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레시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시네는 영화 필름을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로, 초기 텔레비전 방송에서 영화 필름을 활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영화의 프레임 속도와 텔레비전 주사 방식의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핵심 과제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풀다운 기술이 사용된다. 텔레시네는 주로 필름을 저장 매체로 변환하는 데 활용되며, 장비 및 물리적 형식의 변화를 겪어왔다. 최근에는 텔레시네 기술과 영화 필름 스캐너 기술이 융합되어 디지털 중간 과정과 가상 텔레시네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텔레시네 장비는 광원, 촬상 장치, 그리고 주요 제조사 및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게이트 위브(gate weave)와 같은 특유의 아티팩트가 발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레비전 용어 - 페이퍼뷰
    페이퍼뷰는 케이블 TV, 위성방송, IPTV 등에서 특정 콘텐츠 시청 횟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며,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1972년 케이블 TV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와 같은 형태가 시작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텔레시네
개요
종류영화 필름의 내용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사용 목적영화를 텔레비전에서 방송하거나 다른 디지털 매체로 옮기는 데 사용됨
어원"텔레(tele-)"는 '멀리'를 의미하고, "시네(cine-)"는 '영화'를 의미
기술적 측면
주요 과정영화 필름을 특수 장치를 사용하여 스캔하고, 스캔된 이미지를 텔레비전의 주사율에 맞게 변환
풀다운 과정24fps 영화 필름을 29.97fps NTSC 비디오로 변환하는 과정
장비텔레시네 장비
필름 스캐너
비디오 서버
용어
영어Telecine
일본어テレシネ (Tereshine)
한국어텔레시네
활용
방송영화를 텔레비전 방송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
보관영화 필름을 디지털 형태로 보관하여 보존
디지털 배포DVD, 블루레이,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통해 영화를 배포하기 위한 디지털 마스터 제작
역사
초기 텔레시네초기 텔레시네는 영화 필름을 텔레비전 카메라로 직접 촬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발전기술 발전으로 인해 고품질의 텔레시네 장비와 스캐너가 개발되어 더욱 정밀하고 선명한 영상 변환이 가능해짐
기타
관련 용어필름 스캐닝
디지털 마스터링
영상 변환

2. 역사

방송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제작자들은 생방송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했다. 이에 따라 영화 필름을 텔레비전 방송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영화 필름(일반적으로 초당 24프레임)과 텔레비전 신호(초당 30 또는 25프레임, 인터레이스 방식)의 프레임 속도 차이로 인해, 영화를 텔레비전 카메라로 재생하면 깜빡임(플리커) 현상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텔레시네 기술이 개발되었다.[3]

초기에는 키네스코프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화면을 필름에 기록하고, 이 필름을 비디오 카메라로 다시 재생하여 깜빡임 현상을 제거했다. 비생방송 프로그램도 키네스코프를 사용하여 촬영, 편집 후 텔레비전으로 재생할 수 있었다. 또한, 필름 체인을 통해 비디오 속도 영화, 슬라이드 프로젝터, 영화 카메라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결합하여 방송에 활용할 수 있었다. 색상은 다중 튜브 비디오 카메라, 프리즘, 필터를 사용하여 원래 색상 신호를 분리하고, 빨간색, 녹색, 파란색을 각각의 튜브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하지만 영화관 프레임 속도로 촬영된 영화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화 속도를 텔레비전 프레임 속도에 맞게 높이는 방법이 있었지만, NTSC 방식에서는 눈과 귀에 띄는 변화가 발생했다. 또 다른 해결책은 특정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두 번 재생하는 것이었다. NTSC의 경우, 영화의 네 번째 프레임마다 두 번 보여주는 방식으로 프레임 속도 차이를 수정했다. PAL 방식은 '2:2 풀다운'이라는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했다. 그러나 아날로그 방송 기간 동안 초당 24프레임 영화는 PAL 비디오 신호에 맞게 초당 25프레임으로 속도가 빨라졌다. 이로 인해 음성 사운드트랙의 피치(음높이)가 높아지고, 영화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최근에는 텔레시네가 필름-대-공중(film-to-air)보다는 필름-대-저장(film-to-storage) 프로세스로 주로 활용된다. 1950년대 이후 기술 변화는 주로 장비 및 물리적 형식 측면에서 이루어졌지만, 기본 개념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필름으로 제작된 홈 비디오를 비디오 테이프로 변환하는 데에도 텔레시네 기술이 사용된다.

3. 프레임 속도와 주사 방식

방송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제작자들은 생방송 텔레비전 프로그램 외에도 영화로 기록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를 활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영화는 일반적으로 초당 24프레임으로 촬영되는 반면, 텔레비전은 NTSC 방식에서는 초당 30프레임(실제로는 29.97프레임), PAL/SECAM 방식에서는 초당 25프레임으로 주사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프레임 속도 차이로 인해 영화를 텔레비전 카메라로 재생하면 깜박임이 발생했다.

