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만어는 주로 대만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중국 대륙에서 대만으로 이주한 민난 지역 사람들의 언어인 민난어가 기반이 되었다. 일본 제국 시기에는 일본어가, 중화민국 시기에는 표준 중국어가 공용어였으나, 현재도 대만 인구의 약 80%가 대만어를 사용할 수 있다.

대만어는 민난어와 유사하며, 일본어 어휘의 영향을 받아 '아저씨'나 '도시락'과 같은 단어들이 사용된다. 대만어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타이난, 가오슝, 타이베이 등 지역에 따라 발음과 어휘가 다르다.

대만어는 문학, 대중문화,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가희, 포대희와 같은 전통극과 대중음악에서 사용된다. 또한, 대만어는 대만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지며, 정치적 맥락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90년대 이후 모어 운동을 통해 대만어, 객가어, 원주민어 등 모어 보존 및 발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학교 교육에서도 대만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교 분야에서도 대만어 성경 번역이 이루어져, 언어의 표준화와 보급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언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대만어
지도 정보
2010년 대만, 펑후, 진먼, 마쓰 지역에서 가정에서 호키엔어를 사용하는 거주자 비율
2010년 대만, 펑후, 진먼, 마쓰 지역에서 가정에서 호키엔어를 사용하는 거주자 비율
언어 정보
언어 이름대만어
고유 이름臺語 (Tâi-gí / Tâi-gú)
臺灣話 (Tâi-oân-ōe)
사용 지역대만
사용자1350만 명 (2017년)
민족호클로 타이완인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중국어
민어
연해 민어
민남어
호키엔어
조상 언어원시 시노티베트어
고대 중국어
원시 민어
남부 민어
호키엔어
문자 체계한자 (번체자)
로마자 (타이로, 백화자)
대만 가나
보포모포 (대만어 음성 부호)
대만 한글
국가대만
공용어대만의 국가 언어
공공 교통 수단 안내 방송 언어대만의 공공 교통 수단 안내 방송 언어 중 하나
귀화 시험 언어대만의 귀화 시험 언어 중 하나
관리 기관중화민국 교육부
ISO 예외방언
Glottologtaib1242
Glottolog 명칭타이베이 호키엔어
ISO 639-3없음 (ftg 제안됨)
기타 명칭
중국어 (번체)臺灣閩南語
臺灣話
臺語
중국어 (간체)台湾闽南语
台湾话
台语
백화자Tâi-oân Bân-lâm-gí / Bân-lâm-gú
Tâi-oân-ōe
Tâi-gí / Tâi-gú
병음Táiwān huà
Táiyǔ
웨이드-자일스T'ai²-wan¹ hua⁴
T'ai²-yü³
국제 음성 기호/tʰai²¹⁻⁵⁵ u̯an⁵⁵ xua²¹⁴/
/tʰai²¹⁻⁵⁵ y³⁵/
주음 부호ㄊㄞˊ ㄨㄢ ㄏㄨㄚˋ
ㄊㄞˊ ㄩˇ
광둥어 예일Toi4 waan1 waa2
Toi4 jyu5
광둥어 국제 음성 기호/tʰɔːi˨ wɑːn˥ wɑː˧/
/tʰɔːi˨ jyː˩/
오어The-uae-ho
The-nyy
기타 이름대만 방언
호로어
복로어
학로어
추가 정보
사용자 비율대만 전체 인구의 86.0% (약 1874만 명)

2. 역사

대만어로 쓰여진 가자책().


원나라 시대에 천주(Quanzhou)는 외부 세계와의 무역을 위한 주요 국제 항구가 되었다.[25] 그 시기부터 정치적, 경제적 이유로 호키엔어(Hokkien) 사용 지역(푸젠성 남부)의 많은 사람들이 해외로 이주하기 시작했는데, 이민자들이 향한 목적지 중 하나는 1600년경부터 대만(구칭: 포르모사) 섬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모국어인 호키엔어를 가지고 왔다.

2. 1. 대만으로의 전파

청나라 시기 중국 대륙의 민난 지방에서 온 이주민들이 대만으로 건너오면서 민난어대만인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96] 일본 제국대만일치시기(1895-1945)에는 일본어가 공식 언어였고, 국민당의 대만 지배 시기(1945-2000)에는 표준 중국어가 공식 언어였기 때문에 대만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갖지 못했다.[97]

명나라 말기, 정치적 혼란으로 푸젠성 남부와 광둥성 동부에서 더 많은 이주민이 대만으로 향했다. 대만 개발에 참여한 최초의 이민자들에는 해적(Chinese pirates)-상인인 옌 시치(Pedro Yan Shiqi)와 정지룡(Zheng Zhilong)이 포함된다. 1621년, 장저우(Zhangzhou) 출신의 중국인 피터(Peter)와 그의 부대는 펑칸(현재 운린 베이강(Beigang, Yunlin))을 점령하고 티로센(현재 자이) 개발을 시작했다. 1624년, 섬에 거주하는 중국인의 수는 약 25,000명이었다.

1624년과 1626년, 네덜란드와 스페인 군대는 각각 타이난(Tainan)과 기륭(Keelung) 지역을 점령했다. 네덜란드 식민 통치 40년 동안 네덜란드는 타이완 개발을 위해 중국 남부 복건성(Fujian) 푸저우(Quanzhou)와 장저우(Zhangzhou) 주변 지역에서 많은 중국인들을 고용했다.

1661년 제일란디아 요새 포위전에서 정성공(Koxinga) 장군은 남부 복건성 출신 호로(hoklo) 병사들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 네덜란드를 몰아내고 동닝 왕국(Kingdom of Tungning)을 세웠다.

1683년, 시랑(Shi Lang) 중국 제독은 남부 복건성 출신 호로(hoklo) 병사들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 펑후 해전(Battle of Penghu)에서 타이완을 공격하여 동닝 시대를 끝내고 청나라 통치 시대(1895년까지)를 열었다.

18세기 초, 청나라 관리들과 일반 백성 간의 언어적 차이가 기록되었다. 1722년 타이완에 파견된 최초의 관리인 만다린어 사용자 황수경(Huang Shujing)은 이곳의 언어가 새소리와 같아서 전혀 알아들을 수 없다고 기록했다.[86]

200년간의 청나라 통치 기간 동안 매년 수천 명의 복건성(Fujian) 이민자들이 도착했고, 18세기 중반에는 인구가 백만 명이 넘었다. 사회 혼란과 무력 충돌이 빈번했는데, 민족 집단 간의 전투도 중요했다. 전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를 중심으로 그룹화되었다. 역사에는 객가인(Hakka Chinese) 화자와 호건(Hokkien) 화자 간의 전투, 호건 화자와 원주민 간의 전투, 심지어 서로 다른 호건 변이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전투도 기록되어 있다.

일본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타이완은 하문 호건을 표준 발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일본인들은 이 혼합어를 臺灣語|타이완어(Taiwango)일본어라고 불렀다.[29]

2. 2. 현대

2009년 중화민국 정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대만 민중의 80%가 대만어를 사용할 줄 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98]

3. 명칭


  • 중화권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만어(臺灣語, Tâi-gí중국어) 또는 대만화(臺灣話, Tâi-oân-ōe중국어)라고 부른다.[99][100][101][102]
  • 하카인들은 과거 민난인들을 "호로"(Ho̍h-ló)라고 불렀고,[103] 민난인들의 언어를 "호로어"(Ho̍h-ló-ue̍, Ho̍h-ló話)라고 불렀다.[104]
  • 대만민남어(臺灣閩南語): 민남어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칭이다.[105][106] 중화민국 교육부, 교육부 국어추행위원회 및 전국어문경새에서 사용한다. 대민어(臺閩語), 복대어(福臺語), 푸젠어(福建語) 등의 명칭도 있다.

4. 음운

대만어는 성조 언어로, 다른 중국어 언어들보다 성조 변화가 광범위하고 심하다.[30] 음운론적으로 호키엔어는 광범위한 성조 변화 규칙을 가진 성조 언어이다. 음절은 최대 초성 자음, 모음, 종성 자음, 그리고 성조로 구성된다.

표준 중국어, 광둥어, 객가어 등 다른 많은 중국어 방언과 달리, 순치음(脣齒音, 입술과 이로 내는 소리)은 없다.

