 갖추고 대규모 환승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 타이베이 첩운 - 타이베이 첩운 샤오비탄 지선
    타이베이 첩운 샤오비탄 지선은 2004년 9월에 개통된 타이베이 첩운의 지선 노선으로, 치장역과 신베이 시 신뎬 구의 샤오비탄역을 연결하며, 소음 문제로 방음벽이 설치되었고, C341형과 C371형 열차가 운행되며, 샤오비탄역에는 신뎬 차량기지와 공동 개발 계획이 있다.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다안역에 접근하는 Innovia APM 256 열차
다안역에 접근하는 Innovia APM 256 열차
노선 종류고무차륜 지하철
상태운행 중
위치타이베이, 대만
기점타이베이 동물원
종점타이베이 난강 전람관
역 수24
특징고가 철도 및 지하 구간 (푸저우산 터널, 쑹산 공항 및 다즈 역)
차량기지무자
네이후
개통1996년 3월 28일 (타이베이 동물원 – 중산 주니어 하이스쿨)
2009년 7월 4일 (중산 주니어 하이스쿨 – 타이베이 난강 전람관)
운영 기관타이베이 고속철도 공사
사용 차량VAL 256
Innovia APM 256
노선 길이25.1km
궤간1880mm (콘크리트 레일 시스템 사용)
최고 속도70km/h
신호 시스템무빙 블록 봄바르디어 CITYFLO 650 CBTC–ATC 하의 ATO GoA 4 (UTO)
전력 공급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MRT 원후선 노선도
첩운 문후선 노선도
명칭
중국어 (정체)文湖線
중국어 (간체)文湖线
한어 병음Wénhú Xiàn
대만어Bûn-ôo-soàⁿ
객가어Vùn-fù Sien
대체 명칭문산-네이후 선
중국어 (정체, 대체)文山內湖線
중국어 (간체, 대체)文山内湖线
한어 병음 (대체)Wénshān–Nèihú Xiàn
대만어 (대체)Bûn-san-–Lāi-ôo-soàⁿ
객가어 (대체)Vùn-sân–Nui-fù Sien
다른 이름브라운 라인
중국어 (정체, 다른 이름)棕線
중국어 (간체, 다른 이름)棕线
한어 병음 (다른 이름)Zōng Xiàn
통용 병음 (다른 이름)Zong Siàn
웨이드-자일스 (다른 이름)Tsung1 Hsien4
대만어 (다른 이름)Chang soàⁿ
객가어 (다른 이름)Chûng Sien
기타
관련 정보타이베이 첩운 노선 목록

2. 역사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은 1988년 12월 착공하여, 1996년 3월 28일 원산선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다. 건설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문제와 사고, 마트라사와의 법적 분쟁 등을 겪었다. 2009년 7월 4일에는 네이후선 구간이 개통되어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네이후선 건설 과정에서도 노선 형태(고가/지하), 타이베이 쑹산 공항 경유 여부 등을 두고 많은 논란이 있었다.

원후선 건설 및 운영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87년 2월 23일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초기 계획 시작.
1988년 12월 15일원산선 공사 시작.
1993년 9월 28일원산선 시운전 중 열차 화재 발생.
1993년 10월 9일타이베이시 첩운공국(DORTS)은 원후선을 대형 지하 노선으로 변경할 계획 발표.
1994년 8월 23일타이베이시 첩운공국은 원후선을 중형 고가 노선으로 계속 건설할 계획 발표.
2001년 9월 26일원후선 12개 역 최종 확정.
2002년 5월 23일원후선 공사 시작.
2007년 12월 24일쑹산 공항역과 젠난루역 사이 첫 시운전 실시.[14]
2008년 6월 28일원후선 공사 완료.[13]
2009년 7월 4일원산선은 Matra 고정 블록 시스템에서 CITYFLO 650 시스템으로 전환, 원후선 운행 시작.
2009년 7월 10일시스템 문제로 브라운 라인 운행이 오후 3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후 6시 30분까지 중단.[15]
2010년 12월 19일개조된 VAL 256 차량이 브라운 라인에서 시험 운행 시작.[18]


2. 1. 건설 과정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의 건설은 1988년 12월 426억 신 타이완 달러의 비용으로 시작되었다. 개통 후 몇 년 동안 논란, 비용 초과, 기술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5] 원래 1991년 12월에 여객 운송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낙뢰, 컴퓨터 오류, 차량 탈선 및 화재 사고 등 여러 사고로 인해 1996년 3월 28일까지 상업 운전이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6] 1999년에는 고가 기둥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노선이 일시적으로 폐쇄되기도 했다.[5]

