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율직로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율직로고는 서요의 황제였다. 1177년 즉위하여 호라즘 제국, 서 카라한 왕조, 천산 위구르 왕국 등 속국들의 독립으로 쇠퇴하는 서요를 다스렸다. 1208년 칭기즈 칸에게 쫓겨난 나이만 족의 왕자 쿠츨루크를 받아들였으나, 쿠츨루크는 반란을 일으켜 야율직로고를 포로로 만들었다. 쿠데타 이후 서요는 위구르족의 배신과 함께 쇠퇴했고, 1213년 야율직로고가 사망하면서 쿠츨루크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요의 황제 - 야율대석
야율대석은 요나라 황족 출신으로 서요를 건국하여 중앙아시아를 정복하고 구르 칸으로 칭했으며, 카라한 왕조를 멸망시키고 셀주크 투르크를 격파하여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다. - 서요의 황제 - 야율이열
야율이열은 1143년 즉위하여 어머니 소탑불연과 여동생 야율보속완의 보좌를 받았으며, 금나라와의 평화 시도에 실패하고 카를루크족과의 분쟁을 겪다가 1158년에 사망한 서요의 황제이다. - 1153년 출생 -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는 1195년부터 1203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나, 쿠데타로 황위를 찬탈하고 무능한 통치로 제국의 쇠퇴를 가속화시킨 인물이다. - 1153년 출생 - 아노 젠조
아노 젠조는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이복 동생으로서 요리토모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요리토모 사후 권력 다툼에서 밀려나 처형되었고, 그의 후손은 무가와 공가로 나뉘어 이어졌다. - 1213년 사망 - 와다 요시모리
와다 요시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도와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하며 가마쿠라 막부의 유력 고케닌이 되었으나, 호조 씨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213년 사망 - 페로 2세
페로 2세는 1196년부터 1213년까지 아라곤의 왕이었으며, 레콩키스타에 참여하여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알비 십자군과의 대립 끝에 뮈레 전투에서 사망했다.
야율직로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황제 |
재위 기간 | 1177년 ~ 1211년 |
이전 통치자 | 야율보속완 (섭정) |
후임 통치자 | 쿠츨루크 |
휘 | 야율직로고(耶律直魯古) |
존호 | 없음 |
묘호 | 없음 |
출생 연도 | 미상 |
사망 연도 | 1213년 |
씨족 | 야율씨 |
왕조 | 서요 |
아버지 | 야율이열 |
어머니 | 미상 |
배우자 | 쥐얼비에수 |
자녀 | 혼홀 공주(渾忽公主) |
연호 | 천희(天禧) |
연호 기간 | 1178년 ~ 1218년 |
통치 | |
가계 | |
부친 | 야율이열 |
기타 | |
시대 이름 | 천희(天喜)(天喜) |
시대 날짜 | 1178년–1218년 |
사후 칭호 | 없음 |
사당 이름 | 없음 |
2. 생애
1163년 아버지 인종 야율이열이 사망하자 야율직로고는 어렸기 때문에, 야율이열의 누이 야율보속완이 수렴청정을 하였다.[2] 1177년 고모 보속완이 남편을 살해하는 사건이 벌어졌고, 시아버지인 소알리랄(蕭斡里剌)에 의해 의제(義弟)와 함께 살해되었다. 소알리랄은 직로고의 맏형 만왕(蛮王)을 옹립했으나, 반대파가 직로고를 옹립하여 만왕과 소알리랄을 살해하였다.[3] 이로 인해 왕족 중 유일하게 생존한 야율직로고가 즉위했다.
그러나 직로고는 맏형을 살해하여 덕망이 없었고, 어리석은 인물로 평가받았다. 이 때문에 호라즘 제국이나 사마르칸트의 서 카라한 왕조, 천산 위구르 왕국 등이 독립하면서 서요는 점차 쇠퇴하였다.
