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베는 칭기즈 칸의 장군으로, 원래 이름은 지르고아다이였으나 칭기즈 칸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제베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는 1201년 칭기즈 칸에게 화살을 쏘았으나 항복 후 사구로 활약하며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다. 특히 서요 정복, 호라즘 제국 추격, 동유럽 원정 등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1223년 몽골로 귀환하던 중 사망했으며, 그의 활약은 몽골 제국의 영토 확장과 동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37년 출생 - 사이교의 딸
사이교의 딸은 사이교의 딸이 있었다는 사실을 다루며, 동시대 문헌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지만 이름은 불명확하고, 『발심집』에는 출가 시 동생에게 맡겨 구조 민부경의 딸인 "레이제이 전"의 양녀가 되어 아마노 땅에 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에도시대의 『사이교모노가타리』에는 다양한 일화가 추가되었지만 후대 창작 가능성이 있고, 와카야마현 가쓰라기정 가미아마노에는 관련 유적들이 남아 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 1137년 출생 - 쇼시 내친왕 (1137년)
쇼시 내친왕은 헤이안 시대 말기 토바 천황의 황녀이자 고노에 천황의 누이로서, 하치조인령을 소유하여 황실 재정의 중심 역할을 하고 니조 천황의 준모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고시라카와 법황의 원정을 지원하고 양자 이노미 왕의 거병으로 평씨 정권과 관계를 유지하며, 사후 하치조인령은 다이가쿠지 통의 경제 기반이 되었다. - 1223년 사망 - 필리프 2세
필리프 2세는 프랑스 카페 왕조의 왕으로, 왕권 강화, 영토 확장, 파리 정비, 문화 부흥에 기여하여 '존엄왕' 칭호를 얻었다. - 1223년 사망 - 무칼리
무칼리는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초 몽골 제국에서 활약한 장군으로, 자무카 휘하에서 칭기즈 칸에게 귀순하여 그의 사준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금나라 공략에 큰 공을 세워 '국왕' 칭호를 받았고 그의 후손들은 원나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몽골의 정복전쟁 관련자 - 몽케 칸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인 몽케 칸은 1251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출되어 금나라 정벌, 유럽 원정 참여, 중앙 정부 강화, 무역로 확보, 고려 항복, 훌라구를 통한 이란-이라크 원정 성공, 룸 술탄국 정벌, 티베트-대리국 평정 등 광범위한 영토 확장을 이끌었으나 남송 정벌 중 병사하며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 몽골의 정복전쟁 관련자 - 수부타이
수부타이는 1175년 또는 1176년 몽골에서 태어나 칭기즈칸과 오고타이 칸 시대에 활약하며 금나라, 호라즘, 루스 등지에서 혁신적인 전술로 몽골 제국 영토 확장에 기여한 명장이다.
제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존칭 | 노얀 |
이름 | 제베 |
본명 | 지르코아다이 |
다른 이름 | 주르가다이 |
중국어 이름 | 哲别 (Zhébié) |
생애 | |
사망일 | 약 1224년 |
소속 | 몽골 제국 |
전투 | 칼카 강 전투 |
2. 생애
제베는 베수트 씨족 출신으로, 타이치우드족의 족장 타르구타이의 부하였다. 1201년 칭기즈 칸이 자무카와 연합한 타이치우드족을 정복하러 갔을 때 칭기즈 칸과 대적했으며, 칭기즈 칸에게 화살을 쏴 큰 부상을 입혔다. 그러나 타이치우드족이 패배하자 항복하여 칭기즈 칸의 수하가 되었다.
이후 제베는 사준사구 중 한 명으로 칭기즈 칸의 정복 전쟁에서 많은 공을 세웠다. 중앙아시아 원정 때 수부타이와 함께 러시아 킵차크인의 영지를 침공하고 러시아 제후 연합군을 격파했다. 1223년 몽골로 돌아가던 중 병사하였다.