종성
순음치음경음성문음
비음-m-n-ng-ⁿ
파열음-p ㆴ-t ㆵ-k ㆻ-h ㆷ



음절은 중간에 모음(또는 이중모음 또는 삼중모음)이 있어야 한다. 모든 자음은 처음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자음 'p', 't', 'k'와 'm', 'n', 'ng'(그리고 일부는 'h'를 포함)은 음절의 끝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ngiau'(가려움을 긁다) 및 'thng'(국)과 같은 음절이 가능하다.

4. 1. 자음

대만어는 다양한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양순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등이 있다.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설측음 등이 있다.

rowspan=2 colspan=2|양순음치경음치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
비음m ㄇ 毛n ㄋ 耐ŋ ㄫ 雅
파열음무기음p ㄅ 邊b ㆠ 文t ㄉ 地k ㄍ 求ɡ ㆣ 語ʔ (무)英
유기음pʰ ㄆ 波tʰ ㄊ 他kʰ ㄎ 去
파찰음무기음ts ㄗ 曾dz ㆡ 熱ʨ ㄐ 尖ʥ ㆢ 入
유기음tsʰ ㄘ 出ʨʰ ㄑ 手
마찰음s ㄙ 衫ɕ ㄒ 時h ㄏ 喜
접근음l ㄌ 柳



최근에는 가 로, ·가 로 동화되는 현상이 보인다.

표준 중국어, 광둥어, 객가어 등 다른 많은 중국어 방언과 달리, 순치음(脣齒音, 입술과 이로 내는 소리. 즉, , , 등)은 없다.


  • 치경음 마찰파찰음과 마찰음은 앞에서 치경구개음이 된다. 즉, , , , 는 , , , 로 발음된다.
  • 자음은 대부분의 환경에서 마찰음인 로, 앞에서는 로 발음될 수 있다.
  • 일부 음운 환경에서 유성 파열음( 및 )은 해당 마찰음( 및 )이 된다. 이것은 히브리어의 베가드케파트와 유사하며, 스페인어의 자음간 파열음과 마찰음의 동음이의 현상과 유사하다.

4. 2. 모음

대만어는 다양한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등이 있다. 비모음도 존재한다.

rowspan=2|전설중설후설
기본비음화기본기본비음화
좁은 모음i ㄧ 衣ĩ ㆪ 圓u ㄨ 污(u)ũ ㆫ 張
중간 모음e ㆤ 禮 ㆥ 生o ㄜ 蚵ɔ ㆦ 烏ɔ̃ ㆧ 惡
넓은 모음a ㄚ 查ã ㆩ 衫



백화자의 모음 '''o'''는 반좁은 후설 비원순 모음이며, 모호한 모음(슈와)와 유사하다. 반대로 '''o͘'''는 반넓은 후설 원순 모음으로, 입을 약간 벌리고 입술을 오므린다.[81] 이중모음이나 삼중모음도 존재한다(예: ''iau'').[81] 모음 ''m''이나 ''ng''은 단독으로 음절이 될 수 있다.[81] 비음이 아닌 모음과 비음 모음은 쌍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81] 예를 들어, ''a''는 일반 모음이지만, ''ã''는 같은 조음 위치에서 발음하는 비음 모음이다.[81]

모음 〈o〉는 중앙모음과 유사하다.[40] 반대로, 〈o͘〉(점이 있는)는 더 개방적인 모음이다.[40] 또한 여러 개의 이중모음과 삼중모음이 있다 (예: 〈iau〉).[40] 자음 〈m〉과 〈ng〉는 음절 핵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모음으로 포함된다.[40] 모음은 일반 모음 또는 비음일 수 있다.[40] 〈a〉는 비음이 아니고, 〈aⁿ〉은 동시에 비음 발음이 있는 같은 모음이다.[40] 이것은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및 기타 여러 언어와 유사하다.

모음 〈o〉에는 두 가지 발음이 있다.[40] 남부(예: 타이난, 가오슝)에서는 [ɤ]이고, 북부(예: 타이베이)에서는 [o]이다.[40] 교통 및 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두 발음 모두 전국적으로 흔하고 허용된다.[40]

4. 3. 성조

대만어는 성조언어로, 다른 중국어 언어들보다 성조 변화가 광범위하고 심하다.[30] 음운론적으로 호키엔어는 광범위한 성조 모래 규칙을 가진 성조 언어이다. 음절은 최대 초성 자음, 모음, 종성 자음, 그리고 성조로 구성된다.

전통적인 분석에 따르면, 1에서 8까지 번호가 매겨진 여덟 가지 "성조"가 있다.[43] 엄밀히 말하면, 다섯 가지의 성조 윤곽만 있다. 그러나 다른 중국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두 종류의 폐쇄음절도 성조로 간주되어 4번과 8번이라는 번호가 지정된다. 대부분의 대만어 변종에서는 6번 성조의 단어가 2번 또는 7번 성조로 합쳐졌기 때문에 6번 성조는 수에 중복된다. 여기서는 전통적인 성조 종류 분류를 따라, 중국 중세어의 성조를 따서 명명된 여덟 가지 성조가 표시되어 있다.

대만어 성조
성조
번호
명칭POJ
억양
타이베이
높낮이
설명타이난
높낮이
설명
1음평 (陰平)a55높음44높음
2 (6)상성 (上聲)á51내림53높게 내림
3음거 (陰去)à21낮게 내림11낮음
4음입 (陰入)ah32중간 폐쇄21낮은 폐쇄
5양평 (陽平)â24올라감25올라감
7양거 (陽去)ā33중간22중간
8양입 (陽入)a̍h4높은 폐쇄5높은 폐쇄



4번과 8번 성조의 경우, 최종 자음 p, t, k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경우 음절은 비음이 될 수 없다. 실제로 이것들은 다른 성조에서 비음 최종 자음 m, n, ng에 해당한다. 그러나 h 이외의 최종 자음이 없는 한 siahⁿ과 같은 비음 4번 또는 8번 성조 음절을 가질 수 있다.

대만 북부 해안 근처에서 사용되는 방언에서는 8번 성조와 4번 성조가 구별되지 않는다. 둘 다 4번 성조의 성조 변화 규칙을 따르는 것처럼 발음된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연속된 하이픈(--a) 또는 이 성조가 있는 음절 앞에 점(·a)으로 표기되는 0번 성조는 동사 동작의 범위, 명사구의 끝 등을 나타내는 첨가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성조의 빈번한 용례는 "Chia̍h-pá--bōe?", 즉 "밥 먹었어?"라는 뜻의 의문문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낮게 내리는 성조(3) 또는 낮은 폐쇄음(4)으로 음절을 말함으로써 실현된다. -- 앞의 음절은 원래 성조를 유지한다.

대만어의 성조 변화 규칙 개요


대만어는 매우 광범위한 성조 변화(성조가 바뀌는 현상) 규칙을 가지고 있다. 발화에서 마지막 음절만이 이러한 규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43]

5. 어휘

최근 언어 연구에 따르면, 대만어 어휘는 대부분(약 75%~90%)이 다른 중국어 방언들과 동계어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대만어 'cháu' ()는 "달리다"를 의미하지만, 표준 중국어 동계어 'zǒu'는 "걷다"를 의미하는 가짜 친구 단어도 있다. 'phīⁿ' ()처럼 "코"(명사)와 "냄새 맡다"(동사)를 모두 의미하는 형태소와 같이, 동계어가 서로 다른 품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18][19][20][21]

하지만, 동계어 여부가 불분명한 한자 형태소로 구성된 어휘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tshit-thô'()가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어휘들이 따이까다이어족, 먀오야오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 비(非)한어계 언어의 잔재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비한어계 어휘는 발음이나 의미가 비슷한 한자로 표기하거나, 일본의 국자처럼 새로 만든 한자로 표기하기도 한다.

대만어는 중국어 민남어의 한 방언인 복건어 변종으로, 문어체 어휘와 구어체 어휘의 뚜렷한 층위를 가진다. 문어체 층위는 당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중국 중세어와 관련이 있는 반면, 구어체 층위는 한나라 시대 무렵 중국어 주류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대만어는 일본어와 포르모사 제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도 포함하고 있다. 왕옥택 등 학자들은 구어체 대만어 기본 어휘 일부를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및 타이어족과 연관시키기도 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음은 말레이어에서 차용된 어휘의 예시이다.