키네스코프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의 이미지를 텔레비전 주사율에 동기화하여 필름에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비생방송 프로그램도 촬영, 편집 후 텔레비전으로 재생할 수 있었고, 깜박임 문제도 해결되었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필름 체인으로 결합되어 방송사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전환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영화관 프레임 속도로 촬영된 영화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화 속도를 텔레비전 프레임 속도에 맞게 높이는 방법이 있었지만, NTSC에서는 눈과 귀에 띄는 변화가 있었다. 다른 해결책으로는 선택한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두 번 재생하는 방법이 있었다. NTSC에서는 영화의 네 번째 프레임마다 두 번 보여주는 방식으로 프레임 속도 차이를 수정했다. 더 발전된 기술로는 ''2:3 풀다운''이 있으며, PAL에서는 ''2:2 풀다운''을 사용한다. 아날로그 방송 기간 동안 초당 24 프레임 영화는 PAL 비디오 신호에 맞게 약간 더 빠른 초당 25 프레임 속도로 표시되었고, 이로 인해 오디오 사운드트랙의 피치가 높아지고 영화 길이가 짧아졌다.

최근에는 텔레시네가 주로 필름 대 저장 프로세스로 변화했다. 기본 개념은 동일하게 유지되며, 필름으로 제작된 홈 비디오는 이 기술을 사용하여 비디오 테이프로 전송될 수 있다.

텔레시네의 가장 복잡한 부분은 기계적인 필름 움직임과 전자 비디오 신호의 동기화이다. 필름과 비디오의 프레임 속도가 다를 때는 정교한 절차가 필요하다.

디지털 텔레비전 및 고화질 표준은 필름 자료를 인코딩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초당 50 필드 형식은 PAL과 유사한 4% 속도 향상을 사용하고, 초당 59.94 필드 인터레이스 형식은 NTSC와 동일한 2:3 풀다운 기술을 사용한다. 초당 59.94 프레임 프로그레시브 형식에서는 인터레이싱 없이 프레임 속도 변환이 수행된다. 1080p24와 같은 다른 형식은 필름 자료를 24 또는 23.976 프레임/초의 고유 속도로 디코딩할 수 있다.

PAL 국가에서는 초당 25 프레임 형식이 여전히 표준이다. NTSC 국가에서는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에서 2:3 풀다운을 사용하여 인터레이스 형식을 계속 사용하지만, ATSC는 24 및 23.976 프레임 프로그레시브 형식을 허용하여 더 나은 화질과 코딩 효율성을 제공한다. 최근 HDTV 제조업체들은 120 Hz 또는 240 Hz 재생 빈도를 지원하는 LCD 텔레비전과 48, 72 또는 96 Hz 재생 빈도를 지원하는 플라즈마 세트를 판매하고 있으며,[17] 1080p24 지원 소스와 결합하면 이러한 세트 중 일부는 2:3 풀다운 또는 PAL 국가에서 사용되는 4% 속도 향상과 관련된 문제를 피하면서 24의 전체 배수의 풀다운 방식을 사용하여 필름 기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4K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초당 60프레임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초당 24/30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춘 녹화 기기도 존재한다.[20]

요약하자면 필름 영상을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방송할 때에는 두 가지 큰 과제가 있다.


  • '''프레임 레이트'''
  • '''주사 방식'''

3. 1. 2:2 풀다운 (2:2 Pulldown)

PAL 또는 SECAM 비디오 표준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텔레비전용 영화를 초당 25 프레임으로 촬영한다. PAL 비디오 표준은 초당 25 프레임으로 방송되므로, 필름에서 비디오로 전송하는 과정은 각 필름 프레임마다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을 캡처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원래 초당 24 프레임으로 촬영된 극장용 영화는 초당 25 프레임으로 상영된다. 이는 그림에서 크게 눈에 띄지 않지만, 재생 속도가 4% 증가함에 따라 약 0.707 반음만큼 음높이(음악)가 약간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음높이를 유지하면서 오디오 속도를 높이는 시간 스트레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2:2 풀다운은 ''프렌즈'' 및 ''오클라호마!''(1955)와 같이 초당 30 프레임으로 촬영된 쇼와 영화를 ~59.94 Hz 주사율을 가진 NTSC 비디오로 전송하는 데에도 사용된다.[4] 이를 위해서는 재생 속도를 0.1% 늦춰야 한다.