1200년 호라즘 샤 왕조의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활발하게 원정하며 국력을 강화하고, 서요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하였다. 1208년 서요가 이란 지역에 파견한 관리가 살해당하자 호라즘 제국과 카라한 왕조 연합군이 시르다리야강을 건너 서요에 침공했지만, 서요군은 연합군을 크게 격퇴했다.
1208년 칭기즈 칸에게 패배하고 쫓겨난 나이만 족의 왕자 쿠츨루크를 보호하고 자신의 사위로 삼았다.[13] 그러나 1211년 쿠츨루크는 서요 본국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쿠츨루크는 사전에 무함마드와 내통하여, 마와라안나훌 서쪽 땅과 파미르 고원 동쪽의 서요 본국을 무함마드와 분할하기로 결정하였다. 직로고는 스스로 군을 이끌어 쿠츨루크의 반란군을 격퇴했지만, 수도 베라사군에서 거주자들이 무함마드를 군주로 맞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 직로고는 베라사군을 16일간 포위한 끝에 함락시켜 주민들을 학살하면서 되찾았지만, 쿠츨루크로부터 탈환한 보물 창고의 재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두고 신하들과 불화가 생겨 군을 철수하도록 명령했다. 이것이 화근이 되어 쿠츨루크의 반격을 받아 직로고는 포로가 되었다.
이 쿠데타로 직로고는 실권을 빼앗겼다. 같은 해, 동방의 위구르족이 서요를 배신하고 몽골 제국에 귀순하였고, 서요는 호라즘 샤 왕조, 카라한 칸국, 위구르족을 동시에 잃게 되었다.[2] 1213년에 사망할 때까지 쿠츨루크는 장인 야율직로고를 태상황으로 대접했지만, 서요는 사실상 쿠츨루크에게 찬탈당해 멸망한 셈이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1163년 아버지 인종 야율이열이 사망했을 때 야율직로고는 어렸기 때문에, 야율이열의 누이 야율보속완이 수렴청정을 하였다.[2] 1177년 야율보속완이 남편을 살해하고(남편의 불륜이 원인이라고 한다), 시아버지인 소알리랄(蕭斡里剌)에 의해 의제(義弟)와 함께 살해되었다. 소알리랄은 직로고의 맏형 만왕(蛮王)을 옹립했으나, 반대파가 직로고를 옹립하여 만왕과 소알리랄을 살해하였다.[3] 이로 인해 왕족 중 유일하게 생존한 야율직로고가 즉위했다. 그러나 직로고는 맏형을 살해하여 덕망이 없었고, 어리석은 인물로 평가받았다. 이로 인해 속국인 호라즘 제국이나 사마르칸트의 서 카라한 왕조, 천산 위구르 왕국 등이 독립하는 등, 서요는 점차 쇠퇴하였다.2. 2. 통치 기간
1163년 아버지 인종 야율이열이 사망했을 때 아직 어렸기 때문에, 야율이열의 누이 야율보속완이 수렴청정을 하였다. 1177년 고모 보속완이 남편을 참살하는 사건이 벌어졌고, 시아버지인 소알리랄(蕭斡里剌)에 의해 살해되었다. 소알리랄은 직로고의 맏형을 옹립했지만, 반대파가 직로고를 옹립하여, 맏형과 소알리랄을 살해하였다. 이로 인해 왕족 중에서 유일하게 생존한 직로고가 즉위했다.[2]그러나, 직로고는 맏형을 살해하여 덕망이 없었고, 어리석은 인물로 평가받았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호라즘 제국, 사마르칸트의 서 카라한 왕조, 천산 위구르 왕국 등 속국들이 독립하면서 서요는 점차 쇠퇴하였다.
1200년에 즉위한 호라즘 샤 왕조의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활발하게 원정하며 국력을 강화했고, 서요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했다. 그는 마와라안나훌의 서 카라한 왕조의 우스만과 연합하여 서요에 반기를 들었다. 1208년 서요가 이란 지역에 파견한 관리가 살해당하자 호라즘 제국과 카라한 왕조 연합군이 시르다리야강을 건너 서요에 침공했지만, 서요군은 연합군을 크게 격퇴했다.