대만어한국어말레이어국어
(대만 화어)
se-kok-bí서양쌀sago
pin-nn̂g빈랑pinang


5. 1. 일본어 유래 어휘

대만어에는 일제 강점기에 유입된 일본어 유래 어휘가 많이 있으며, 중화민국 교육부가 대만어 상용사전에서 수록하고 있는 외래어는 총 172건이다.[108]

예를 들어, '아저씨'를 뜻하는 'oo-jí-sáng'은 おじさん|오지상일본어에서 유래되었지만, 일본어와 달리 경멸적인 뉘앙스는 적다. 이는 쇼와 전기에는 おじさん|오지상일본어이 단순히 중년 남성을 가리키는 단어였던 것이 대만에 들어왔지만,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면서 경멸적인 의미를 포함하게 되면서 의미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아줌마'를 뜻하는 'oo-bá-sáng'은 おばさん|오바상일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대만에서는 가정부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메이지 시대 일본 가정에서 가정부를 おばさん|오바상일본어이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

다음은 대만어에 유입된 일본어 어휘의 예시이다.

대만어백화자한국어 의미유래한 일본어국어
(대만 화어)
비고
便當piān-tong도시락弁当|벤토일본어
口座계좌口座|코자일본어帳戶주로 대만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며, 북부에서는 戶頭가 사용된다.
出張chhut-tiuⁿ/chhut-tioⁿ출장出張|슛초일본어주로 중년세대가 사용. 젊은 세대는 을 사용한다.
手形chhiú-hêng어음手形|테가타일본어주로 대만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며, 북부에서는 가 사용된다.
注文주문注文|추몬일본어
寄付kià-hù기부寄付|키후일본어
案內àn-nāi안내案内|안나이일본어
水道수도水道|스이도일본어
放送방송放送|호소일본어
郵便iû-piān우편郵便|유빈일본어
便所piān-só͘변소便所|벤조일본어
病院/pīⁿ-īⁿ병원病院|뵤인일본어
注射주사注射|추샤일본어
同窗동창同窓|도소일본어
見本kiàn-pún견본見本|미혼일본어
人氣jîn-khì/lîn-khì/gîn-khì인기人気|닌키일본어
飛行機hoe-lêng-ki/hui-lêng-ki/poe-lêng-ki비행기飛行機|히코키일본어
自轉車chū-choán-chhia자전거自転車|지텐샤일본어



대만어한국어 의미국어
(대만 화어)
비고
no-li
mi-so된장
su-si초밥
o-lian어묵
wa-sa-bi고추냉이
sa-si-mi
tha-kho문어
khang-pang간판
bang-gah만화
nin-jin당근
to-sang아버지대만에서는 전쟁 전에 일본 교육을 받은 세대를 to-sang世代라고 한다.
kha-sang어머니
ni-sang형, 오빠
ah-ni-khi형님
ne-sang언니, 누나
o-ji-sang아저씨
o-ba-sang아줌마
sang~씨,~선생
un-chiang운전수일본어와는 달리 경멸의 뉘앙스는 적다.
se-bi-ro신사복
kha-bang가방
me-si명함
tha-tha-mi다다미
hi-noo-khih노송나무
khiu-khe휴식
ai-sa-tsu인사
o-en응원
hahn-kou반항
ki-mo-chi기분
si-a-ge마무리, 완성
kan-so건조
sang-so산소
a-sa-li깨끗이, 간단히



이 외에도, 일본어에서 유래했지만 다른 언어를 거쳐 대만어에 유입된 어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럭'을 뜻하는 은 영어 'truck'에서 유래했지만, 일본어를 거쳐 대만어에 들어왔다.

6. 문자 체계

대만어로 쓰인 문학작품. 로마자와 한자, 그리고 이 둘을 혼용하는 한라(漢羅) 등 다양한 표기법으로 적혀있다.


광동어와 달리, 대만어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크게 발달시키지 못했으며,[109] 대만어로 쓰인 활자물도 드물다.

대만어는 한자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대만 전통극인 가자희(歌仔戲)의 대사는 한자로 표기된다.[110] 2007년 교육부는 대만어의 공식 한자 표기법을 발표하고, 이를 교육 과정에 도입하였다.[111]

19세기 중반, 기독교 선교사들이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을 만들었다.[112] 이 로마자를 구어(백화, 白話)를 표기하는 글이라는 뜻으로 백화자(白話字, Pe̍h-ōe-jī)라 부르는데, 백화자로 쓰인 문헌이 더 많다.[113] 1999년의 예상에 따르면 백화자를 읽을 수 있는 인구는 1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114] 한편, 한자와 백화자를 섞은 표기법도 현대에 유행하는데,[115] 이를 흔히 한라(漢羅 Hàn-lônan)라고 부른다.[116] 민난어 위키백과는 백화자로 쓰여 있으나, 간혹 토론란에서 한자로 적힌 버전을 볼 수도 있다.

1946년 타이완성 국어추행위원회는 대만어와 대만 하카어를 표기하기 위한 확장 주음부호를 고안했다.

1987년 대만의 언어학자 쉬차오더는 대만어 한글 표기법을 만들었다.

대만일치시기에는 일본어의 문자인 가나를 개량한 대만어 가나(臺灣語假名)라는 표기법이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1885년 장로교 선교사들이 처음 발행한 「대만교회소식」의 한 호. 이는 대만에서 처음으로 인쇄된 신문이며, 페호에지(Pe̍h-ōe-jī) 라틴 문자 표기법으로 쓰여졌다.


대만어의 라틴 알파벳 기반 표기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19세기에 개발된 페호에지(POJ, "구어체 표기"라는 뜻)이다. 대만 로마자 표기법(Tâi-ôan lô-má-jī, Tâi-lô)과 대만어 음성 알파벳(TLPA)은 POJ를 개량한 것이다. 20세기에 등장한 다른 표기법으로는 대기 통용 병음(DT), 간브식 대원 반람 기우 통용 병음(GDT), 현대 문자 그대로의 대만어(MLT), 단순화된 MLT(SMLT), 포프싯 대분(PSDB) 등이 있다.

2006년, 중화민국 교육부 산하 국어위원회는 대만 로마자 표기법(Tâi-ôan Lô-má-jī pheng-im, Tâi-Lô)을 제안했다.[51]

일본 통치 시대에는 일본 가나를 기반으로 한 대만어 표기법이 있었다. 국민당 정부는 보포모포를 사용한 표기법을 도입하려 했다.

다음은 다양한 대만어 표기법을 비교한 표이다.

모음
IPA
포호지aapatakahaⁿokoⁿooeeⁿiianeng
Tâi-lôaapatakahannoookonnooeenniianing
예시 (번체)













예시 (간체)















모음
IPA(i)
포호지ekiⁿaiaiⁿauamommongnguoaoeoaioani(i)uⁿ
Tâi-lôikinnaiainnauamommongnguuaueuaiuanir(i)unn
예시 (번체)














예시 (간체)
















자음
IPA
포호지pbphmtthnnnglkgkhhchijichhisichjchhs
Tâi-lôpbphmtthnnnglkgkhhtsijitshisitsjtshs
예시 (번체)




















예시 (간체)






















성조
성조 이름음평(1)음상(2)음거(3)음입(4)양평(5)양상(6)양거(7)양입(8)고상(9)중성(0)
IPA



포호지aáàap
at
ak
ah
âǎāa̍p
a̍t
a̍k
a̍h
ă--a
Tâi-lôaáàahâǎāa̍h--ah
예시
(번체)






昨昏
예시
(간체)






昨昏



대만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는 백화자(Pe̍h-ōe-jī, POJ)가 가장 대표적이다. 백화자는 장로교회 선교사들이 고안하고, 대만장로교회가 개량하여 19세기 후반부터 대만어 표기에 사용되었다. 타이완 총독부는 타이완어 가타카나로 대만어 발음을 표기하려 했으며, 현재도 소수 의견으로 가나 문자 응용이 있다. 주음부호를 확장하여 대만어 음성을 표기하는 방법도 있다.