이 시스템의 가장 큰 공급업체 중 하나인 마트라(Matra)는 VAL 256 차량과 전기 시스템을 공급했다. 그러나 타이베이 시청의 급행 수송 시스템 부서를 상대로 노선 건설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지 않아 비용이 초과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7] 마트라는 1994년에 노선 운영에서 철수했다.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은 "馬特拉不拉,我們自己拉"(마트라가 끌지 않으면, 우리가 직접 끌겠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회사가 철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 운영을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2005년, 12년간의 법정 공방 끝에 마트라는 중화민국 최고법원으로부터 16억 신 타이완 달러(약 5천만 미국 달러)의 손해 배상을 받았다.[8][9]

원산선은 VAL 256 2량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시스템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4량 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2007년 마오콩 곤돌라 개통으로 타이베이 동물원으로 이동하여 환승하는 승객 수도 증가했다.

2009년 7월, 원산선은 네이후선과 연결되었다. 네이후선은 네이후타이베이 쑹산 공항과 같이 급행 수송 수단이 없던 지역을 연결한다. 새로운 노선에 차량 및 신호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해 봄바디어(Bombardier)가 선정되었고, 원산선의 신호 시스템은 새로운 통신 기반 열차 제어(CBTC) CITYFLO 650에 맞게 변환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마트라 차량과 새로운 봄바디어 차량이 함께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2010년 12월 19일, 51쌍의 개조된 VAL 256 (마트라 차량)이 전체 노선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10] 반 년이 넘는 시험 운행 후, 추가 열차 투입으로 러시아워 시간대 열차 간격은 2분에서 72초로 줄었고, 노선에서 운행하는 총 열차 수는 152쌍으로 늘어났다.[10]

네이후선은 개통 전에 많은 지연을 겪었다. 원산선의 연장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원래 계획은 유사한 고가 중용량 노선이었다. 그러나 네이후 지구의 성장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과 정치인들은 블루 라인과 유사한 지하 고용량 노선을 요구했다.[11]

고가 노선의 초기 비용 추산은 426억 신 타이완 달러였지만, 지연으로 인해 가격 조정 비용 추산이 603억 신 타이완 달러를 넘었다. 지하 건설로 전환하면 비용이 1344억 신 타이완 달러까지 증가했을 것이다. 그러나 중앙 정부는 네이후선 건설을 즉시 시작하지 않으면 노선에 대한 보조금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네이후의 좁은 거리와 많은 굴곡 때문에 지하 고용량 노선 건설은 실행 불가능했을 것이다.[12] 따라서 많은 지연 끝에 고가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이 계속되었다.[11]

타이베이 쑹산 공항을 노선에 포함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12] 역 추가로 인해 노선 길이가 1.9km 늘어났고, 노선의 최종 비용은 667억 신 타이완 달러에 달했다.[13]

네이후선은 1996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13년의 지연 끝에 운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로 비판을 받아왔다.[12]

2. 2. 초기 운영 문제

1988년 12월, 신 타이완 달러4260억신 대만 달러의 비용으로 원후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개통 후 초기 몇 년 동안은 여러 논란, 비용 초과, 기술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5] 원래 1991년 12월에 여객 운송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낙뢰, 컴퓨터 오류, 두 건의 차량 탈선 및 화재 사고 등 여러 사고로 인해 상업 운전이 1996년 3월 28일까지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6] 시험 운전 단계에서 발생한 이러한 문제들은 대중의 신뢰를 떨어뜨렸다. 1999년에는 고가 기둥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노선이 일시적으로 폐쇄되기도 했다.[5]

원후선의 주요 공급 업체 중 하나였던 마트라는 VAL 256 차량과 전기 시스템을 공급했으나, 타이베이 시청의 급행 수송 시스템 부서가 노선 건설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아 비용이 초과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7] 이후 마트라는 1994년에 노선 운영에서 철수했다.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은 "마트라가 끌지 않으면, 우리가 직접 끌겠다"라는 유명한 구호를 외치며, 마트라의 철수에도 불구하고 노선 운영을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12년간의 법정 공방 끝에 2005년, 마트라는 중화민국 최고법원으로부터 16억신 대만 달러(약 5000만달러)의 손해 배상을 받았다.[8][9]