2:2 풀다운 다이어그램 (A-B to A-A-B-B)

3. 2. 2:3 풀다운 (2:3 Pulldown, 3:2 Pulldown)

2:3 풀다운 다이어그램 (A-B-C-D를 A-A-B-B-B-C-C-D-D-D로)


미국 및 59.94 Hz 수직 주사 주파수를 사용하는 다른 국가에서는 비디오가 초당 ~29.97 프레임으로 방송된다. 영화의 움직임을 비디오 신호에서 정확하게 렌더링하려면 텔레시네는 24fps에서 ~29.97fps로 변환하기 위해 ''2:3 풀다운''(''3:2 풀다운''이라고도 함)이라는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5]

"풀다운"이라는 용어는 운송 메커니즘의 필름 부분 내에서 필름을 "당겨서"(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주어진 속도(보통 초당 24 프레임)로 프레임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기계적 과정에서 유래되었다. 이것은 두 단계로 수행된다. 첫 번째 단계는 NTSC의 1000/1001 비율로 필름 속도를 24,000/1001(~23.976)프레임/s로 늦추는 것이다. 속도 차이는 시청자에게 감지할 수 없다. 두 시간짜리 영화의 경우 재생 시간이 7.2초 연장된다. 총 재생 시간을 정확하게 유지해야 하는 경우 1000프레임마다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다.

2:3 풀다운의 두 번째 단계는 시네마 프레임을 비디오 필드로 배포하는 것이다. 초당 23.976프레임에서 초당 29.97프레임 비디오의 다섯 프레임마다 네 프레임의 필름이 있다.

: \frac{23.976}{29.97} = \frac{4}{5}

이 네 개의 필름 프레임은 60Hz 비디오의 인터레이스 특성을 이용하여 다섯 개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확장"된다. 각 비디오 프레임마다 실제로 두 개의 불완전한 이미지 또는 "필드"가 있는데, 하나는 이미지의 홀수 줄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짝수 줄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각 네 개의 필름 프레임(''A'', ''B'', ''C'', ''D''라고 함)에 대해 열 개의 필드가 있다. 텔레시네는 번갈아 가며 프레임 ''A''를 두 개의 필드에, 프레임 ''B''를 세 개의 필드에, 프레임 ''C''를 두 개의 필드에, 프레임 ''D''를 세 개의 필드에 배치한다. 이것은 A-A-B-B-B-C-C-D-D-D 또는 2-3-2-3 또는 단순히 2–3으로 쓸 수 있다. 이 사이클은 네 개의 필름 프레임 후에 완전히 반복된다.

''3:2 풀다운'' 패턴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지만 한 프레임만큼 이동한다. 예를 들어, 필름 프레임 B로 시작하는 사이클은 3:2 패턴(B-B-B-C-C-D-D-D-A-A 또는 3-2-3-2 또는 단순히 3–2)을 생성한다. 즉, 2-3과 3-2 패턴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사실, SMPTE 표준에 따르면 4프레임 필름 시퀀스마다 첫 번째 프레임이 세 번이 아닌 두 번 스캔되므로 ''3-2'' 표기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5]

위의 방법은 프레임 버퍼를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보관할 수 있기 전에 사용된 "클래식" 2:3이다. 2:3을 수행하는 데 선호되는 방법은 다섯 개의 프레임 중 하나에만 더티 프레임을 만드는 것이다(즉, 3:3:2:2 또는 2:3:3:2 또는 2:2:3:3). 이 방법은 약간 더 많은 저더가 있지만 더 쉬운 업컨버전(더티 프레임은 정보를 잃지 않고 삭제할 수 있음)과 인코딩 시 더 나은 전반적인 압축을 허용한다. 2:3:3:2 패턴은 파나소닉 DVX-100B 비디오 카메라에서 "Advanced Pulldown"이라는 이름으로 지원된다. CRT와 같은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에서는 필드만 표시되고 더티 프레임이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티 프레임은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NTSC 3:2 풀다운
왼쪽: 필름의 4프레임, 가운데: 비디오 10필드, 오른쪽: 비디오 5프레임(인터레이스)


초당 24프레임의 필름 영상을 NTSC 방식이나 일부 PAL 방식의 초당 30(29.97)프레임의 텔레비전 방식으로 기록·방송할 때는 어떤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다행히 양자의 프레임 레이트는 4:5라는 단순한 정수비이지만, 4장의 연속된 그림에서 5장의 그림을 만들어야 한다.

3:2 풀다운이라고 불리는 변환 방식은 필름 영상의 4프레임마다 1프레임에 해당하는 그림을 2회 사용하여 5프레임 분의 텔레비전 신호를 만들어낸다. 실제로는 텔레비전 신호가 인터레이스 주사를 수행하므로, 필름 영상 4프레임 중 2프레임을 각 프레임에 대해 1필드(1/2프레임) 분 재사용한다.

예를 들어 필름의 연속된 4프레임을 1, 2, 3, 4라고 하고 각 홀수 필드 주사 및 짝수 필드 주사를 1o, 1e, 2o, 2e, ...라고 하면, 필름의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10필드(5프레임)의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된다.

: 1o 1e 1o 2e 2o 3e 3o 3e 4o 4e

필름 영상의 각 프레임이 교대로 3필드 또는 2필드의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된다.