대만어 표기에 필요한 확장 주음 부호는 1999년 유니코드 3.0에서 Bopomofo Extended에 U+31A0부터 U+31B7까지, 2010년 유니코드 6.0에서 U+31B8부터 U+31BA까지 3문자, 2020년 유니코드 13.0에서 U+31BB부터 U+31BF까지 5문자가 추가되었다.

7. 문법

대만어의 구문론은 객가어와 월어와 같은 남방 중국어 계열 언어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표준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이 일반적이지만, 조사를 사용하여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이나 수동태(즉, 목적어-주어-동사 어순)도 가능하다.[47] "나는 너를 잡는다"라는 간단한 문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련 단어는 ''goá''("나" 또는 "나를"), ''phō''("잡다"), ''lí''("너")이다.


  • 주어-동사-목적어 (일반적인 어순): 일반적인 어순으로 된 문장은 ''Goá phō lí.''("나는 너를 잡는다.")이다.
  • 주어-''kā''-목적어-동사: 거의 동등한 의미를 가진 또 다른 문장은 ''Goá kā lí phō''이며, "나는 너를 잡아서 잡는다" 또는 "나는 너에게 가서 잡는다"라는 약간의 뉘앙스가 있다.
  • 목적어-''hō͘''-주어-동사 (수동태): ''Lí hō͘ goá phō''는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수동태로, "너는 나에게 잡히도록 한다" 또는 "너는 내가 잡을 수 있도록 스스로를 내어준다"라는 뉘앙스가 있다.


''hō͘''라는 단어는 또한 포함절을 도입하는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된다. ''Goá hō͘ lí chúi lim''("나는 너에게 물을 마시게 한다": ''chúi''는 "물"을 의미하고 ''lim''은 "마시다"를 의미함).

8. 사회언어학적 측면

(대만 국어)비고김된장초밥튀김(두부)/신베이시담수구에는 담수 아게라는 명물 요리가 있다.오뎅어묵을 가리킨다.와사비(와사비)사시미/참치뱃살낙지간판만화칸자책(框仔冊)이라고도 불린다.당근우엉아버지/대만에서는 전전에 일본의 교육을 받은 세대를 “tò-sàng 세대”라고 한다.어머니/형형누나아저씨/일본어로 하면 ‘할아버지’ 느낌과 가깝다.아주머니/일본어로 하면 ‘할머니’ 느낌과 가깝다.씨/운전기사/대만 국어 회화에서도 사용된다. 일본어와 달리 친밀감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양복정장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나비넥타이나비넥타이 또는 리본을 가리킨다.지퍼지퍼를 가리킨다. 일본 상품명에서 유래했으며 어원은 주머니이다.가방배낭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명함다다미/편백나무(편백)처마휴식인사응원주로 대만 남부에서 사용되며, 북부에서는 “捧場()”이 사용된다.반항거리 공연/기분/마무리곰팡이건조산소담백한/광산주로 대만 북부, 중부의 광산에서 사용된다.



대부분의 대만 사람들은 표준어와 대만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지만, 그 유창성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30] 객가족이나 본토 출신자 중 일부는 대만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1950년대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 중에는 표준어를 늦게 배우거나 아예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일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보통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표준어를, 비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대만어를 사용하며, 시골 지역에서는 대만어가, 타이베이와 같은 도시 지역에서는 표준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30]

대만어는 대만의 독자적 정체성을 상징하는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제1차 중일 전쟁 이후 청나라대만일본에 할양하면서 대만어는 일본어 차용어를 흡수하기 시작했다. 1949년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퇴각한 후에는 Pe̍h-ōe-jī같은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구어체 복건어를 표기하는 방식의 대만어 사용을 억압하고 표준 중국어를 장려했다.[33] 1964년에는 학교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대만어나 객가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기도 했다.[34]

1987년 계엄령 해제와 1990년대 모국어 운동 이후 대만어는 부흥을 맞이하게 되었다. 1990년대 대만에서는 대만화가 발전하여 호로(대만어), 하카, 원주민의 지역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모국어 운동’으로 이어졌다.[75] 1993년 대만은 세계 최초로 학교에서 대만어를 가르치기 시작했으며,[75] 2000년대 이후로는 초등학생들이 대만어, 하카어 또는 원주민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업을 듣고 있다.[76]

민진당 진영이나 독립파, 중국국민당 진영 모두에게 대만 정치에서 베이징어와 대만어의 병행 사용은 이미 당연한 현실이 되었다. 외성인인 쑹츠위는 중국국민당 요직에 있을 때 대만어를 포함한 모국어 사용을 제한했지만, 민주화 이후 반공식적인 자리에서 대만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외성인 정치인이 되었다. 대만 본토파 정치인들도 공적인 자리에서 베이징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천수이볜 전 중화민국 총통은 취임식 등 공적인 자리에서 베이징어를 많이 사용했다.

2024년에 출범한 라이칭더 정권은 현재 시행 중인 "민남어 능력 검정 시험"을 "대만·대만어 능력 검정 시험"으로 변경할 계획을 발표했다.[87]

8. 1. 지역적 변이

대만어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주요 방언으로는 타이난과 가오슝에서 사용되는 남부 방언이 권위 있는 변종으로 여겨진다. 이 외에도 북부 방언, 중부 방언(타이중과 항구 도시 루캉 부근), 북부(북동부) 해안 방언(이란에서 주로 사용됨) 등이 있다.[54]

해안 방언은 대신 모음을 사용한다. 북부 방언은 8번째 성조가 없고, 일부 모음이 바뀌는 특징이 있다(예: < i>와 < u>, < e>와 < oe>). 중부 방언에는 < i>와 < u> 사이에 [ɨ] 또는 [ø] 모음이 추가되며, < ö>로 표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발음과 어휘의 차이가 존재한다.[55][56]

민남어 사용자들은 취안저우(泉州) 지역(44.8%)과 장저우(漳州) 지역(35.2%) 출신이었다. 이들의 원래 발음 체계는 타이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타이완 인구의 이동성이 커지고 교통이 발달하면서 타이완어는 취안저우 방언과 장저우 방언이 혼합된 형태인 ''Chiang–Chôan-lām''(漳泉濫)으로 변화했다. 혼합 비율에 따라 일부 지역은 취안저우 방언에, 다른 지역은 장저우 방언에 더 가까운 경향을 보인다.[54]

일반적으로 취안저우 방언은 해안 지역에서 더 많이 사용되며 ''hái-kháu''(海口) 방언, 장저우 방언은 타이완 산간 지역에서 더 많이 사용되며 ''lāi-po͘''(內埔) 방언으로 알려져 있다. 타이완어의 지역적 변이는 취안저우 방언과 장저우 방언의 혼합 비율 및/또는 어휘의 차이에서 기인하며, 루강(鹿港) 방언(취안저우 방언 기반)에서 이란(宜蘭) 방언(장저우 방언 기반)까지 다양하다. 타이난(臺南), 가오슝(高雄), 타이둥(臺東) 방언은 표준어에 가장 가깝다.[54]

'''
대만어 민남어 방언의 변이
'''

취안저우(泉州) 방언
루강(鹿港)
펑후, 타이시(台西), 다자—부다이(布袋) 해안 지역 (hái-kháu)
타이베이, 신주(新竹) (퉁안(同安) 방언과 매우 유사)
자이(嘉義)—가오슝(高雄) 주변 지역, 타이둥(臺東) (아모이(廈門) 방언과 유사)
타이중(臺中) 분지, 찬화(彰化)—윈린(雲林) 내륙 지역, 북 타오위안(桃園) (lāi-po͘)
이란(宜蘭)
장저우(漳州) 방언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만의 취안저우 방언과 장저우 방언이 복건성의 해당 방언들과는 독립적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대만 방언의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 일부 학자들은 지리적 지역을 기반으로 대만 방언을 다섯 가지 아방언으로 나누었다.[54]



편해강과 편내강은 해구강과 내포강 사이의 중간 방언이며, 이들은 통행강(通行腔) 또는 으로도 알려져 있다.