2. 3. 마트라와의 갈등

1988년 426억 신 타이완 달러(NT$)의 비용으로 원산선 건설이 시작된 후, 마트라(Matra)는 VAL 256 차량과 전기 시스템을 공급했다. 그러나 마트라는 타이베이 시청 급행 수송 시스템 부서를 상대로 노선 건설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지 않아 비용이 초과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7] 이 회사는 1994년에 노선 운영에서 철수했다.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은 "馬特拉不拉,我們自己拉"(마트라가 끌지 않으면, 우리가 직접 끌겠다)라는 유명한 구호를 외치며 회사가 철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 운영을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2005년, 12년간의 법정 공방 끝에 마트라는 중화민국 최고법원으로부터 16억신 대만 달러(약 5천만 미국 달러)의 손해 배상을 받았다.[8][9]

2. 4. 네이후선 확장과 시스템 전환

원후선의 건설은 1988년 12월 426억 신 타이완 달러의 비용으로 시작되었다. 개통 후 몇 년 동안 논란, 비용 초과, 기술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5] 원래 1991년 12월에 여객 운송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사고로 인해 1996년 3월 28일까지 상업 운전이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6] 낙뢰, 컴퓨터 오류, 2건의 차량 탈선 및 화재 사고가 시험 운전 단계에서 보고되면서 대중의 신뢰가 흔들렸다. 1999년에는 고가 기둥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노선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5]

시스템의 가장 큰 공급업체 중 하나인 마트라(Matra)는 노선에 VAL 256 차량과 전기 시스템을 공급했는데, 타이베이 시청의 급행 수송 시스템 부서를 상대로 노선 건설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지 않아 비용이 초과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7] 이 회사는 이후 1994년에 노선 운영에서 철수했다.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은 "馬特拉不拉,我們自己拉"(마트라가 끌지 않으면, 우리가 직접 끌겠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회사가 철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의 진척과 운영을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12년 간의 법정 공방 끝에 2005년, 마트라는 중화민국 최고법원으로부터 16억 신 타이완 달러(약 5천만 미국 달러)의 손해 배상을 받았다.[8][9]

원산선 운행은 VAL 256 2량 편성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시스템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4량 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2007년 마오콩 곤돌라 개통으로 타이베이 동물원으로 이동하여 환승하는 승객 수도 증가했다.

원산선은 2009년 7월에 개통한 네이후선과 연결된다. 이 노선은 네이후타이베이 쑹산 공항과 연결된다. 새로운 노선에 차량 및 신호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해 봄바디어(Bombardier)가 선정되면서, 원산선의 신호 시스템은 통신 기반 열차 제어(CBTC) CITYFLO 650에 맞게 변환되어 기존의 마트라 차량과 새로운 봄바디어 차량이 함께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2010년 12월 19일, 51쌍의 개조된 VAL 256 (마트라 차량)이 전체 노선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10] 반 년이 넘는 시험 운행 후, 추가 열차는 러시아워 시간대 열차 간격을 2분에서 72초로 줄이고, 노선에서 운행하는 총 열차 수를 152쌍으로 늘릴 것이다.[10]

네이후선은 원산선의 연장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원래 계획은 유사한 고가 중용량 노선이었다. 그러나, 네이후 지구의 성장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과 정치인들은 블루 라인과 유사한 지하 고용량 노선을 요구했다.[11]

고가 노선의 초기 비용 추산은 426억 신 타이완 달러였지만, 지연으로 인해 가격 조정 비용 추산이 603억 신 타이완 달러를 넘었다. 지하 건설로 전환하면 비용이 1344억 신 타이완 달러까지 증가했을 것이다. 그러나, 중앙 정부는 네이후선 건설을 즉시 시작하지 않으면 노선에 대한 보조금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네이후의 좁은 거리와 많은 굴곡 때문에 지하 고용량 노선 건설은 실행 불가능했을 것이다.[12] 따라서, 고가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이 계속되었다.[11]

쑹산 공항을 노선에 포함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12] 역의 추가로 인해 노선 길이가 1.9km 늘어났다. 역이 포함되면서 노선의 최종 비용은 667억 신 타이완 달러에 달했다.[13]

네이후선은 1996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13년의 지연 끝에 운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네이후선은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로 비판을 받아왔다.[12]