3. 3. 기타 풀다운 방식

2:2:2:2:2:2:2:2:2:2:2:3 풀다운(유로 풀다운)은 24fps(초당 프레임) 필름을 25fps로 변환하는 방식이다.[6][7][8] 이 방식은 PAL 또는 SECAM 방식에서 필름을 전송할 때 발생하던 4% 속도 증가로 인한 음조 변화 문제를 해결한다. 24fps 필름의 각 프레임을 50개의 PAL 필드에 분배하기 위해, 12 프레임마다 풀다운 필드를 삽입하여 12 프레임의 필름이 25필드(12.5 프레임)의 PAL 비디오에 분산되도록 한다.

이 방식은 사운드트랙이 중요한 영화에 특히 적합하며, PAL 및 SECAM 시청자들이 겪었던 음조 변화 문제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디지털 텔레비전 및 고화질 표준은 다양한 필름 자료 인코딩 방식을 제공한다. 576i50 및 1080i50과 같은 50 필드 형식은 PAL과 유사하게 4% 속도 향상을 사용한다. 480i60 및 1080i60과 같은 59.94 필드 인터레이스 형식은 NTSC와 동일한 2:3 풀다운 기술을 사용한다. 480p60 및 720p60과 같은 59.94 프레임 프로그레시브 형식은 인터레이싱 없이 프레임 속도 변환을 수행한다. 1080p24 형식은 필름 자료를 24 또는 23.976fps로 디코딩할 수 있다.

NTSC 국가에서는 2:3 풀다운을 사용하는 인터레이스 형식이 여전히 표준으로 사용되지만, ATSC는 24 및 23.976 프레임 프로그레시브 형식을 허용하여 더 나은 화질과 코딩 효율성을 제공한다. 최근 HDTV 제조업체들은 120Hz 또는 240Hz 재생 빈도를 지원하는 LCD TV와 48, 72 또는 96Hz 재생 빈도를 지원하는 플라즈마 TV를 판매하고 있다.[17] 이러한 TV는 1080p24 지원 소스와 결합하여 5:5 풀다운과 같이 24의 배수 풀다운 방식을 사용하여 텔레시네 저더 없이 필름 기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3. 4. 리버스 텔레시네 (Reverse Telecine, Inverse Telecine)

DVD 플레이어, 라인 더블러,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중 일부는 텔레시네된 비디오 소스에서 2:3 풀다운을 감지하고 제거하여, 원래의 초당 24프레임 필름 프레임을 재구성하도록 설계되었다.[5] AviSynth와 같은 많은 비디오 편집 프로그램도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술은 ''리버스 텔레시네'', ''인버스 텔레시네'', ''리버스 풀다운'' 또는 ''디텔레시네''라고 알려져 있다.[5] 리버스 텔레시네의 장점으로는 호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고품질 비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와 중복 데이터 제거 등이 있다.

리버스 텔레시네는 필름 자료를 디지털 비선형 편집 시스템에 획득할 때 매우 중요한데, 이는 이러한 장치가 원래 필름 자료의 특정 프레임을 참조하는 편집 결정 목록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텔레시네에서 나온 비디오를 이러한 시스템에 가져올 때, 운영자는 일반적으로 비디오 자료와 필름 원본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텍스트 파일 형태의 ''텔레시네 추적''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비디오 전송은 시간 코드와 같은 다른 식별 정보와 함께 비디오 이미지에 ''구워진'' 텔레시네 시퀀스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비디오 필드가 2:3 풀다운 패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리버스 텔레시네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더 어렵다. 이것은 라인 더블러 및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대부분의 소비자 장비가 직면한 과제이다. 이상적으로는 단일 필드만 식별하면 되며, 나머지는 패턴을 따른다. 그러나 2:3 풀다운 패턴은 전체 프로그램에서 일관성을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NTSC 형식과 같이 2:3 풀다운을 거친 후 필름 자료에서 수행된 편집은 원래 프레임 시퀀스를 유지하는 데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패턴에 ''점프''를 유발할 수 있다. 대부분의 리버스 텔레시네 알고리즘은 이미지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2:3 패턴을 따르려고 시도하며, 예를 들어 반복되는 필드를 검색하는 방식이다.