8. 2. 유창성

대만 사람 대다수는 표준어와 대만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지만, 유창성의 정도는 매우 다양하다.[30] 그러나 대만에는 소수이지만 상당한 수의 사람들, 주로 객가족과 본토 출신자들이 대만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한다. 1950년대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 중에는 표준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거나 늦게 배운 사람들이 있으며, 그중 일부는 일본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도시 빈민층 객가인과 젊은 남부 대만 본토 출신자들은 대만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며, 심지어 모국어 수준의 유창성을 보이는 경향도 있다. 대만 객가인 중 약 절반은 대만어를 구사한다. 객가, 호클로(Hoklo), 그리고 원주민 혈통이 혼합된 가족도 많다. 그러나 배경에 관계없이, 대만 사람 중 상당수는 대만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말하는 능력보다 뛰어나다. 모국어 수준으로 대만어 노래를 부를 수 있지만 대만어를 말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가수들도 있다.[30]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보다 정식적인 상황에서는 표준어를, 비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대만어를 사용한다. 대만어는 시골 지역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 반면, 표준어는 타이베이와 같은 도시 지역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 나이든 사람들은 대만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젊은 사람들은 표준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표준어가 많이 사용되는 방송 매체에서도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심지어 일부 뉴스 프로그램에서도 대만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30]

2020년 기준으로 대만 6세 이상 인구 중 86.0%가 대만어를 사용하고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국어(중국어) 사용률 96.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반면 모어로서의 사용률은 31.7%로, 국어(중국어) 모어 사용률 66.3%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89]

8. 3. 정치

대만에서 대중교통 방송에서 대만어를 들을 수 있으며,[107] 정치인들은 민심을 얻기 위해 대만어로 연설한다. 대만어는 정치적으로 대만의 독자적 정체성의 상징 중 하나이다.

20세기 후반, 대만어의 개념 정립은 다른 중국어 방언들보다 더 논란이 많았다. 한때 대만어는 1949년 1949년 대만에 도착한 본토 출신들과 기존 대만 원주민 다수 사이의 명확한 구분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두 집단 간의 정치적, 언어적 차이는 상당히 모호해졌지만, 대만어를 둘러싼 정치적 문제는 다른 중국어 방언들보다 더 논란이 많고 민감했다.

제1차 중일 전쟁 이후, 청나라는 일본에 대한 군사적 패배로 대만을 일본에 할양하여 중국 본토의 복건어 사용 지역과의 접촉이 중단되었다. 일본 통치 기간 동안 일본어는 대만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대만어는 많은 일본어 차용어를 흡수하기 시작했다.

1945년 중화민국에 대만이 이양된 후, 중국 본토와의 짧은 문화 교류가 있었고 이후 더욱 탄압받았다. 1949년 중국 국민당 정부가 공산당에 패배한 후 대만으로 퇴각하면서 또 다른 정치적 분리가 발생했다. 정부는 이후 정치적 탄압 정책의 일환으로 Pe̍h-ōe-jī같은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구어체 복건어를 표기하는 방식의 대만어 복건어의 사용을 억압하면서 표준 중국어를 장려했다.[33] 1964년 학교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대만어 복건어나 객가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학교에서 이 금지를 위반하면 징계, 벌금, 혹은 모욕을 당하는 경우가 흔했다.[34]

1987년 계엄령 해제와 1990년대의 모국어 운동 이후에야 대만은 대만어 복건어의 진정한 부흥을 보게 되었다.

대만식 복건어의 역사와 표준 중국어와의 상호 작용은 복잡하고 때로는 이름을 놓고도 논란이 되기도 한다. 대만에는 이 언어의 공식 명칭이 없다.[35]

1990년대 대만에서는 대만화가 발전하여, 호로(대만어), 하카, 원주민의 지역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모어 운동’으로 이어졌다. 쇠퇴하는 언어를 구원하려는 노력은 이후 이들 언어의 부활과 번영으로 이어졌다.

중국국민당 정권은 베이징어를 국어(國語)라 부르며 공용어로 삼았기 때문에, 1980년대까지는 학교에서의 대만어 사용을 금지하거나 매체에서의 대만어 방송량을 제한했다. 본성인 젊은이들 사이에서 대만어보다 국어가 지배적인 이유는 교육 및 이러한 국가 정책의 영향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타이완 남부에서는 비공식적인 영역에서는 여전히 대만어 사용이 국어보다 우세하다.

교육에서는 여전히 국어가 지배적이지만, 대만어, 객가어, 또는 원주민 언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베이징어 대신 대만어를 사용하는 것은 중국국민당 독재 체제에 대한 저항이나 대만 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지만, 민주화가 정착되면서 정치와 언어의 연관성이 예전만큼 강하지 않다. 민진당 진영이나 독립파, 중국국민당 진영 모두에게 대만 정치에서 베이징어와 대만어의 병행 사용은 이미 당연한 현실이 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외성인인 쑹츠위는 중국국민당 요직에 있을 때 언론 통제 책임자(신문국장)를 역임하며 대만어를 포함한 모국어 사용을 제한했다. 그러나 1980년대 민주화 이후 반공식적인 자리에서 대만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는 최초의 외성인 정치인이 되었다.

반대로, 대만 본토파 정치인들도 현재 공적인 자리에서 베이징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천수이볜 전 중화민국 총통은 취임식이나 외국 귀빈 접대와 같은 공적인 자리에서는 베이징어를 많이 사용했다.

현재는 외성인 2세, 3세 중에서도 모국어 수준으로 대만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일본 통치 시대 이전부터 대만어가 대만 사회에서 인구 수적으로 우세했던 탓에, 대만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객가인 사이에서도 장사 등의 필요에 따라 대만어가 유창한 사람들이 많았다. 반대로 현재는 호로인이라도 도시 중산층 출신의 경우 대만어를 잘 못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즉, "대만어는 호로인의 언어이고, 베이징어는 외성인의 언어"와 같은 언어와 민족 집단의 연관성도 무너지고 있다.

2024년에 출범한 라이칭더 정권은 현재 시행 중인 "민남어 능력 검정 시험"을 "대만·대만어 능력 검정 시험"으로 변경할 계획을 발표했다.[87]

8. 4. 모어 운동

1990년대 대만에서는 대만화가 발전하여, 호로(대만어), 하카, 원주민의 지역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모어 운동’으로 이어졌다.[75] 쇠퇴하는 언어를 구원하려는 노력은 이후 이들 언어의 부활과 번영으로 이어졌다. 1993년 대만은 세계 최초로 학교에서 대만어(호키엔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75] 2001년까지 대만어(호키엔어), 하카어, 원주민 언어 등이 모든 대만 학교에서 가르쳐졌다.[75] 2000년대 이후로는 초등학생들이 대만어, 하카어 또는 원주민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업을 들어야 한다.[76] 중학교에서는 보통 선택 과목으로 제공된다. 대만에는 또한 호키엔어 시인과 작가들이 정기적으로 대만어로 시와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 독자적인 문학계가 있다.

모어 운동의 결과로 대만은 21세기에 세계적인 호키엔어 문화 중심지로 부상했다. 또한 21세기에 세계적인 호키엔 문화 수출 중심지가 될 계획이다.[77]

9. 현대 대만어의 활용

대만어는 문학, 대중문화, 교육,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문학 분야에서는 각 구절이 7음절로 이루어진 ''칠언''(Chhit-jī-á중국어)이라는 시 형식이 있다. 대만 오페라로 불리는 ''고아희''(koa-á-hì중국어)는 대만어 음악극으로, 주로 역사적 사건을 다룬다. 손인형극인 ''포대희''(pò͘-tē-hì중국어) 또한 텔레비전 쇼로 발전했다.[1] 대만 요리에서도 여러 지역 요리의 이름을 대만어로 칭한다.

대중문화에서 고아희는 대만 오페라로 불리며 역사적 사건을 주로 다룬다. 포대희는 손인형극으로, 1970년대에는 시청률 97%를 기록하며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으나, 국민적 열기를 식히기 위해 방송이 금지되기도 했다. 현재는 케이블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으며, 2000년경에는 영화 "성석전설"이 제작되어 일본에서도 판매되었다. 대중음악에서는 민남어 구어 어휘와 문법으로 작사된 노래가 대부분이다. 카툰 네트워크 대만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어드벤처 타임의 무지개 유니콘은 가 대만어로 연기하였다.