2. 1. 몽골 제국 합류
1201년, 제베(당시 이름은 지르고아다이)는 칭기즈 칸과 대적하여 화살로 그에게 부상을 입혔으나, 타이치우드족이 패배한 후 칭기즈 칸에게 항복했다.[3] 칭기즈 칸은 그의 용맹함과 정직함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용서하고 '제베'라는 이름을 주며 자신의 부하로 받아들였다.[16] 제베라는 이름은 몽골어로 "화살촉이 나무로 된 화살"을 의미한다. 칭기즈 칸은 사람들의 입증된 기술과 충성심을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제베를 용서하고 칭찬했다.1202년, 13면 전투에서 칭기즈 칸은 화살에 맞아 목에 부상을 입었다. 칭기즈 칸은 자신의 부상을 숨기거나 거짓 자백을 막기 위해 패배한 자들에게 말의 목에 화살을 쏜 자가 누구인지 물었다. 지르고아다이는 자발적으로 자백했고, 칭기즈 칸이 자신을 죽일 수도 있었지만 살려주면 충성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1206년 칭기즈 칸 즉위 시 공신표에서 제베는 제47위에 꼽혔으며,[13] 《집사》에서는 "대(大) 제베"(Yeke Jebe)라고도 불렸다. 칭기즈 칸의 신임을 얻은 제베는 백호장에 임명되었고,[17] 이후 천호장의 지위에 올랐다.[18]
2. 2. 칭기즈 칸의 신뢰와 사준사구
제베는 칭기즈 칸의 가장 뛰어난 장군 중 한 명으로, 수부타이, 젤메, 쿠빌라이와 함께 "사준사구" 중 한 명으로 불렸다. 칭기즈 칸은 제베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중요한 군사 작전을 맡겼다.제베는 원래 베수트씨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장수가 되기 전에는 타이치우드족 족장 타르구타이의 부하였다. 1201년, 칭기즈 칸이 자무카와 연합한 타이치우드족을 정복하러 갔을 때 칭기즈 칸에게 화살을 쏴 큰 부상을 입혔다. 그러나 타이치우드족이 패배한 후 항복하여 칭기즈 칸의 수하가 되었다.
1202년, 13면 전투에서 칭기즈 칸은 화살에 맞아 목에 부상을 입었다. 칭기즈 칸은 자신의 부상을 숨기기 위해 패배한 자들에게 말의 목에 화살을 쏜 자가 누구인지 물었다. 당시 지르코아다이로 알려진 제베는 자신이 범인임을 자백하고, 칭기즈 칸이 자신을 살려준다면 충성스럽게 봉사하겠다고 말했다. 칭기즈 칸은 사람들의 능력과 충성심을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지르코아다이를 용서하고 칭찬하며 "화살"과 "무기"를 의미하는 제베라는 새 이름을 주었다.
제베는 칭기즈 칸의 신임을 얻어 불과 3년 만에 최고 장군 중 한 명으로 성장했다. 1211년 몽골의 금나라 정복에서 핵심적인 좌익군을 지휘했으며, 그의 능력은 무칼리와 수부타이 바아투르의 수준으로 평가받았다.[3] 송나라 사신 조굉은 제베가 3급 지방 장관과 동등한 권위를 가지고 칭기즈 칸 군대의 정예 부대를 지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언급했다.
3. 주요 군사 활동
제베는 베수트씨족 출신으로 칭기즈칸의 장수가 되기 전에는 타이치우드족 족장인 타르구타이의 부하였다. 1201년 칭기즈칸이 자무카와 연합한 타이치우드족을 정복하러 갔을 때 칭기즈칸과 대적하여 그에게 화살을 쏴서 큰 부상을 입혔다. 그러나 타이치우드족이 패배하자 항복하여 칭기즈칸의 수하가 되었고, 이후 사구가 되어 칭기즈칸의 정복 전쟁에서 많은 공을 세웠다.
제베는 금나라, 서요, 호라즘 제국 정복과 동유럽 원정 등 몽골 제국의 주요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특히 1223년 칼카 강 전투에서 키예프 루스와 쿠만족 연합군을 격파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6] 중앙아시아 원정 때에는 수부타이와 함께 러시아의 킵차크인 영지를 침공하고 러시아 제후 연합군을 격파하기도 했다.[6]
3. 1. 금나라 정복
제베는 금나라와의 초기 전쟁(1211년~1214년)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첫 번째 침략에서 제베는 수부타이와 함께 좌익을 지휘했다. 그의 부대는 성벽을 돌아 동쪽으로 진격하여 두 개의 요새를 점령했다. 그 후 그는 다시 방향을 돌려 우샤 요새에서 두 번째 금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칭기즈칸의 주력 부대와 합류했는데, 이들은 이후 야율령 전투에서 승리했다.[19] 이 압도적인 승리 이후 몽골군은 베이징 평원으로 들어가는 관문을 장악하고 영토에 대한 지배력을 넓혀갔다. 제베는 수많은 요새들을 점령하기 위해 파견되었는데, 그는 거짓 후퇴 전술을 사용하여 수비병들을 유인함으로써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19]칭기스칸은 제베를 자신의 장거리 기동 장군으로 신뢰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1211년 겨울에 몽골군이 중도 주변의 광대한 평원을 겨우 확보했을 때 제베는 요양을 점령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주 전선에서 수백 마일을 이동한 후 제베는 요양의 수비병들을 100마일 이상 이어진 거짓 후퇴로 유인하여 몽골 전리품을 대량으로 지면에 남겨두었다. 중국군은 이를 약탈하기 위해 멈추었고, 제베의 군대는 북부 겨울의 긴 밤을 이용하여 24시간 만에 100마일을 달려 혼란스러운 금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요양을 점령했다.[19]
1213년, 칭기스칸은 제베를 파견하여 강력하게 방어받는 거용관을 확보하도록 했다. 제베는 금나라 요새를 에워싸는 산길을 찾아내 수비병들이 야외로 나오도록 강요했다. 제베와 수부타이는 그 후 반대 방향으로 강행군하여 그들의 발자취를 되돌아가 적의 새로운 후방으로 이동하여 이 중요한 군대를 포위하고 섬멸했다.[19] 만주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여러 요새를 축소시킨 후 칭기스칸은 군대를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금나라 영토의 광대한 지역을 약탈했다. 제베는 수부타이와 함께 무칼리의 정예 부대에 배치되었으며, 그들은 여러 금나라 마을과 도시를 파괴하거나 점령하면서 성공적으로 바다까지 영토를 약탈했다.