1208년 칭기즈 칸에게 패배한 나이만 족의 왕자 쿠츨루크를 보호하고, 자신의 사위로 삼았다.[13] 그러나, 1211년에 무함마드와 카라한 왕조의 우스만이 다시 쳐들어오자 직로고는 장군 타얀크가 이끄는 원정군에 사마르칸트를 포위하게 했다. 그러나 쿠츨루크는 서요 본국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쿠츨루크는 사전에 무함마드와 내통하여, 마와라안나훌 서쪽 땅과 파미르 고원 동쪽의 서요 본국을 무함마드와 분할하기로 약속했다. 쿠츨루크는 오트랄 하류의 우즈켄드에 있었다고 하는 서요 황제의 보물창고를 약탈하고, 수도 베라사군을 노렸다. 직로고는 스스로 군을 이끌어 쿠츨루크의 반란군을 격퇴했지만, 수도 베라사군에서도 거주자들이 무함마드를 군주로 맞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 직로고는 베라사군을 16일간 포위 끝에 함락시켜, 주민들을 학살하면서 되찾았지만, 쿠츨루크로부터 탈환한 보물 창고의 재보 처우를 둘러싸고 신하들과 불화가 생겨 군을 철수하도록 명령했다. 이것이 화가 되어 쿠츨루크의 반격을 당하여, 직로고는 포로가 되었다.
이 쿠데타로 직로고는 실권을 빼앗겼다. 같은 해, 동방의 위구르족이 서요를 배신하고 몽골 제국에게 귀순하였고, 서요는 호라즘 샤 왕조, 카라한 칸국, 위구르족을 동시에 잃게 되었다. 1213년에 사망할 때까지, 쿠츨루크는 장인 야율직로고를 상황으로 대접했지만, 서요는 사실상 쿠츨루크의 찬탈에 의해서 멸망한 셈이 되었다.
2. 3. 쿠츨루크의 득세와 서요의 멸망
1208년 칭기즈 칸에게 패배하여 쫓겨난 나이만 족의 왕자 쿠츨루크를 보호하고, 자신의 사위로 맞이하는 등 후대하였다.[2] 그러나 1211년 쿠츨루크는 서요 본국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쿠츨루크는 사전에 무함마드와 내통하여, 마와라안나훌 서쪽 땅과 파미르 고원 동쪽의 서요 본국을 무함마드와 분할하기로 결정하였다. 쿠츨루크는 오트랄 하류의 워즈칸드에 있었다고 하는 서요 황제의 보물창고를 약탈하고, 수도 베라사군을 노렸다. 야율직로고는 스스로 군을 이끌어 쿠츨루크의 반란군을 격퇴했지만, 수도 베라사군에서도 거주자들이 무함마드를 군주로 맞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 수도를 함락시키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야율직로고는 베라사군을 16일간 포위한 끝에 함락시켜 주민들을 학살하면서까지 되찾았지만, 쿠츨루크로부터 탈환한 보물 창고의 재보 처우를 둘러싸고 신하들과 불화가 생겨 군을 철수하도록 명했다. 이것이 화가 되어 쿠츨루크의 반격을 받아 야율직로고는 포로가 되었다. 이 쿠데타로 야율직로고는 실권을 빼앗겼다. 같은 해 동방의 피지배층인 위구르족이 서요를 배신하고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에게 귀순하였고, 서요는 호라즘 샤 왕조, 카라한 칸국, 위구르족이라는 3개의 속국 및 피지배층들을 동시에 잃게 되었다.[2]
1213년에 사망할 때까지 쿠츨루크는 장인 야율직로고를 태상황으로 대접했지만, 서요는 사실상 쿠츨루크의 찬탈에 의해 멸망한 셈이 되었다.[2]
3. 대외 관계
야율직로고는 야율이렬의 둘째 아들로,[2] 1195년에 케레이트의 왕자 토그릴이 도망쳐와 군사적 도움을 요청했지만 실패했다.[5]
서부에서 일련의 문제가 발생한 후, 야율직로고와 신하들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오스만 칸은 야율직로고가 자신의 딸을 칸과 결혼시키는 것을 거부한 것에 분노하여, 무함마드 2세에게 연락하여 카라 키타이에게 함께 대항할 것을 제안했다.[11]