1990년대 대만에서는 대만화가 발전하여 모어 운동으로 이어졌다. 1993년 대만은 세계 최초로 학교에서 대만어를 가르치기 시작했고, 2001년까지 모든 학교에서 대만어, 하카어, 원주민 언어 등이 가르쳐졌다.[75] 2000년대 이후로는 초등학생들이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업을 듣고, 중학교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제공된다.[76]

종교 분야에서는 성경 번역이 대만어와 표기법 표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59][60] 최초의 대만어 성경 번역은 제임스 레이드로우 맥스웰(James Laidlaw Maxwell)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신약(1873년)과 구약(1884년)이 출판되었다. 토마스 바클레이(Thomas Barclay)는 신약(1916년)과 구약(1933년)을 포함하는 Sin-kū-iok ê Sèng-keng|신구약 성경nan을 번역, 출판했다. 1975년에는 대만 성경 협회로부터 아모이 로마자 성경 2000부가 압수되기도 했으며, 이후 한자로 음역되어 1996년에 Sèng-keng Tâi-gí Hàn-jī Pún|성경 대만어 한자본nan으로 출판되었다.[61] 1973년에는 Âng-phoê Sèng-keng|홍피 성경nan으로 알려진 구어체 대만어 신약 성경이 출판되었으나, 국민당 정부에 의해 압수되었다. 2008년에는 Hiān-tāi Tâi-gú E̍k-pún|현대 대만어 역본nan이 출판되었고,[62] 2013년에는 한자와 페호에지(Pe̍h-ōe-jī) 병기 버전,[63] 2021년에는 구약 번역이 완료된 전체 성경이 병행 텍스트로 출판되었다.[64][65] 2015년에는 "일반 대만어 성경"(Choân-bîn Tâi-gí Sèng-keng|전민 대만어 성경nan)이 출판되어 인쇄본과 온라인으로 제공된다.

다음은 대만어 성경 번역본의 요한 3:16 비교이다.[66]

번역본요한 3:16
1933년 대만어 성경 로마자 표기판(토마스 바클레이)[67]In-ūi Siōng-tè chiong to̍k-siⁿ ê Kiáⁿ siúⁿ-sù sè-kan, hō͘ kìⁿ-nā sìn I ê lâng bōe tîm-lûn, ōe tit-tio̍h éng-oa̍h; I thiàⁿ sè-kan kàu án-ni.
1973년 고-탄/케리그마 “빨간 표지 성경”(Âng-phoê Sèng-keng)Siōng-chú chiah-ni̍h thiàⁿ sè-kan-lâng, só͘-í chiah chiong I ê Ko͘-kiáⁿ siúⁿ-sù in, thang hō͘ só͘ ū sìn I ê lâng m̄-bián bia̍t-bông, lâi tit-tio̍h éng-seng.
1996년 대만어 성경 한자판[68]因為上帝將獨生的子賞賜世間,互見若信伊的人,𣍐沈淪,會得著永活,伊疼世間到按呢。
2013년 ≈ 2021년 오늘날의 대만어 로마자판(Hiān-tāi Tâi-gú E̍k-pún)Siōng-tè liân I to̍k-it ê Kiáⁿ to sù hō͘ sè-kan, beh hō͘ ta̍k ê sìn I ê lâng bián bia̍t-bông, hoán-tńg tit-tio̍h éng-oán ê oa̍h-miā, I chiah-ni̍h thiàⁿ sè-kan!
2015년 일반 대만어 성경(Choân-bîn Tâi-gí Sèng-keng)Siōng-tè chiah-ni̍h thiàⁿ sè-kan, sīm-chì siúⁿ-sù to̍k-seⁿ Kiáⁿ, hō͘ só͘-ū sìn I ê lâng bē tîm-lûn, hoán-tńg ē tit tio̍h éng-oán ê oa̍h-miā.


9. 1. 문학

''칠언''(七言, Chhit-jī-á중국어)은 각 구절이 7음절로 이루어진 시의 운율 형식이다.

대만어에는 특별한 형태의 음악극인 ''고아희''(歌仔戲, koa-á-hì중국어)가 있다. 이것은 대만 오페라로, 주제는 대개 역사적 사건이다. 비슷한 형식의 ''포대희''(布袋戲, pò͘-tē-hì중국어)인 손인형극 또한 독특하며, 지난 20년 동안 인상적인 텔레비전 쇼로 발전해왔다.[1]

대만 요리에서 여러 지역 요리의 이름을 참조할 수 있다.

9. 2. 대중문화

대만에는 특별한 형태의 음악극인 고아희(대만 오페라)가 있는데, 주로 역사적 사건을 주제로 다룬다. 포대희라는 손인형극 또한 독특하며, 지난 20년 동안 텔레비전 쇼로 발전해왔다.

포대희는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도 보는 인형극으로, 대만에서는 일본의 분라쿠와 같은 존재이다. 1970년대에 텔레비전에서 매일 방송되어 시청률 97%를 기록하기도 했다. 국민적 열기를 식히기 위해 방송이 금지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케이블 텔레비전 채널에서 매일 방송되고 있다. 2000년경에는 영화 "성석전설"이 제작되어 일본에서도 판매되었다.

대중음악에서도 대만어로 부르는 노래가 많이 제작되고 있다. 중국어를 광둥어로 읽어 작사한 홍콩 팝과 달리, 민남어 구어 어휘와 문법으로 작사된 노래가 대부분이다.

카툰 네트워크 대만(Cartoon Network Taiwan)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어드벤처 타임의 무지개 유니콘(Lady Rainicorn)은 이한휘()가 대만어로 연기하였다.

9. 3. 미디어

카툰 네트워크 대만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어드벤처 타임의 무지개 유니콘은 가 대만어로 연기하였다.

9. 4. 교육

1990년대 대만에서는 대만화가 발전하여, 호로(대만어), 하카, 원주민의 지역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모어 운동’으로 이어졌다. 쇠퇴하는 언어를 구원하려는 노력은 이후 이들 언어의 부활과 번영으로 이어졌다. 1993년 대만은 세계 최초로 학교에서 대만어(호키엔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2001년까지 대만어(호키엔어), 하카어, 원주민 언어 등이 모든 대만 학교에서 가르쳐졌다.[75] 2000년대 이후로는 초등학생들이 대만어, 하카어 또는 원주민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업을 들어야 하며, 중학교에서는 보통 선택 과목으로 제공된다.[76] 대만에는 또한 호키엔어 시인과 작가들이 정기적으로 대만어로 시와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 독자적인 문학계가 있다.

9. 5. 종교

대만어로 번역된 성경 모음. 왼쪽 위는 ''오늘날의 대만어''판, 오른쪽 위는 빨간 표지 성경, 아래는 바클레이 번역본.


다른 많은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대만에서의 성경 번역은 언어와 표기법 표준화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59][60]

페호에지(Pe̍h-ōe-jī) 표기법으로 된 최초의 아모이어 또는 대만어 성경 번역은 대만 최초의 선교사인 제임스 레이드로우 맥스웰(James Laidlaw Maxwell)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신약 성경 ''Lán ê Kiù-chú Iâ-so͘ Ki-tok ê Sin-iok''은 1873년에, 구약 성경 ''Kū-iok ê Sèng Keng''은 1884년에 출판되었다.

바클레이의 아모이어 번역본(잠언 부분)


다음 대만어 또는 아모이어 성경 번역은 대만 선교사인 토마스 바클레이에 의해 복건성과 대만에서 이루어졌다. 신약 성경 번역은 1916년에 완료되어 출판되었다. 페호에지(Pe̍h-ōe-jī) 표기법으로 된 구약과 신약을 포함하는 최종 결과물은 1930년에 완료되어 1933년에 Sin-kū-iok ê Sèng-keng|신구약 성경nan으로 출판되었다. 1975년에 대만 주둔군은 대만 성경 협회로부터 아모이 로마자 성경 2000부를 압수했다. 이 판본은 나중에 한자로 음역되어 1996년에 Sèng-keng Tâi-gí Hàn-jī Pún|성경 대만어 한자본nan으로 출판되었다.[61]

빨간 표지 성경의 한 페이지


페호에지(Pe̍h-ōe-jī)로 된 고-탄(Ko–Tân)(케리그마(Kerygma)) 구어체 대만어 신약 성경(Sin-iok)은 Âng-phoê Sèng-keng|홍피 성경nan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73년에 대만 장로교회와 메리놀 외방 선교회(Maryknoll) 사이의 교회 연합 노력으로 출판되었다. 이 번역본은 보다 현대적인 어휘(다소 표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음)를 사용했으며, 메리놀 선교회가 Tâi-tiong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중부 대만 방언을 반영했다. 1975년 국민당 정부는 (라틴 알파벳 사용에 반대하여) 이를 압수했다.