2:3 풀다운 제거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디인터레이싱 작업도 수행한다. 비디오에 2:3 풀다운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고리즘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필름 소스 비디오의 경우 리버스 텔레시네를 수행하거나, 네이티브 비디오 소스의 경우 더 간단한 디인터레이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4. 텔레시네 장비 및 기술

텔레시네 장비는 기본적으로 필름에 빛을 쪼여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크게 광원 장치와 촬상 장치로 구성된다. 광원 장치는 필름에 빛을 쪼이는 역할을 하며, 촬상 장치는 필름을 통과한 빛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텔레시네의 핵심 기술은 기계적인 필름 움직임과 전자적인 비디오 신호의 동기화이다. 텔레시네의 비디오 부분이 전자적으로 빛을 샘플링할 때마다 필름 부분은 완벽하게 정렬된 상태로 촬영할 준비가 된 프레임을 가져야 한다. 필름과 비디오의 프레임 속도가 다를 경우, 정교한 절차가 필요하다.[3]

초기에는 키네스코프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디스플레이의 이미지를 필름에 기록하고, 이를 비디오 카메라로 다시 촬영하여 재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필름이 텔레비전과 같은 속도로 실행되었기 때문에 깜박임이 제거되었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비디오 속도 영화, 슬라이드 프로젝터, 영화 카메라 등)는 필름 체인으로 결합되어 방송사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전환할 수 있게 했다. 색상은 다중 튜브 비디오 카메라, 프리즘 및 필터를 사용하여 원래의 색상 신호를 분리하고, 빨간색, 녹색, 파란색을 개별 튜브에 공급하여 표현했다.

그러나 영화관 프레임 속도로 촬영된 영화는 여전히 문제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화 속도를 텔레비전 프레임 속도에 맞게 높이는 방법이 있었지만, NTSC의 경우 눈과 귀에 띄는 변화가 필요했다. 간단한 해결책은 선택한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두 번 재생하는 것이었다. NTSC의 경우, 영화의 네 번째 프레임마다 두 번 보여줌으로써 프레임 속도 차이를 수정할 수 있었다. PAL은 ''2:2 풀다운''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아날로그 방송에서 초당 24 프레임 영화는 PAL 비디오 신호에 맞게 약간 더 빠른 초당 25 프레임 속도로 표시되어, 오디오 사운드트랙의 피치가 약간 높아지고 영화 길이가 약간 짧아졌다.

최근 텔레시네는 주로 필름을 저장하는 프로세스였다. 1950년대 이후 변화는 주로 장비 및 물리적 형식 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기본 개념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필름으로 제작된 홈 비디오는 이 기술을 사용하여 비디오 테이프로 전송될 수 있다.

텔레시네 장비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기술로는 플라잉 스폿 스캐너, 라인 어레이 CCD, 펄스 LED/트리거 방식 3 CCD 카메라 시스템 등이 있다.


  • 참고: 광원 장치와 촬상 장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조.*

4. 1. 광원 장치

광원 장치에는 할로겐 램프, 레이저, 음극선관(CRT), 제논 램프, LED가 있으며,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진다.

  • '''할로겐 램프'''는 일반적인 광원으로, 가정용·간이 텔레시네 기기에 많이 사용된다. 하이엔드 기기에서는 할로겐 램프의 안정성이나 경년 열화에 대한 조정이 필수적이므로, 전원을 켠 후 수동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13]
  • '''레이저 광'''은 한때 하이엔드 기기에서 사용되었다. 아르곤 레이저가 일반적이었다. 광원에 직진성이 있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이 비교적 불안정하여, 전원을 켰을 때 조정이나 운용 중 문제가 많아 현재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13]
  • '''음극선관(CRT)'''은 하이엔드 기기에서 사용된다. 텔레시네에서 사용되는 음극선관은 텔레비전브라운관보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용에 가깝다. 광원의 색상은 녹색이며 필름의 움직임에 맞춰 관 표면을 좌우로 주사한다. 광원은 녹색이지만 녹색 광의 성분에 빨강·파랑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문제없이 컬러 화상을 얻을 수 있다.[13]
  • '''제논 램프'''는 최근의 하이엔드 기기에서 사용된다. 색상은 흰색에 가깝고, 소형으로 안정적으로 강한 빛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발열이 심하므로, 대형 방열판이나 냉각 팬이 필수적이다.[13]
  • '''LED 광'''은 일부 하이엔드 기기에서 사용된다. 광원으로서 매우 안정적이지만, 하나당 출력이 작아 복수의 LED를 묶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때, 필름에 닿는 빛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빛 확산 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광원의 색온도 조정을 위해, 백색 LED가 아닌 RGB의 3색 LED를 조합하는 경우도 있다.[13]


광원 장치 종류 및 특징
광원 종류특징사용 기기장점단점
할로겐 램프일반적인 광원, 가정용/간이 텔레시네 기기에 많이 사용가정용/간이 텔레시네 기기, 하이엔드 기기(조정 필요)일반적, 저렴안정성 및 경년 열화 조정 필요, 수동 조정 시간 소요
레이저 (아르곤 레이저)직진성으로 선명한 화상과거 하이엔드 기기선명한 화상불안정, 조정 및 운용 문제,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음
음극선관(CRT)텔레비전브라운관보다 오실로스코프용에 가까움, 녹색 광원, 좌우 주사하이엔드 기기컬러 화상 가능 (녹색 광에 빨강, 파랑 포함)
제논 램프흰색에 가까운 색상, 소형, 안정적, 강한 빛최근 하이엔드 기기안정적, 강한 빛, 소형고발열, 대형 방열판/냉각 팬 필요
LED매우 안정적, 여러 개 묶어 사용, 빛 확산 장치, 색온도 조정 (RGB 3색 조합)일부 하이엔드 기기매우 안정적, 색온도 조정 가능하나당 출력 낮음, 여러 개 필요, 빛 확산 장치 필요


