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군자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털군자란족(Haemantheae)은 수선화아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3개의 아족(게틸리스아족, 군자란아족, 털군자란아족)과 6개의 속(게틸리스속, Apodolirion, 군자란속, Cryptostephanus, 털군자란속, Scadoxus)으로 구성된다.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털군자란족은 수선화아과 내에서 키르탄투스족과 벨라도나수선족 사이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선화아과 - 수선화속
수선화속은 유럽, 지중해, 북아프리카, 중동, 아시아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구근식물 속으로, 다양한 꽃 색깔과 형태, 나팔 모양 부화관이 특징이며, 원예용으로 재배되지만 멸종 위기종도 있고 유독성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 수선화아과 - 상사화
상사화는 비늘줄기를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8월에 분홍색 꽃을 피우며, 잎은 꽃이 진 후에 돋아나고, 리코린을 함유한 유독 식물이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진달래아과
진달래아과는 진달래속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가솔송족, 브리안투스족, 시로미족, 에리카족, 진달래족 등 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파파야과
파파야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목본 또는 초본 식물 과로, 손바닥 모양의 잎과 측막태좌에 다수의 종자가 붙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아메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6개의 속을 포함한다.
털군자란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학술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목 | 비짜루목 |
과 | 수선화과 |
아과 | 수선화아과 |
족 | 털군자란족 (Haemantheae) |
족 명명 | Hutch., 1934 |
모식속 | 털군자란속 (Haemanthus L.) |
하위 분류 | |
아족 | 클리비아아족 (Cliviinae) 털군자란아족 (Haemanthinae) 게틸리스아족 (Gethyllidinae) |
2. 분류
털군자란족에는 3개의 아족이 있으며, 6개의 속이 있다.[3][4][5]
- 게틸리스아족(Gethyllidinae) (Dumort.) Meerow[3]
- * 게틸리스속(''Gethyllis'') L.
- * ''Apodolirion'' Baker
- 군자란아족(Cliviinae) (D.Müll.-Doblies & U.Müll.-Doblies)[4]
- * 군자란속(''Clivia'') Lindl.
- * ''Cryptostephanus'' Welw. ex Baker
- 털군자란아족(Haemanthinae) (Pax)[5]
- * 털군자란속(''Haemanthus'') L.
- * ''Scadoxus'' Raf.
아족들은 다음과 같이 관련되어 있다.
군자란아족은 털군자란족에 속하며 군자란속( ''Clivia''), ''Cryptostephanus''의 두 속을 포함한다. 털군자란아족의 기준 속은 2개의 속, 털군자란속( ''Haemanthus''), ''Scadoxus''이다. 게틸리스아족은 2개의 속, ''Apodolirion'', 게틸리스속( ''Gethyllis'')을 포함한다.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털군자란족은 수선화아과 내에서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갖는다.[6][7][8][9][10]
{| class="wikitable"
|-
! 수선화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벨라도나수선족(Amaryllideae)
|-
|
{| class="wikitable"
|-
| 키르탄투스족(Cyrtantheae)
|-
|
{| class="wikitable"
|-
| '''털군자란족'''(Haemantheae)
|-
|
{| class="wikitable"
|-
| 군자란아족(Cliviinae)
|-
|
털군자란아족(Haemanthinae) |
게틸리스아족(Gethyllidinae) |
|}
|}
|}
|}
|-
| 윌캐니아수선족(Calostemmatea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상사화족(Lycorideae)
|-
|
{| class="wikitable"
|-
| 설강화족(Galantheae)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에우스테피아족(Eustephieae)
|-
|
{| class="wikitable"
|-
| 에우카리스족(Eucharideae)
|-
|
|}
|}
|}
|}
|}
|}
|}
2. 1. 하위 분류
털군자란족에는 3개의 아족이 있으며, 6개의 속이 있다.[3][4][5]- 게틸리스아족(Gethyllidinae) (Dumort.) Meerow[3]
- * 게틸리스속(''Gethyllis'') L.
- * ''Apodolirion'' Baker
- 군자란아족(Cliviinae) (D.Müll.-Doblies & U.Müll.-Doblies)[4]
- * 군자란속(''Clivia'') Lindl.
- * ''Cryptostephanus'' Welw. ex Baker
- 털군자란아족(Haemanthinae) (Pax)[5]
- * 털군자란속(''Haemanthus'') L.
- * ''Scadoxus'' Raf.
아족들은 다음과 같이 관련되어 있다.
군자란아족은 털군자란족에 속하며 군자란속(''Clivia''), ''Cryptostephanus''의 두 속을 포함한다. 털군자란아족의 기준 속은 2개의 속, 털군자란속( ''Haemanthus''), ''Scadoxus''이다. 게틸리스아족은 2개의 속, ''Apodolirion'', 게틸리스속( ''Gethyllis'')을 포함한다.
2. 2. 계통 분류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털군자란족은 수선화아과 내에서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갖는다.[6][7][8][9][10]{| class="wikitable"
|-
! 수선화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벨라도나수선족(Amaryllideae)
|-
|
{| class="wikitable"
|-
| 키르탄투스족(Cyrtantheae)
|-
|
{| class="wikitable"
|-
| '''털군자란족'''(Haemantheae)
|-
|
{| class="wikitable"
|-
| 군자란아족(Cliviinae)
|-
|
털군자란아족(Haemanthinae) |
게틸리스아족(Gethyllidinae) |
|}
|}
|}
|}
|-
| 윌캐니아수선족(Calostemmatea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상사화족(Lycorideae)
|-
|
{| class="wikitable"
|-
| 설강화족(Galantheae)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에우스테피아족(Eustephieae)
|-
|
{| class="wikitable"
|-
| 에우카리스족(Eucharideae)
|-
|
[1]
간행물
Fam. Fl. Pl. 2
1934-07-20
|}
|}
|}
|}
|}
|}
|}
3. 한국의 털군자란족
참조
[2]
서적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II. Monocotyledons
1934
[3]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1829
[4]
간행물
Feddes Repertorium 107
1996
[5]
간행물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2(5)
1888
[6]
논문
Phylogeny of the American Amaryllidaceae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https://web.archive.[...]
2019-08-30
[7]
논문
The Never-ending Story: Multigene Approaches to the Phylogeny of Amaryllidaceae
http://naldc-legacy.[...]
[8]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y within the Eurasian Clade of Amaryllidaceae Based on Plastid ''ndhF'' and nrDNA ITS Sequences: Lineage Sorting in a Reticulate Area?
[9]
논문
Testing Deep Reticulate Evolution in Amaryllidaceae Tribe Hippeastreae (Asparagales) with ITS and Chloroplast Sequence Data
[10]
논문
Two new species of endemic Ecuadorean Amaryllidaceae (Asparagales, Amaryllidaceae, Amarylloideae, Eucharid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