기능적 대등성 원칙을 사용한 번역본 Hiān-tāi Tâi-gú E̍k-pún|현대 대만어 역본nan은 신약 성경만 포함하며, 페호에지(Pe̍h-ōe-jī)로 되어 있으며, 2008년에 대만 장로교회와 대만 성경 협회의 협력으로 출판되었다.[62] 한자와 페호에지(Pe̍h-ōe-jī) 표기법이 병기된 병행 텍스트 버전은 2013년에 출판되었다.[63] 같은 원칙에 따라 구약 성경 번역이 완료되었고, 전체 성경은 2021년에 병행 텍스트로 출판되었다.[64][65]

기능적 대등성 원칙을 사용한 또 다른 번역본인 "일반 대만어 성경"(Choân-bîn Tâi-gí Sèng-keng|전민 대만어 성경nan)은 페호에지(Pe̍h-ōe-jī), 한자, 루비 버전(한자와 페호에지(Pe̍h-ōe-jī) 모두)이 있으며, 2015년에 출판되어 인쇄본과 온라인으로 제공된다.

번역본[66]요한 3:16
1933년 대만어 성경 로마자 표기판(토마스 바클레이)[67]In-ūi Siōng-tè chiong to̍k-siⁿ ê Kiáⁿ siúⁿ-sù sè-kan, hō͘ kìⁿ-nā sìn I ê lâng bōe tîm-lûn, ōe tit-tio̍h éng-oa̍h; I thiàⁿ sè-kan kàu án-ni.
1973년 고-탄/케리그마 “빨간 표지 성경”(Âng-phoê Sèng-keng)Siōng-chú chiah-ni̍h thiàⁿ sè-kan-lâng, só͘-í chiah chiong I ê Ko͘-kiáⁿ siúⁿ-sù in, thang hō͘ só͘ ū sìn I ê lâng m̄-bián bia̍t-bông, lâi tit-tio̍h éng-seng.
1996년 대만어 성경 한자판[68]因為上帝將獨生的子賞賜世間,互見若信伊的人,𣍐沈淪,會得著永活,伊疼世間到按呢。
2013년 ≈ 2021년 오늘날의 대만어 로마자판(Hiān-tāi Tâi-gú E̍k-pún)Siōng-tè liân I to̍k-it ê Kiáⁿ to sù hō͘ sè-kan, beh hō͘ ta̍k ê sìn I ê lâng bián bia̍t-bông, hoán-tńg tit-tio̍h éng-oán ê oa̍h-miā, I chiah-ni̍h thiàⁿ sè-kan!
2015년 일반 대만어 성경(Choân-bîn Tâi-gí Sèng-keng)Siōng-tè chiah-ni̍h thiàⁿ sè-kan, sīm-chì siúⁿ-sù to̍k-seⁿ Kiáⁿ, hō͘ só͘-ū sìn I ê lâng bē tîm-lûn, hoán-tńg ē tit tio̍h éng-oán ê oa̍h-miā.