4. 2. 촬상 장치

촬상 장치에는 촬상관, 광전자 증배관(PMT), CCD, 애벌런치 포토다이오드(APD) 등이 사용되며,[3] 광원 장치에 따라 적절한 촬상 장치가 선택된다.

  • '''촬상관''' - 과거 하이엔드 기기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비디오 카메라에 사용되는 촬상관과 동일하며 텔레시네 전용 카메라가 발매되기도 했지만, 시판되는 방송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초기 설정에 시간이 걸리고 잔상이 발생하며, 같은 이미지를 촬영하면 번짐이 일어나는 등 취급이 매우 어려웠다.
  • '''광전자 증배관''' - 빛의 강약을 전기의 강약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광원이 레이저 광이나 음극선관(CRT)일 때 사용된다. 이는 광전자 증배관이 점으로만 빛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점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이나 음극선관(CRT)과 맞기 때문이다. 또한 빛의 색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빛을 프리즘으로 분리하여 필터로 RGB 3색으로 나누어 3대의 광전자 증배관으로 컬러 이미지를 얻는다.
  • '''CCD''' - 가정용 기기부터 하이엔드 기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기기 및 하이엔드 기기 모두 시판되는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부 하이엔드 기기에서는 라인 CCD라는 1차원 이미지를 얻는 CCD를 여러 개 사용하여 고해상도를 얻는 것도 있다.
  • '''애벌런치 포토다이오드''' - 최근 하이엔드 기기에서 광전자 증배관을 대신하여 사용되기 시작했다.

4. 3. 주요 텔레시네 장비 제조사 및 모델

제조사모델특징대응 필름출력 신호
신텔(Cintel)URSA 시리즈플라잉 스폿 방식 (광원: 음극선관, 촬영: 포토멀/애벌런치 포토다이오드), "필름 같은 영상"으로 평가받음.35mm/16mm/8mmSD
신텔(Cintel)C-Reality 시리즈URSA 후속, HD 대응, 빛 손실 감소. C-Reality/DSX는 고해상도 및 고속화, OLIVER 기능 추가.35mm/16mmSD/HD/2K/4K (C-Reality/DSX 옵션)
테크니컬러(Technicolor) [3]스피릿 데이터 시네(Spirit DataCine) 시리즈제논 램프 및 라인 CCD 사용, 확산광 효과, 코닥 렌즈, 고해상도 스캔.35mm/16mmSD/HD/2K/4K (제품별 상이)
소니비알타(VIALTA, FVS-1000)LED 및 CCD 사용, 광학 확산 장치, SOPS(Sony Optical Picture Stabilizer) 적용.35mm/16mmSD/HD(옵션)
이매지카무비톤(Movie-Tone)1985년 개발, 습식 게이트 방식, 레지스트 핀, 네거 필름 텔레시네 가능.35mm/16mmSD/HD
도쿄 현상소시네톤(Cine-Tone)1985년 서비스 시작, 습식 게이트 방식, 레지스트 핀, 네거 필름 텔레시네 가능.35mm/16mmSD/HD


4. 4. 플라잉 스폿 스캐너 (Flying Spot Scanner)

영국 신텔(Rank Precision Industries)은 텔레비전 화면을 이용한 스캔 방식인 음극선관(CRT) 기반 플라잉 스폿 스캐너(FSS)를 실험하고 있었다. 랭크 프레시젼-신텔은 마크 시리즈 FSS 텔레시네를 도입했다. 1950년 최초의 랭크 플라잉 스폿 흑백 텔레시네가 BBC 라임 그로브 스튜디오에 설치되었다.[12] FSS의 CRT는 화소 크기의 전자빔을 방출하여 외피에 코팅된 형광체를 여기시키고, 이로 인해 형광체가 빨간색, 녹색, 파란색으로 빛나게 된다. 이 빛의 점은 렌즈를 통해 필름의 유제에 초점을 맞추고, 최종적으로 광전자 증배관이라는 특수 광전지에 의해 수집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는 초당 24프레임(또는 경우에 따라 더 빠르게)으로 ''실시간'' 수행될 수 있었다. FSS의 장점은 색상 분석이 스캔 후에 이루어지므로, 색상 분리 후 스캔이 진행되는 비디콘 튜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등록 오류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더 간단한 이색성 거울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잉 스폿 스캐너의 구성 요소: (A) 음극선관(CRT); (B) 필름 평면; (C) & (D) 이색 거울; (E), (F) & (G) 적색, 녹색 및 청색 감응 광전자 증배관