1204년, 야율직로고는 호탄에서 반란을 일으킨 왕에 대항하기 위해 칼루크 아르슬란 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의 재상인 ''타양구'' 샤무르는 아르슬란 칸에게 왕위를 아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자살할 것을 권고했다.[12]
칭기즈 칸이 1206년에 즉위한 후, 동쪽에 있던 카를루크의 새로운 칸 아르슬란 사르타크타이와 위구르 이디쿠트 바우르추크 아르트 테킨이 칭기즈 칸에게 항복했다. 1208년, 몽골에서 망명한 나이만의 왕자 쿠츨루크가 야율직로고의 궁정에 도착했다. 야율직로고는 그를 사위로 삼고 군사력을 지원했지만,[13] 쿠츨루크의 야심은 야율직로고를 의심하게 만들었다.
결국 1211년, 야율직로고는 사냥을 나간 사이 카슈가르 근처에서 쿠츨루크에게 기습당해 포로로 잡혔다.[13]
3. 1. 호라즘 제국과의 관계
야율이렬의 둘째 아들인 야율직로고의 통치 기간 동안, 호라즘 제국과의 관계는 계속해서 갈등을 겪었다. 샤오두오루부(蕭朵魯不)는 술탄 샤가 메르브와 사라크스를 점령하도록 도왔다.[4] 그러나 테키쉬의 사위인 킵차크 지도자 카라 오잔은 1181년에 탈라스를 침략했다. 1190년대 무렵 술탄 샤가 사망한 후, 테키쉬는 다시 서요에 복종하고 조공을 바치기 시작했다.1198년, 카라 키타이와 호라즘은 연합하여 고르의 제후국들을 침공했고, 테키시는 헤라트를 침공했으며, 야율직로고는 구즈간을 점령했다.[6] 그러나 고르인들은 곧 두 제국에 큰 패배를 안겨주었고, 마르브, 사라크스, 나사, 아비와르드, 투스, 니샤푸르를 정복했다. 야율직로고는 그 해에 군사 고문[7] "타이앙구" 휘하의 군대를 파견했지만 실패했다.
테키시가 죽고 무함마드 2세가 즉위한 후, 1200년에 고르와의 전쟁이 재개되었다.[8] 1204년, 고르 술탄 무함마드는 카라 키타이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포로로 잡혔으나,[9]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되었다. 1206년 고르 술탄이 살해되면서 중앙 아시아 침공은 좌절되었고, 티르미드는 호라즘인들에게 재탈환되었다.
칭기즈 칸이 1206년에 즉위한 후, 동쪽에 있던 카를루크의 칸 아르슬란 사르타크타이와 위구르 이디쿠트 바우르추크 아르트 테킨이 칭기즈 칸에게 항복했다. 1208년, 몽골에서 망명한 쿠츨루크가 야율직로고의 궁정에 도착했다. 야율직로고는 쿠츨루크를 사위로 삼고 군사력을 지원했다.[13]
천희 31년 (1208년), 서요가 중앙 아시아에 파견한 관리가 살해되었고, 호라즘 제국과 서카라한 왕조의 연합군이 실다리야 강을 건너 서요 본국으로 침공했지만, 서요군은 이를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한때 알라웃딘을 포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쿠츨루크는 호라즘 샤와 동맹을 맺고 야율직로고를 배신했다. 1210년, 야율직로고가 사마르칸드 사람들의 반란을 처리하는 동안, 쿠츨루크는 우즈겐에서 카라 키타이의 보물을 빼앗았다. 야율직로고는 쿠츨루크를 처리하기 위해 사마르칸드를 떠났지만, 무함마드 2세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사마르칸드를 점령하고 탈라스 근처에서 카라 키타이를 격파했다. 야율직로고는 수도 발라사군으로 후퇴했고, 쿠츨루크를 격파했지만, 1211년 쿠츨루크에게 기습당해 포로로 잡혔다.