2. 5. 연혁

木柵線중국어 건설은 1988년 12월 426억 신 타이완 달러의 비용으로 시작되었다.[5] 원래 1991년 12월에 여객 운송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사고로 인해 1996년 3월 28일까지 상업 운전이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6] 시험 운전 단계에서 낙뢰, 컴퓨터 오류, 차량 탈선 및 화재 사고가 보고되면서 대중의 신뢰가 흔들렸다. 1999년에는 고가 기둥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노선이 일시적으로 폐쇄되기도 했다.[5]

마트라(Matra)는 VAL 256 차량과 전기 시스템을 공급했으나, 타이베이 시청의 급행 수송 시스템 부서를 상대로 노선 건설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지 않아 비용이 초과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7] 마트라는 이후 1994년에 노선 운영에서 철수했다.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은 "馬特拉不拉,我們自己拉"(마트라가 끌지 않으면, 우리가 직접 끌겠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회사가 철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 운영을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12년 간의 법정 공방 끝에 2005년, 마트라는 중화민국 최고법원으로부터 16억 신 타이완 달러(약 5천만 미국 달러)의 손해 배상을 받았다.[8][9]

文山線중국어 운행은 VAL 256 2량 편성으로 시작되었으나, 시스템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4량 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2007년 마오콩 곤돌라 개통으로 타이베이 동물원으로 이동하여 환승하는 승객 수도 증가했다.

文山線중국어은 2009년 7월에 개통한 內湖線중국어과 연결된다. 이 노선은 네이후타이베이 쑹산 공항과 연결된다. 새로운 노선에 차량 및 신호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해 봄바디어(Bombardier)가 선정되면서, 文山線중국어의 신호 시스템은 새로운 통신 기반 열차 제어(CBTC) CITYFLO 650에 맞게 변환되어 기존의 마트라 차량과 새로운 봄바디어 차량이 함께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2010년 12월 19일, 51쌍의 개조된 VAL 256 (마트라 차량)이 전체 노선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10] 반 년이 넘는 시험 운행 후, 추가 열차는 러시아워 시간대 열차 간격을 2분에서 72초로 줄이고, 노선에서 운행하는 총 열차 수를 152쌍으로 늘렸다.[10]

內湖線중국어은 개통 전에 많은 지연을 겪었다. 內湖線중국어은 文山線중국어의 연장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원래 계획은 유사한 고가 중용량 노선이었다. 그러나, 네이후 지구의 성장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과 정치인들은 블루 라인과 유사한 지하 고용량 노선을 요구했다.[11]

고가 노선의 초기 비용 추산은 426억 신 타이완 달러였지만, 지연으로 인해 가격 조정 비용 추산이 603억 신 타이완 달러를 넘었다. 지하 건설로 전환하면 비용이 1344억 신 타이완 달러까지 증가했을 것이다. 그러나, 중앙 정부는 內湖線중국어 건설을 즉시 시작하지 않으면 노선에 대한 보조금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네이후의 좁은 거리와 많은 굴곡 때문에 지하 고용량 노선 건설은 실행 불가능했을 것이다.[12] 따라서, 많은 지연 끝에 고가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이 계속되었다.[11]

쑹산 공항을 노선에 포함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12] 역 추가로 인해 노선 길이가 1.9km 늘어났다. 역이 포함되면서 노선의 최종 비용은 667억 신 타이완 달러에 달했다.[13]

이 노선은 1996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고, 13년의 지연 끝에 마침내 운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內湖線중국어은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로 비판을 받아왔다.[12]

연도사건
1987년 2월 23일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초기 계획 시작.
1988년 12월 15일원산선 공사 시작.
1993년 9월 28일원산선 시운전 중 열차 화재 발생.
1993년 10월 9일타이베이시 첩운공국(DORTS)은 원후선을 대형 지하 노선으로 변경할 계획을 발표.
1994년 8월 23일타이베이시 첩운공국은 원후선을 중형 고가 노선으로 계속 건설할 계획을 발표.
2001년 9월 26일원후선 12개 역 최종 확정.
2002년 5월 23일원후선 공사 시작.
2007년 12월 24일쑹산 공항역과 젠난루역 사이에서 첫 번째 시운전 실시.[14]
2008년 6월 28일원후선 공사 완료.[13]
2009년 7월 4일원산선은 Matra 고정 블록 시스템에서 새로운 CITYFLO 650 시스템으로 전환. 원후선 운행 시작.
2009년 7월 10일시스템 문제로 인해 브라운 라인 운행이 오후 3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후 6시 30분까지 중단.[15]
2010년 12월 19일개조된 VAL 256 차량이 브라운 라인에서 시험 운행 시작.[18]