플라잉 스폿 스캐너의 문제는 텔레비전 필드 속도와 필름 프레임 속도 간의 주파수 차이였다. 이는 Mark I 다각형 프리즘 시스템에서 회전하는 프리즘을 통해 텔레비전 프레임 속도와 광학적으로 동기화하고 모든 프레임 속도로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이후 Mark II 트윈 렌즈로 대체되었고, 1975년경에는 Mark III 호핑 패치(점프 스캔)로 대체되었다. Mark III 시리즈는 원래의 ''점프 스캔'' 인터레이스 스캔에서 프로그레시브 스캔을 사용하고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출력하는 디지털 스캔 컨버터(Digiscan)를 포함하는 Mark IIIB로 발전했다. Mark IIIC는 이 시리즈 중 가장 인기가 많았으며 차세대 Digiscan과 기타 개선 사항을 사용했다.

그 후 Mark 시리즈는 4:2:2 색상 공간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최초의 텔레시네 라인인 Ursa(1989)로 대체되었다. Ursa Gold(1993)는 이를 4:4:4로 향상시켰고, Ursa 시스템에 대한 많은 타사 개선 사항을 통합한 Ursa Diamond(1997)가 출시되었다.[13]

4. 5. 라인 어레이 CCD (Line Array CCD)

CCD 스캐너의 부품: (A) 제논 전구; (B) 필름면; (C) & (D) 프리즘 및 다색 거울; (E), (F) & (G) 적색, 녹색 및 청색 감지 CCD.


전하 결합 소자(CCD)를 이용하여 필름의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백색광이 노출된 필름 이미지를 통과하여 프리즘으로 들어가면 이미지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세 가지 기본 색상으로 분리된다. 각 색상의 빛은 각 색상별로 다른 CCD에 투사된다. CCD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텔레시네 전자 장치는 이를 비디오 신호로 변조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거나 방송할 수 있다.[14]

로버트 보쉬 유한회사(Robert Bosch GmbH)의 Fernseh 부서이후 BTS Inc., 필립스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 Thomson의 Grass Valley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DFT Digital Film Technology.영어는 세계 최초의 CCD 텔레시네(1979)인 FDL 60을 출시했다.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설계 및 제작된 FDL 60은 최초의 완전 고체 소자 텔레시네이었다. Cintel (ADS 텔레시네 1982)과 마르코니 컴퍼니(1985) 모두 잠시 동안 CCD 텔레시네를 제작했다.

Grass Valley(구 Thomson, Bosch-Fernseh의 발명품에서 유래)가 제작한 섀도 텔레시네 시스템, 덴마크 DR에 설치


필립스-BTS는 FDL 60을 FDL 90 (1989)과 Quadra (1993)로 발전시켰다. 1996년 필립스는 코닥과 협력하여 Spirit DataCine (SDC 2000)을 출시했는데, 이 제품은 HDTV 해상도로 필름 이미지를 스캔하고 2K (1920 휘도 및 960 색도 RGB)1556 RGB에 근접할 수 있었다. 데이터 옵션을 사용하면 Spirit DataCine을 영화 필름 스캐너로 사용하여 2K DPX 데이터 파일을 RGB로 출력할 수 있다. 2000년에 필립스는 Shadow Telecine (STE)을 출시했는데, 이는 코닥 부품이 없는 Spirit의 저가형 버전이었다. Spirit DataCine, Cintel의 C-Reality 및 ITK의 Millennium은 디지털 중간 과정 기술의 문을 열었으며, 텔레시네 도구는 비디오 출력뿐만 아니라 나중에 필름 아웃으로 다시 기록될 고해상도 데이터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3] DFT Digital Film Technology Spirit 4K/2K/HD (2004)는 Spirit 1 Datacine을 대체하며 2K 및 4K 라인 어레이 CCD를 모두 사용한다. DFT는 2009년 NAB 쇼에서 새로운 스캐너 Scanity를 공개했다.[15]

4. 6. 펄스 LED/트리거 방식 3 CCD 카메라 시스템

이 방식은 고출력 LED를 짧게 점멸시켜 필름의 정지 영상을 캡처하는 방식이다. CCD 비디오 카메라를 필름 이송 프레이밍에 동기화하여 영상을 획득한다.[16]

5. 디지털 중간 과정과 가상 텔레시네

디지털 중간 과정 후반 작업이 일반화되면서, 입력 장치, 표준 변환기, 색 보정 시스템을 갖춘 전통적인 텔레시네 기능의 필요성은 줄어들고 있다. 이는 테이프와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작업 방식으로 후반 작업 체인이 변화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텔레시네와 관련된 작업 흐름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후반 작업 체인의 시작이 아닌 끝 부분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실시간 디지털 그레이딩 시스템과 디지털 중간 과정 마스터링 시스템 형태로 나타나며, 점점 더 일반 컴퓨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로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가상 텔레시네라고 부르기도 한다.