3. 2. 구르 왕조와의 관계
1198년, 카라 키타이(서요)와 호라즘 제국은 연합하여 구르 왕조의 제후국들을 침공했다. 테키쉬는 헤라트를 침공했고, 질루구는 구즈간을 점령했다.[6] 그러나 구르 왕조는 곧 두 제국에 큰 패배를 안겨주었고, 이 기회를 이용하여 마르브, 사라크스, 나사, 아비와르드, 투스, 니샤푸르를 정복했다. 바하 알딘 삼 2세는 발흐를 점령하고 금요 설교에서 기야스 알딘 무함마드의 이름을 언급했다. 질루구는 곧 그 해에 군사 고문[7]인 "타이앙구" 휘하의 군사 부대를 파견했지만 실패했다.샤오 둬루부는 테키시에게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요구했는데, 테키시는 이로 인해 구르 왕조에게 금전적 도움을 요청했고, 그 돈으로 카라 키타이에게 배상했다.
3. 3. 몽골 제국과의 관계
1208년, 칭기즈 칸에게 패배하여 쫓겨난 나이만족의 왕자 쿠츨루크를 보호하고 자신의 사위로 맞아들이는 등 후하게 대우하여, 몽골의 서정을 대비하려 했다.[13] 그러나 1211년에 쿠츨루크는 칭기즈 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같은 해, 동쪽의 속국이었던 천산 위구르 왕국 또한 서요를 외면하고 칭기스 칸의 몽골 제국에 귀순하면서, 서요는 주요 속국 3개 중 하나를 잃게 되었다.4. 종교 정책
5. 평가
야율직로고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내부 반란과 외부 침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칭기즈 칸에게 쫓겨난 나이만족의 왕자인 쿠츨루크를 보호하고 자신의 사위로 삼는 등 후대했지만[13], 결국 쿠츨루크의 배신으로 인해 권력을 잃고 서요는 실질적으로 멸망하여 그의 통치 기간 중 가장 큰 실책으로 평가된다.[11]
6. 요사(遼史)의 기록
요사(권30 본기 제30)에는 "인종의 차남 야율직로고가 즉위하여 연호를 천희로 고치고 재위 34년이었다. 당시 가을에 사냥을 나갔다가, 나이만 왕 쿠출루크가 복병 8천 명으로 그를 사로잡고 그의 지위를 빼앗았다. 마침내 요나라의 의관을 갖추고 야율직로고를 태상황으로, 황후를 황태후로 받들며 아침저녁으로 문안하고 시중들면서 여생을 마쳤다. 야율직로고가 죽자 요나라는 멸망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참조
[1]
간행물
「天喜元寶」辨——記新發現的西遼錢幣
https://www.academia[...]
2022
[2]
문서
History of Liao
https://zh.wikisourc[...]
[3]
서적
Zapadnye kidani
Izd-vo Novosibirskogo univ
1989
[4]
서적
The empire of the Q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 between China and the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
문서
Biran (2005), pp.64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1968–1991
[7]
서적
Türkçe Kişi Adları
Karabudun Yayınları
2003
[8]
서적
Chronography of bar hebraeus
Gorgias Press
2010
[9]
문서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Twelf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Dorling Kindersley Pvt.
2011
[10]
간행물
From Rise to Collapse of a Turkish Sultan Aladdin Muhammad of Khorezmshah
http://www.turkiyat.[...]
2018-01-31
[11]
문서
Biran (2005), p. 117
[12]
서적
TÜRKİSTAN HALKLARININ TARİHİ
https://books.google[...]
Astana Yayınları
[13]
문서
Biran (2005) p. 60-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