3. 노선 특징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은 경전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쑹산 공항역 서쪽부터 중산중학교역 및 남쪽 구간, 젠난루역 동쪽 구간은 고가로 건설되었다. 노선은 타이베이시 동쪽 난강 경제무역지구의 난강전람관역에서 시작하여 네이후구를 거쳐 다즈역까지 이어진다. 이후 남쪽으로 지룽강과 쑹산 공항을 지나 중산중학교역까지 연결된다. 다시 남쪽으로 푸싱난루, 허핑둥루, 신하이루, 싱룽루, 완팡루를 따라 무자구를 지나 종점인 동물원역에 도착한다. 총 길이는 25.7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경전철 노선이다.

3. 1. 운행 방식

원후선은 동물원역-난강 전람관역 구간을 운행하는 것이 대표적이며, 린광역-젠난루역 구간을 운행하는 구간차도 증편 운행된다. 원후선은 종합통제센터에서 종합적으로 관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인 4량 편성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3. 2. 사용 차량

원후선은 1993년에 제작된 2량 1편성 무인 운전 VAL 256으로 운행되었다. 총 102량이 제작되었으며 각 차량의 최대 수용 인원은 114명이었다.[16] 이 차량은 최고 속도 80km/h로 고무 차륜 궤도에서 운행되었다.

네이후선 개통과 함께, 노선 전체는 CITYFLO 650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으로 전환되었으며, INNOVIA APM 256 열차(봄바디어(Bombardier)에서 제작, 타이베이 첩운(TRTC) 내부 코드명 C370)가 사용되었다. 2010년 12월 19일 현재, 무자선과 네이후선 모두에서 운행하도록 개조된 VAL 256 열차에 대한 시운전이 진행 중이었다.[17][18] 이 열차들은 2010년 12월 26일까지의 시험 운행 후 정식 영업 운행에 투입될 예정이었다.[18][19] 2010년 12월 26일부터 노선은 개조된 VAL 256 6개 편성 및 C370 25~29개 편성으로 운행될 예정이었다. 12월 27일까지 VAL 256 10개 편성 및 C370 40개 편성으로 비율이 증가했다.[19]

원후선은 현재 전 세계에서 VAL 256을 사용하는 유일한 노선이며, 오헤어 국제공항의 공항 수송 시스템은 2019년에 이를 폐지했다.

3. 3. 역 목록

(비후공원)
Wende
(Bihu Park)BR17강첸GangqianBR16시후
(더밍과기대)
Xihu
(Takming University)BR15젠난루
(미라마)
Jiannan Road
(Miramar)타이베이 첩운 환상선중산 구BR14다즈
(스젠대학)
Dazhi
(Shih Chien University)BR13송산공항Songshan Airport쑹산 구BR12중산중학교Zhongshan Junior High School쑹산 구
중산 구BR11난징푸싱Nanjing FuxingBR10중샤오푸싱Zhongxiao Fuxing다안 구BR09다안DaanBR08테크놀로지빌딩Technology BuildingBR07류장리Liuzhangli다안 구
신이 구BR06린광LinguangBR05신하이Xinhai원산 구BR04완팡병원Wanfang HospitalBR03완팡단지Wanfang CommunityBR02무자MuzhaBR01동물원Taipei Zoo타이베이 첩운 환상선, 타이베이 첩운 선컹선, 마오쿵 케이블카



모든 역은 타이베이 시 안에 있다.

코드역 이름이전 역까지의
이동 시간 (초)[20]
역 정차 시간 (초)[20]개통일환승
영어중국어
Taipei Zoo251996-03-28(공사 중)원산
Muzha67251996-03-28rowspan="7" |
Wanfang Community47251996-03-28
Wanfang Hospital99251996-03-28
Xinhai106251996-03-28
Linguang124401996-03-28신이, 다안
Liuzhangli72401996-03-28
Technology Building122401996-03-28다안
Da'an69401996-03-28
Zhongxiao Fuxing67401996-03-28
Nanjing Fuxing86301996-03-28쑹산
Zhongshan Junior High School66451996-03-28중산, 쑹산
Songshan Airport142252009-07-04TSA쑹산
Dazhi172252009-07-04중산
Jiannan Road103252009-07-04(공사 중)
Xihu110252009-07-04rowspan="8" |네이후
Gangqian65252009-07-04
Wende72252009-07-04
Neihu78252009-07-04
Dahu Park71252009-07-04
Huzhou121252009-07-04
Donghu78252009-07-04
Nangang Software Park85252009-07-04난강
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782009-07-04


3. 4. 안내방송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안내방송은 중국어, 영어, 대만어, 객가어로 제공된다. 일부 역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로도 안내방송을 한다.