1212년, 제1차 대금 전쟁 중 금에 반란을 일으킨 거란족의 야율류가를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랴오양을 공격한 제베는 도시의 방어가 튼튼하다는 것을 알고 기습을 가하여 1213년 1월에 랴오양을 제압했다.[19] 이후 이저우로 진군하여 칭기즈 칸과 합류한 뒤 거용관 공략을 명령받아 거용관을 함락시킨 후 장군 케에테이, 카타이와 합류했다.
3. 2. 서요 정복
1218년, 제베는 몽골의 숙적 쿠츨루크를 격파하고 서요를 정복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그는 불과 2만 명의 병력으로, 지배자인 불교도와 억압받는 무슬림 사이의 종교적 반란을 선동하고 지원하는 전략을 통해 쿠츨루크를 물리쳤다.[4] 제베는 카슈가르를 공격할 때, 신앙의 박해를 받던 이슬람교도들에게 신앙의 자유를 약속했고, 이에 카슈가르 주민들은 쿠츨루크에 반란을 일으켰다.[21] 제베는 도망간 쿠츨루크를 바다흐샨의 산중에서 사살했다.[22] 이로써 서요는 몽골 제국에 편입되었다.3. 3. 호라즘 제국 정복
1219년 호라즘 제국 침공 당시, 제베는 천산산맥을 넘어 페르가나 계곡을 위협하는 유인 부대를 이끌었다. 5피트(약 1.5m) 이상의 눈이 쌓인 높은 산길을 통과하여, 무함마드 2세의 정예 기병대 5만 명을 유인했다.[5] 제베는 이들을 상대로 승리하거나 최소한 패배하지는 않았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호라산을 위협하며 사마르칸트에서 칭기즈 칸의 주력 부대에 합류, 호라즘을 효과적으로 둘로 나누었다. 칭기즈 칸은 샤가 호라산과 서부 이란에서 병력을 다시 모으는 것을 막기 위해 제베와 수부타이를 파견하여 샤를 추격하게 했다.[5] 이들의 끈질긴 추격은 샤가 새로운 군대를 모으는 것을 막았고, 샤는 이란으로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호라즘군은 흩어져 점차적으로 파괴되었다.[6]1219년 칭기즈 칸의 서정에서 제베는 사마르칸트에서 도망친 호라즘 제국의 술탄 알라웃딘 무함마드를 추격하는 10,000명의 기병대를 수부타이와 함께 이끌었다.[23] 호라산에 침입한 제베는 발흐, 니샤푸르를 항복시켰지만, 1220년 5월에 무함마드를 놓치고 이란 고원 서부(이라크 아자미)에서 파괴 행위를 벌였다.[24] 1220년 말, 무함마드는 카스피 해의 Abaskun|아바스쿤 섬영어에서 사망했지만, 제베와 수부타이는 이 사실을 모르고 추격을 계속했다.[25]
3. 4. 동유럽 원정
제베는 수부타이와 함께 카스피해 주변에서 기습 작전을 펼쳐 제5차 십자군에 합류하려던 조지아군과 코카서스 스텝 부족을 물리쳤다.[7] 1221년 2월, 몽골군은 그루지야 왕국을 공격하면서 아제르바이잔 군을 선두에 세워 그루지야 군을 지치게 한 후 몽골군 본대가 돌격하여 승리했다.[26] 같은 해 3월에는 마라게를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주민들을 살해했다.[26]1222년 말까지 몽골군은 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야, 실반에서 파괴와 약탈을 자행하고, 코카서스 산맥을 넘어 북상했다.[28] 북상 후, 아스인, 레즈긴인, 체르케스인, 킵차크인의 연합군에 승리하여 킵차크 초원에 침입했다.