참조

[1] 문서 nan
[2]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3] 서적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4] 웹사이트 Glottolog 4.8 - Mi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0
[5] 웹사이트 Draft national language development act clears legislative floor http://focustaiwan.t[...] 2018-12-25
[6] 웹사이트 立院三讀《國家語言發展法》 公廣集團可設台語電視台 https://tw.news.appl[...] 2018-12-25
[7] 웹사이트 《國家語言發展法》立院三讀!政府得設台語專屬頻道 https://tw.news.yaho[...] 2018-12-25
[8] 문서 大眾運輸工具播音語言平等保障法 zh:s:大眾運輸工具播音語言平等保障法
[9] 웹사이트 Standards for Identification of Basic Language Abilities and General Knowledge of the Rights and Duties of Naturalized Citizens http://www.ris.gov.t[...]
[10] 웹사이트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ebas1.ebas.go[...]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DGBAS), ROC (Taiwan)
[11] 웹사이트 Change Request Documentation: 2021-044 https://iso639-3.sil[...]
[12] 웹사이트 Taigi與台語 https://talk.ltn.com[...] 2019-08-10
[13] 웹사이트 Hokkien http://www.mysmu.edu[...] 2015-04-28
[14] 웹사이트 TAIWAN SNAPSHOT https://www.taiwan.g[...]
[15] 웹사이트 Taiwan http://www.ethnologu[...]
[16] 서적 The Evolution of a Taiwanese National Identity https://www.wilsonc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cholars
[17] 웹사이트 Reclassifying ISO 639-3 [nan]: An Empirical Approach to Mutual Intelligibility and Ethnolinguistic Distinctions https://raw.githubus[...]
[18]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19] 서적 Languages and Dialects of China Chinese University Press
[20] 논문 Derivation time of colloquial Min from Archaic Chinese
[21] 서적 Old Chinese: A New Recon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ON AUSTRO-TAIC TERMS IN HOKLO http://ws.twl.ncku.e[...] 1997-03-27
[23] 웹사이트 探求 HÖ -LÓ 台語中間 Ê 非漢語語詞--羅馬字寫書寫法 Ê 正當性 http://203.64.42.21/[...] 2002
[24] 웹사이트 李勤岸博士論文.LEXICAL CHANGE AND VARIATION IN TAIWANESELITERARY TEXTS.ACKNOWLEDGMENT http://ws.twl.ncku.e[...] 2004-09-15
[25] 웹사이트 重要貿易港口-泉州 http://culture.edu.t[...] 教育部,歷史文化學習網
[26] 서적 How Taiwan Became Chinese: Dutch, Spanish, and Han Coloniz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7] 서적 (저자 및 출판 정보 없음)
[28] 웹사이트 泉州方言文化 http://fjqz.fj.vnet.[...] 泉州旅游信息网
[29] 서적 台語文運動訪談暨史料彙編 國史館 2008-03-01
[30] 웹사이트 census022(final).swf http://www.dgbas.gov[...]
[31] 서적 臺灣方言之旅 前衛出版社 1991
[32] 웹사이트 Hui-Wen High School Taichung, Introduction to the Kominka period http://www.hwsh.tc.e[...]
[33] 논문 Writing Taiwanese: The Development of Modern Written Taiwanese http://www.sino-plat[...]
[34] 논문 Linguistic capital in Taiwan: The KMT's Mandarin language policy and its perceived impact on language practices of bilingual Mandarin and Tai-gi speak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中華民國文化部-國家語言發展法 https://www.moc.gov.[...] 2008-10-10
[36] 논문 American Community Survey Redesign of Language-Spoken-at-Home Data https://www.census.g[...] 2016
[37] 서적 台灣河佬話聲調研究 自立晚報 Independence Evening Post
[38]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https://archive.org/[...]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39] 학술지 The Manila Incunabula and Early Hokkien Studies, Part 2 http://www2.ihp.sini[...]
[40] Youtube Tâigí Phonics 3 - Single Vowels -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4-02
[41] 웹사이트 Ep06: The Ninth Tone Bite-size Taiwanese https://bitesizetaiw[...] 2019-12-20
[42] Video Tâigí Phonics 9 - Rethinking tones in stereo, and 9th tone https://www.youtube.[...] 2020-07-29
[43] 웹사이트 http://uegu.blogspot[...] 2015-01
[44] 서적 Taiwanese Grammar: A Concise Reference https://books.google[...] Greenhorn Media 2015-01-31
[45] 논문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Southern-Min Taiwanese Tone Sandhi System https://aclweb.org/a[...] 2005
[46] 웹사이트 Taiwanese - Pronunciation 5 - Tone Change Rules https://www.youtube.[...] 2016-02-01
[47] 웹사이트 Robert L. Cheng http://www.chinesest[...]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2003
[48] 웹사이트 http://twblg.dict.ed[...] Ministry of Education, R.O.C.
[49] 뉴스 教育部公布閩南語300字推薦用字 卡拉OK用字也被選用 (Ministry of Education in Taiwan announces 300 recommended Hokkien words, Karaoke words are also selected) http://www.nownews.c[...] 2007-05-30
[50] 문서 Writing Latinized Taiwanese Languages with Unicode https://archive.org/[...] 1999
[51] 웹사이트 臺灣閩南語羅馬字拼音方案 (Orthographic system for the Minnan language in Taiwan, 'Tâi-ôan Lô-má-jī') http://tlh.de-han.or[...]
[52] 웹사이트 教育部國語推行委員會: 關於閩南語拼音整合工作相關問題說帖 (National Languages Committee: On the integration of Minnan orthographies) http://203.64.42.21/[...] 2006-10-16
[53] 웹사이트 Evertype http://www.evertype.[...]
[54] 학술지 Táiwān de yǔzhǒng fēnbù yǔ fēnqū http://www.ling.sini[...] Academia Sinica
[55] 웹사이트 http://twblg.dict.ed[...] Ministry of Education, R.O.C.
[56] 웹사이트 http://twblg.dict.ed[...] Ministry of Education, R.O.C.
[57] 학술지 Variation in Singapore English 1977-01-01
[58] 웹사이트 Jordan: Pronouncing Romanized Taiwanese Hokkien http://pages.ucsd.ed[...]
[59] 웹사이트 http://www.biblesoci[...]
[60] 웹사이트 http://www32.ocn.ne.[...]
[61] 웹사이트 台語信望愛 - 4.1.4 《台語漢字本》 http://tailo.fhl.net[...]
[62] 웹사이트 現代台語新約羅馬字聖經 出版感謝e話 http://www.peopo.org[...]
[63] 웹사이트 現代台語新約附詩箴2013漢羅版 https://bstwn.org/bs[...]
[64] 웹사이트 台語聖經 http://www.biblesoci[...]
[65] 웹사이트 現代台語譯本 漢羅版(路得記) by bstwn https://issuu.com/bs[...] 2021-08-03
[66] 웹사이트 聖經閱讀 https://bible.fhl.ne[...]
[67] 웹사이트 Taiwanese Bible Romanized Character Edition http://www.lingshyan[...]
[68] 웹사이트 Taiwanese Bible Han Character Edition http://www.lingshyan[...]
[69] 뉴스 http://www.newtaiwan[...]
[70] 논문 An investigation of written Taiwanese http://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05
[71] 웹사이트 Taiwanese, Mandarin, and Taiwan's language situation http://pinyin.info/r[...] 2020-08-06
[72] 뉴스 Hokkien should be given official status, says TSU http://www.taipeitim[...] 2002-03-10
[73] 뉴스 Control Yuan sets rules for future examinations http://www.taipeitim[...] 2004-09-20
[74] 서적 Critical Perspectives on Language and Discourse in the New World Order Cambridge Scholars 2008
[75] 웹사이트 http://www.nhu.edu.t[...] 2005-03-15
[76] 웹사이트 行政院全球資訊網 https://www.ey.gov.t[...] 2018-12-05
[77] 웹사이트 馬英九 {{!}} 馬蕭文化政策 {{!}} 國家政策研究基金會 {{!}} 公共政策的理性思辯與對話平台! https://www.npf.org.[...] 2018-12-05
[78] 웹사이트 109 年人口及住宅普查初步統計結果 提要分析 https://www.stat.gov[...] 行政院主計總處 2024-10-16
[79] 웹사이트 109 年人口及住宅普查初步統計結果 提要分析 https://www.stat.gov[...] 行政院主計總處 2024-10-16
[80] 웹사이트 http://twblg.dict.ed[...]
[81] 웹사이트 台湾教育部閩南語常用詞辞典 http://twblg.dict.ed[...]
[82] 웹사이트 教育部台湾閩南語常用詞辞典 詞目:麭 https://sutian.moe.e[...] 中華民國教育部 2023-11-07
[83] 웹사이트 教育部台湾閩南語常用詞辞典 詞目:俗麭 https://sutian.moe.e[...] 中華民國教育部 2023-11-07
[84] 웹사이트 台語主要腔調 http://www.lhvs.tn.e[...]
[85] 웹사이트 台語四大腔調 http://lovepuppy999.[...]
[86] 웹사이트 一百年來的閩南系臺灣話研究回顧 http://olddoc.tmu.ed[...] 2023-08-24
[87] 웹사이트 台湾語?それとも閩南(びんなん)語?…台湾で巻き起こる名称論争 https://rkb.jp/conte[...] 2024-09-11
[88] 웹사이트 閩南語正名「台灣台語」惹議 文化部:展現在地化未獨占台灣 https://tw.news.yaho[...] 2024-10-16
[89] 웹사이트 四、使用語言情形 主要使用語言為國語者占 66.3%,閩南語占 31.7% https://www.stat.gov[...] 2024-09-11
[90] 문서 台湾の語学学校で広く使われている教科書は、『實用視聽華語』である。また、國家華語測驗推動工作委員會主催の外国人向け語学能力試験は、『華語文能力測驗』である。
[91] 저널 http://dbpia.co.kr/J[...] 2001-06
[92] 저널 http://dbpia.co.kr/J[...] 2001-06
[93] 서적 2002-02-09
[94] 저널 2011
[95] 저널 https://scholarspace[...] 2012-10-12
[96] 문서 《明清閩南的海外移民(1567-1840)》,南投/暨南國際大學/歷史學研究所,1999
[97] 저널 https://scholarspace[...] 2012-10-12
[98] 웹사이트 CHAPTER 2 People and Language http://www.gio.gov.t[...] Government Information Office 2010-08-03
[99] 웹인용 為台語正名,何謂「台語」? http://www.nownews.c[...] 2012-10-10
[100] 웹인용 대만객가어상용사전,항목: 臺灣話, 臺語 http://hakka.dict.ed[...] 中華民國教育部國語推行委員會 2009-09-10
[101] 웹인용 不僅只有臺灣閩南語,臺灣客家語也是「臺語」! {{해석|대만의 민난어 뿐만 아니라, 대만의 하카어도 〈대만어〉!}} http://www.hakka.gov[...] 行政院客家委員會 2011-05-25
[102] 웹사이트 「台語」是讓人不安的稱呼 http://www.hakka.gov[...]
[103] 문서 《臺灣文獻叢刊》,〈第七十三種 鳳山縣采訪冊〉,「粵稱閩人曰福老,謂福建人也」,盧德嘉
[104] 웹사이트 臺日大辭典 http://taigi.fhl.net[...] 臺灣總督府 1931-1932
[105] 웹인용 一百年來的臺灣話研究回顧#正名 http://olddoc.tmu.ed[...] 老醫之家 2012-10-10
[106] 웹인용 請回歸學術專業的理性討論--談九年一貫課程大綱閩南語課程調整之必要連署書 http://www.tlh.org.t[...] 台灣羅馬字協會
[107] 웹사이트 大眾運輸工具播音語言平等保障法 http://zh.wikisource[...]
[108] 웹인용 臺灣閩南語常用詞辭典附錄:外來詞 http://twblg.dict.ed[...] 中華民國教育部
[109] 저널 An investigation of written Taiwanese (Master's thesis) https://scholarspace[...] 2012-10-12
[110] 뉴스 教育部公布閩南語300字推薦用字 卡拉OK用字也被選用 (Ministry of Education in Taiwan announces 300 recommended Hokkien words, Karaoke words are also selected) http://www.nownews.c[...]
[111] 뉴스 教育部公布閩南語300字推薦用字 卡拉OK用字也被選用 (교육부가 민남어 추천용자 300자를 공표, '가라오케용자'도 선택) http://www.nownews.c[...]
[112] 서적 Modern Chinese: History and Sociolinguist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 서적 Language, Identity and Decolonization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114] 저널 Writing Taiwanese: The Development of Modern Written Taiwanese http://www.sino-plat[...] 2012-10-12
[115] 서적 Written Taiwanese Harrassowitz
[116] 저널 An investigation of written Taiwanese (Master's thesis) https://scholarspace[...] 2012-1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