일본어와 한국어 안내방송을 하는 역은 다음과 같다.

4. 논란

원후선은 여러 논란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는 노선 명칭에 관한 논란과 신베이시 선컹 구로의 연장 논의가 있다.

4. 1. 노선 명칭

원후선의 옛 명칭은 무자-네이후 선(木柵內湖線)이었으며, 대중매체와 일반 시민들은 이를 간략하게 자후 선(柵湖線)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것이 마작 용어인 '자후(詐胡)'와 동음이의어여서 어감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타이베이시 첩운국과 타이베이 MRT 공사는 2009년 10월 8일 무자선과 네이후선의 통합 명칭을 원산-네이후 선(文山內湖線), 약칭 원후선(文湖線)으로 정하고, 관련된 표지판 명칭을 새로 바꾸었다.

4. 2. 선컹 연장 논의

인근의 신베이시 선컹 구(深坑區) 주민들이 동물원역에서 선컹 구까지 노선 연장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선컹 인구의 통근 시간 인구 이동량이 제한적이고, 전반적인 경제적 효과가 적다고 판단되어 타이베이 시 첩운국에서는 타당성 연구조차 진행하지 않고 있다. 이전에 원산-네이후선을 네이후 지구로 연장하고자 할 때에, 의견 통합 조정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선컹 연장을 논의할 때에 이전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이 원후선이 아닌, 새로 건설될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을 선컹까지 연장하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enhu Line (南港展覽館-動物園) Route Information / Stop Station List - NAVITIME Transit https://transit.navi[...]
[2] 웹사이트 Taipeï - en - Siemens http://www.swe.sieme[...] 2014-03-30
[3] 웹사이트 Automated Metro - Taipei, Taiwan http://www.bombardie[...] 2023-08-30
[4] 웹사이트 Medium/High Capacity System Ridership Statistics http://english.metro[...] 2017-04-16
[5] 뉴스 Once again, MRT breaks down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9-09-21
[6] 뉴스 Taiwan in Time: The birth pangs of Taipei's MRT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9-09-22
[7] 뉴스 High Court orders compensation in fight over MRT line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4-04-09
[8] 뉴스 Matra wins final appeal against city government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5-07-24
[9] Webarchive 木柵捷運馬特拉案 北市府認賠20億 每位市民賠790元 http://www.nownews.c[...] ETTV News 2005-08-17
[10] 뉴스 文湖線馬特拉舊車 今天檢核 http://www.libertyti[...] 自由時報 2010-12-18
[11] 웹사이트 內湖捷運線採高架中運量系統 http://www.twce.org.[...] 2017-04-16
[12] 웹사이트 捷運內湖線細說從頭 http://www2.dorts.go[...] Department of Rapid Transit Systems 2022-03-18
[13] 웹사이트 內湖線工程 http://www.edpo.dort[...] 2009-07-13
[14] 웹사이트 內湖線松山機場站至劍南路站 電聯車運轉紀實 http://www2.dorts.go[...] Department of Rapid Transit Systems 2010-06-19
[15] 뉴스 MRT malfunction strands hundreds http://www.taipeitim[...] 2016-01-10
[16] 웹사이트 Brown Line riders can check how crowded cars are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21-05-06
[17] 웹사이트 Taipei Rapid Transit Corporation https://english.metr[...] 2013-12-05
[18] 뉴스 Wenhu line integrated for faster service http://www.chinapost[...] 2010-12-21
[19] 뉴스 文湖線馬特拉列車 26日上線 http://showbiz.china[...] The China Times 2010-12-23
[20] 웹사이트 臺北捷運系統相鄰兩站間之行駛時間、停靠站時間 {{!}} 政府資料開放平臺 https://data.gov.tw/[...] 2019-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