1223년, 칼카 강 전투에서 키예프 루스와 쿠만족을 격파했다.[6] 킵차크인의 칸 중 한 명인 코탄은 사위인 갈리치 공작므스티슬라프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루스 제후와 킵차크인의 동맹이 성립되었으나, 1223년 5월 31일 칼카 강(현 칼치크 강으로 추정)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몽골군이 승리했다.[29] 제베와 수부타이의 군대는 아조프 해 연안부와 크림 반도에서 약탈을 자행하고, 1223년 말에 볼가 불가르에 침입했다(몽골의 볼가 불가르 침공).[30]
4. 죽음
제베는 1223년에 몽골로 돌아가다가 병사하였다.[8] 그의 사망 원인과 장소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스티븐 포우(Stephen Pow)는 제베가 쿠르간 근처나 호르티차 섬 근처에서 러시아 동맹군인 킵차크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킵차크족은 튀르크어족 언어를 사용하며, 제베를 젬야-베그(Gemya-Beg)라고 불렀다. 그러나 러시아 학자 D.M. 티모킨과 V.V. 티신은 스티븐 포우의 주장이 문헌 자료에 근거하지 않고 언어학적 증거도 전혀 없다고 비판한다.[9]
5. 유산
제베는 몽골 제국의 확장에 크게 기여한 뛰어난 장군으로, 그의 군사적 업적은 몽골 제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기록되고 있다. 제베는 중국, 중앙 아시아, 유럽의 키예프와 루스에서 벌인 정복을 통해 역사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9]
제베 사후, 그의 아들 홀생손에게 천호장 지위가 주어졌다. 그의 친족 중 한 명인 바이주는 오고타이 칸과 몽케 칸 치세에 서정을 수행한 장군이었다.
6. 참여한 주요 전쟁 및 전투
제베는 칭기즈칸의 여러 정복 전쟁에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1201년에는 칭기즈칸과 대적하기도 했으나, 이후 그의 휘하에 들어가 사구 중 한 명이 되었다. 중앙아시아 원정에서는 수부타이와 함께 러시아 지역을 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6. 1. 참여한 전쟁
제베는 칭기즈칸의 정복 전쟁에 참여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 다음은 제베가 참여한 주요 전쟁이다.- 서하 원정
- 제1차 금나라 정벌
- 몽골의 서요 정복
- 칭기스 칸의 서정
- 몽골의 호라즘 제국 정복
- 몽골의 볼가 불가르 침공
중앙아시아 원정 때에는 수부타이와 함께 러시아의 킵차크인의 영지를 침공하고 러시아 제후의 연합군을 격파하기도 했다.
6. 2. 참여한 전투
1201년 칭기즈칸이 자무카와 연합한 타이치우드족을 정복하러 갔을 때 칭기즈칸과 대적했으며, 칭기즈칸에게 화살을 쏴서 큰 부상을 입혔다.[1] 그러나 타이치우드족이 패배하자 항복하여 칭기즈칸의 수하가 되었다.[1] 이후 사구가 되어 칭기즈칸의 정복 전쟁에서 많은 공을 세웠다.[1] 중앙아시아 원정 때 수부타이와 함께 러시아의 킵차크인 영지를 침공하고 러시아 제후 연합군을 격파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1]참조
[1]
웹사이트
元史/卷120
https://zh.wikisourc[...]
[2]
서적
Great Captains Unveiled
1927
[3]
논문
"I Will Give the People Unto Thee": The Činggisid Conquests and Their Aftermath in the Turkic World
2000
[4]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ongol War Machine
Pen & Sword Military
2015
[5]
논문
"Latin Sources’ Information about the Mongols Related to their Reconquest of Transcaucaisa"
2015
[6]
간행물
"I Will Give the People Unto Thee"
[7]
간행물
"Latin Sources’ Information about the Mongols"
[8]
웹사이트
元史/卷120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9]
논문
On New Trends in the Studies of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Based on the Example of Stephen Pow’s Article “The Last Campaign and Death of Jebe Noyan”
2018
[10]
문서
『新元史』巻123、列伝第20
[11]
문서
村上「ジェベ」『アジア歴史事典』4巻、118頁
[12]
서적
中央ユーラシア史
山川出版社
2000-10
[13]
서적
『元朝秘史』下巻
岩波書店
1997-08
[1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研究正篇
東京大学出版会
2013-06
[1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平凡社
1968-12
[1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8]
서적
『元朝秘史』下巻
岩波書店
1997-08
[1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2]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講談社
1996-05
[23]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5]
서적
モンゴル帝国と長いその後
講談社
2008-02
[2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8]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1]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講談社
1996-05
[3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