6. 소프트 텔레시네와 하드 텔레시네

디지털 비디오 매체에서 텔레시네 처리된 자료를 저장하는 방식에는 하드 텔레시네와 소프트 텔레시네 두 가지가 있다. 하드 텔레시네는 비디오를 텔레비전 재생 프레임 속도(NTSC는 초당 29.97 프레임, PAL은 초당 25 프레임)로 저장하는 방식이며[18], 텔레시네 프레임이 사용된다. 소프트 텔레시네는 자료를 필름 속도(초당 24 또는 23.976 프레임)로 저장하고, MPEG-2 비디오 스트림에 특수 플래그를 삽입하여 DVD 플레이어가 재생 시 풀다운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방식이다.[18] 프로그레시브 스캔 DVD 플레이어는 이 플래그를 활용하여 필드 대신 프레임을 복제하거나, TV가 지원하는 경우 원본 24p 속도로 디스크를 재생하여 480p로 출력할 수 있다.

NTSC DVD는 주로 소프트 텔레시네를 사용하지만, 품질이 낮은 하드 텔레시네 DVD도 있다. 2:2 풀다운을 사용하는 PAL DVD의 경우 소프트 텔레시네와 하드 텔레시네는 동일하게 간주된다. 2:3 풀다운을 사용하는 PAL DVD는 소프트 또는 하드 텔레시네 모두 적용 가능하다.

블루레이는 초당 24 프레임(24fps)을 지원하여 대부분의 최신 텔레비전에서 5:5 케이던스를 허용한다.

7. 게이트 위브 (Gate Weave)

게이트 위브는 "텔레시네 위브" 또는 "텔레시네 워블"이라고도 불리며, 텔레시네 기계 게이트 내 필름의 움직임 때문에 발생한다. 이는 실시간 텔레시네 스캔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현상이다. 기계적 필름 처리 개선과 전자 후처리 기술을 모두 사용하여 게이트 위브를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시도되었다. 라인 스캔 텔레시네는 기존 필름 게이트를 가진 기계보다 프레임 간 저더(흔들림)에 덜 취약하며, 비실시간 기계 또한 실시간 기계보다 게이트 위브에 덜 취약하다. 일부 게이트 위브는 원래 필름 카메라 내 필름 취급에 의해 발생했듯이 필름 촬영술에 내재되어 있다. 현대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 기술은 이와 텔레시네/스캐너 게이트 위브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2]

참조

[1] 서적 NAB Engineering Handbook Focal Press
[2] 간행물 ADAPT 2018-04-11
[3] 서적 The Filmmaker's Handbook Plume
[4] 웹사이트 Home Theater and High Fidelity, Progressive Scan DVDs and deinterlacing http://www.hometheat[...]
[5] 서적 Charles Poynton, Digital Video and HDTV: Algorithms and Interfaces https://books.google[...] Morgan Kaufmann
[6] 웹사이트 D3D11_1DDI_VIDEO_PROCESSOR_ITELECINE_CAPS (d3d10umddi.h) - Windows drivers https://learn.micros[...] 2023-06-16
[7] 웹사이트 2:2:2:2:2:2:2:2:2:2:2:3 Pulldown - AfterDawn: Glossary of technology terms & acronyms https://www.afterdaw[...] 2023-06-16
[8] 서적 Digital Video and HD: Algorithms and Interface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2-02-27
[9] 웹사이트 7.1. Making a high quality MPEG-4 ("DivX") rip of a DVD movie http://www.mplayerhq[...]
[10] 웹사이트 The DVD-Video Bible, Written by @rlaphoenix https://gist.github.[...] 2023-06-16
[11] 웹사이트 1080/24 at 48Hz, 96Hz, or 120Hz http://forums.highde[...]
[12] 웹사이트 Some key dates in Cintel's history https://web.archive.[...] 2019-07-15
[13] 간행물 From Film to Tape 1999-05
[14]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http://journal.smpte[...]
[15] 웹사이트 DFT Scanity http://www.dft-film.[...]
[16] 웹사이트 Jay Holben, More Detail on 24p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Displays that support 1080p/24 signal at multiplies of the original frame rate http://www.avsforum.[...]
[18] 웹사이트 Coming Soon To DVD https://web.archive.[...] 2008-12-21
[19] 웹사이트 さよなら、テレシネ | 光音ブログ -きょうの東京光音- https://www.koon.co.[...]
[20] 웹사이트 4K高画質処理 {{!}} ブルーレイ・DVDレコーダー https://panasonic.jp[...] 2024-09-05
[21] 서적 NAB Engineering Handbook Focal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